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샌드위치 타입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사용한 인공고관절 치환술

        하용찬(Yong-Chan Ha),조세현(Se-Hyun Cho),정순택(Soon-Taek Jeong),박형빈(Hyung-Bin Park),황선철(Sun-Chul Hwang),정재헌(Jae-Heon Jeong),구경회(Kyung-Hoi K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세라믹 라이너에 폴리에칠렌을 부착시킨 샌드위치형 세라믹-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3예의 세라믹 라이너 골절 및 탈구에 대하여 그 원인 및 예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샌드위치형 세라믹 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146예(129명) 중 최소 2년 추시(범위, 4년 6개월-2년)된 128예(110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01예(85명), 여자가 27예(25명)이며, 48.8세(범위, 17-78세)이었다. 수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매 1년마다 추시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인 평가를 하였다. 결과: 평균 32개월 추시상, Merle d’ Aubigne hip sear는 평균 8.4점에서 평균 16.7점으로 향상되었고, 우수가 110예(86%), 양호가 18예(14%)로 평가되었다. 최종추시에서 방사선 소견상 전례에서 비구 및 대퇴골주위에 골성고정을 얻었고 비구 및 대퇴부의 골위축이나 삽입물의 이동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3예에서 세라믹 라이너 골절과 탈구가 발생하여 샌드위치 형이나 폴리에틸렌 형의 라이너로 교체하였다. 결론: 샌드위치형 세라믹 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단기성적은 우수하나 2%예 높은 세라믹 골절률은 샌드위치형 세라믹 라이너의 사용시 고려해야할 사항이라 판단되며, 비구컵의 고정시 보다 정확한 전염각과 경사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using a cementless, sandwich (alumina-polyethylene-titanium) acetabular component and the cause of three ceramic liner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December 2001, one hundred and twenty eight (110 patients) among 146 cases (129 patients) who were underwent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using a sandwich type acetabular component, were followed up for minimum 24 months (range, 54-24 months). Among 110 patients, 85 patients (101 cases) were men and 25 patients (27 cases) were women. Their mean age was 48.8 years (range, 17-78 years) old. The patients were examin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at postoperative 1 month, 3 months, 6 months, 1 year and every year, thereafter. Results: At the median followup of 32 months, the average Merle d'Aubigne and Postel score had improved from 8.4 to 16.7. Results were graded as excellent in 110 hips (86%), and very good in 18 hips (14%). At the last followup, all component including acetabular cup and femoral stem acquired firm bony union. Neither component migration nor acetabular osteolysis was detected. Finally three fracture and dislocation of ceramic liner developed and the fractured liners were changed other sandwich type or polyethylene liner. Conclusion: Even though short-term clinical result of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using sandwich type acetabular component is excellent, two percent of the ceramic liner fracture incidence is unexpected high. So we have to caution with using sandwich acetabular cup. In addition, ceramic acetabular cup need more precising surgical technique.

      • KCI등재

        세라믹 샌드위치 라이너와 3세대 Zweymu ller 주대를 이용한 일차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8년 추시 결과

        문도현 ( Do Hyun Moon ),김남기 ( Nam Ki Kim ),왕일환 ( Il Whan Wang ),이상진 ( Sang Jin Lee ),최장석 ( Jang Seok Choi ) 대한고관절학회 2014 Hip and Pelvis Vol.26 No.1

        목적: 세라믹 샌드위치 라이너와 3세대 Zweymuller 주대를 이용한 일차성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8년 이상 추시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7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세라믹 샌드위치 라이너와 3세대 Zweymuller 주대를 이용해 일차성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최소 8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86명 10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50.8세(17-77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12개월(98-127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Harris 고관절 점수, 대퇴부 통증 등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방사선투과성선, 대퇴 삽입물의 침강, 비구컵의 이동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57.8점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91.9점으로 향상되었다. 방사선 투과성선이 Gruen zone 1에서 40예(37%), zone 7에서 35예(33%)에서 관찰되었으나 삽입물의 이동이나 해리는 없었다. 합병증으로 세라믹 라이너의 골절이 6예(5.6%), 라이너의 해리 1예(0.9%), 감염으로 인한 대퇴 삽입물의 해리 1예(0.9%)가 있었다. 결론: 세라믹 샌드위치 라이너와 3세대 Zweymuller 주대를 이용한 일차성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8년 이상 추시에서 대퇴 주대는 생존율 99.1%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세라믹 라이너는 생존율 93.5%로 라이너 골절과 해리에 대한 우려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nimum eight-year follow up results of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performed using an alumina sandwich liner and the third Zweymuller stem.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6 patients (107 hips) who underwent a THA with alumina sandwich liners and the third Zweymuller stems from July 2001 to December 2003 were analyzed. Mean age of patients at the time of THA was 50.8 years (range, 17-77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12 months (range, 98-127 months).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and level of thigh pain. The radiographic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radiolucent line, subsidence of the stem, migration of the ace tabular cup, and proof of loosening.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mean Harris hip score had improved from 57.8 points to 91.9 points. Radiolucent line was observed at Gruen zone 1 in 40 cases (37%) and at zone 7 in 35 cases (33%); however, no detectable loosening was observed. There were six cases (5.6%) of fracture of the ceramic liner, one case of ceramic liner dissociation, and one case of stem loosening due to infection. Conclusion: At the minimum eight-year follow up, survival rate of the third Zweymuller stem was 99.1%. However, owing to the high rate of fractures of the ceramic sandwich liners, the survival rate of the ceramic liner was 93.5%.

      • KCI등재후보

        샌드위치 세라믹 라이너의 분리

        황성관(Sung Kwan Hwang),이필은(Phil E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샌드위치 세라믹 라이너를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세라믹 라이너의 탈구는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무혈성 골두 괴사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수술 후 3년 7개월째에 외상없이 발생된 샌드위치 세라믹 라이너의 분리를 경험하였다. 이에 대해 새 샌드위치 라이너와 세라믹 대퇴 골두를 교환하는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극히 드문 합병증 1예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n total hip replacement with a sandwich ceramic liner, liner dissociation is rare. We experienced one case of sandwich ceramic liner dissociation at 3 years 7 months after total hip replacement in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The patient was treated by revisional total hip arthroplasty and a new sandwich liner and head were fitted. We describe this one rare case and review the literature.

      • KCI등재

        샌드위치 타입의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일차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10년 추시 결과)

        윤의성 ( Ui Seoung Yoon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ung Seo ),김진수 ( Jin Soo Kim ),임병호 ( Byung Ho Lim ),김준엽 ( Joon Yub Kim ),오현석 ( Hyun Seok Oh ),석주필 ( Ju Pil Seok ),백승엽 ( Seung Yub Baek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3

        목적: 세라믹 라이너에 폴리에틸렌을 부착한 샌드위치형 라이너를 이용한 일차성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10년 이상 추시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샌드위치형 라이너를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최소 10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34명(40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34개월(120~145개월), 수술 시 평균 연령은 47.1세(24~65세)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Harris hip score, 대퇴부통증 등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골내막 신생골, 방사선 투과성선, 삽입물의 이동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Harris hip score는 최종 추시에서 평균 90.9점으로 향상되었다. 전례에서 골성 고정을 얻었으며 삽입물의 이동이나 해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합병증으로 수술 시 대퇴골의 비전위 골절이 2예(5%), 후방 탈구가 1예(2.5%), 세라믹 라이너 파손이 1예(2.5%)가 있었다. 결론: 샌드위치형 라이너를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10년 이상 추시 생존율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세라믹의 골절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점으로 판단되며 비구컵의 정확한 고정과 지속적인 세라믹 부품의 재질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minimum 10-year follow up results of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performed using a sandwich-type (alumina-polyethylene-titanium) ceramic bearing.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four patients (40 hips) who underwent a THA with sandwich typed liners from November 1998 to December 2000 were analyzed. Among the 34 patients, 25 were men and nine were women. Mean follow-up was 134 months (range, 120~145 months) and me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THA was 47.1 years (range, 24~65 year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and level of thigh pain with a limping gait. The radiographic evaluation was done in terms of the endosteal new bone formation, radiolucent line, subsidence of the stem, migration of the acetabular cup, and proof of loosening.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Harris hip score of 50.2 points (range, 31~87 points) was improved to 90.9 points (range, 75~99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and thigh pain with limping gait in one case. All cases had fixation by bony ingrowth. No radiographically detectable loosening was observed in any hip. Fracture of ceramic liner in one case required change of the polyethylene liner. Conclusion: At the minimum 10-year follow up, survival rate as the end-point was favorable. However, fracture of the ceramic is still a major problem. Satisfactory results can be obtained by more precise surgical technique for acerabular inclincation and anteversion, an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eramic.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