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련과 서방의 기술-경제 교류, 1965~1970 : 소련 경공업부 산하 기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동혁(Kim, Donghyu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8

        본고는 1965년부터 1970년까지 소련 경공업부 산하 기관들의 대서방 기술-경제적 교류의 예를 통해서 냉전기 소련과 서방 자본주의 국가들 사이의 관계를 재고찰하기 위한 작업이다. 냉전 초기 급격하게 경색되었던 소련과 서방 국가들 사이의 관계는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 점차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 흐름을 잘 보여주는 예 중 하나가 당시 섬유, 직물 및 의류 산업 전반을 담당하는 소련 경공업부 산하 기관들의 대서방 기술-경제 교류이다. 소련 경공업부 및 그 산하 기관들에서 추진된 서방 기업 및 기관들과의 교류·협력 사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은 서방의 섬유, 직물 및 의류 제조업의 선진 제조 기술의 습득과 최신 장비의 소련으로의 도입 사업이었다. 소련 전문가들은 섬유 및 의류산업이 가장 발달했던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서유럽 국가들에 정기적으로 파견되었고 선진 제조 기술 운용을 시찰하는 것이나 최신 패션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정밀 기계나 제조 기계 등 기계·장비류 제조업 강국인 일본과 서독 등에도 많은 인원이 파견되었으며, 이들 국가들로부터 최신 장비의 도입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이 진행되었다. 이처럼 1960년대 중반 이후 소련 경공업부는 자체의 기술적 필요에 의해 서방 국가들과의 교류와 협력에 매우 적극적이었으며 영국,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등 서유럽 주요국들과 동아시아의 일본 등도 소련과의 기술-경제적 협력에 적극적으로 응했다. I tried to reexamin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western capitalist countries by examining the technological and economic exchanges with the West of the various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under the Ministry of Light Industry of the USSR from 1965 to 1970 in this articl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Western countries, which had been sharply strained at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began to change gradually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this trend was the technological-economic exchanges with the West by organizations and companies under the Soviet Ministry of Light Industry, which were managing the overall fiber, textile, and clothes industries at the time.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s with Western companies, many companies and institutions under the Ministry of Light Industry of the USSR attempted to acquire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introduce the up-to-date equipments in the textile and garment manufacturing fields of the West. Soviet experts were regularly sent to Western European countries such as England, France and Italy, where the textile and clothes industries were most developed, and aimed to observe the operation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to catch up on the latest fashion trends.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personnel were sent to Japan and West Germany, which are powerhouses in the manufacturing of machinery and equipment, and the latest equipments were introduced from these countries. As such, since the mid-1960s, the Ministry of Light Industry of the Soviet Union was very active in exchanges and cooper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due to its own technological needs, and major Western European countries such as Great Britain, France, West Germany, Italy, and Japan in East Asia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echnological-economic cooperations with the Soviet Union.

      • KCI등재

        소련의 대북한 군사원조와 중․소 군대의 참전 문제

        기광서(Kee, Kwang-Se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이 글은 한국전쟁 발발 전후의 단계적 국면에 따라 소련이 북한에 제공한 군사원조의 실상과 성격을 살펴보고, 동맹군대의 개입에 대한 북·소의 입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찍이 북한은 군사력 강화를 위해 소련의 원조를 통해 군수산업의 발전을 도모하여, 1948년 말부터 기관총과 각종 포탄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자체 생산만으로는 군사력의 유지와 강화에는 커다란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절대 다수의 군사장비는 소련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1949년 3월 북한대표단의 소련 방문을 통한 일련의 협정 체결 결과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현대적인 군사장비를 들여올 수 있게 되었다. 1950년까지 무력 충돌을 원치 않았던 소련은 북한측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켜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1950년부터 소련은 본격적인 군사 원조를 통해 인민군의 급격한 전력 향상에 절대적인 도움을 주었다. 소련의 군사원조는 차관과 교역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무상원조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전쟁 중에도 북한측은 군사장비의 도입을 위해 납과 금 등을 비롯한 자국의 자원물자를 소련에 공급해야 했다. 전쟁 발발 이후 미군의 참전은 북한지도부에게 점차 불안감을 가지게 하였고, 특히 미 공군의 공습은 이에 대응한 소련과 중국 등 동맹국 군대 참전에 기대를 갖도록 하였다. 김일성 지도부는 1950년 7월부터 소련 항공대를 비롯하여 동맹국 군대 참전을 간접적으로 타진하였으나 미국과의 충돌을 원치 않은 스탈린의 소극적 자세로 인해 성과를 얻지 못했다. 1950년 10월 중순과 11월 초 중국군대와 소련공군의 참전으로 북한은 패전에서 벗어났지만 북한 내부의 대소 불만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비록 소련이 각종 군사장비의 제공에는 인색하지 않았더라도 전쟁 초 북한측이 요구한 무력 지원의 거부는 북한 무력통일의 실패에 주요 요인이 됨으로써 전후 양국간 관계의 성격을 변화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positions of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to intervention of the allied forces by examining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s of military support provided to North Korea by USSR according to stepwise aspect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Earlier, North Korea planned to develop war industry through supports from Soviet Union for reinforcement of its military power and began to produce machine guns and bombs after late 1948. However, as there was a limit to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of military power only with its self-production, it had to rely on Russia's authorities for a number of military devices. March 1949, when an agreement was concluded between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delegates' visit to Moscow, North Korea could have modern military devices from USSR. Stalin who did not want to have armed clash until 1950s did not satisfy the demands of North Korea completely. However, since 1950s, Soviet Union provides absolute help for rapid growth of military power of North Korea through active military support. Moscow's support was maintained through credit and trade, and there was little free support. North Korea was forced to provide its resources such as lead and gold for Soviet Union to introduce military devices during the war. After the war, the American Forces joined the war which made North Korean leadership nervous and in particular, attack of American air forces anticipated joining of the allied forces of Soviet Union and China. Kim Il-sung leadership indirectly gauged the joining of the allied forces including Russian air forces in war, but it did not have any result because of negative attitudes of Stalin who did not want to have a clash with USA. In the middle of October 1950 and early November, North Korea barely escaped from being defeated because of Chinese and Russian air forces, but there was a considerable of internal complaints in North Korea. Although Soviet Union was not stingy in providing military devices, its refusal to support military forces demanded by North Korea in the beginning of the war was a key element of North Korea' failure of forced unification, which had a certain influence on changes in the characters in relationship between both countries.

      • 소련의 체제적 목표와 소련군행정청의 대소련점령지역(동독)‘교육개혁’(1945-1949)

        윤용선(Yun, Yong-Se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소련점령지역 시기(1945-1949)는 동독의 역사에서 훗날 동독 사회의 토대가 마련된 중요한 시기로 평가된다. 나치체제의 붕괴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체제를 모색하던 소련점령지역에서 최고통치기구 역할을 수행한 소련군행정청은 전면적인 사회개혁을 추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소련군행정청이 추진한 사회개혁은 사회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고 있었으며, 개혁에는 당연히 교육도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치들은 다른 분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훗날 동독 교육제도의 근간이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당시 이루어진 소위 ‘교육개혁’에 있어서 소련의 역할, 영향, 의도 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소련군행정청이 교육정책에 참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여기에서는 무엇보다도 소련군행정청이 개혁을 추진한 기구와 인력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과정과 양자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은 초기 ‘교육개혁’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소련 망명인사들로 구성된 소위 ‘울브리히트 그룹’과 소련군행정청의 긴밀한 협조 하에 이루어짐으로써 소련의 의도를 충실하게 반영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처럼 교육정책이 소련의 통제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점령지역에서 이루어진 초기 교육제도의 변화는 사회주의적 혹은 스탈린 주의적 색채를 드러내지 않았고 오히려 바이마르 시대의 자유주의를 연상시켰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독일의 사회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부르주아 계급의 지지를 의도했던 소련의 대독일 정책과 관련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련군행정청이 교육 분야에서 행한 최초의 정치적 개혁은 ‘탈나치화’ 작업이었다. 교사의 대량해고와 교과내용의 전면적인 개편의 형태로 나타난 ‘탈나치화’ 작업은 같은 시기 독일의 서부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작업은 어느 모로 보나 소련점령지역의 민주화의 일환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소련의 ‘위장 민주주의’는 동서냉전이 가시화되던 1947년경부터 점차 가면을 벗기 시작했으며, 그로 인해 교육 역시 소비에트화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다. 교과내용과 형식은 스탈린주의가 절정에 달했던 1930년대 소련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채워졌다. 아울러 학교에서는 이제 민주주의 보다 사회주의가 강조되었으며, 교육의 공간에서 제기되는 일체의 자유주의적 요구는 즉각적이고 엄격한 탄압을 받았다. In the history of the GDR, the period of the Soviet occupation era of Germany(1945-1949) is often considered as a time in which the bases of the future eastgerman society are founded. In the Soviet Occupation Zone(SBZ), sought after the breakdown of the national-socialistic dictatorship after a new social system, the Soviet Military Aministration in Deutschland(SMAD) as the top administration-organ drove an extensive reform, including the educational reform. The educational policies turned into the future educational-frameworks of the GDR like the political measures in other area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 effect and motivation of the Soviet educational reforms of the SMAD in the SBZ. In the essay, one treats as well as the process, with which SMAD interfered into the education policy, as also circumstances between the SMAD and the German institutions. The present work concludes that educational reform in the SBZ took place under the narrow cooperation of the so-called ‘Ulbricht-Group’ and the SMAD, represented the Soviet interest consistently. Although the education policy stood in the SBZ under the Soviet control, it did neither look like the beginning socialistic nor stalinistic, but it rather reminded of the democratically oriented educational system of the Weimar Republic. The reason for this misrepresentation lies, above all, in the Soviet politics toward Germany right after the World War Two. The first political reform-politics of the SMAD took place in the SBZ was the so-called ‘Denazification’. Since similar ‘Denazification’ proceeded also in the west-part of Germany by the western Alliance, both educational politics appeared in much sense as one of the democratic measures to the all members of the Alliance. But the ‘Scheindemokratie(pseudo-democracy)’ of the Soviet Union exposed itself from 1947 as the Cold War began. Education and schools turned out into the suction of the Sovietization. Contents and Forms of Education in the whole resulted from the Soviet experiences that the Russians had done in the 1930s as the Stalinism had reached its climax. Then, socialism was emphasized more than democracy at school, and, as a result, all demands for democracy immediately met brutal prosecutions.

      • KCI우수등재

        소련 경제의 자본주의 무역 체제로의 통합과 소련의 공적 부채 성격 변화

        김동혁 ( Kim¸ Donghyuk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51

        본 논문은 소련과 서방의 국제무역 증대와 소련의 공적 부채 메커니즘의 변화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것이 1980년대 중반 이후 소련 경제가 곤경을 겪은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임을 밝히고자 하는 작업이다. 냉전 초기 급격하게 축소되었던 소련과 서방 국가들 사이의 국제무역은 1950년대 중반 이후 재개되기 시작해서 1960년대를 거쳐 크게 성장했다. 이러한 양진영간 국제무역 성장은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 소련의 공급자로서의 지위를 상승시켰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 소련의 신뢰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었다. 한편 1950년대 후반 흐루쇼프 시대 소련은 전반적인 주민들의 생활수준 향상 요구와 첨단 기술 경쟁으로 인해 대규모의 자본이 투하되는 경제 프로그램들이 추진된 반면 1927년 이후 소련의 자본 조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대규모 국채 발행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의 대서방 무역의 증대와 국제금융시장에서의 높은 신용도는 소련의 자본 조달 메커니즘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주었고 여기에 적응한 소련 경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대외적 충격에 상당히 큰 취약성을 갖게 되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how increase in USSR’s trade with the Western Bloc was closely intertwined with changes in public debt mechanism of Soviet Union and to indicate that this was also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Soviet economy suffered economic crisi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80s. Trade between Soviet Union and the Western Bloc fell steeply at the beginning of Cold War, yet it began to grow again in the mid-1950s and rose dramatically throughout the 1960s. Such a growth in international trade between the two Blocs brought about the USSR’s rise as the supplier in international raw material market, which eventually also led to boosting its credit rate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Meanwhile in the late 1950s, Soviet Union during the Khrushchev administration faced demands for a raise in its citizens’ overall living standards while implementing economic programs requiring mass capital due to intense competition in cutting-edge technology (with its opponents worldwide), yet after 1927 the Soviet government had no choice but to discontinue issuance of government bonds, which were extremely important for replenishing the Soviet state treasury with capital. Soviet Union benefited from increase in trade with the Western Bloc and its high credit rate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yet as if a curse in disguise, as it became attuned to such favorable conditions its economy also became extremely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after the mid-1980s. (GIST / hdonghak@gmail.com)

      • KCI등재

        휴전후 북한주재 소련대사의 활동

        이주철(Lee, Ju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60 No.-

        6.25전쟁 휴전에서 1956년 ‘8월 종파사건’에 이르는 시점은 북한권력 역사상 최대의 정치적 변동을 겪었던 시기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북한체제에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소련의 역할을 주목하고, 이 역할을 북한 현지에서 수행한 소련대사들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1953년 4월부터 1956년 6월까지 소련대사는 김일성을 비교적 자주 만나 면담을 하는 유일한 외국 대사였으며, 소련공민 출신 인사와의 면담을 통해 북한 내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북한지도부와 정책을 조율하는 것이 소련대사의 주요 활동이었다. 휴전 이후 소련의 경제원조는 북한의 경제 복구에 절대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대사는 구체적인 경제문제에 개입하며 북한지도부에도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김일성정권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소련을 존중하는 정책을 결정하였지만, 그들이 목표하는 경제정책을 관철하였다. 소련대사는 크고 작은 국제적 외교문제와 남북관계에 관련된 정책에 대한 소련의 입장을 전달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김일성정권은 소련의 입장을 수용하였지만, 흐루시초프의 등장이후 소련의 국제관계에 대한 노선 변화는 김일성정권과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고, 김일성의 대외관계에 대한 자율성을 자극하였다. 허가이의 자살문제나 박헌영 재판문제가 제기된 시점에 소련대사는 북한 내정에 대해 정보 수집차원 이상의 활동을 하지 않았고, 김일성은 독자적인 권력을 행사하였다. 하지만 흐루시초프 등장이후 소련대사와 김일성과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소원한 관계가 되었고, 1956년 소련공산당 20차대회 전후에는 갈등이 내연되었다. 소련대사는 박헌형 처형문제에 대해 반대하고, 소련공산당 20차대회 결정이 북한에도 반영될 것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였는데, 이에 대해서도 김일성은 유연하게 대응하며 독자적 권력을 유지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Soviet Union, which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North Korean system back then, based on the activities of Soviet Union envoys in North Korea. From April 1953 to June 1956, Soviet Union envoys would meet with Kim Ilsung far more often than others, and one of the major missions of Soviet Union envoys was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the Leadership and internal affairs of North Korea through interviews with former Soviet Union citizens. After the truce, the economic support from Soviet Union was crucial for the economic restoration of North Korea. Soviet Union envoys intervened deep in specific economic affairs, but Kim Ilsung accomplished his plan. Soviet Union envoys delivered the position of the Soviet Union regarding international diplomatic affairs, small and great, and policies for South/North Korean relations, and North Korean leadership mostly followed their opinions in policies. Around the time when the issues of Heo Gai’s suicide and Park Heonyeong’s trial were raised, however, Soviet Union envoys did not actively intervene except for intelligence collection and exerted no direct influence to North Korea. As Khrushchev appeared, the relation between Soviet Union envoys and Kim Ilsung became somewhat alienated, and even they came in conflict after the 20th Community Party Convention of the Soviet Union. Soviet Union envoys presented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the execution of Park Heonhyeong and strongly required the decisions in the 20th Community Party Convention of the Soviet Union to be reflected in North Korea as well.

      • KCI등재후보

        해빙기 소련 영화의 미적 경향 : 시각적 스타일을 중심으로

        김이석 영상예술학회 2008 영상예술연구 Vol.0 No.13

        이 논문은 해빙기 소련 영화에 나타난 미학적 특성을 소개하고, 해 빙기 영화가 이후 소련 영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가 지고 있다. 1953년 스탈린의 죽음 이후, 소련 사회는 새로운 정치적 상황에 직 면하게 된다. 오랜 기간 전제정치 하에서 억압되었던 소련의 영화인 들은 소련 영화의 개혁을 시도하게 된다. 해빙기 소련 영화는 특히 역동적인 카메라워크와 독창적인 조형적 구성으로 대표되는 시각적 스타일에 의해 특징지을 수 있다. 미하일 칼라토조프와 그의 촬영감독 세르게이 우르세프스키는 이러한 새로 운 소련 영화의 경향을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1957년 칸느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그들의 영화 <학이 난다>는 새로운 소련 영화의 도착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해빙기 소련 영화인들은 우리의 일상적인 지각을 뒤흔드는 역동적 인 카메라 워크를 통해 새로운 사회에 대한 그들의 기대와 환희를 표 현하였다. 이 무렵 해빙기 소련 영화는 에이젠슈타인과 베르토프로 대표되는 초기 소련 영화의 활력을 거의 회복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경향은 보수주의 정치의 회귀와 더불어 쇠락 하게 되고, 소련 영화를 개혁하려던 해빙기 영화인들의 시도 또한 실 패로 돌아가고 만다. 해빙기 말기 소련 영화가 탐미주의적 성향으로 기울게 되면서 해빙기 영화 특유의 역동성도 사라지고 만다. 비록 역사적 존속 기간은 짧았지만, 해빙기 소련 영화는 영화적 표 현의 영역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타르코프스키와 파라자노프, 이오셀리아니와 같은 후속 세대의 영화에 영감을 불어 넣음으로써 침체된 소련 영화에 활력을 되찾아주었다는 점에서 영화 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전후 소련의 만주지역 철군문제와 미중소의 이해관계(1945-1946)

        정형아(Jung, Hyung-Ah)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61 No.-

        본고의 주제는 소련군의 만주 철병을 둘러싼 만주 상황의 변화와 중·미·소 삼국의 이해관계이다. 1945년 2월 얄타에서 미소 양국은 독일이 항복한 이후 소련군이 태평양전쟁에 참전하는 것으로 약속하였다. 그에 따라 1945년 8월 소련군은 중국의 동북지역으로 출병하여 3개월 이내에 철군하기로 약속하였다. 그러나 소련의 철군 약속은 원안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그 이유로는 첫째, 국민정부군의 만주진입이 늦어지면서 만주접수 공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고, 둘째, 중소경제합작 문제였다. 소련은 출병하자마자 이미 많은 만주지역의 적산을 전리품의 명목으로 반출하였으나 다시 철군을 완료하기 전에 중소경제합작을 달성하여 만주지역 산업에 대한 이익과 만주에 대한 영향력을 확고히 하려고 하였다. 반면 중국정부는 철군이 완료된 이후 소련군의 영향력이 더 이상 미치지 않은 상황에서 경제합작 논의를 시작하려고 하여 중소 양국은 갈등을 빚었다. 셋째, 미국에 대한 소련의 견제이다. 전후 초기 소련은 중국정부가 미국 함대를 이용하여 군대를 수송하는 문제를 반대함으로써 미국이 만주에 영향력을 미치게 될 것을 우려한 바 있다. 그 후 1946년 초반에는 소련군의 경제합작과 전리품에 대한 주장에 미국이 반대하자 미국이 만주문제에 개입하려는 것으로 보고 이를 견제하기 시작하였다. 넷째, 아직 중국정부군이 만주에 진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공군이 이미 만주에 존재한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중국정부는 소련군과 중공군이 결탁할 것을 우려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중공군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소련군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소련군의 철군지연을 요청할 수 밖에 없었다. 소련의 철군을 연기함으로써 중국정부는 자신들이 순조롭게 만주를 접수할 수 있기 바랐고, 소련은 철군을 연기한 기간 동안 경제합작을 달성할 수 있기 기대했다. 그러나 양자의 희망은 철군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볼 때 모두 실현되지 못했다. 이 후 중국정부가 만주를 접수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게 된 것은 소련군이 중국정부의 만주접수에 협조하지 않아서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고 소련군의 선택이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것이라고 할 수도 없다. 소련은 미국의 영향을 배제하고 애초에 기대한 만주지역에서의 이익을 보장받을 수 있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그러한 기대가 실현되기 어렵다고 판단되자 국민정부가 만주를 접수하도록 협조하지 않음으로써 그들에게 불만을 표출한 것이다. 중소관계에 있어서 국민정부가 어떠한 사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중공”이었고 소련에게는 그것이 “미국”이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전후 초기 만주의 상황변화는 소련의 철군지연과정에서 중국과 소련의 이해타산, 그리고 미국의 개입에 따라 연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4

        <P>해방 직후 소련은 조선의 ‘해방자’이자 ‘약탈자’라는 양면성을 함께 가지고 있었지만, 1946년 봄부터 소련에 대한 인식은 서서히 긍정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북조선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나 1947년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이후 소련문화에 대한 선전사업의 확대와 강화로 인해 소련은 ‘해방자’이며 ‘방조자’의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여기서 해방기 북조선의 과도한 소련에 대한 편향은 당대 북조선 지도부나 일반 지식인에겐 보편적인 현상이었는데, 북조선 지도부는 반파시즘적 연대 측면에서 조선과 소련의 친선 관계를 유지하는 것만이 북조선의 자주독립뿐만 아니라 민주건설을 보장하는 기본조건으로 간주했다. 그리고 조선대표단의 제1차 소련 방문의 표면적 목적은 소련을 배우는 것이었으나 잠재된 진정한 목적은 일본에서 갓 해방된 조선의 독립국가건설의 방향성을 찾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당대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란 합리성과 진보성에 기초한 소련을 발견하는 것이자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하는 작업이었다. 북조선의 소련에 대한 인식이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의 과정의 일환이었듯이, ‘조쏘친선’을 형상화한 여러 작품을 통해서 볼 때 북조선 문학의 잠재된 뿌리는 ‘소련’으로 말해지는 사회주의적인 것이라기보다 소련을 통해 발견된 ‘항일’이나 ‘혈연’과 같은 ‘피’로 표상되는 민족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작품군에서 ‘약탈’이나 ‘친일’과 같은 부끄러운 과거에 대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소거된 자리에 채워진 ‘혈연’이나 ‘항일’과 같은 민족적인 것으로는 북조선의 진정한 미래상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이는 한갓 허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겠는가.</P>

      • KCI등재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남원진(Nam Won-jin)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4

        해방 직후 소련은 조선의 ‘해방자’이자 ‘약탈자’라는 양면성을 함께 가지고 있었지만, 1946년 봄부터 소련에 대한 인식은 서서히 긍정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북조선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나 1947년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이후 소련문화에 대한 선전사업의 확대와 강화로 인해 소련은 ‘해방자’이며 ‘방조자’의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여기서 해방기 북조선의 과도한 소련에 대한 편향은 당대 북조선 지도부나 일반 지식인에겐 보편적인 현상이었는데, 북조선 지도부는 반파시즘적 연대 측면에서 조선과 소련의 친선 관계를 유지하는 것만이 북조선의 자주독립뿐만 아니라 민주건설을 보장하는 기본조건으로 간주했다. 그리고 조선대표단의 제1차 소련 방문의 표면적 목적은 소련을 배우는 것이었으나 잠재된 진정한 목적은 일본에서 갓 해방된 조선의 독립국가건설의 방향성을 찾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당대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란 합리성과 진보성에 기초한 소련을 발견하는 것이자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하는 작업이었다. 북조선의 소련에 대한 인식이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의 과정의 일환이었듯이, ‘조쏘친선’을 형상화한 여러 작품을 통해서 볼 때 북조선 문학의 잠재된 뿌리는 ‘소련’으로 말해지는 사회주의적인 것이라기보다 소련을 통해 발견된 ‘항일’이나 ‘혈연’과 같은 ‘피’로 표상되는 민족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작품군에서 ‘약탈’이나 ‘친일’과 같은 부끄러운 과거에 대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소거된 자리에 채워진 ‘혈연’이나 ‘항일’과 같은 민족적인 것으로는 북조선의 진정한 미래상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이는 한갓 허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겠는가. Soon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e Soviet Union had the both sides of ‘a liberator’ and ‘looter’ of Josun. However, an awareness of the country began to change gradually positively from the spring of 1946. Propagating its culture broadly and strongly caused it to establish itself as the image of ‘a liberator’ and ‘supporter’ after a visit to the country by the intellectuals from North Josun or rupture of US-USSR Joint Commission in 1947. Here, an excessive tendency toward the country by North Josun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was a universal phenomenon among its leaders or general intellectuals at that time. The leaders regarded only maintaining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Josun and the country from the viewpoint of antifascist solidarity as a basic condition for guaranteeing not only North Josun’s independence but its democratic construction. And the superficial purpose of the first visit to the country by the Josun delegation was to learn the country, but its potential true purpose was to investigate in what direction an independent country would be constructed in Josun which had recently been liberated from Japan. In other words, a visit to the country by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was to discover the country based on rationality and progressiveness and to apply it to Josun and internalize it. The internalization can be confirmed also in a group of works dealing with ‘the amity between Josun and the Soviet Union’. Superficially, such works seemed to reflect something socialist by showing the friendship between Josun and Soviet people. But implicitly they reflected something nationalist which was represented as ‘blood relationship’ by formalizing the friendship as a frame of blood ties. ‘Only’ from such a viewpoint, the literature of North Josun was based on something nationalist represented as ‘blood’ rather than something socialist represented as ‘the Soviet Union’.

      • KCI등재

        1950년대 소련 영향력의 증감과 북한 노동자의 대응

        이세영(Lee, Se-Yo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3 No.-

        본 연구는 1950년대 북한과 소련과의 관계 변화가 북한의 기층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북한의 인민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76098165 50년대 전반 북한은 소련 등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원조를 통해 빠른 전후복구와 산업화를 추구하였다. 그렇기에 소련을 따라 배우기가 가장 강조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1950년대 중반 소련의 간섭에 반발하며 북한 정권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시도하였다. 소련 또한 북한에 대한 원조를 대폭 축소하며 북한을 압박하였다. 그 결과 북한은 소련의 도움 없이도 운영될 수 있는 ‘자립경제’를 추구하였다. 이런 일련의 변화는 생산현장의 노동자들이 가장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전후복구 시기에 소련으로부터 거액의 원조를 받았으며, 그 대부분이 산업 분야에 각종 기계, 설비, 공장, 기술과 작업 방법 등의 형태로 도입되었다. 따라서 노동자들은 새로운 기계와 기술, 작업 방법을 익히고 적응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북한 노동자들은 소련의 기계를 사용하는 데서 생기는 문제들을 주체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했다. 쉽게 적응해 나간 노동자들도 있었지만, 기존에 익숙한 기계나 작업 방법을 고수하는 노동자들도 나오는 등 소련제 도입에 대한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소련의 원조가 급감하는 가운데 강행된 중공업 중심의 제1차 5개년계획은 노동자들의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을 요구하였다. 원조 급감은 곧 외화 부족을 의미하였기에 노동자들은 전방위적으로 물자를 절약해야 하였다. 특히 수입에 의존했던 석탄·휘발유 등 연료를 절약하기 위한 노력이 크게 경주되었다. 노동자들은 북한에서 생산 가능한 무연탄을 사용하여 수입 석탄을 대체하여야 하였으며, 휘발유 사용을 줄이기 위해 대체 연료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만들어냈다. 또한 수입에 의존하였던 각종 기계·설비의 국산화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계 공업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이 시기 노동자들은 자체의 기술과 노력만으로 자동차, 트랙터 등의 생산에 성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change in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1950s had an effect on the North Korean basement society, and how the North Korean people responded to it. In the early 1950s, North Korea pursued rapid post-war restor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aid of socialist countries such as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was also a period when learning the Soviet Union was most emphasized. However, in response to Soviet intervention in the mid-1950s, the North Korean regime tried to escape from Soviet influence. The Soviet Union also pressed North Korea by drastically reducing aid to North Korea. As a result, North Korea pursued an “independent economy” that could operate without the help of the Soviet Union. This series of changes was most realized by the workers in the production site. During the post-war restoration period, large amounts of aid were received from the Soviet Union, and most of them were introduced into the industrial field in the form of various machines, facilities, factories, technologies and work methods. Therefore, workers had to learn and adapt to new machines, technologies and working methods. In the process, North Korean workers had to resolve problems arising from the use of Soviet machinery. There were workers who had adapted easily, but there were also workers who adhered to the machines and working methods that were familiar to the past. Amid a sharp decline in Soviet aid, the first five-year plan focused on heavy industry demanded active and dedicated efforts from workers. A sharp drop in aid meant a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so workers had to save supplies in all directions. In particular, efforts to conserve fuel such as coal and gasoline, which were dependent on imports, were made great efforts. Workers had to use anthracite that could be produced in North Korea to replace imported coal, and to reduce the use of gasoline, they created cars that run on alternative fuels. In addition, the localization of various machinery and equipment, which depended on imports, also proceeded in earnest. Thanks to the growth of the machinery industry, workers in this period succeeded in producing automobiles and tractors with only their own skills and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