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이후 통합행위에 대한 피인수기업 구성원의 지각이 조직지원인식을 매개로 성과향상활동에 미치는 영향

        권인수(Kwon, In Su),최항석(Choi, Hang Suk),최영근(Choi, Yeong Ge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M&A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 M&A이후 통합행위에 대한 피인수기업구성원의 지각이 조직지원인식과 성과향상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 있어 조직지원인식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통합행위에 대한 피인수기업 구성원의 지각은 고용안정성과 조직문화보존을 설정하였으며, 성과향상활동은 생산성향상활동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은 대기업에 인수된 피인수기업의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에는 184개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용안정성과 조직문화보존은 조직지원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생산성향상활동에 긍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이 고용안정성과 생산성향상활동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문화보존과 생산성향상활동간의 관계에는 부분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employee’s perceptions on integration practices after M&A effects on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y. The study also analyze mechanism by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This study establishes a research model, including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employee’s perception on integration practices such as job security and the preservation of organization culture, the mediating variable of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and the dependent variable of productivity improvement activity. This study tests the research model employing 184 survey data from a local conglomerate. The conclusions made by this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of all, employee’s perception on integration practices of job security and the preservation of organization culture turns out to be statistically effective and meaningful with regard to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Second, this study finds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productivity improvement activity. Finally, job security affected productivity improvement activity only through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but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rvation of organization culture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ctivity.

      • KCI등재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문성옥(Moon Sung Ok),이지만(Lee Ji Man),이주일(Lee Ju Il)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4 No.4

        조직내 대인 신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내 대인 신뢰를 높이기 위한 선행요인과 효과성을 다룬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조직내 대인 신뢰의 선행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신중한 선발, 교육훈련, 성과관리, 고용 안정성, 퇴직관리)의 영향을 살펴보고, 결과변수로써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직내 대인 신뢰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이 조절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전체 모형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 재직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히 응답한 총 34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PROCESS macro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내 대인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조직내 대인 신뢰는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조직내 대인 신뢰가 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넷째,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직내 대인 신뢰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내 대인 신뢰를 거쳐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서도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Thus, we suggest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selective recruitment, 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job security, and retirement management) as a antecedent of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nd investigate how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ffects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We als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nd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perceiv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and ultimately advance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To test our suggested hypotheses,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mployees in Korean firms, but 59 of them were incomplete, leaving 341 completed samples for dat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were employed to test the suggested hypotheses. Our results show that first,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Second,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positively affects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Third, we find that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is an important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mployees’ productivity-enhancing behavior.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and the outcome variable is positively contingent on the level of perceive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Finally, we find strong support for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 스마트온실 생산성 향상 지표와 경영체의 생산량 간의 영향관계 - 전라남도 파프리카 경영체를 중심으로 -

        하지영,이승현,김덕현,이혜림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국내 농업경영체에 스마트온실의 도입이 증대되는 가운데 스마트온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육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은 생육환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지영 외(2019)가 4M을 기준으로 개발한 스마트온실의 생산성 향상 지표을 기준으로 스마트온실 경영체에 대입하여 지표와 생산량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가장 먼저 스마트온실을 도입한 파프리카 작목을 중심으로 전남지역 스마트온실 13개 경영체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경영체의 경영성과 분석 결과에서 10a당 생산량을 기준으로 세집단(상,중,하)으로 구분한 뒤 지표를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하지영 외(2019)의 지표에서 가중치가 높은 부문은 인력 .203점, 설비 .440점, 방법 .254점, 자재 .103점 순으로 설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중지표에 따른 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하위집단 3.00점, 중위집단 3.04점, 상위집단 3.06점으로 집단 간 지표 점수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표와 생산량 증대 간의 영향관계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생산성 지표를 관리를 잘 할수록 생산량 증대에 유의미한 영향(B=16.667, t=2.400, p<.035, F=5.761, R2=.344)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량이 높은 경영체일수록 지표 상 가중치가 높은 부문에 대하여 관리를 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온실 도입 경영체의 생산량 확대를 위해서는 4M기준의 생산성 향상지표를 토대로 정책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특정지역의 파프리카 농가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과 표본의 수가 작아 차이검증에서도 통계적인 의미는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의 스마트온실을 대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과제번호 319002-01-1-HD0c0).

      • KCI등재

        조리사 유니폼의 구성요소가 직무만족과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지응(Kim, Jieung),최진희(Choi, Jinhee),강진희(Kang, Jin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관광연구 Vol.33 No.5

        본 연구는 그동안 외식산업의 폭팔적 증가세에도 불과하고 산업의 한 축인 인적자원인 조리사들의 유니폼이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외식업체의 전문조리사를 대상으로 유니폼의 구성요소가 직무만족과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외식업체 조리종사원들의 유니폼의 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사점과 학문적 기초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있다. 위의 연구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특 1급 호텔 및 외식업체에 종사하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4월 30일 까지 312명을 유효 표본으로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PLS-SEM의 한 종류인 SmartPLS 3.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해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니폼의 착용에 대해서 상징성, 심미성, 기능성의 구송요소 중 상징성 같은 경우 로고나 이니셜에 대한 신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리사 유니폼의 구성요소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니폼의 하위요소인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 등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사의 직무만족은 생산성 향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유니폼을 통한 직무만족이 결과적으로 생산성 향상으로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식기업의 조리종사원 유니폼의 개선과 개발에 향후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however, found that the explosive growth of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he human resources of the restaurant industry, was not enough to study the impact of the uniforms on productivity improvement. Also, the study s ultimate goal is to establish academic fundamentals and implications that can positively impact productivity gains by improving the uniforms of cooking staff at restaurants. To analyze the above research findings, 312 persons are collected from 1 April 2017 to 30 April 2017 for Social Studies by chefs working in a major hotel and restaurant business in Seoul.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artPLS 3.4 a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problem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symbolic elements of wearing uniforms are symbolic, aesthetic, and functional elements, they show great trust in the logo or initials. Second, verification of the impact of component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a cook s uniform shows that the sub-component of the uniforms, such as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ymbolism, a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rd, it can be said that a cook s job satisfaction has an impact on productivity gains (+), which is reflected in job satisfaction through a uniform, resulting in productivity gai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cooking staff uniforms of food companies.

      • KCI등재

        목재다면체 생산성향상 연구 -정다면체를 중심으로-

        김상섭,서진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Among the polyhedral teaching aid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upply of wooden polyhedrons is limited because they are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by skilled workers’ handwork due to high manufacturing difficulty. In order to overcome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wooden polyhedrons, and to improve the production method by using a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 from previously depending on the hand made of skilled personnel. The research scope was focused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a regular polyhedron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work. The research method is, first, to derive problems that appear while reproducing the existing working process through a mechanical process and manual process by skilled manpower, and second, it is empirical research to fi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productivity through the experimental production process using CNC machines.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roduction was limited due to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mental production of three of the five types of wooden regular polyhedrons by hand, second, while experimenting with a dodecahedron with a CNC machin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ecision and production volume could be significantly ahead of the existing methods of handicrafts in terms of quality and productivity, and third, the possibility of shortening the adhesion process was not possible because the short grain of the material left it thinner was easily broken, and the larger the volume, the more inconvenient the work was. Ra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ing bonding process was more reasonable. This study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small-scale experiments by an individual researcher and insufficient data. It is regrettable that the finished product did not reflect the consumer's evaluation, but I hope that the customer will respond to the product with a high degree of completion that is precisely manufactured by CNC machines. In the future, in-depth follow-up research is expected to be drawn with excellent results and reflected in the production site. 초, 중, 고등학교용 다면체교구 중에 목재다면체는 제작난이도가 높아서 숙련된 인력의 수공업으로 소량 생산되기 때문에 공급에 한계가 있었다. 이런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목재다면체의 생산성향상에 목적을 두고, 기존에 숙련된 인력의 수공업에 의존하던 생산방법을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기계를 활용해서 제작하는 것으로 생산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제작기술적인부분에 집중하였고 실험제작물로는 정다면체를 선정했다. 연구방법은 첫째, 기계공정과 숙련된 인력의 수작업공정을 거치는 기존 작업과정을 재연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둘째, CNC 기계를활용하는 실험제작과정을 통해서 생산성향상의 가능성을 찾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내용은 첫째, 목재 정다면체 5종 가운데 3종을 기존의 수공업으로 실험제작 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제작의 난이도 때문에 생산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십이면체를 CNC 기계로 실험 제작하면서 정밀함과 생산량에서 기존 수공업에 의존하던 방법보다 품질과 생산성에 크게 앞설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셋째, 접착공정까지 단축시킬 수 있는 가능성실험은, 소재의 얇게 남긴 부분의 가로결이 쉽게 부서지고 또한 부피가 커질수록 작업이 불편해져서 원하는 성과를 얻지 못했다. 오히려 기존의 접착공정이 더 합리적이라는 것만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연구자 개인의 소규모 실험 및 생산에 관련된 부족한자료 등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완성된 제품이 소비자의 평가가 반영되지 않은 점이 아쉽지만 CNC 기계로 정밀하게 제작된 완성도가 높은 제품에 소비자의 호응이 있기를 바란다. 그리고 앞으로 깊이 있는 후속연구가 우수한 결과로 도출되어서 생산현장에 반영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근로자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문성옥(Sungok Moon),이종엽(Jongyeop Lee)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5 産業關係硏究 Vol.25 No.1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 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서 생산성 향상을 연구 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00명의 대상 중 성실히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have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a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e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productivity enhancement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 KCI등재

        AHP/IPA를 이용한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향상 방안 연구

        김선구 ( Sun Gu Kim ),최용석 ( Yong Seok Choi ),윤동하 ( Dong Ha Yu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3 해운물류연구 Vol.29 No.2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측면의 생산성 향상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작업의 상호작용성을 고려한 17개 생산성 향상요인을 도출하였고, AHP와 IPA 분석을 통해 생산성 향상요인들의 포지셔닝을 확인하고 전략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IPA 분석결과 적하분 리마샤링, 양하블럭 리마샤링, 양하작업시 블록 분산장치, 장비 예방정비 철저 요인들은 중요도는 높으나 성취도가 낮은 Ⅳ사 분면에 위치하고 있어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집중적 개선이 필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입베이 POD Mix 최소화, Damage 컨테이너 구분장치, Emty 장치시 선사 및 Type Size 구분, 정확한 운전자 근무교대로 타임로스 최소화 요인은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도 상대적으로 낮아 점진적 개선이 필요한 Ⅲ사분면에 포지셔닝 되었다. In this study, 17 factors were extract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of each workspace based on operation conditions of the container terminal. And this study discovered positioning of productivity improvement factors on by the AHP/IPA analysis.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factors that belonged to the quadrant Ⅳ were the loading container remarshalling, the discharging block remarshalling, the discharging block dispersion, and the thorough preventive maintenance. This study also concluded that these productivity improvement factors that requires intensive improvement. Additionally, productivity improvement factors(storage bay POD discharging, separation of hipper & type size inn empty stacking, separation stacking for damage container, correct work shift for time loss minimum) that belonged to the quadrant Ⅲ should gradually be improved.

      • 근로자 생산성 향상 몰입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문성옥,이종엽,이지만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3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근로자의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써 생산성 향상 몰입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0명의 대상 중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is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a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ti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mediation effects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a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i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a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influenced the productivity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s.

      • 근로자 생산성 향상 몰입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문성옥,이종엽,이지만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근로자의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써 생산성 향상 몰입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0명의 대상 중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is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a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ti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mediation effects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a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i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a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influenced the productivity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s.

      • KCI등재

        인적자산투자가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권기정(Kwon Gee-J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07 국제회계연구 Vol.0 No.20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인적자산투자(인건비와 교육훈련비)가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제학에 있어서의 내생적 성장모형을 분석모형으로 이용함으로써 인건비나 교육훈련비와 같은 인적자산투자와 기업의 생산성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실제 분석에 있어서는 인적자산투자와 관련된 변수에 따라 모형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인적자산에 대한 투자 중 어떠한 투자가 생산성 향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인적자산투자는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특히 인건비는 교육훈련투자보다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컸을 뿐만 아니라, 자본투자변수보다도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적자산에 대해 연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기업의 인사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expenditure (labor cost and education and training cost) on productivity growth in the KSE markets. Especially we hav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endogenous growth models. We also use three empirical models to test separate impact of labor cost and education and training cost on productivity growth.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human resource expenditure do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irms productivity growth. Especially labor cost have more impact on productivity growth than education and training cost and capital. This results provide that most Korean firms' current human resource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