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

        최은령 ( Eun Ryung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8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불상의 복장에서 조성(1658년) 및 중수(1693년) 발원문이 출토되어,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조선시대 17세기 후반경의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후기 17세기 불상과 양식적 공통점을 찾기 어렵고 조성당시 조각승의 수장이었던 희장(熙藏)의 다른 작품과도 유사성을 찾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도상특징과 제작기법을 살펴보고 불상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밝히고 발원문에 기재된 조각승의 작품을 비교 검토하여 불상과 발원문의 상관관계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선암사 불상은 고려후기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조선전기 15세기 불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종의 발원문은 원문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부산 선암사에서 아미타불상을 조성하고 중수하면서 작성되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아미타불상은 1658년에 가덕진의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盧즙) 노즙(盧즙)을 위시하여 총 89명의 시주로 조성되었으며, 당시 조각승으로 활약했던 희장을 중심으로 6명이 참여하였다. 이후 1693년 중수에서는 총25명의 시주와 조각승 2인이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선암사 불상과 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은 동일한 제작시기의 것이 아니며, 발원문은 지금의 불상이 아닌 1658년에 부산 선암사에 봉안되었던 아미타불상의 복장발원문인 것을 알 수 있다.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의 연구는 조선시대 15세기에 조성된 불상작품과 복장에서 출토된 17세기의 발원문을 통해서, 조각사·문헌사·인물사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조각승 희장과 관련해서 현존작품 이외에도 1658년에 부산 선암사 아미타여래상을 조성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현재 부산지역의 조선시대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불상으로, 불상의 계보와 선암사에 봉안된 연유에 관해서는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A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of Sunamsa temple has been enshrined as a central buddha of the main building at Sunamsa temple and have been discoverd that it was made in 1658 and reconstructed in 1593, assuming that it was created around the late of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votive documents(發願文). On this thesis, I want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ntents in detail and discuss upon it relationship with the statue itself and votive documents and need to confirm the date it was constructed. As a result, it was reflected this work was influenced by the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descent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with its expressions, clothes, wrinkles as well as its brush techniques. Furthermore, these two votive documents was concluded that Amitabha Buddha was constructed at Busan Sunamsa temple. In other words, Amitabha Buddha was made in 1658 with the donation of 89 people along with No Jeop(盧즙), Navy General(水軍僉節制使) of Busan Gadeokjin(加德鎭) and the reconstruction in 1693 was with the donation of 25 people including 2 sclptures. In the conclusion, votive documents was not of current Busan Sunamsa temple and it was originally from Amitabha Buddha which had been placed at Sunamsa temple. The research of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in Sunamsa temple and votive documents was to introduce the new styles of buddhist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type of votive documents in the 17th century as well as the sclptures` names which could be the key note for the study on the sculptures and various areas. In particular, although any works have not been found by Hee Jang(熙藏), the main sclpture of Busan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so far, new data has been discovered which is votive documents of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This figure of Sunamsa temple is the oldest wooden buddhist sculpture in Busa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enshrined reasons would be considered afterwards.

      • KCI등재

        17세기 순천 선암사의 중창과 수행 전통 성립

        손성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2

        이 논문에서는 17세기 순천 선암사의 중창과 수행 전통 성립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선암사의 중창과 수행 전통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면서, 조선 후기 청허 휴정과 부휴 선수 문도 중심의 불교계 재편 과정, 사찰의 역사 현창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16, 17세기는 기존 불교계가 재편되고 새로운 수행 전통이 정립된 시기였다. 정통성 인식인 임제·태고 법통, 강학체계인 이력, 수행체계인 삼문 수행 등을 특징으로 하는 수행 전통은, 16세기에 성립하기 시작하여 임진왜란 이후 17세기에 청허계, 부휴계 문 도를 중심으로 불교계에 확산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선암사는 전란 직후부터 중창 되기 시작했으며, 17세기 후반에 대대적으로 중창되어 대찰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중창을 일단락한 후, 침굉 현변의 전법 제자인 호암 약휴, 계음 호연 등이 주도하여 1704년 「선암사사적」을 찬술하고, 1707년 「선암사중수비」를 건립하였는데, 이는 선암사의 유 구한 역사, 임진왜란 이후의 대규모 중창을 현창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울러 이는 17세 기 후반 현변이 선암사에 주석하면서 수행 기풍을 일신한 사실을 현창하기 위함이기도 하였는데, 실제로 현변은 선암사의 구습을 일신하고 이력 강학, 간화선 수행 등을 통해 승도를 지도하고 교화하였다. 이처럼 순천 선암사는 17세기 후반 청허계 문도인 현변에 의해 수행 전통이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선암사사적」의 찬술과 「선암사중수비」 의 건립은 이를 현창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The 16th and 17th centuries were a time when the existing Buddhist community was reorganized and a new tradition of Buddhist practice was established, centered on disciples of the Cheongheo Hyujeong and Buhyu Seonsu. The Seonamsa Temple in Suncheon was rebuilt in the 17th century after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eonamsa Temple was constructed extensively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became a large temple. Soon after that, Seonamsa-sajeok was written and Seonamsa-jungsubi was established. Hoam Yakhyu and Gyeeum Hoyeon spread the long history of Seonamsa Temple and the reconstruction of Seonam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through Seonamsa-sajeok and Seonamsa-jungsubi. They also promoted the work of their teacher, Chimgoeng Hyeonbyeon, who renewed the Buddhist practice of Seonamsa Temple. In fact, Hyeonbyeon changed the traditional customs of Seonamsa Temple and guided Buddhist book learning and Zen practice. Thus, the tradition of Buddhist practice in Seonamsa Temple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7th century by Hyeonbyeon, a disciple of the Cheongheo line.

      • KCI등재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

        최은령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8

        A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of Sunamsa temple has been enshrined as a central buddha of the main building at Sunamsa temple and have been discoverd that it was made in 1658 and reconstructed in 1593, assuming that it was created around the late of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votive documents(發願文). On this thesis, I want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ntents in detail and discuss upon it relationship with the statue itself and votive documents and need to confirm the date it was constructed. As a result, it was reflected this work was influenced by the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descent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with its expressions, clothes, wrinkles as well as its brush techniques. Furthermore, these two votive documents was concluded that Amitabha Buddha was constructed at Busan Sunamsa temple. In other words, Amitabha Buddha was made in 1658 with the donation of 89 people along with No Jeop(盧濈), Navy General(水軍僉節制使) of Busan Gadeokjin(加德鎭) and the reconstruction in 1693 was with the donation of 25 people including 2 sclptures. In the conclusion, votive documents was not of current Busan Sunamsa temple and it was originally from Amitabha Buddha which had been placed at Sunamsa temple. The research of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in Sunamsa temple and votive documents was to introduce the new styles of buddhist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type of votive documents in the 17th century as well as the sclptures' names which could be the key note for the study on the sculptures and various areas. In particular, although any works have not been found by Hee Jang(熙藏), the main sclpture of Busan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so far, new data has been discovered which is votive documents of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This figure of Sunamsa temple is the oldest wooden buddhist sculpture in Busa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enshrined reasons would be considered afterwards.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불상의 복장에서 조성(1658년) 및 중수(1693년) 발원문이 출토되어,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조선시대 17세기 후반경의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후기 17세기 불상과 양식적 공통점을 찾기 어렵고 조성당시 조각승의 수장이었던 희장(熙藏)의 다른 작품과도 유사성을 찾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도상특징과 제작기법을 살펴보고 불상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밝히고 발원문에 기재된 조각승의 작품을 비교 검토하여 불상과 발원문의 상관관계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선암사 불상은 고려후기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조선전기 15세기 불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종의 발원문은 원문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부산 선암사에서 아미타불상을 조성하고 중수하면서 작성되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아미타불상은 1658년에 가덕진의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盧濈) 노즙(盧濈)을 위시하여 총 89명의 시주로 조성되었으며, 당시 조각승으로 활약했던 희장을 중심으로 6명이 참여하였다. 이후 1693년 중수에서는 총25명의 시주와 조각승 2인이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선암사 불상과 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은 동일한 제작시기의 것이 아니며, 발원문은 지금의 불상이 아닌 1658년에 부산 선암사에 봉안되었던 아미타불상의 복장발원문인 것을 알 수 있다.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의 연구는 조선시대 15세기에 조성된 불상작품과 복장에서 출토된 17세기의 발원문을 통해서, 조각사·문헌사·인물사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조각승 희장과 관련해서 현존작품 이외에도 1658년에 부산 선암사 아미타여래상을 조성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현재 부산지역의 조선시대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불상으로, 불상의 계보와 선암사에 봉안된 연유에 관해서는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순천 선암사 제영시 연구

        김현진(Kim Hyunjin)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8 No.-

        이 논문은 순천 선암사 題詠詩의 현황과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순천 선암사 제영시는 총 61명의 작가가 90수의 작품을 남겼다. 유학자 작가 49명 대다수는 현 전라남도 일대에 거주한 지역민이며, 창작시기는 대체로 1800년대에서 1900년대 초기이다. 승려작가 12명의 창작시기는 대개 1600년대부터 시작된다. 한시로 읊은 선암사의 주요 문화공간은 선암사, 대승암, 향로암, 강선루, 대각함 및 포교당 환선정이다. 작품형식은 7언시가 압도적이다. 순천 선암사 제영시의 전개 양상은 크게 4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선암사의 주요 역사 술회이다. 이는 도선의 창건, 대각국사의 중창, 호남제일선원, 講伯의 배출, 純祖 임금의 탄생기도처, 人・天・大福田 어필 편액 등 선암사의 주요 역사와 관련된 내용이다. 둘째, 仙佛 양립의 공간인식 노정이다. 선암사는 佛家이자 신선 관련 내력을 가지고 있어서, 시인묵객들이 仙界와 佛界 양면으로 인식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강선루 제영시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탈번뇌와 깨달음의 정취이다. 이는 주로 탈번뇌를 통한 순수한 자아발견, 불교 전수와 불법의 깨달음에 대한 자각, 등고망원의 幽興과 樂而忘返의 감흥 즐김, 月印千江이나 理一分殊와 같은 유불의 사유를 만끽하는 것이다. 넷째, 喚仙亭의 佛地인식과 소회이다. 1913년 이후 불지로 변한 포교당 환선정에 대해 유가 건물로서의 몰락에 대한 안타까움 토로, 金仙이란 별도 신선의 공간으로 인정, 眞緣을 얻는 공간으로 긍정하는 소회 등이 담겨 있다. The study seeks to examine the status and the embodiment aspects of the recitative poems(題詠詩) of Seonamsa Temple in Suncheon. 61 writers in total created 90 works of the poems of the temple. Most of the 49 writers of Confucian scholars are locals living in the current region of Jeollnam-do; their writing period is generally from 1,800s to the early 1,900s. The writing period of the 12 writers of Buddhist monks generally begins from 1,600s. The temple’s main cultural spaces embodied as sino-Korean poetry are Seonamsa Temple, Daeseungam Hermitage, Hyangroam Hermitage, Gangseonru Pavilion, Daegakam Hermitage, and Hwanseonjeong Pavilion of the missionary center. Of the styles of the works, the sevenword poem is overwhelming. The recitative poems of Seonamsa Temple in Suncheon have four main aspects. The first is description of the temple’s main historical events. It has contents related to the temple’s main historical even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by Doseon, the rebuilding by State Preceptor Daegak, the Best Buddhist Temple in Honam area, the appearance of senior instructors (講伯), the place to pray for the King Sunjo’s birth, and the plaques of the heaven(天), the human(人) and the Daebokjeon(大福田) with King’s Handwriting. The second is a journey into recognizing the space of coexistence between Taoism and Buddhism(仙佛). As Seonamsa Temple has history related to immortals as well as Buddhists(佛家), it is natural that the poets and artists recognize it with both sides of the Taoism world(仙界) and the Buddhism world(佛界). The study has sought to verify it with the recitative poems of Gangseonru Pavilion. The third is the taste of enlightenment and freedom from agony. Mainly, it is finding your pure ego through freedom from agony, teaching Buddhism and awakening yourself on its enlightenment, enjoying the quiet pleasure(幽興) that standing at a high place allows you to see far and wide and the interest that enjoying so much leads you to forget to return(樂而忘返), and fully enjoying the thought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such as one moon shedding light on a thousand rivers(月印千江) and one principle with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The fourth is the recognition and thought of the Buddha-ground(佛地) of Hwanseonjeong Pavilion. It expresses the pity for collapse regarding Hwanseonjeong Pavilion of the missionary center which has been changed to the Buddhaground since 1913, recognizes the pavilion as the Gold Taoism(金仙), a separate space for immortals, and contains a thought to affirm it as a space to achieve True Karma(眞緣).

      • KCI등재

        일반논문 : 순천 선암사 조선후기 부도(浮屠)의 양식과 의의

        엄기표 ( Gi Pyo Eo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8

        선암사는 현존하는 유적과 유물들로 보아 늦어도 신라말기에는 창건되어 송광사와 함께 불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이 머물면서 크게 중창되었다. 그리고 억불숭유 정책 기조가 유지되었던 조선전기에도 법등이 유지되었으며, 조선후기에는 지방에 소재했지만 유력한 승려들이 주석하면서 중요한 사찰로 인식되었다. 또한 많은 승려들이 선암사를 중심을 활동하다가 선암사로 하산하여 입적하였으며, 그에 따라 사후 기념적인 조형물로 부도가 건립되었다. 그래서 현재 조선후기 선암사의 역사적 위상을 보여주는 부도군이 선암사 입구와 서편 2곳에 조성되어 있다. 먼저 고려시대 건립된 3기의 부도는 선암사가 고려시대에 조계산 자락에 있었던 송광사와 함께 유력한 사찰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조선후기에 들어와 선암사부도군에 건립된 부도들은 조선후기 부도의 건립이 본격화되는 초기의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양식이 공존하고 있어 양식사적으로도 주목된다. 선암사 부도들은 17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건립되었는데, 법맥이나 사자상승 관계에 따라 조성되어 조선후기 불교계의 풍조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부도의 양식은 석종형, 원구형, 석주형, 석탑형, 거석형 등 시기와 장인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적용되어 다채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선암사 부도군에서 주목되는 것은 범종을 사실 그대로 번안한 전형적인 석종형 부도가 건립되었으며, 석탑형과 거석형이라는 새로운 양식의 부도가 창출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The Seonamsa temple of Suncheon city was established during the late of Silla Dynasty. The temple was widely flourished when come on with the Songgwangsa Temple in Korea Dynasty. Two temples Served as the center of the Buddhist faith on Jogyesan Mountain slopes. Uicheon stayed in the temple during the Korea Dynasty repeat rebuilding. The Seonamsa temple had been continued under the sustained anti-Buddhist policy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Many monks have come to stay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Seonamsa temple. Stone Stupa was built in the special area of temple when they die. It was recognized the monumental symbolic architecture for them. Three Stone Stupas of the Korea dynasty proved an influential Buddhist temples during the Korea period. There are many Stone Stupa of late of Joseon period in the Seonamsa temple. Be divided by two, one place is at the temple’s entrance, other place is at the west of the temple. The Stone Stupa in the Seonamsa temple was created of late Joseon period. There were various forms and styles of coexistence and form private also noteworthy. They show the early style in the late of Joseon. They had been built from the late 17th century until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y monk line, by relations between masters and pupils. It gives that the Buddhist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one Stupa’s style are Stone-Bell style, Stone-Ball style, Stone-Pillar style, Stone-Pagoda style and Big-Stone style. The style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ime and master craftsman. In particular, the Stone-Bell style was imitated the form, technique, pattern, design of the Buddhist bronze bell. Stone-Pagoda style and Big-Stone style have created new forms in the Seonamsa temple of late Joseon period. We should note the newly.

      • KCI등재

        선암사 새벽예불의 음악적 특징과 무형문화적 가치

        서정매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2

        한국의 새벽예불은 대부분 칠정례로 보편화되어 있어서 전통예불은 거의 사라져가는 추세이다. 반면 선암사는 향수해례와 사성례로 이루어진 전통예불을 지속적으로 전승하 고 있어 주목된다. 고찰이자 산지승원인 선암사의 새벽예불은 도량석, 조왕단 예경, 각전 예불, 응향각에서의 종송, 범종루에서 법고·운판·목어·범종의 사물타주, 소종 타주, 대 웅전에서의 향수해례와 사성례, 선원장에 의한 행선축원, 신중단 예경, 그리고 만세루에 서 태징과 북 반주로 이루어지는 송주 등 전통 사찰이 지닌 배치 공간을 예불의식에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음향적으로 매우 입체적이면서도 의례의 전통성을 보유하고 있다. 매일 새벽 3시에서 4시 50분까지 약 1시간 50분간 선암사의 새벽예불은 의례 순서 에 따라 장소·연주악기·연주방식 등이 계속 바뀌지만, 마치 한 장소에서 의식이 이루어지듯 단 1초의 쉼이 없이 하나의 악곡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장소가 바뀌어도 긴 교향곡처럼 연주가 이어지는 이유는 모든 연주의 시작과 끝에 반드시 5망치(♪♩ +♩. + ♩. + ♩. + ♩. + ♪♩ + ♩.)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5망치는 선암사 새벽예불에서 매우 중요한 특징 리듬이자 지휘 역할을 하는 신호이다. 뿐만 아니라 선암사 새벽예불은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으면서도 몇 몇 악곡에서는 육자배기토리가 등장하는 등 전라도 지역만의 음악적 특성도 드러난다. 한국의 새벽예불은 조계총림에서 지속적으로 음반을 제작해왔지만, 제작한 음반 모두 가 칠정례로만 이루어졌을 정도로 전통예불의 존재와 관심은 매우 미약했다. 반면 선암 사는 전통사찰이자 산지승원의 유형적 요소를 새벽예불에 최대한 활용할 뿐 아니라, 전 통예불의 무형적 가치를 지닌 새벽예불의 전통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오고 있다. 선암사 새벽예불의 음반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이다. 선암사 전통예불의 음반화는 그간 칠정 례만을 예불로 인식하고 있는 불교인들에게 전통예불의 존재와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사라져가는 전통예불을 전승·보존하고자 노력해 온 태고종단의 정체성 확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Most of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in Korea is commonly used as Chiljeonglye, so traditionalyebul is almost disappearing, On the other hand, the Seonamsa temple is attracting attention as it continuously transmits the tradition-yebul (ritual) consisting of Hyangsuhaerye and Saseongrye. Saebyeogyebul of Seonamsa temple, which is an old temple and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s composed as follows: Doyangseok, that cleanses the entire temple, Jowangdan-yebul, Ritual in each building of the temple, Jongsong playing at Eunghyanggag, Buddhist drum·Unpan·Mog-eo (Buddhist ceremonial wooden fish percussion instrument)·Beomjong (Buddhist ritual large bell) performed at Beomjongru, souchong, Hyangsuhaerye and Saseongrye, tradition-yebul (ritual) in Daeungjeon (the main Buddha Hall), Haengseonchugwon by Seon-wonjang, Shinjungdan ritual, and Songju with Tasing (Big gong) and drum accompaniment in Manseru, etc. Seonamsa Temple uses the layout space of traditional temple to its fullest for yebulritual, so it has a very three-dimensional and Traditional features of the ritual.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in Seonamsa Temple, which takes about 1 hour and 50 minutes from 3 am to 4:50 am every day, is constantly changing places, musical instruments, and playing methods according to the order of rituals. Nevertheless, as if rituals are held in one place are connected by one piece of music without a pause of just one second. The reason why the performance continues as one song like a long symphony even if the venue changes within the temple is all performances must start and end in 5 mangchi rhythm(♪♩ +♩. + ♩. + ♩. + ♩. + ♪♩ + ♩.). The 5 mangchi rhythm is a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 rhythm in Seonamsa temple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and a signal that plays a commanding role. In addition, Seonamsa temple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is based on Menali-tori, bu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Jeolla-do region are also revealed, such as Yugjabaegi-tori appearing in several songs. Saebyeogyebul records were continuously produced at the Jogye Monastic Complex in Korea, but all were recorded only in Chiljeonglye. It shows that interest in tradition-yebul (ritual) has been very weak. On the other hand, Seonamsa temple is transmitting the intangible elements of traditionalyebul by making the most of the tangible elements of an old temple in Saebyeogyebul, So, for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yebul in Korea, the release of the album is essential. The recording of traditional-yebul in traditional temples is an opportunity to inform Buddhists who have recognized only Chiljeonglye as yebuls of existence and value of traditional-yebul,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play a large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aegojongdan's identity, who has been striving to transmit and preserve the disappearing traditional-yebul.

      • KCI등재

        순천 선암사 불교 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최주연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3 南道文化硏究 Vol.- No.48

        선암사는 조선시대 전란과 큰 화재로 많은 변화를 겪은 사찰이지만, 재건 과정 속에서많은 불교유산이 남아 있다. 본고에서는 선암사의 불교공예에 주목했으며, 이를 살펴보기 위해 사찰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 불교 공예품의 현황과 그 특징에 대해 논하였다. 선암사 소장 불교 공예품들은 대부분 나무와 금속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수량은 137건258점에 달해, 수많은 공예품이 만들어지고,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 사찰에서 제작된 불교 금속공예품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재료의 변화이다.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고가의 금속이었던 유기가 조선후기에는 다양한 공예품을 제작하는 재료로 등장한다. 이는 조선시대 유기제품을 제작하던 장인들이 민중을 위해 제작하면서 유기제품의 생산과 소비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사찰의공예품 제작에도 영향을 끼쳐, 당시 사용하던 다기, 촛대, 향완, 천수통 등을 유기로제작했으며, 선암사 역시 다수의 유기제 불교 공예품이 소장되어 있다. 불교 공예품은 종교용구로 뚜렷한 목적을 갖고, 용도에 맞게 제작되었다. 본고에서는목적에 따라 장엄구, 의식구, 공양구로 구분했으며, 각 목적에 의해 제작된 주요 공예품을 분석했다. 목적에 따라 제작된 공예품은 전통적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형태적 변형을 시도함에 따라 조선후기의 불교공예품의 樣式을 구축했다는 특징이 있다. 선암사는 현재 다양한 불교의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표적 사찰이나 불교의식과 관련된 조선시대 기록이 없다. 하지만 사찰에 현존하는 불교공예품은 불교의식과 관련된 용품들이 많아, 선암사에서는 끊임없이 의식이 설행되었을 것으로 판단했으며, 이에 대해 불교 공예품과 불화 등을 비교해봄으로써 선암사의 불교의식의 명맥이 이어져왔음을 살펴보았다. 선암사는 범종 1구가 도난당했으나, 현재 4점이 소장되어 있는 사찰로 조선후기 범종의 寶庫이다. 이 범종들은 당시 활발히 활동한 김용암, 김성원, 윤취은, 권중삼 주종장들에 의해 17~19세기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조선후기 범종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각 범종을 제작한 주종장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와 더불어 선암사 소장범종의 세부표현을 용뉴, 범자, 연곽 및 연뢰, 보살상으로 구분해 비교 분석했다. 선암사소장 범종들은 앞선 시기 제작된 범종의 특징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문양표현을 시도했으며, 이는 전패형 문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선암사와 그 학풍

        차차석(Cha, Cha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40 No.-

        선암사는 전라남도 승주군에 있는 명찰이다. 일천여년의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화와 사상의 산실이 되었으며, 한국 정신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선암사의 학풍과 그 전개과정은 태고보우를 시발점으로 삼아 전개되는 법맥 중에서 부용영관에 와서 부휴와 청허의 양대계열로 분파되며, 청허계열은 다시 편양언기와 소요태능의 두 계열을 중심으로 선암사의 법맥과 강맥이 이어진다. 이들 가운데 청허파가 선암사를 주도했다. 특히 18세기 이후 수선사 계열인 침명한성의 제자인 함명태선을 시발점으로 경붕익운, 경운원기와 금봉기림의 4대강맥을 확립한다. 선암사의 학풍은 화엄과 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조불교의 전통을 온전하게 지니고 있으며, 이교회통론을 당연시하는 고승들의 학통을 계승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불교라는 종교가 지향해야할 대중화라는 명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것은 화엄과 선, 염불의 융합이며, 진여심과 중생심의 이해를 둘러싼 심성론에 관한 논쟁이기도 했다. 20세기에 접어들면 선암사의 학풍은 전통과 근대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천주교의 전래, 근대문명의 유입 등은 기존의 불교계에 던져진 문화적 충격이었지만 동시에 적응하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적인 문제였다. 따라서 조선불교 전체의 교단조직의 정비, 외세의 침략에 따른 전통의 보호와 적응, 유교적 가치의 퇴조와 그에 따른 포교방법의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 따라서 선암사를 고집하지 않고 송광사와 손잡고 새로운 교육시설이나 포교소, 포교사 양성 등에 나서게 된다. 무집착의 가풍 속에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The Seonamsa is the famous temple at Seung ju kun in Jeonlanamdo. It was that providing the various culture and thought in the history of the being few days old year which are charging the one axis of Korea spirit culture. The academic tradition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eonamsa evolved from the initial setting the Taego-Bou. The lineage of dharma branched in the two systems which are Bu-hyu and Cheong-heo in the Bu-yong-yeong-kwan. The Cheong-heo system has again Pyeo-yang-eon-gi and So-yo-tae-neung which the two systems were connected the lineage of dharma and lecture of the Seonamsa in the central. It led the Cheong-heo sect among the Seonamsa. In specialty 18th century after that Su-seon-sa system established the lineage of recitation of the fourth generation which are the initial setting the Ham-myeong-tae-seon with Gyeong-bung-ik-un, Gyeongun- won-gi and Geum-bong-gi-rim.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amsa have the tradition of the Joseon dynasty Buddhism perfectly to develop in centering the Avatamska and Zen. The preaching outline have been to succeed the scholastic mantle of high priests built on the fus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religion of Buddhism was striving to solve the proposition which was popularization with intention. it is fusion of Zen, Buddhist invocation and the Avatamska. The mentality theory to understand around Jin-yeo-sim[眞如心] and Jung-saeg -sim[衆生心] were about dispute. To begin in the 20th century,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amsa is faced with tradition and the fusion of the modern times. Transmission of Catholicism, such as the influx of modern civilization thrown into the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shock, but at the same time was a real problem that must be adapted. Thu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rotection of foreign invasion and adaptation, the joseon Buddhism was full maintenance of the religious order organization, The change of the propagation method with the subsequent decline of Confucian values managed the activity. So, it came out the Seonamsa without being particular about Songgwangsa hand in hand with new training facilities, missionary workand missionary work training. It is showing the appearance to deal with the change to the activity in the family tradition of the nothing attachment.

      • KCI등재

        순천 선암사 가람배치와 전각의 변화 검토

        오세덕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3 南道文化硏究 Vol.- No.48

        순천 선암사 가람배치와 전각의 변화 검토라는 주제의 이글에서 다음과 같은 4가지를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선암사는 경내 쌍탑의 건립 시기를 9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어 도선국사때 창건한다. 도선국사가 창건한 가람배치는 중문-쌍탑-금당-강당이 하나의 축선을 이루고 회랑이 그 주변을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두 번째, 선암사의 고려 가람은 추정하기 힘들지만 <대각국사중창건도> 를 통해 조선초기~정유재란 이전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가람 배치는 남-북을 주축으로 중앙 마당에이층법당과 쌍탑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가람 앞쪽의 일주문부터 차례로 들어선 문과중앙 마당 사방으로 많은 전각이 줄지어 있다. 세 번째, 선암사의 조선 후기 가람은 선조 30년 정유재란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한다. 1644년부터 복원이 시작되어 대각암을 중창하고, 1649년 지장전과 고법당을 중창한다. 이후 기록을 통해 18세기 사찰은 13동의 전각, 9 요사, 12 암자가 확인되고 있다. 1935년 일제강점기까지 약 30여 동의 전각의 사세를 유지한다. 네 번째, 각종 기문 검토를 통해 선암사의 전각은 「대각국사중창도건기」 70동, 조선초기 65동, 1707년 51동, 1719년 34동, 1780년 31동, 1860년 37동, 1935년 33동을 유지하고 있다. 즉, 조선 후기 선암사는 30~40동의 전각을 유지했던 사찰임을 알수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전통시기 순천(順天) 조계산(曹溪山)의 불교(佛敎)

        변동명 ( Dong Myeong By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曹溪山은 한국의 불교 전통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산의 명호 자체가 불교에서 유래하였으며, 松廣寺와 仙巖寺라는 이름난 거찰이 산의 동서 양측에서 면면히 그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조계산의 불교 전통을 종합해서 정리하며, 더불어 그것을 역사적 흐름에 비춰 해석함으로써, 그 구체적인 실상을 드러내는 게 이 글의 목표이다. 송광사와 선암사를 중심으로 이어져 온 불교의 전통을 살피며, 그리하여 한국불교사에서 조계산 불교가 의미하는 바를 헤아려 되짚는 기회로 삼으려 한다. 조계산 일원에 불교가 뿌리를 내린 것은 신라 하대에 가서였다. 송광사의 전신인 吉祥寺와 선암사의 창건이 그 즈음에 비롯되었다. 조계산이 위치하는 순천지역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것은 그보다 이른 시기였을 터이다. 그렇지만 사찰이 자리를 잡음으로써 불교가 지역사회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한 것은 통일신라의 말엽에 이르러서였다. 순천 일원을 근거로 성장하던 호족의 후원 속에 가능한 일이었다. 조계산 불교가 크게 번성한 것은 고려왕조에 들어서였다. 고려왕조의 개창 이후 조계산의 길상사와 선암사는 손꼽히는 명찰로 대두하였다. 먼저 번성을 자랑한 쪽은 선암사였다. 대각국사 의천의 선암사 중창설이 전해지며, 더욱이 선암사 경내에 고려전기의 부도가 3기나 자리하는 게 그 증거였다. 송광사는 무인정권의 시기에 들어 비로소 두각을 드러냈다. 보조국사 지눌의 정혜결사가 옮겨오면서, 송광사는 손꼽히는 명찰로 자리를 잡았다. 頓悟漸修와 定慧雙修 및 看話禪을 내세우는 지눌의 수선결사는 널리 상하의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리하여 수선사는 송광사를 본산으로 당대의 불교 교단을 영도하는 존재로 부각되었다. 이후 수선사에서는 고승을 연달아 배출하며 한국의 조계종이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 조계산 불교는 크게 위축되었다. 그렇지만 조선 유교사회의 탄압을 받으면서도, 조계산의 사찰들은 생존을 모색하며 나름의 전통을 유지하고자 고심하였다. 송광사와 선암사에서 단속적으로 이어졌던 중창 불사라든지 佛書의 간행이 그러한 증거였다. 조계산 불교가 한국불교사에서 다시 두각을 드러낸 것은 조선후기에 가서였다. 浮休善修의 계열이 송광사에 자리를 잡음으로 해서였다. 부휴계열에서는 송광사를 거점으로 삼아, 知訥의 저서를 집중적으로 간행하고, 수선사의 전통을 강조하며, 지눌과 송광사를 현창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조선시기의 불교가 지눌의 사상을 계승하여 오늘에 이르렀는데, 그러한 사상 전승의 핵심적 공간이 송광사였다. 그만큼 조선시기의 불교사에서 송광사를 비롯한 조계산 불교의 비중이 막중하였다. 더불어 임진왜란 당시 海上 僧侶義兵의 주요 거점 가운데 하나가 송광사였음도 잊을 수 없는 사실이다. 조계산 일원은 한국 불교의 특징이라 할 調和融會思想의 산실이자, 더욱이 그러한 전통을 가꿔 오늘에 이르도록 면면히 이어온 거의 유일한 공간이었다. 보조국사 이래 조선시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도록, 조계산 불교는 禪敎調和의 이념을 제시하고 또 그것을 실천하는 일에 열심이었다. 禪敎의 融會兼修를 바탕으로 편협한 종파주의를 넘어 보다 높은 차원에서 사상적 갈등을 극복 해소하려는, 이를테면 한국적인 禪敎調和의 이념을 제시하고 더욱이 그것을 실천하는 데 앞장서왔거니와, 요컨대 그러한 데에서 조계산 불교가 지니는 바 韓國佛敎史上의 의의를 찾아 마땅한 셈이었다. Jogye mountain has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Korean Buddhism tradition. The name of the mountain was derived from Buddhism tradition. And the two famous temples,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are keeping on their Buddhism tradition on the east and the west sides of the mountain. This study is focused on showing the real state of the traditional Buddhism in Mt. Jogye, by arranging overall the tradition of Buddhism in Mt. Jogye and interpreting it in the historical flow. This article aims to take a good look of Buddhism tradition of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and to trace the meaning of Jogye mountain Buddhism in Korean Buddhist history. Buddhism took root around Jogye mountain in the late period of Unified Silla. The Gilsang-sa known as the before name of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was built in that time. It would be faster than that time that th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Suncheon areas where the Jogye mountain is located. But it was in the late period of Unified Silla that Buddhism performed a certain role in the Suncheon community by the Buddhist temple placing itself. It was possible with the support of Powerful Gentry Families that was growing on the Suncheon areas. It was in Goryeo Dynasty that the Jogye mountain Buddhism flourished. The Gilsang-sa and the Seonam-sa in Mt. Jogye area emerged after the Goryeo Dynasty was established. First time the Seonam-sa was proud of flourishing before the Gilsang-sa did. It was the evidence that the Seonam-sa was still reported to be repaired by Uicheon known as the National Preceptor Daegak and moreover three memorial stupas erected in the early Goryeo was kept in the Seonam-sa area. The Songgwang-sa became distinguished after the seizure of power by the military. The Songgwang-sa was settled into the famous temple since the Cheonghyegyeolsa of Jinul known as the National Preceptor Bojo had been transferred to. The Suseongyeolsa of Jinul who insisted and teached “sudden-enlightenment followed by gradual-cultivation”(dono jeomsu) and “twofold training in quiescence and knowing”(jeonghye ssangsu) and “the contemplation of words”(ganhwaseon) was widely supported by high and low. Thus, the Suseongyeolsa with a head temple, the Songgwang-sa, emerged as a leading presence of the Buddhism order in those days. Since then the Suseongyeolsa produced successively many outstanding Buddhist preceptors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Jogye sect. The Buddhism in Jogye mountain was cowered exceedingly after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The Buddhism was suppressed in Confucian society of Joseon. But the Buddhist temples in Jogye mountain worked hard for their survival and to maintain their tradition. It was such evidence that the temple buildings were repaired and expanded or the Buddhist scriptures were published by the Songgwang-sa and the Seonam-sa. The Jogye mountain Buddhism exposed to prominence aga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Korea Buddhist history. It was the ground that an eminent Buddhist monk Buhyu Seonsu and his disciples settled down at the Songgwang-sa. The branch of Buhyu Seonsu in Jogye sect, basing on the Songgwang-sa, published Jinul’s writings intensively and emphasized the tradition of the Suseonsa with a view to exposing and praising Jinul and the Songgwang-sa. The Buddhism in Joseon period succeeded Jinul’s thinking and spirit and such stream reached to nowadays. The key area of those succession was the Songgwang-sa. Mt. Jogye Buddhism headed by the Songgwang-sa occupied large proportion of the Buddhist history of Joseon so much. It was not forgettable the fact that the Songgwang-sa was one of the major bases of maritime priest patriotic soldiers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1592), together. The area around the Jogye mountain was a cradle of a harmonization of the Seon contemplative and Gyo textual schools, the key features of Korean Buddhism, and futhermore was the only space where the tradition of such idea has been succeeded nowadays. The Jogye mountain Buddhism made efforts to raise and practice the philosophy of a harmonization of the Seon and Gyo schools from the days of the National Preceptor Bojo down to nowadays through the Joseon period. The Jogye mountain Buddhism has taken the initiative in showing and discipling the very Korean ideology of a harmonization of the Seon and Gyo schools which aimed to conquer and solve the ideological conflict in higher levels than the closed-minded sectarianism,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the Seon and Gyo schools with training both. To sum up, considering these things, we ought to find the significance that the Jogye mountain Buddhism have in Korean Buddhism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