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구화와 회귀 -내셔널 표상을 둘러싼 투쟁에 관하여

        니시카와나가오 쌀·삶문명연구원 2008 쌀삶문명 연구 Vol.1 No.-

        시간적 거리를 두고서``서구화와 회귀``라는 내용의 큰 틀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서구화와 일본회귀·재론``의 최종 절 에도 서술한 것처럼``서구화와 회귀``는 일본에 국한되지 않고``서구화의 팽창``에 수반하는 국민국가 시대의 글로벌한 현상이고, ``서구화와 회귀``를 생산하는 메커니즘은 기본적으로는 후발 여러 나라의 국민국가형성에 관련되어있다. 따라서``서구화``든, ``회귀``든, 혹은``전향``과``근대초극(近代超克)``이든, 국민국가 시대의 국가에 관련된 국가이데올로기(넒은 뜻의 내셔널리즘)의 권역 내에 있는 이데올로기적 반응이고, 내셔널표상을 둘러 싼 이데올로기투쟁이었다 고 우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회귀·재론』의``서``5쪽)

      • KCI등재

        중국 현(現)대중문화의 역사적 의의 및 중국 대중문화로서 지속가능한 한류(韓流)의 모색

        안인환 ( In Hwan Ah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한류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은 자국의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국의 문화상품뿐만 아니라 외국의 문화상품에도 획일적인 규제 조치에 기초해 있다. 그것은 중국정부 스스로 구상하는 ‘중국 문화’의 대중화(대중문화를 포함한)를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을 건설하겠다는 의도를 보여준다. 중국에서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은 곧 대중문화를 인문학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한다는 의미다. 이런 측면에서 중국 정부의 규제 조치는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자국의 문화상품에 대한 규제에는 전통과 현대,그리고 외국 문화상품에 대한 규제에는 중국과 서구라는 대립적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대립적 인식, 즉 반서구화와 서구화의 대립은 중국 현대 사상사를 관통하는 문제다. 따라서 중국 정부의 실질적 규제 조치는 단순한 보호주의 정책이라는 의미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상당 기간 안정적이고 완고한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와 반서구화 지식인들이 문화산업의 정책적 측면에서 공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직시한다면, 한류의 지속가능성은 이러한 중국 내부의 대립적 인식 구도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우선 중국에서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라는 기존의 관념을 탈피해야 한다. 한류가 ‘한국’을 강조하면 할수록 소비자인 중국 사람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중국’이 부각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결국 반서구화와 서구화라는 기존의 중국 내부프레임에 갇히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와 함께 중국 지식인 사회의 담론 지형에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이 중장기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것은 곧 반서구화 진영이 힘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현 담론 지형의 변화를 의미한다. 중국 사회에서 한류(또는 외국 문화상품)에 우호적인 담론이 더 많이 생산될수록 그로부터 형성된 여론은 기존의 담론 지형(또는 그것의 구체적 반영인 규제 조치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continuous possibility of the Korean Wave in China. Although China is willing to develop its cultural industry, policies of cultural industry by Chinese government have been still based on undifferentiated regulations of foreign cultural products, as well as its domestic cultural products. It shows that Chinese government has the intention to build Chinese cultural industry through popularity of ``Chinese culture``, including popular culture, which Chinese government itself plans. Historical approaches to popular culture in China mean being equal to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in the humanities perspective. In this respect, regulations by Chinese government need to be inspected in more fundamental perspectives. In other words, in China opposite recognition is rooted that regulations of its domestic cultural products include tradition vs. modernity and those of foreign products contain China vs. the West. This opposite recognition is the issue to penetrate Chinese modernism history. It indicates the opposite of westernization and anti-westernization camp. Therefore, actual regulations by Chinese government will hold out a position with consistent and stubborn policy principles in the future, as well as meaning simple protectionism. Chinese government and anti-westernization intellectuals remain a symbiotic relation in terms of cultural industry policy. The Korean Wave must be reviewed, understanding this opposite recognition in inner China. First of all, the Korean Wave in China has to escape an existing idea, ‘Korean popular culture``. If the Korean Wave emphasizes on ‘Korea’, it cannot emerge as ``China`` to Chinese consumers, respectively. In the end, it results in being trapped in the frame of existing inner China that is westernization and anti-westernization. In addition, long-term strategies to intervene into discourse in the inner society of Chinese intellectuals should be considered. This explains a change in contemporary discourse that anti-westernization camp is superior. The more positive public opinions of the Korean Wave(or foreign cultural products) are, the more direct effect they have on an existing discourse(or regulations influenced from this).

      • KCI등재

        1950년대 후반 한국영화 속 도시의 문화적 풍경과 젠더

        강성률(Kang, Seung-Ryul) 도시사학회 2012 도시연구 Vol.7 No.-

        이 글은 1950년대 후반 한국 영화 속 도시의 문화적 풍경과 젠더 문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로 분석한 영화들인 〈자유부인〉 〈서울의 휴일〉〈여사장〉 〈촌색씨〉 〈자유결혼〉〈지옥화〉 등에서는 모두 서구화된 도시생활의 모습들을 그리고 있다. 특히 여성이 서구화된 미국 문화의 주인공이 되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완전한 서구화가 아니기 때문에 여성은 여전히 존재하는 봉건제와 충돌해야만 한다. 당시 영화를 보면 다음과 같은 시대적 욕망을 읽을 수 있다. 첫째, 당시 영화는 대중이 기억하기를 꺼려했던 전쟁의 상처를 그리지 않는다. 둘째,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서구화된 욕망인데, 그것은 철저히 미국화된 것이었다. 셋째, 당시 영화에는 개인주의가 강하게 나타난다. 넷째, 이념적인 영화가 그리 많지 않았다. 다섯째, 서구의 풍경을 동경하지만 가부장 이데올로기가 숨어있었다. 이 때문에 당시 영화에는 서구화와 봉건제가 은밀히 충돌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당시 한국사회의 모습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ultural scenery of cities and gender issues in Korean films of the late 1950s. The films discussed in the article all portray aspects of everyday life in westernized cities. In particular, female characters are assigned the leading roles in a westernized American cultural background and play a more active and dynamic role in relation to the male characters. However, since Korean society is not completely westernized the women in the films cannot avoid clashing with the feudal conventions that are prevalent. We are able to read into the of the social desires of the time in the films of this period. Firstly, the films of the period do not portray the horrors of the Korean War which the audience of the time did not care to recollect. Secondly, what has been put in its place are westernized desires, which are exclusively Americanized. Thirdly, a strong element of individualism can be observed. Fourthly, we cannot find an abundance of films with a distinct ideological theme. Fifthly, whilst there is a clamour for a more liberal western atmosphere, a patriarchal agenda is always hidden in the background. Consequently there is always a clash between westernization and feudalism in the Korean films of the period. This was an actual portrayal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 KCI등재후보

        해방 이전 여학생 교복차림의 서구화

        김윤(Kim Y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4 조형디자인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전 여학생 교복을 대상으로 서양식 복식의 유입이 어떤 식으로 나타났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당시의 여학생 교복의 형태와 스타일링, 그리고 유행에 따른 변화와 그 요인을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범위는 개화기에 들어서며 한국 최초의 여학교 이화학당이 생겨난 1886년부터 해방이 된 1945년까지이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대적 교육의 확대는 한국의 복식의 근대적 변화를 가져오는데 있어 그 어떤 다른 요인들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여학교의 학생들은 복식 유행의 선두 역할을 하게 되었다. 저고리의 길이가 길어지고, 치마는 짧아지는 등의 한복의 개량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복식의 개량과 서구화에는 여학생 교복의 영향력이 컸다. 또한 원피스, 점퍼스커트, 세일러복 등을 교복으로 채택하는 여학교도 많았으며 이는 당시 여학생들이 서양식 평상복을 처음으로 접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여학생 교복의 서구화는 일반인 여성들이 서양식 의복을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and the way of the inflow of Western style in the female students' school uniforms before the liberation. Scope of research was from 1886, when Korean first female school, Ewha school was founded till 1945, the liberation. as the method of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were combined. The result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Expansion of modern education took more important role than other factors to bring modern change of Korean fashion, also, female school students took the leading role in fashion trend. There was a big influence of female students' school uniform on this improvement of the westernization of fashion. Also, there were lots of female schools which adopted one-piece dress, jumper skirt, sailor style uniform, etc. as their school uniform, which took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western style casual clothes to the female students of that time. The westernization of female students' school uniforms paved the way for the general female fashion to be influenced by the western style clothes.

      • KCI등재

        인도음악의 서구화와 중용적 표현에 대한 연구- 사르감(sargam)의 사용 분석을 중심으로 -

        류은주(Eunjoo Ryu),김동문(Dong Moon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문화와 음악의 전지구화 현상 속에서 인도의 음악 또한 영향권에 진입하였다. 영화음악으로 점유되고 있는 현대의 인도음악 양식은 서구적 관점으로 해석해도 큰 무리가 없는 형식으로 변모하였다. 신시사이저를 바탕으로 한 팝 음악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사운드 구성과 BPM으로 계산 가능한 규칙적인 템포 등이 변화의 중심이 되었다. 화성이 단순하고, 선법적으로 강한 색채를 드러내며, 독특한 선율 전개를 통해 그나마도 전통성을 유지하였었던 형태도 이제는 위태롭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인도음악 선율이 지니는 특징을 탐구해보고, 그러한 선율들이 현대의 음악 속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서구화가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선율의 서구화가 지니는 함의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작품으로는 21세기 전후에 인도의 모차르트라 불리는 음악감독 A. R. 라만 작품 중에서 “루카 추피(Luka Chuppi)”, “카리예 나(Kariye na)”, “테레 빈나(Tere Bina)”를 선정하였으며, 이에 표현된 절제된 미분음을 통한 세계성과 사르감 가창을 통한 전통성의 혼용이 시사하는 바를 드러내고자 한다. In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and music, Indian music has also entered into influence. Contemporary Indian music style, which is occupied by film music, has been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does not seem to be large enough even if it is interpreted from a Western point of view. The composition of the sound that can feel the western pop music flavor based on synthesizer and the regular tempo that can be calculated by BPM became the center of change. It is now at stake for harmony to maintain simple, preconceived colors, and maintain its traditional style through unique melody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we will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an music melodies traditionally then examine how these melodies westernize within contemporary music, including the implications of westernization of melody. The works for analysis include “Luka Chuppi”, “Kariye na” and “Tere Bina” among the A. R. Rahman works of music director ‘Mozart’, India, before and after the 21st century. Also, this dissertation is shown the implication of the mixture of the world through the tempered differential sound expressed in this way and the traditionality through the sargam singing.

      • KCI등재

        한국의 근·현대 구상회화에 나타난 재현경관의 탐색 II: 도시민의 일상생활에 반영된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정희선,김희순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has examined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people? daily lives represented in the Korean figurative paintings from the 1890? to the 1970? from the perspective that paintings are a kind of documents recording various features and phenomena in reality. The Korean life styl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stern capitalist culture in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sectors introduced from the open-door policy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the Korean War, New Life Movement, and the government? housing policy. However, the paint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option of Western culture according to an individual?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paintings of the 1910? depicted western-style haircuts and clothes of male figures, which preceded the changes in appearances of female figures. Western clothing styles spread differently among women in accordance with one? age and marital status. In contras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types depicted in the pictures show that the social class was a major factor in adopting the modern style. People of the upper class eagerly accepted foreign house styles. High-density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s were portrayed as middle-class residential areas, while row houses on hillsides in the paintings showed the poor living conditions of the lower class. In terms of the set of social and behavioral norms, the paintings described changing roles of women after the Korean War. The paintings vividly portrayed the youth rebuilding the country and the cityscape newly formed after the war. Examining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s in artwork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area studies by obtaining qualitative data on socio-spatial changes of urban areas. 본 연구에서는 구상회화가 시대의 흐름에 따른 공간과 사회의 변화를 보여주는 기록물로서 경관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구상회화 속에 나타난 도시민들의 일상생활의 근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상회화작품들에 재현된 개항기 이후의 생활양식의 근대화는 서구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시민의 생활양식은 개항, 갑오경장, 6·25 전쟁, 신생활 운동, 정부의 주택 정책 등 제도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의 변화로부터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서구 문물의 수용은 개인의 성별,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따라 상이하게 전개되었다. 빠른 속도로 서구화의 과정을 거친 남성의 두발 및 의복이 이미 1910년대에 제작된 인물화에 반영되었다. 여성 복식의 서구화는 완만한 속도로 이루어졌으며 연령과 기혼여부에 따라 다르게 수용되었다. 이에 비해 개항기 이후 주거양식의 변화는 사회계층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상류층을 중심으로 외래 주거양식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1940년대와 1950년대 회화작품에 묘사된 도시형 한옥은 중산층의 거주지 경관으로 묘사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남성보다는 여성 역할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전후 복구로 번영하는 모습은 빌딩군으로 가득찬 서울 도심의 모습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도시경관과 도시민의 일상에 대한 연구는 공간과 그 공간 속에 담겨진 사회의 속성과 변화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고 각 지역이 갖는 고유성, 그리고 지역마다 가지는 공통된 유형의 성격까지도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연구의 내용을 보다 다양하고 풍부하게 하며, 새로운 장소 자산 발굴에도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국가동원체제 시기 '혼분식 장려운동'과 식생활의 변화

        공제욱(Kong Jae-wook)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7

        이 논문은 ‘혼분식 장려운동’의 성격과 그 추진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박정희 정부의 국가동원체제의 한 측면을 밝히고, 이 운동의 효과를 식생활의 서구화와 연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가 어떠한 강제적 수단을 동원하여 시민의 일상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식생활에 개입하려고 했고, 또 개입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려고 했다. ‘혼분식 장려운동’은 내용상 ‘혼식 장려’와 ‘분식 장려’라는 두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분식 장려’는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로 값싼 밀가루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국가가 우리 사회의 식량 소비의 패턴을 바꾸고자 한 국가동원정책이었다. ‘혼식 장려’의 효과와 ‘분식 장려’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혼식 장려’의 영향은 일시적이었던 것에 비해 ‘분식 장려’의 영향은 훨씬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것이 되었다. 그 결과 우리의 전통적 식생활에서 주식이 되는 주요 소비 곡물이 ‘쌀+보리’에서 ‘쌀+밀’로 바뀌게 되었다. 이것이 우리 식생활 ‘서구화’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This paper focuses on an aspect of Park Chung-Hee Government's state-mobilization system by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driving method of 'Honpunshik Changny-o Undong'(HCU-Movement for eating boiled barley and wheat flour food). And this paper also analyzes effects of HCU-Movement relating to westernization of dietary life. Furthermore, I examines how the government tried to intervene citizens' dietary life, a personal area of their everyday-life, by coercive devices. HCU-Movement has two meanings which are 'movement for eating boiled barley' and 'movement for eating wheat flour food': 'Movement for eating wheat flour food' was a state-mobilization policy in order to change a pattern of societal food consump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cheap wheat was offered by U.S. food aid. Effects of 'movement for eating boiled barley' and 'movement for eating wheat flour food' appeared differently. The effect of 'movement for eating boiled barley' was temporal but 'movement for eating wheat flour food' had a long and constant effect on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se processes, principal grain in our dietary life was changed from 〈rice+ barley〉 to 〈rice+wheat〉. This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westernization of dietary life'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근,현대 구상회화에 나타난 재현경관의 탐색 2: 도시민의 일상생활에 반영된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정희선 ( Hee Sun Chung ),김희순 ( Hee Soon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구상회화가 시대의 흐름에 따른 공간과 사회의 변화를 보여주는 기록물로서 경관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구상회화 속에 나타난 도시민들의 일상생활의 근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상회화작품들에 재현된 개항기 이후의 생활양식의 근대화는 서구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시민의 생활양식은 개항, 갑오경장, 6·25 전쟁, 신생활 운동, 정부의 주택 정책 등 제도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의 변화로부터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서구 문물의 수용은 개인의 성별,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따라 상이하게 전개되었다. 빠른 속도로 서구화의 과정을 거친 남성의 두발 및 의복이 이미 1910년대에 제작된 인물화에 반영되었다. 여성 복식의 서구화는 완만한 속도로 이루어졌으며 연령과 기혼여부에 따라 다르게 수용되었다. 이에 비해 개항기 이후 주거양식의 변화는 사회계층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상류층을 중심으로 외래 주거양식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1940년대와 1950년대 회화작품에 묘사된 도시형 한옥은 중산층의 거주지 경관으로 묘사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남성보다는 여성 역할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전후 복구로 번영하는 모습은 빌딩군으로 가득찬 서울 도심의 모습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도시경관과 도시민의 일상에 대한 연구는 공간과 그 공간 속에 담겨진 사회의 속성과 변화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고 각 지역이 갖는 고유성, 그리고 지역마다 가지는 공통된 유형의 성격까지도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연구의 내용을 보다 다양하고 풍부하게 하며, 새로운 장소 자산 발굴에도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people`s daily lives represented in the Korean figurative paintings from the 1890`s to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that paintings are a kind of documents recording various features and phenomena in reality. The Korean life styl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stern capitalist culture in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sectors introduced from the open-door policy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the Korean War, New Life Movement, and the government`s housing policy. However, the paint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option of Western culture according to an individual`s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paintings of the 1910`s depicted western-style haircuts and clothes of male figures, which preceded the changes in appearances of female figures. Western clothing styles spread differently among women in accordance with one`s age and marital status. In contras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types depicted in the pictures show that the social class was a major factor in adopting the modern style. People of the upper class eagerly accepted foreign house styles. High-density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s were portrayed as middle-class residential areas, while row houses on hillsides in the paintings showed the poor living conditions of the lower class. In terms of the set of social and behavioral norms, the paintings described changing roles of women after the Korean War. The paintings vividly portrayed the youth rebuilding the country and the cityscape newly formed after the war. Examining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s in artwork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area studies by obtaining qualitative data on socio-spatial changes of urban areas.

      • KCI우수등재

        국가동원체제 시기 "혼분식 장려운동"과 식생활의 변화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7

        <P>이 논문은 ‘혼분식 장려운동’의 성격과 그 추진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박정희 정부의 국가동원체제의 한 측면을 밝히고, 이 운동의 효과를 식생활의 서구화와 연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가 어떠한 강제적 수단을 동원하여 시민의 일상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식생활에 개입하려고 했고, 또 개입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려고 했다.</P><P> ‘혼분식 장려운동’은 내용상 ‘혼식 장려’와 ‘분식 장려’라는 두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분식 장려’는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로 값싼 밀가루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국가가 우리 사회의 식량 소비의 패턴을 바꾸고자 한 국가동원정책이었다.</P><P> ‘혼식 장려’의 효과와 ‘분식 장려’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혼식 장려’의 영향은 일시적이었던 것에 비해 ‘분식 장려’의 영향은 훨씬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것이 되었다. 그 결과 우리의 전통적 식생활에서 주식이 되는 주요 소비 곡물이 ‘쌀+보리’에서 ‘쌀+밀’로 바뀌게 되었다. 이것이 우리 식생활 ‘서구화’의 핵심적인 내용이다.</P>

      • KCI등재

        1960~70년대 문인의 해외기행문에 나타난 ‘세계․네이션․ 교양’의 탈구축과 문화정치 -이어령, 정연희, 최인호의 해외기행문을 중심으로-

        추선진 우리문학회 2024 우리文學硏究 Vol.- No.81

        이 논문은 세계․네이션․교양의 이데올로기가 교차하는 지점으로서 해외기행문에 접근하는 한편, 이어령과 정연희와 최인호의 해외기행문을 통해 탈식민 시기 한국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세계․네이션․교양의 이데올로기적 장치에 균열을 일으키고 비판적 굴절을 만드는 문학적 상상력의 면모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어령의 해외기행문은 비판적 인문학자가 바라본 서양과 한국의 비교문화론이다. 이어령은 시종일관 비판적 관점에서 서양의 정신적 본질을 탐구하며, 서양문화와 다른 한국인의 기질과 정체성, 문화적 개별성을 확인한다. 이어령에 따르면 서양은 관념 속에 있는 피상적인 환상에 불과한 것이다. 이어령은 서양의 문명이 정복자의 문명이라고 비판하며,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은 이러한 서구 문명과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재정립함으로써 구성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정연희의 해외기행문은 소설 작품에서 구축한 현대 문명에 대한 휴머니즘적 성찰을 바탕으로, 서구적 근대화를 추종하는 당대의 세계주의와 교양주의를 성찰한다. 정연희에 따르면, 한국은 서구의 모방 국가이다. 한국이 추진하는 산업화를 통한 경제성장은 맹목적인 근대화의 한 과정이며, 근대화란 곧 서구화와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연희가 바라본 근대화는 전쟁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고 인간성을 쇠락시키는 파괴적인 문명에 지나지 않는다. 정연희는 자기만의 독자적인 시선으로 문명화에 담긴 서구화의 패권주의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청년문화의 기수로서 최인호는 이어령이나 정연희와 달리 교양을 통한 세계와 한국문화에 대한 성찰을 부각하기보다는 자유와 평화에 기반한 인간성 회복 운동의 실천으로서 문학적 상상력의 실현을 강조한다. 최인호의 해외기행문은 세계 각국의 청년문화운동을 접하고, 다양한 인종의 청년들과 교류하며, 사회를 변화시키는 변혁의 힘으로서 젊음의 문화를 주목한다. 요컨대 최인호에게 서구의 우월성을 극복하는 방법론은 청년문화의 에너지이며, 그것은 곧 문학적 상상력이 꿈꾸는 미래를 현실화하는 것에 있다. 문인의 해외기행문에 나타나는 문학적 상상력은 세계-네이션-교양의 결합을 탈구시키며 새로운 주체성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어령은 보편으로서의 세계주의와 교양주의를 심문하는 탈식민적 상상력을, 정연희는 다른 보편을 통해 세계주의와 네이션을 허구적 담합을 비판하는 탈서구적 상상력을, 최인호는 교양과 세계의 위계화된 연결을 무력화하는 탈권위적 상상력을 보여주며,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이 독자적인 개별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길을 탐구한다. 이처럼 문인의 해외기행문은 1960~70년대 한국적 근대성의 대안적 가능성의 모색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nents of literary imagination that create cracks and facilitate critical refraction in the ideological devices of the Cosmopolitanism-Nationalism-Bildungworld, through the travel reports of Lee Eo-ryeong, Jeong Yeon-hee, and Choi In-ho during the world travel period. It approaches the world travel period as a point where the ideologies of the Cosmopolitanism-Nationalism-Bildung intersect. Lee Eo-ryeong’s World Travel Journal compared Western and Korean cultures through the lens of a critical humanist. Lee Eo-ryeong explored the spiritual essence of the West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cross time, and confirmed the temperament, identity, and cultural individuality of Koreans as distinct from those from Western cultural backgrounds. According to Lee Eo-ryeong, the West is nothing more than a superficial illusion in the form of an idea, calling Western civilization the civilization of the conqueror, and said that Korea’s cultural identity should be constructed by critically redefining relations with Western civilization. Jeong Yeon-hee’s travelogue reflects on the cosmopolitanism and liberalism of the time that followed Western modernization based on a humanistic reflection on modern civilization established in her novel. According to Jeong Yeon-hee, Korea is a copy of Western countries because economic growth through industrialization promoted by Korea is a process of blind moderniz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Westernization. However, modernization, from Jeong Yeon-hee’s perspective, is destructive, pursues profits, and deteriorates humanity through war. Jeong Yeon-hee critically reflected on the hegemony of Westernization contained in civilization from her perspective. As a flag bearer of youth culture, Choi In-ho emphasized the realization of literary imagination as a practice of a movement to restore humanity based on freedom and peace, rather than emphasizing reflection on the world and Korean culture through liberal arts, unlike Lee Eo-ryeong and Jeong Yeon-hee. Choi In-ho’s overseas travel literature focuses on youth culture as a transformative force that encounters movements worldwide, interacts with young people of various races, and changes society. Choi In-ho considered the energy of youth culture a means to overcome the superiority of the West, which can be realized through a future envisioned by literary imagination. The literary imagination that appears in the writers’ world travel period dislocates the combination of the Cosmopolitanism-Nationalism-Bildung and pursues a new subjectivity. Lee Eo-ryeong’s post-colonial imagination to interrogate cosmopolitanism and liberalism as a universal, Jeong Yeon-hee’s post-Western imagination to criticize cosmopolitanism and the nation through other universities, and Choi In-ho’s post-authoritative imagination to neutralize the hierarchical connection between culture and the world, explores how Korea’s cultural identity can gain individuality. The writer’s world travelogue is significant as it shows the search for alternative possibilities for Korean modernity in the 1960s and 197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