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안소니 만의 초서부극과 서부극의 퇴장

        이도훈 영상예술학회 2014 영상예술연구 Vol.25 No.-

        이 연구는 앙드레 바쟁의 초서부극 개념을 중심으로 안소니 만의 작품을 독해함과 동시에 1950년대 헐리우드 서부극의 장르적 진화와 쇠퇴를 진단해보려는 시도이다. 바쟁은 1950년대에 나타난 일련의 새로운 경향의 서부극을 총칭하기 위하여 초서부극이라는 개념을 고안하였다. 그가 말한 초서부극이란, 기존의 미국의 문명화 과정을 이상적으로 그려냈던 고전 서부극의 서사에서 탈피해 주제를 세분화하거나 극 중에 심리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소설적인 서사를 구축한 일련의 작품들을 가리킨다. 그러나 바쟁이 초서부극을 신화적으로 이해했던 것과는 달리 당대 새로운 경향의 서부극들은 미국의 이상적인 가치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초서부극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초서부극 및 안소니 만의 서부극을 보다 중층적으로 기술해보고자 하였다. 보다 확장된 초서부극 개념을 적용하여 안소니 만의 작품을 분석해봄으로써 세 가지 양식적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내적으로 분열된 영웅의 형상을 통해서 도덕적 서사를 구축한다. 둘째, 고전 서부극이 수평적 이미지로 서부의 풍경을 재현했던 것과는 주로 수직적 이미지로 서부를 재현한다. 셋째, 들뢰즈가 말한 ‘작은 형식’에 부합하는 액션 양식을 도식화하여 기존의 고전 서부극이 추구하였던 스펙터클의 논리 일변도에서 탈피한다. 끝으로, 안소니 만으로 대표되는 초서부극에서는 장르적 진화의 긍정적인 측면 외에도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던 서부극 산업의 총체적인 침체가 징후적으로 암시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안소니 만의 서부극은 고전 서부극에서 초서부극으로의 시대적 전환, 초서부극의 양식적 완성, 그리고 초서부극의 퇴장을 동시에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ad works of Anthony Mann by adopting Andre Bazin’s concept of ‘Sur-Western’, thereby analysing improvements and declines of Hollywood Western genre. He designed the concept of ‘Sur-Western’ in order to introduce a series of newly developed Western movies in 1950s. ‘Sur-western’, according to Bazin, meant a chain of movies which constructed novelistic narratives with psychological aspects or subdivided themes - that went against Classic Western’s narratives. In contrast to Basin’s understanding of ‘Sur-Western’ as mythic, ‘Sur-Western’ movies, were critical of American ideal values. Thus, while assuming a critical attitude to ‘Sur-Western’ concepts, this research elucidates Sub-Western movies and Anthony Mann’s Western movies with multi-layered descriptions. This article draws three stylistic features of Mann’s work by the extended definition of Sur-Western movies;cultivating an ethical narrative through the fragmented hero’s figure;reproducing the Western with vertical images vis-a-vis the Classic Western with horizontal images in representing the Western;discarding the traditional spectacle logic of Classic Western by virtue of schematising action styles accord with Gilles Deleuze’s the ‘small form’. In addition to these figures, these Sur-Western movies implied not positive aspects of genre evolution but general recession of the Western movie industry starting from 1960s. In a word, Mann’s Western movies reflected periodic transformation of the Classic Western into the Sur-Western, the stylistic completion and decline of the Sur-Western movies altogether.

      • KCI등재

        정통서부극과 마카로니 웨스턴의 비교 : 주제, 성격, 제작 환경 등을 중심으로

        양삼석(Ryang, Sam-seo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미국의 10센트 소설을 바탕으로 하여 20세기 초에 등장한 서부극은 많은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서부극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정통서부극과 마카로니 웨스턴은 몇 가지 측면에서 비교⋅분석할 수 있다. 첫째, 주제 면에서, 정통서부극이 정의의 구현과 권선징악을 표방하는데 반해, 마카로니 웨스턴은 부정의가 합리화 되고, 선과 악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도 있다. 또한 정통서부극은 프런티어 정신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미국식 민족주의와 패권주의가 합리화 된다. 그러나 마카로니웨스턴의 경우 권선징악과 미패권주의라는 명분에 내재된 미국식 위선주의를 비판한다. 둘째, 영화의 진행과정과 특징에 있어서 마카로니 웨스턴의 경우 개인과 개인 간의 갈등보다 집단(백인)과 집단(인디언) 간의 갈등이 상대적으로 많은 데 반해, 마카로니 웨스턴의 경우 현상금이나 현상 수배자를 둘러싼 개인 또는 패거리간의 경쟁이 많다. 셋째, 미술, 의상, 소품 등과 관련해 정통서부극에서는 열차가 (우월한) 동부의 문화를 (미개한) 서부로 전달하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나, 마카로니 웨스턴에 있어서는 열차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의상 면에서, 정통서부극의 경우 출연자들이 조끼 등 평상복을 많이 입으며, 인디언의 경우 고유복장이 대부분이다. 이에 반해 마카로니 웨스턴에서는 망토 등 특이한 형태의 복장이 상대적으로 많이 등장한다. 넷째, 정통서부극의 경우 미국자본으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로케이션 역시 미국에서 주로 행하여졌으며 녹음 역시 영어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반해 마카로니 웨스턴의 경우 이탈리아, 스페인 계통의 제작진과 자본이 주를 이루고, 로케이션 역시 스페인, 이탈리아 등이 대부분이다. Western movies, which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based on American dime-cent novel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to the present day. Mainstream western and macaroni western movies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in several ways. In terms of subject matter, mainstream western movies advocate the promotion of virtue and the prohibition of vic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ccasions when macaroni western movies rationalize injustice, and blur the boundary between good and evil. Mainstream western movies also support American nationalism and hegemonism in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Frontier spirit. However, macaroni western movies criticize the American-style hypocrisies which are inherent in the promotion of virtue and the prohibition of vice, and American hegemonism. With respect to the progr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lm, mainstream western movies cover relatively many conflicts between groups (white people) and groups (Native American) than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But macaroni western movies cover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or groups who grab persons wanted and bounties. And mainstream western and macaroni western movies have different symbolic meanings in relation to cinematic art, costumes, and props, etc. Especially, trains in the mainstream western movies convey that eastern American culture take the precedence over western American culture. But in the macaroni western movies, trains perform their original functions. In terms of costumes, actors wear a lot of casual or traditional clothes in the mainstream western movies. On the other hand, actors in macaroni western movies put on relatively unusual types of clothing such as capes. Most of the mainstream western movies are produced with American money, and their backgrounds are U.S.A., and the language used in the movies is English. In contrast, most of macaroni western movies are made with Italian and Spanish money and staff, and filmed on location in Spain and Italy.

      • KCI등재

        중국 서부대개발 10년의 성과와 과제

        최성일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erspectives and tasks after analyzing the economic achievement of the Great Development Strategy of Western China('GDSWC') in China which was initiated 10 years ago. The two major objectives of the GDSWC are to develop the western regions of china, and to narrow the economic gap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So the assessment of the GDSWC is conducted with two points of view; first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economic growth of western regions using time series data; secondly to examine the progress in narrowing the development gap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hina using cross section data.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s; first, in time series analysis, the considerabl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was found in western regions of China for 10 years. However, individual regions showed very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regions was found to have the increasement of economic gap. It proves that the economic growth of western regions has been slower than that of eastern regions. 본 연구는 서부대개발 10년을 맞이하여 그동안 서부지역에서 진행된 서부대개발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서부지역이 서부대개발을 통해 얼마만큼의 경제성장을 이루었는지, 동서부 지역간과 전체 12개 서부지역내의 성시자치구 간의 경제성장 격차가 어떻게 변화하였고 그 변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각 지역의 산업구조와 고용구조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통해 서부대개발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서부대개발의 목표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서부지역의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동부와 서부지역간 경제발전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의 성과에 대한 평가의 기준도 두 가지로 나누어 고찰한다. 하나는 서부대개발이 서부지역의 경제발전에 미친 성과를 평가해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서부대개발이 동부와 서부지역간의 발전격차를 얼마나 해소했는지는 고찰해 본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먼저 시간을 축으로 한 서부대개발의 성과는 상당한 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부대개발의 실시에 따른 그 성과는 서부지역 내 성시자치구별로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간을 축으로 한 서부대개발에 따른 동서간의 경제적 격차는 전반적으로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평가하자면, 서부지역의 경제지표가 전반적으로 중국 평균치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서부대개발 정책이 서부지역의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나, 동부지역과의 격차를 줄이는 데는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향후 서부대개발 정책의 과제는 동부지역과의 격차를 줄이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안소니 만의 초서부극과 서부극의 퇴장

        이도훈 영상예술학회 2014 영상예술연구 Vol.0 No.25

        이 연구는 앙드레 바쟁의 초서부극 개념을 중심으로 안소니 만의 작품을 독해함과 동시에 1950년대 헐리우드 서부극의 장르적 진화와 쇠퇴를 진단해보려는 시도이다. 바쟁은 1950년대에 나타난 일련의 새로운 경향의 서부극을 총칭하기 위하여 초서부극이라는 개념을 고안하였다. 그가 말한 초서부극이란, 기존의 미국의 문명화 과정을 이상적으로 그려냈던 고전 서부극의 서사에서 탈피해 주제를 세분화하거나 극 중에 심리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소설적인 서사를 구축한 일련의 작품들을 가리킨다. 그러나 바쟁이 초서부극을 신화적으로 이해했던 것과는 달리 당대 새로운 경향의 서부극들은 미국의 이상적인 가치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초서부극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초서부극 및 안소니 만의 서부극을 보다 중층적으로 기술해보고자 하였다. 보다 확장된 초서부극 개념을 적용하여 안소니 만의 작품을 분석해봄으로써 세 가지 양식적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내적으로 분열된 영웅의 형상을 통해서 도덕적 서사를 구축한다. 둘째, 고전 서부극이 수평적 이미지로 서부의 풍경을 재현했던 것과는 주로 수직적 이미지로 서부를 재현한다. 셋째, 들뢰즈가 말한 ‘작은 형식’에 부합하는 액션 양식을 도식화하여 기존의 고전 서부극이 추구하였던 스펙터클의 논리 일변도에서 탈피한다. 끝으로, 안소니 만으로 대표되는 초서부극에서는 장르적 진화의 긍정적인 측면 외에도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던 서부극 산업의 총체적인 침체가 징후적으로 암시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안소니 만의 서부극은 고전 서부극에서 초서부극으로의 시대적 전환, 초서부극의 양식적 완성, 그리고 초서부극의 퇴장을 동시에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서부대개발사업 이후 중국 서부지역의 성,시간 소득격차에 대한 연구: 수렴가설의 검증

        조준현 ( Jun Hyeon Cho ),박혜란 ( Hui Lan Piao ),강상목 ( Sang Mok Kang ) 현대중국학회 2012 現代中國硏究 Vol.13 No.2

        중국은 지역이 광대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지역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혁·개방 이후 줄곧 지역격차가 중요과제로 대두하여 왔다. 이는 중국 전체적으로도 그러하지만, 서부지역만 보더라도 쉽게 일반화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성·시·자치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부대개발사업이 서부지역과 다른 지역 간의 격차를 완화시키고 있는가 하는 문제 못지않게 서부지역 내의 여러 성·시들 간에 격차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이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서부대개발 실시 이후 10년간의 성과를 보면 지역총생산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동부와 서부를 비교했을 때에는 지역격차가 좁혀지지 못하고 있으며, 서부지역내의 성·시간 격차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 전체 및 동부지역은 수렴현상을 보이고 있는 반면, 서부지역은 오히려 빈부격차와 소득의 발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아직 서부대개발사업의 성과가 서부지역 성·시들 간에 균등하게 배분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중앙정부 및 성·시 정부들의 정책방향도 서부대개발사업의 혜택이 성·시간에 고르게 배분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ing to analysis the performance of the Western Development Project in China. After the economic reform and openness policy in 1978, China have achieved about 10% annual growth rate. But the rapid growth have made several serious problems. One of the them is serious unequality between eastern and western regions. To solve this problem, Chinese government established Western Development Project.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program is to develop the economy of western region, and to reduce the economic disparity between the west and east reg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is as followings. First, the economic level of western region has achieved remarkable increasing. Secondly, there hardly can be found considerable decreasing of regional unequality between west and east. Finaly, the income disparity in western region has been expanded during last 10 years.

      • KCI등재

        조선미술전람회 서부(書部)의 제도사적 고찰

        김정선(Kim Jungsu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1 No.-

        1872년 ‘미술’이 서구의 번역어로 등장한 이래, 서예는 교양과 수기라는 종래의 존재 기반을 잃어버리고 미술과 비미술의 경계를 부유했다. 이미 일본 내에서는 고야마 쇼타로(小山正太郞)의 유명한 ‘서는 미술 아니다’(1882년) 논쟁 이후, 1900년대 초 식산흥업의 정책 아래 미술의 외연에서 배제되었던 서예가 다시 ‘미술’로 전시된 것은 1922년 조선미전에서였다. 미술의 공적 무대에서 사라진 서예가 조선미전에 재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종래 조선 서화가들의 건의에 따라 서예가 최종 채택된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총독부 입장에서도 조선미전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그들의 존재 기반이었던 서부의 설치는 필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문화정책의 일환이었던 조선미전의 개설 목적을 고려하면 총독부가 단순히 조선 서화가들의 기득권을 보호하고 그들의 의견에 따라 서부를 설치했다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총독부가 서부 개설을 감행한 배경에는 조선인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회유하는 것 이외에 서예가 내선융화를 근간으로 한 식민지 정책과 무관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는 당시 총독부가 한문을 동종동문론(同種同文論)의 근간으로 인식하고 식민지 정책에 적극 활용하고 있었던 점, 서부 출품작품 가운데 메이지천황어제(明治天皇御題), 교육칙어(敎育勅語)를 비롯해 효행, 충성 등 천황제 이데올로기에서 강조했던 유교적 덕목이 다수 확인되는 점, 일본어인 가나(仮名) 서예의 확대 등을 통해서도 뒷받침된다. 이에 본 소론에서는 종래 다각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는 조선미전 서부 개설의 동인을 정치적 맥락에서 재고하고, 이후 공예부 개설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사회교화의 일조(一助)”를 축으로 한 식민정책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부 개설에서 폐지, 그리고 1932년 공예부의 설치로 이어지는 전 과정을 살펴보고, 특히 서부 폐지와 공예부 개설이 1930년대 초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총독의 새로운 통치 방침을 반영한 결과였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언급되었던 ‘문화정책의 일환’이라는 일반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조선미전의 정치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Since the emergence of translated terms on "the Arts" in western language on 1872, the calligraphy had lost its traditional ground for survival of culture and skill learning, and bounc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boundary of arts and non-arts. It was for the calligraphy to exhibit again at the Joseon Arts Exhibition as for the "arts" which had been excluded from the categories of arts under the policies on production promotion and industry raising in the beginning of 1900s since the famous controversy of Goyama Shotaro, "the calligraphy is not the arts.(1882)" in Japan. The background of re-appearance for the calligraphy which had disappeared from the official stage of the arts had been interpreted as finally adopted by the recommendations from Jeoseon calligraphers. For the position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installation of the calligraphy section which was the existing base for it wa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holding of Joseon Arts Exhibition. On the other hand, it is hard to decide that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rotected the vested rights and installed the calligraphy section for Joeseon calligraphers simply when the objective of establishing Joseon Arts Exhibition in line with the cultural policies is taken into account. The ground for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establish the calligraphy section was to encourage and appease the Joeseon people and it was interpreted as related to the colonial policies based on "Reconciliation between Japan and Joseon" as well. It is backed up by the fact that then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ognized the Chinese character for the root of same-kind-same-text-theory and used it actively for colonial policies, many points of Confucian virtues were found which had been emphasized at the ideologies of the Emperor system out of the works exhibited for calligraphies such as filial duties and loyalties and expansion to Japanese kana calligraphy. Therefore, this study will re-consider the motive of establishing calligraphy section in the Joseon Arts Exhibition which had not been discussed diversely in political context and reveal that the serial procedures connected to establishing the craft section was related to the changes on colonial policies on the axis of social edifi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ooked into entire processes across establishing and abolishing the calligraphy section and connecting to establishment of craft section on 1932, especiall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abolishing of calligraphy section and installing the craft section were to reflect new governing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 Ugaki-kazusige. It is believed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political nature of the Joseon Arts Exhibition in multi-direction out of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conventional understanding on "a part of cultural policies."

      • KCI등재

        거시경제지표를 이용한 중국 서부대개발 정책 평가

        김동하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0 韓中關係硏究 Vol.6 No.2

        중국정부의 첫 번째 권역개발 정책인 서부대개발 정책은 2000년에 국무원 주도로 공식 시작되었다. 2020년을 기준으로 보면 동 ‘정책’은 20년이 지났지만, 최종 목표기간 은 2050년으로 이제 40%가 지난 셈이다. 그동안 동 ‘정책’에 대해 거시경제지표에 입각 한 정량적 정책평가는 그리 많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으로 수행된 본고의 분석결과, 동 ‘정책’ 수행으로 지난 18년(2000-2018)간 서부권 12개 성·직할시·자치구의 경제 성장 목표는 달성 됐다. 또한 3차 산업 비중이 빠르게 제고되어, 산업구조조정 역시 일정수 준으로 성공했다는 판단이다. 동 ‘정책’ 초창기의 SOC 투자로 인해 외자기업은 물론 중국기업도 많이 진입하여 탄탄한 2차 산업 기반을 조성하였으며, 이는 무역증대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52.6%에 달하는 연해지역 경제규모로 인해, 최근 8년간 서부권과 타 지역간의 소득격차 축소는 정체되고 있었다. 또한 서부권의 구매력 역시 타 지역 대비 현저한 성장세가 보이지 않아, 자체 시장화 조성이라는 정책 3단계(2016-2050) 목표 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게다가 내몽고에서 보이듯이 자원의존형 성장은 ‘네덜 란드 병’ 혹 ‘자원의 저주’ 현상을 서부권 내 기타지역으로 파급시킬 우려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 기업들은 중국정부의 일대일로 정책과 연관된 서부대개발 내 관련 사업 기회를 포착하여야 할 것이다. 최근 양적·질적 성장세를 시현한 사천·중경·섬서·운남· 귀주 등에 대한 선별 투자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서부권 특혜조치 축소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서부권 내 5곳에 설치된 자유무역시험구에 대한 지역별 맞춤형 투자 전략이 요구된다. The Chinese government’s first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he Western Development Policy (WDP), was officially launched in 2000. As of 2020, WDP has passed 20 years, but the final target period is 2050, which means 40% passed. So far, there have been not many quantitative policy evaluations based on macroeconomic indicators on the WD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conomic growth target of 12 provinces, cities, and autonomous regions in the Western Region has been achieved over the past 18 years (2000-2018)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WDP.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tertiary industry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has also been successful to a certain level. Due to SOC investment in the early days of the WDP, not only FDI enterprises but also Chinese enterprises entered the market, creating a solid foundation for secondary industries, which led to increased trade. However, the shrinking income gap between the Western Region and other regions has been stagnant for the past 8 years due to the size of the coastal region's economy, which stands at 52.6%. The purchasing power of the Western Region does not show significant growth compared to other regions,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the third phase of the policy (2016-2050) goal of creating its own marketization. Moreover, as seen in Inner Mongolia, resource-dependent growth is feared to spill over the ‘Dutch Disease’ or ‘Curse of Resources’ phenomenon to other parts of the Western Region. In response, Korean companies will have to seize relevant business opportunities within WDP, which are related to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of Chin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lective investment strategy for Sichuan, Chongqing, Shaanxi, Yunnan and Guizhou, which have recently show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and prepare for the reduction of preferential treatment in the Western Region. Finally, customized investment by region is required for Free Trade Zone recently installed in 5 locations in the Western Region.

      • 서부극의 신화를 넘어서

        이도훈 한국방송학회 2018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11

        이 논문은 존 포드의 <수색자>(1956)를 수정주의적인 관점에서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서부극은 문명과 야만의 대립을 통해 미국의 정체성이 구축되는 과정을 그리는 장르로 이해되고 있다. 존 포드는 서부극의 장르적 도식을 완성하는 데 기여한 고전적인 감독 중의 한 명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그는 미국의 문명화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서부극을 여럿 만들기도 했다. 〈수색자〉는 표면적으로 영웅주의적인 서사를 따른다. 주인공 에단은 코만치 인디언에게 납치된 자신의 조카 데비를 구출하기 위해 장장 7년 동안 서부를 방황한다. 그러나 에단은 고전적인 서부극의 영웅들과 달리 이기적이고, 신경질적이고, 인종주의적이라는 점에서 문제적인 인물이다. 그는 죄의식에 사로잡혀 있으며, 욕망에 눈이 멀어 있으며, 사랑하는 대상을 상실한 아픔에 자기 스스로를 파괴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존 포드가 서부극이라는 장르를 통해 그리고자 했던 것은 단순히 문명화의 성과가 아니라 그 과정에서 불거진 여러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이었다.

      • KCI등재

        경남 서부지역 u-City 서비스 공급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황찬규 ( Chan Gyu Hwang ),김권수 ( Kwon Soo Kim ),윤병섭 ( Byung Seop Yo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경남 서부지역 u-City 서비스 공급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한 u-City 선행연구와 전문가의 토론을 통한 u-City 서비스 내용을 도출한 후 u-City 지정에 합당한 지역의 우선순위, u-city 지정 선결과제 우선순위, u-City 서비스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우선순위 분석대상이 되는 u-City 서비스를 도출하기 위하여 u-City 전문가 190명의 설문의견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u-City 지정 시·군 사이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u-City 지정에 합당한 지역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기준가중치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필요성과 가능성을 각각 지역 사이 쌍대비교로 상대적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준가중치와 상대순위의 값을 행렬로 승한 복합가중치를 경남 서부지역 u-City 지정 우선순위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 경남 서부지역의 우선순위는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u-City 지정 선결과제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u-City 지정에 합당한 지역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기준가중치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요성과 가능성을 각각 지역 사이 쌍대비교로 선결과제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준가중치와 상대순위의 값을 행렬로 승한 복합가중치를 경남 서부지역 u-City 지정 선결과제 우선순위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 경남 서부지역 선결과제의 우선순위는 단체장의 의지, 법과 제도의 확정, 예산의 확충, 민간자본의 확충, 주민정보 교육, 공감대 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경남 서부지역 시·군이 u-City를 지정받기 위해서는 단체장의 의지, 법과 제도의 확충 등이 선결과제의 우선순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경남 서부 시·군 지역 u-City 서비스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즉, 경남 서부 시·군 지역에 u-City 서비스를 공급할 때 항목별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기준가중치와 상대순위의 값을 행렬로 승한 복합가중치를 경남 서부 시·군 지역 u-City 서비스 우선순위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 우선순위는 일자리, 교육, 안전, 보건, 관광, 상거래, 환경, 상징사업, 재난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낙후된 경남 서부 시·군 지역에 u-City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부분은 일자리정보 제공과 교육서비스 등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남 서부지역에 u-City를 지정할 경우 우선순위 1순위는 사천시이다. 시·군 지역에 u-City를 지정할 경우 1순위로 사천시가 제시된 것은 소규모 지역에서도 시 지역을 중심으로 u-City를 지정하여야 한다는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단체장의 의지가 작용한다는 가정 하에서 거창군에 대한 응답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u-City 지정은 사천시가 우선순위 1위로 지적되고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riority issues in u-Cities and their services in the western district of KyongNam. To draw the priority in the target regions for the u-City and its services, literature review, discussion and extensive survey have been performed for u-City experts including 52 professors in academia, 35 researchers, 12 IT engineers in charge of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in the province, 91 state and city officer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regional priorities among cities and states designated as u-City were analyzed. The pairwise comparison between each area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ve priorities. The reason why an area needs to be designated as u-City and the potentiality of the area were considered as weighting attributes in the analysis. The composite weights were calculated by matrix multiplication of weighting attributes and relative prior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gional priorities among cities and states designated as u-City in the western district of KyongNam. The top regional priority is Sa Cheon City and the next are as following: Nam Hae Province, Ha Dong Province, Keo Chang Province, San Chung Province and Ham Yang Province. Second, priorities in prerequisites for being designated as u-City were analyzed. The pairwise comparison between each area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ve priorities. The composite weights were calculated by matrix multiplication of weighting attributes and relative prior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iorities in designating u-City in the western district of KyongNam. From the analysis, the top prioritiy is in the willingness of the city mayor or governor and the next is Firm in legal system, expansion of budget, expansion in private fund, IT education for community, formation of sympathy. Third, priorities in u-City services were analyzed.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that the top priority is in the job opportunity and the next services are education, security, health, tourism, commerce, environment, symbolic industry, prevention of disaster. The most significant in u-City services should be to provide information for job and education service. It was found from the above analysis that the top priority city for u-City is Sa Cheon. It means that there is a sympathy in understanding that urban area should be designated as u-City firstly.

      • KCI등재

        21세기 중국 민족정책의 특징과 전망 : 서부대개발 위주로

        허종국(Hur Jong-Gu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고는 서부대개발의 개발동기와 목적, 그리고 현재까지의 성취를 통해, 본 정책이 21세기 중국의 민족 정책에서 가지는 의미가 무엇이며, 또한 본 정책이 중국 민족정책에서 가지는 효용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서부대개발은 날로 심화되고 있는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시작된 국가균형발전 정책이다. 그러나 이 정책은 광범위한 소수민족지역과 소수민족인구를 그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21세기 중국 민족정책의 핵심정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정책은 경제적 접근법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이 정책이 가지는 정치적 의미는 더욱 크고 중요하다. 이 정책의 실시로 서부지역을 점차 현대화된 지역으로 이끌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상반되게 이곳의 전통적인 문화와 종교는 갈수록 퇴색될 것이다. 아울러 중국 내지로부터 그리고 서방으로부터 중국 서부에 대한 자본투자와 인구이동의 증가현상은 궁극적으로는 소수민족지역에서의 한족의 입지를 갈수록 강화시킬 것이며, 소수민족의 입지는 상반되게 갈수록 약화시킬 것이다. 아울러 분리독립을 추구하는 소수민족들의 입지도 갈수록 약화될 것이다. 서부대개발은 정책실시 5년이 이미 경과되었으며, 향후 50년간 지속될 장기적인 국가의 기본정책이다. 비록 정부의 대대적인 주도하에 많은 성취를 이룩했지만 그러나 동서부간 지역격차는 단기간에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서부소수민족입장에서는 서부지역의 경제발전도 중요하지만, 자신들의 종교와 전통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경제발전논리에 의해 그들이 가진 문화적인 그리고 전통적인 가치관이 훼손되지 않도록 중앙정부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motive, the goal and the meaning of achievement which has been made by Grand-Scale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China's national policy. Grand-Scale Development is a national balance development policy to solve the wide gap between the regions. This policy plays a key role in China's national policy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minorities. The policy is characteristic of well-focused approach to economy. And yet the political meaning of this policy is even more important. Grand-Scale Development will eventually lead the western region to modernization. On the contrary, the regional tradition and culture will fade out as time goes on. In addition, the influx of fund and population from inland and the West into the region will ultimately reinforce the status of the Han in the minorities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minorities' pursuit of independence will be weakened. Grand-Scale Development has progressed for five years, and it will continue for the next 50 years. Although it achieved so much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the wide gap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ill not be clos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the western minorities,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western region is very important. Nonetheless, protecting their religion and tradition is essential. It is requir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give a thorough consideration to preserving the culture and values of minorities which might be damaged by the logic of economic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