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층대가 분포하는 터널에서 굴진면 수평변위를 이용한 선행 천단변위 분석

        윤현석 ( Hyun-seok Yun ),도경량 ( Kyung-ryang Do ),서용석 ( Yong-seok Seo ) 대한지질공학회 2017 지질공학 Vol.27 No.1

        터널에서의 일상계측은 공정 특성상 굴착 후 바로 수행되기 어렵고, 일정 간격마다 수행되기 때문에 굴착 전 발생하는 선행 변위를 측정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굴착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굴진면 수평변위를 이용하여 단층대가 터널 상부에 분포하는 경우 천단부에서 발생하는 선행변위를 분석하였다. 단층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경사가 서로 다른 24개 모델에 대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굴진면 수평변위와 선행 천단변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행 천단변위에 대한 굴진면 수평변위의 비(L<sub>face</sub>/C ratio)는 순경사 모델의 경우 약 2~12%, 역경사 모델은 2~13%로 각 모델별로 일정한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한 선행 천단변위와 굴진면 수평변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모델에서 약 0.8 이상의 높은 결정계수(R<sup>2</sup>)를 보여 굴진면에서 발생하는 수평변위를 이용하면 계측 전 터널 천단에서 발생하는 선행변위의 산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Preceding displacements in tunnel are difficult to predict since the measurements of displacements after excavation can not be performed immediately. In the present study,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s which can be measured immediately after excavation are used to predict the crown settlements occurring before excavation only if fault is located at the tunnel crown.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8 numerical models with various fault attitude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s on tunnel face and preceding crown settlements. The results, L<sub>face</sub>/C ratio show 2~12% in the drives with dip models and 2~13% in the drives against dip models individually. In addition, each model has a certain L<sub>face</sub>/C ratio.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over 0.8 in most models. Therefore, crown settlements occurring before excavation can be predicted by analyzing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s occurring on tunnel faces.

      • KCI등재

        터널 굴진면 수평변위와 천단변위를 이용한 단층대 예측방법의 비교ㆍ분석

        윤현석 ( Hyun-seok Yun ),서용석 ( Yong-seok Seo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3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획득한 터널 굴진면에서의 수평변위와 천단부에서의 변위 특성을 이용하여 굴진면 전방의 단층대 예측 가능 거리를 비교·분석하였다. 굴진면의 수평변위는 천단부에서 가장 근접한 지점의 변위를 이용하였으며, 천단부의 변위특성을 이용한 단층대 예측방법은 천단침하의 경향선과, L/C (천단부의 축방향 변위/천단침하) 비, C/C<sub>0</sub> (천단침하/평균 천단침하) 비를 이용하였다. 단층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경사가 서로 다른 총 28개의 단층 모델을 분석한 결과, 순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터널은 L/C 비와 C/C<sub>0</sub> 비를 이용한 방법에서 가장 빨리 단층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방향 경사를 가지는 터널은 L/C 비와 수평변위를 이용한 방법이 굴진면 전방의 단층을 빨리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굴진면 전방의 단층대를 예측하기 위해 이용된 수평변위와 천단침하의 경향선, L/C 비, C/C<sub>0</sub> 비는 대부분의 단층 모델에서 예측이 가능하였고, 굴진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와 시간이 경과된 후에 변위 측정이 가능한 일상계측의 단점을 고려할때 굴착과 동시에 계측을 수행할 수 있는 수평변위를 이용하는 방법이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edictable distances of a fault zone by using longitudinal displacement on tunnel face, trend line, L/C ratio, and C/C<sub>0</sub> ratio at tunnel crown. The analysis used 28 numerical models with various fault attitudes. As a result, those faults that have drives with dip could be predicted earliest in L/C and C/C<sub>0</sub> ratio analysis. And those faults that have drives against dip could be predicted earliest in L/C ratio and longitudinal displacement anal-ysis. In addition, the fault zone ahead of tunnel was predicted in most models by using longitudinal displacement, trend line, L/C ratio, and C/C<sub>0</sub> ratio. However,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among these methods may be most usefully predict a fault zone since it is displacements can be measured immediately after tunnel excavation.

      • KCI등재

        논문 : 경사계를 이용한 대구 서부지역 반야월층 굴착 지반의 변위 분석

        임명혁 ( Myeong Hyeok Ihm ) 대한지질공학회 2013 지질공학 Vol.23 No.1

        대구 지하철 굴착공사 중 노출된 굴착벽의 수평변위분석을 위해 서로 인접한 3개소의 경사계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굴착지반의 변위특성 및 원인을 지질공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은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반야월층 지반에 해당하며 안산암질화산암, 석회질셰일, 사암, 호온펠스, 규장암맥 등으로 구성된 하부의 암반층과 이를 부정합으로 피복하고 있는 상부의 토사층으로 구성된다. 경사계 계측공 중 D4 지반의 암반층은 RMR V 등급이며, 층리면과 단층면을 따라 심도 12 m 지점에서 N34W 방향으로 최대수평변위량이 101.39 mm로 분석 되었고, D5 지반의 암반층은 RMR IV 등급이며, 셰일의 층리면, 셰일과 규장암의 접촉면을 따라 심도 9 m와 14 m에서 거의 남쪽 방향으로 최대수평변위량이 53.01 mm ~ 55.17 mm로 측정 되었다. Y6 지반의 암반층은 RMR III 등급이며, 상부 토사층과 하부 암반층의 경계면인 부정합면을 따라 심도 7 m 지점에서 S52W 방향으로 12.65 mm의 최대수평변위량을 나타낸다. 굴착벽에서 측정한 암반 내 불연속면들을 평사투영하여 예상되는 변위방향과 각 경사계 계측분석 결과 얻어진 수평변위방향이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굴착벽의 지중수평변위는 암반 내 불연속면의 발달정도와 종류, 배향 및 암석의 종류에 좌우되며, 굴착벽에 수직방향과 수평평행방향의 벡터 합성 방향으로 많이 발생한다. 또한 토사층 내 지중수평변위의 양상이 심도에 따라 비교적 곡선이며 연속적 궤적을 보이는데 반해 암반층 내 지중수평변위의 양상은 직선적이고 불규칙적 궤적을 나타낸다. To analyze lateral displacement of excavation walls expos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Subway Line 1 in the Daegu region, inclinometer measurement data for sites D4, D5, and Y6 are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engineering geology. The study area, in the Banyawol Formation, Hayang Group, Gyeongsang Supergroup, is in the lower part of bedrock of andesitic volcanics, calcareous shale, sandstone, hornfels, and felsite dykes that are unconformably overlain by soil. The rock mass around the D4 site is classified as RMR-V grade and the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of 101.39 mm, toward N34W, was measured at a bedding-parallel fault, at a depth of 12 m. The rock mass around the D5 site is classified as RMR-IV grade and the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of 55.17 mm, toward the south, was measured at a lithologic contact between shale and felsite, at a depth of 14 m. The rock mass around the Y6 site is classified as RMR-III grade and the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of 12.65 mm, toward S52W, was measured at an unconformity between the soil and underlying bedrocks, at a depth of 7 m. The directions of lateral displacement in the excavation walls are vector sums of th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cavation wall and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excavation wall. Lateral displacement graphs according to depth in the soil profile show curvilinear trajectories, whereas those in bedrock show straight and rapid-displacement trajectories.

      • KCI등재

        붕괴 사례를 통한 앵커지지 가설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속도에 의한 안전관리 연구

        정대석,이용범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도심지 굴착시 흔히 마주치는 암반을 포함한 다층토 지반에서 앵 커지지 흙막이 구조물의 합리적인 안전관리방법에 대해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흙막이 굴착공사의 붕괴사례 현장으로부터 수집한 현장 계측자료를 바탕으로 깊 은 굴착시 앵커지지 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속도 관점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안전관리방법에 대해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붕괴구간의 흙막이벽체 평균 최대수평변위속도는 굴토완료 이후에 뚜렷하게 증 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암반 불연속면을 따라 발생하는 슬라이딩에 의한 흙막이 구조 물 붕괴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상당히 큰 변위속도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굴착공사중 흙막이 구조물 붕괴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 해 국내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어온 수평변위에 의한 정량적인 관리기준보다는 수평 변위속도에 의한 안전관리기준의 활용은 흙막이 굴착공사의 안전성을 판단하는데 훨씬 합 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asonable safety management of the anchored in-situ wall systems constructed in the ground conditions consisting of multi-layered soils underlain by bedrocks in the urban area of Korea. Method: Field measurements collected from collapse case histories with deep excavations were analyzed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wall systems supported by the earth anchors in terms of lateral displacement rates. Results: The average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rate in a collapsed zone of the in-situ wall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completion of the excavation. Particularly, the collapse of the in-situ wall system due to the sliding occurring along the discontinuities of the rock produced a considerably large lateral displacement rate over a relatively short period. Conclusion: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wall system during or after the excavation work, the utiliz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criteria of the in-situ wall system by the lateral displacement rate was found to be much more reasonable in judging the safety of earthworks than the application of the quantitative management criteria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in the excavation sites.

      • 단일말뚝의 근입깊이에 따른 수평거동 특성

        김명환 ( Myeonghwan Kim ),김정철 ( Jungchul Kim ),박오현 ( Ohhyun Park ),송창섭 ( Changseob So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지반위로 돌출된 말뚝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평변위에 지배적이므로 말뚝기초의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들 중 말뚝과 현장지반의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산정된 β와 말뚝직경 D에 대한 근입깊이를 달리하여 수평거동 특성을 실내모형시험으로 실시하였다. 단일말뚝의 근입깊이는 1/β, 2/β, 3/β, 5/β의 조건과 1D, 2D, 3D, 5D로 변화시켜가면서 20㎜ 이동시 발생하는 휨모멘트, 변위를 측정하였다. 모형시험에 사용된 말뚝의 β=5.615, 직경은 31.8㎜, 두께는 1.7㎜의 아연도금강관을 사용하였으며, 탄성계수는 5.15E10+04 kg/㎠, 길이 1m로 제단하여 사용하였다. 단일말뚝의 변형률은 측정을 위해서 스트레인게 이지를 단일말뚝 근입깊이별 중앙부에 설치하였으며, 지표면 상부에서 말뚝 두부사이의 자유장에서는 근입깊이와 동일한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단일말뚝의 두부와 자유장 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계측센서의 위치별 계측결과, β의 비율로 근입깊이를 설정한 경우 휨모멘트(kN·㎝는) 1/β=1.55, 2/β=0.42, 3/β=1.14, 5/β=0.36으로 1/β에서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수평변위(㎜)는 1/β=0.037, 2/β=0.029, 3/β=0.023, 5/β=0.022로 측정되었다. 직경 D의 비율로 근입깊이를 설정한 경우 휨모멘트(kN·㎝는) 1D=13.48, 2D=24.46, 3D=11.89, 5D=11.01으로 2D에서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수평변위(㎜)는 1D=0.016, 2D=0.012, 3D=0.008, 5D=0.008로 측정되었다. 휨모멘트는 근입깊이를 β의 경우보다 D의 경우에서 100%이상 더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평변위의 경우 50%이상 더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지반면 위에 돌출된 단일말뚝의 수평력이 작용하는 경우 β와 D를 이용한 최소 근입깊이는 3/β이상에서 휨모멘트 감소와 수평변위가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D부터 휨모멘트 감소와 수평변위가 수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층지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수평 지지거동분석

        장서용,정재훈,김종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말뚝의 하중-수평변위 거동에 대한 해석 방법 중에서 지반공학적인 측면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하중전이함수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층지반에 관입되어 사질토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실물 수평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계측결과를 분석하였고, 계측데이타의 분석을 통해 현장에 적용가능한 하중-변위 을 제안하였다. 현장재하시험결과와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LPILE”에 의한 기존에 제안된 하중전이함수식의 조합에 의한 해석결과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측데이타의 분석에 의해 하중-변위곡선을 여러 함수식으로 표현해본 결과, 지수형 모델인 (여기서 : 변위(mm), : 하중(ton))가 가장 간단하고 적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고, 값은 대체로 1.3에, b값은 0.02에 근접한 경향을 보인다. 현장실측결과와 ‘LPILE’에 의한 하중전이함수식의 조합에 의한 해석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수평하중이 작을 때에는 계산된 변위와 실측 변위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이다가 수평하중이 커짐에 따라 계산된 변위가 실측 변위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하중전이함수의 조합인 Matlock-Reese의 방법과 Matlock-API 방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해보면 Matlock-Reese의 방법이 수평변위가 상대적으로 크게 산정되었다. In this research, load-transfer-function method was selected, because that is widely used in geotechnical engineering among the analysis methods to verify the behavior of load-lateral displacement. Lateral loading test of field scale was conducted, this measured data was analyzed. From the analysis, the model of load-lateral displacement was suggested. The test results were studied and compared to the commercial programs, ‘LPILE’, which contain the load transfer functions proposed before. By analysis of measure data of load-lateral displacement that expressed to several functions, model was the simplest and applicable to the field. In that case a value converged about 1.3, b value had a tendency to converge about 0.02. From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measured data and load transfer function by ‘LPILE’, it is examined that if the lateral load is small, calculated displacements of them show a similar value compared to measured values. Furthermore, the bigger lateral loads, the bigger calculated values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If the results are compared by Matlock-Reese method and Matlock-API method, Matlock-Reese method shows result of safe side because lateral displacement is calculated greatly relatively.

      • KCI등재

        터널 굴진면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에 따른 단층 자세 분석

        윤현석 ( Hyun-seok Yun ),서용석 ( Yong-seok Seo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단층이 출현하기 직전의 굴진면에서 발생한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의 출현 위치를 예측하였다. 해석에는 총 28개의 단층 자세 모델이 이용되었다. 순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터널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굴진면의 상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최대 수평변위가 굴진면 중앙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역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굴진면의 하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굴착에 따라 굴진면의 중앙부 또는 중앙상부에서 하부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방향은 순경사 모델의 경우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상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며, 역경사 모델은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하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최대 수평변위는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를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굴착에 따른 굴진면의 수평변위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굴진면 전방에 분포하는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study, fault attitudes and the locations of appearance of faults in tunnel faces were predicted by analyzing the trajectory of the maximum longitudinal displacement immediately before the appearance of faults throug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 total of 28 fault attitude model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ose faults that have drives with dip appear first in the upper part of tunnel faces as tunnel excavation progresses and their maximum longitudinal displacement shows a tendency to move from the middle part to the upper part of tunnel faces. Those faults that have drives against dip appear first in the lower part of tunnel faces as tunnel excavation progresses and their maximum longitudinal displacement shows a tendency to move from the middle part or middl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unnel faces. In addition, when the dip of faults is larger the maximum longitudinal displacement moves from the left upper part toward the wall part in the case of drive with dip models and from the left lower part toward the wall part in the case of drives against dip models. Therefore, it was indicated that the attitudes of faults distributed ahead of tunnel faces and the locations where faults appear in tunnel faces can be predicted by analyzing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trajectory of tunnel faces following excavation.

      • KCI등재

        말뚝 결합 블록식 안벽의 수평변위 억제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권순구(Soon-Goo Kwon),이원효(Won-Hyo Lee),김태형(Tae-Hyung Ki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5 No.6

        말뚝이 결합된 블록식 안벽의 말뚝 근입깊이의 영향에 따른 거동파악을 하기 위해 잔류수위차 크기와 상치 콘크리트 유무 조건에 대하여 2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말뚝의 근입에 따라 안벽의 수평변위의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말뚝이 사석층까지 근입된 경우에서 수평변위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말뚝이 근입되지 않은 조건에서는 잔류수위차가 증가함에 따라 안벽의 수평변위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말뚝이 지반에 근입된 경우 잔류수위차가 증가하더라도 안벽의 수평변위에 대한 제어가 크게 발휘되었다. 상치콘크리트 유·무에 따른 블록식 안벽의 수평변위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의 근입 깊이가 사석층까지 근입된 경우 조건에서는 말뚝이 짧은 말뚝에서 보이는 회전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의 근입깊이가 더 깊어짐에 따라 중간 말뚝의 거동과 같은 휨거동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되어 말뚝이 결합된 블록식 안벽에서 말뚝이 수평변위 억제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 two-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epth of pile embedment, the magnitude of the residual water level, and the condi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p concrete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block-type quay wall with piles. The results showed the control effect of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quay wall depending on the embedment of the pile. When the piles were not embedded,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quay wall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residual water level difference increased. In contrast, when the piles were embedded into the ground, the control of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quay wall was greatly exerted even if the residual water level difference increas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block-type quay wall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p concrete. Under the condition where the piles were embedded down to the rubble mound layer, the piles exhibited the rotational behavior seen in the short piles. As the embedment depth of the piles increased, the piles showed the same bending behavior as the intermediate piles. Thus, the pile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control of lateral displacement in the block-type quay wall with piles.

      • KCI등재

        해성퇴적층 지반의 가시설토류벽 수평변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영훈(Kim Younghun),김찬기(Kim Chanki),최성열(Choi Sungyeol),천병식(Chun Byungsi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11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OO지역에서 IPS 지지방식과 Strut 지지방식으로 시공한 현장의 계측에 의한 수평변위량을 수치 해석상의 예측치와 비교하고, 실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탄소성보법 해석 프로그램(SUNEX, EXCAV)을 이용하여 해석치를 상호 비교분석 하였다. 또 최대수평변위에 대한 여러 제안값 중 점토지반에 적용한 제안값과 비교한 결과, IPS 지지 방식과 Strut지지방식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는 IPS지보형식이 Strut지보형식보다 더 크게 발생하였으며, SUNEX 프로그램 해석치와 EXCAV 프로그램 해석치를 상대 비교했을 때 SUNEX 프로그램이 더 크게 해석되었지만, 점토층에서의 기존 제안값인 0.5%H 에는 더 근접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는 SUNEX 프로그램이 해석 시 지보형식이나 사용하는 부재 보다는 토질 정수 중 내부마찰각(Φ)에 의해 수평변위 값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즉 내부 마찰각이 큰 사질토 지반에서는 수평변위값이 작게 발생하고, 내부 마찰각이 작은 점성토 지반에서는 수평변위가 크게 해석되어 상호 비교 시 사질토 지반에서는 EXCAV가 크게 나타나고 점성토 지반에서 SUNEX 가 크게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또한, 기존 제안 값 중 점성토에 적용한 0.5%H와 비교 시 현장계측치는 평균 141%, SUNEX로 예측한 결과치는 평균 78.1%, EXCAV로 예측한 결과치는 평균 18.1% 범주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흙막이 가시설 설계 시 사용하고 있는 해석 프로그램으로 산정한 수평변위량이 실제 현장에서 계측한 변위량을 과소 예측하므로 지반거동을 모사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추후 보다 정밀한 유한요소해석 등을 통하여 실제 거동의 예측 가능성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value of numerical analysis was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 of horizontal displacement during construction. And also, the value was reviewed by comparing with numbers calculated by SUNEX program and EXCAV program. When comparing to suggested values of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in clayey layer, the displacement caused by the IPS system is larger than one by the Strut girder type system. When comparing the result of SUNEX program to that of EXCAV program, the SUNEX program interprets larger value. It could be concluded the result of SUNEX program is closer to the suggested value, 0.5%H, in clayey layer.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internal friction angle(Φ) is the key factor of developing horizontal displacement rather than type of supporting systems or materials. That means small horizontal displacement occurs in sandy layer having large value of the internal friction angle, whereas vice versa in clayey layer having small value of the internal friction angle. Therefore, the result of EXCAV program is larger in sandy layer and vice versa in clayey layer. When comparing the measured result during construction to the value of 0.5%H , the measured result is 1.4 times greater than the value of 0.5%H. In contrast, the result of SUNEX program is only 78.1% of the value of 0.5%H and the one of EXCAV program is just 18.1% of that. This result shows the calculated value by SUNEX or EXCAV program is smaller than the observed value by measuring during construction. In result, more careful attention is needed to determine the behavior of the ground. To better analyze the behavior of the ground, more precise finite element method is required.

      • 붕괴 사례를 통한 앵커지지 가설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속도에 의한 안전관리 연구

        정대석,이용범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국내 도심지 암반을 포함한 다층토 지반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합리적인 안전관리를 위해 흙막 이 굴착공사의 붕괴사례 현장에서 수집한 현장계측자료를 바탕으로 깊은 굴착시 앵커지지 흙막 이벽체의 수평변위속도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흙막이벽체 최대수평변위와 굴토깊이의 상호 관계 를 이용하여 절대치관리기법만으로 흙막이 구조물의 안전성을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괴구간의 흙막이벽체 평균 최대수평변위속도는 굴토완료 이후에 뚜렷하게 증가하는 추세을 보였다. 특히, 암반 불연속면을 따라 발생하는 슬라이딩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 붕괴는 비 교적 짧은 시간에 상당히 큰 변위속도를 나타냈다. 굴착공사중 흙막이 구조물 붕괴 사고를 사전 에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 국내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어온 수평변위에 의한 정량적인 관 리기준보다는 수평변위속도에 의한 안전관리기준의 활용은 흙막이 굴착공사의 안전성을 판단하 는데 훨씬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