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유산의 현색(顯色) 기록화를 위한 디지털 색재현 연구

        송형록,조영훈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2

        문화유산의 현색(顯色)은 제작기법 해석, 보존처리 활용, 상태 모니터링의 중요한 기초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권응수 초상을 대상으로 디지털 색관리시스템 기반 색재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문화유산 기록 및 보존에 적합한 현색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전체적인 색재현 과정은 촬영 환경 세팅, 색기준차트 측정, 디지털 사진 촬영, 색보정, 색공간 설정 순으 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사진기 제조사 프로파일이 적용된 디지털 이미지는 현색과 비교하여 평균 Δ10.1의 색차를 보인 반면, 디지털 색재현 이미지는 평균 Δ1.1의 색차를 보여 현색과 거의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디지털 사진 촬영 환경과 조건을 최적화했더라도 디지 털 사진기 제조사의 보정 알고리즘에 의존할 경우 대상 문화유산의 현색 기록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유산은 RAW 이미지 기반의 색보정 및 색공간 설정을 통해 디지털 색재현이 필요하며, 이는 현색 기록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또한 디지털 색재현을 통한 현색 기록은 문화유산의 보존상태 평가와 보존처리 및 복원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퇴색 및 변색 현상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준 데이터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lor appearance of cultural heritage are essential factors for manufacturing technique interpretation, conservation treatment usage, and condition monitoring. Therefore, this study systematically established color reproduction procedures based on the digital color management system for the portrait of Gwon Eungsu. Moreover, various application strategies for recording and conserving the cultural heritage were proposed. Overall color reproduction processes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photography condition setting, standard color measurements, digital photography, color correction, and color space creat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lor appearance, the digital image applied to a camera maker profile indicated an average color difference of Δ10.1. However, the digital reproduction result based on the color management system exhibits an average color difference of Δ1.1, which is close to the color appearance. This means that although digital photography conditions are optimized, recording the color appearance is difficult when relying on the correction algorithm developed by the camera maker. Therefore, the digital color rep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is required through color correction and color space creation based on the raw digital image, which is a crucial process for documenting the color appearance. Additionally, the recording of color appearance through digital color reproduction is important for condition evaluation,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standard data of imaging analysis are available for discoloration monitoring.

      • KCI등재

        인지특성을 고려한 선호 재현색 연구

        최원정(WonJung Choi),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2

        휴대성이 높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스마트폰 카메라가 디지털 카메라를 대체하고 있는 가운데 카메라 기능은 스마트폰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물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바로 확인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화질 만족도는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 따라서 이미지의 입출력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는 스마트폰에 의해 생성된 소프트카피의 인지적인 화질 만족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사진의 수정과 감상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자연물의 기억색은 화질 만족도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호적 속성 중 하나이다. 또한 기기의 색재현력은 화질 선호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하늘색의 색자극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지적 특성 중 하늘에 대한 기억색이 하늘의 재현색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늘에 대한 기억색은 실제색보다 명도가 높고, 채도가 높거나 동일한 특성을 보였다. 둘째, 하늘에 대한 기기의 재현색과 사용자의 기억색이 유사할수록 재현된 하늘색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제색과 가장 유사한 색재현이 지각적으로 최적화된 색재현으로 평가되지는 않았다. 넷째, 현재 사용 중인 기기에서 경험된 하늘 재현색과 유사하게 재현된 하늘색 이미지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며, 이는 반복적인 단순노출효과의 영향인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평가 도구로 사용된 3개의 스마트폰에서 입출력 과정을 거친 하늘 재현색에 대한 선호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function of camera is becoming the important standard for the selection of smartphone amid the smartphone camera is replacing the digital camera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high portable smartphon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Image Quality is becoming the substantially important issue because the filming object using the smartphone camera has a high tendency to be identified rightly through the display of smartphone. Therefore, there is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level of cognitive satisfaction for the Image Quality of soft copy created by the smartphone simultaneous with the input and output process. According to preceding studies, the memory color of natural object playing a decisive role in the correction and the appreciation of photograph is one of the preferential attributes effecting preferentially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Image Quality. Also, the color reproduction of equipment appeared to be the variable of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preference of Image Quality. Therefore, When the color stimulus of sky color pass through input-output process of smartphone, the effect of memory color for the sky of cognitive characteristic of users on the evaluation of reproduced color has been analyz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emory color for the sky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higher lightness and higher or equal saturation compared to the real color. Second, the preference of reproduced sky color appeared high as the reproduced color of equipment for the sky is similar to the memory color of user. Third, the most similar color reproduction to the real color is not evaluated to be the perceptually optimal color reproduction. Fourth, it reacted more positively for the sky color image reproduced similarly to the reproduced color experienced in the equipment in use currently; this is thought to be the repeated mere exposure effect. Finally,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for the reproduced color of sky through the process of input and output in 3 smartphones used as the evaluation tool appeared to be significant.

      • 주위 시환경의 색도 변화에 따른 색 순응 모델

        김은수,장수욱,이성학,송규익,Kim, Eun-Su,Jang, Soo-Wook,Lee, Sung-Hak,Sohng, Kyu-Ik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5

        TV와 PC 모니터와 같은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하는 실제 시환경은 표준 시환경과 상당히 다르다. 주위 시환경의 휘도와 색도의 변화에 따라 인간 시각계는 색 순응이 일어나게 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재현된 측색적으로 동일한 색을 서로 다르게 느끼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재현된 색이 표준 시환경 하에서의 원래 색과 동일하게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휘도 조건에서 주위 조명광의 색도 변화에 따른 색 순응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색 순응 모델은 주위 시환경의 휘도 조건과 색도에 따라 시 세포의 L, M, 및 S 에 대한 감도의 이득을 모두 비선형 함수로 구한다. 그리고 제안한 색 순응 모델의 최적 이득 계수 값은 Breneman 색 순응 실험의 대응색 데이터들로부터 구한다. 제안한 색 순응 모델과 기존 모델들의 성능을 평가해 본 결과, 제안 방식의 색 순응 모델이 기존의 모델에 비해서 전 휘도 조건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시환경하에서 제안한 색 순응 모델을 이용하여 재현한 대응색이 표준 시환경 하에서의 원래의 색과 동일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Real surround viewing conditions in watching the color display devices such as TV and PC monitor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viewing conditions. Human visual system is adapted chromatically under the different viewing conditions in luminance levels and chromaticity of illuminants. Accordingly, the reproduced colors of the same chromaticity will appear as quite different col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displayed colors are reproduced to be appeared as the original colors in the standard viewing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hromatic adaptation model for the variations of the surround illuminants' chromaticity under the same luminance conditions. In proposed chromatic adaptation model, we calculate each gain of L, M, and S as nonlinear functions according to the chromaticity of the surround illuminants. And the optimal coefficients are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colors data of the Breneman's experiments. The proposed chromatic adaptation model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hromatic adaptation models.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model has very good performance in the whole range of luminance levels. We also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reproduced corresponding colors using the proposed chromatic adaptation are appeared as the original colors when the real surround viewing conditions a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viewing conditions.

      • 동일 색도 광원의 휘도 변화에 따른 색 순응 모델

        김은수,장수옥,이성학,송규익,Kim Eun-Su,Jang Soo-Wook,Lee Sung-Hak,Sohng Kyu-lk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4

        본 논문에서는 동일 광원에서 휘도 변화에 따른 색 순응 현상을 고려하여 원 피사체와 동일하게 보이는 대응색을 재현할 수 있는 색 순응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CAM$\Delta$Y는 저휘도 상태의 시험 색과 동일하게 보이는 고휘도의 상태의 대응색으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로 모델링하고, 제안 모델의 최적 계수 값들은 Breneman이 실험한 주위 휘도별 대응색 데이터들로부터 구한다. 제안한 색 순응 모델인 CAM$\Delta$Y에 의한 예측 대응색과 Breneman의 실험 데이터 간의 측색적 좌표 오차 $\Delta$u'v'를 비교해 본 결과, Breneman의 D55 광원의 세 가지 서로 다른 밝기에 대한 실험의 대응색과 제안한 모델에 의해 예측된 색과의 평균 측색적 좌표 에러 $\Delta$u'w'의 값이 0.004 정도로, 이는 제안 모델의 평균 측색적 좌표 오차가 인접한 (adjacent) 두 컬러 샘플간의 구별 색차 정도로 아주 작은 오차를 가짐으로 그 성능이 매우 좋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한 CAM$\Delta$Y를 이용하여 동일 광원의 밝기에 따른 동일한 백색으로 보이는 등백색 상관 색온도 곡선 (equal-whiteness CCT curve, EWC)을 제안한다. 제안한 둥백색 상관 색온도 곡선은 이제까지 TV 제조 업자들의 경험에 의해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준 백색을 설정하는 정량적인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hromatic adaptation models (CAM) for the variations of the luminance levels. A chromatic adaptation model, CAM$\Delta$Y , is propo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luminance level under the same illuminants. The proposed model is obtained by the transform the test colors of the high luminance into the corresponding colors of the low luminance. In the proposed model, the optimal coefficients are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colors data of the Breneman's experiments. I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onfined that the chromaticity errors, $\Delta$u'v', between the predicted colors by the proposed model and the corresponding colors of the Breneman's experiments are 0.004 in u'v' chromaticity coordinates.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excellent because this error is the threshold value that two adjacent color patches can be distinguished. Additionally, we also propose equal-whiteness CCT curves (EWCs) by CAM$\Delta$Y according to the luminance levels of the surround viewing conditions. And the proposed EWCs can be used as the theoretical standard which determines the reference white of the color display devices.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캐릭터 피부색의 특성 <태일이>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혜진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4 애니메이션연구 Vol.20 No.1

        인물 주인공이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피부색 표현은 시각적 완성도 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최근 수준 높은 영상미와 완성도로 평가받은 애니메이션 <태일이>를 대상으로 피부색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00장의 애니메이션 장면에 드러난 메인 캐릭터의 피부색을 추출하였다. 그 데이터를 이전 연구와 비교한 결과, 선호 피부색에 의존성이 높은 일본 지브리 애니메이션보다 다인종의 캐릭터가 포함된 디즈니의 캐릭터 피부색에 더 가까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선행된 피부색의연구와 그 분포를 비교한 결과, 특정 인종이나 동아시아 국가에 국한한 피부색의 범위에서 벗어나 다양한 인종의 사진 이미지를 통해 얻은 선포 피부색의 범위에 태일이의 피부색 범위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다인종성이나 확장성에 의한 결과라기보다 감독이 의도한 애니메이터의 경험이나 기억색에 의존하여표현되는 장면이 아닌 실사 촬영을 기반으로 피부색을 재현하여 리얼리티와 조명 효과를 살린 화면 연출의 결과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사 촬영에 기반하여 사전 시각화 작업인 프리비주얼에 공을 들인 <태일이>의독특한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은 수준 높은 한국 영화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작품 내에서의 미장센 표현과 피사체와의 관계에 맞물려 나타난 조명 효과에 의한 특성을 피부색 데이터를 통해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데이터가 최근 주목받고 있는 AI 기술에 의한 애니메이션 채색 방법 개발에 기초가 되어 이전보다 용이한 애니메이션 제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kin colors of main characters in animation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erms of visual completenes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skin colors in the animation <Chun Tae-il> which has recently been evaluated for its high level of visual beauty and completeness both at domestic and abroad, were analyzed. The skin color of the main character shown in 100 animation scenes was extra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ata with the previou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results were closer to the skin color of Disney's characters, which include multiracial characters, than to the Japanese Ghibli animation,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preferred skin col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the distribution with previous skin color studies, Taeil's skin color range was found to be within the range of declared skin color obtained through photographic images of various races. However, it is hardly considered that this is the result of multi-ethnicity and expanded skin expression in the expression of one character. It was the result of a screen production that utilized realism and lighting effects by reproducing skin color based on live action shooting rather than based on the animator's experience or memory colors as intended by the director. <Taeil>'s unique animation production method, which focuses on pre-visualization work based on live-action shooting,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the high-quality Korean film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ing effect that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the mise-en-scène expression through skin color data. It is believed that such data can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coloring methods using AI technology,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contributing to easier animation production than before.

      • KCI등재

        LED 조명의 광원별 최소 분광분포를 사용하여 자연광 색온도를 재현하는 방법

        김양수,오승택,임재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4 No.2

        Humans have adapted and evolved to natural light. However, as humans stay in indoor longer in modern times, the problem of biorhythm disturbance has been induced.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lighting that reproduces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CCT) of natural light that varies from sunrise to sunset. In order to reproduce the CCT of natural light, multiple LED light sources with different CCTs are used to produce lighting, and then a control index DB is constructed by measuring and collecting the light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of input currents for each light source in hundreds to thousands of steps, and then using it to control the lighting through the light characteristic matching method. The problem with this control method is that the more detailed the steps of the combination of input currents, the more time and economic costs are incurred. In this paper, an LED lighting control method that applies interpolation and combination calculation based on the minimum spectral power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each light source is proposed to reproduce the CCT of natural light. First, five minimum SPD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was measured and collected for the LED lighting, which consisted of light source channels with different CCTs and implemented input current control function of a 256-steps for each channel. Interpolation calculation was performed to generate SPD of 256 steps for each channel for the minimum SPD information, and SPD for all control combinations of LED lighting was generated through combination calculation of SPD for each channel. Illuminance and CCT were calculated through the generated SPD, a control index DB was constructed, and the CCT of natural light was reproduced through a matching technique.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CCT for natural light was provided within the range of an average error rate of 0.18% while meeting the recommended indoor illumination standard. 인간은 자연 빛에 적응하고 진화해왔으나 현재는 실내 생활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생체리듬 교란의 문제가 유발되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 일출~일몰간 다채롭게 변화하는 자연광의 색온도를 재현하는 조명이 연구되고 있다. 자연광 색온도의 재현을 위해서는 색온도가 다른 다수의 LED 광원을 사용하여 조명을 제작한 후 수백에서 수천 단계의 광원별 인가전류의 조합에 대한 광특성을 측정 및 수집하여 제어지표 DB를 구성하고 광특성 매칭 방법을 통해 조명을 제어하였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인가전류의 조합 단계를 세밀하게 할수록 많은 시간 및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ED 광원별 최소 분광분포로 보간 및 조합 연산을 수행하여 자연광 색온도를 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색온도가 다른 광원 채널로 구성되고 각 채널별 256단계의 인가전류 제어 기능을 구현한 LED 조명을 대상으로 채널별 5개의 최소 분광분포(Spectral Power Distribution, SPD)를 실측·수집한다. 이후 수집한 SPD를 대상으로 각 채널별 256단계의 SPD를 생성하는 보간 연산을 수행하고, 채널별 SPD의 조합 연산을 통해 LED 조명의 모든 제어 조합에 대한 SPD를 생성한다. 생성된 SPD를 통해 조도와 색온도를 산출하여 제어지표 DB를 구축한 후 매칭 기법을 통해 자연광의 색온도를 재현한다. 성능 평가에서는 실내 권장 조도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평균 오차율 0.18%의 범위 내에서 자연광의 시간별 색온도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Evaluation of Colour Difference Between Cotton Dyed Fabrics and Reflection Print Images Using CAD Systems

        Kim, Jeong-hwa,Song, Kyung-hern,Baek, Min-sook 한국의류학회 2003 한국의류학회지 Vol.27 No.12

        컴퓨터와 첨단영상매체의 발달로 디자인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사용하여 색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소프트 웨어가 도입되고 있으나 영상정보의 색채 재현성과 영상입출력 장치의 다양화로 인한 색채 불일치에 대한 문제들이 극복해야할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색채 영상정보 입출력 장치의 색채구현 성능과 인간의 색채 인지 원리이론을 바탕으로 색보정 알고리즘이 발전하여 색보정 엔진의 개발이 국제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그 연구사례가 상대적으로 극히 미비한 실정이며, 더욱이, CAD 시스템을 이용한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색 직물의 색을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sofrcopy로 재현하고 이것을 다시 hard-copy로 출력하여 물리적 측정치와 주관적 색채 인지도간의 일치도를 비교하고, 물리적, 주관적 색차의 한계치를 제시함으로써,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CAD시스템 운용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려 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객관적 측정과 주관적 평가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직물은 7가지 색상의 면 염직물로써,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직물당 5개의 softcopy를 재현하고, 이것을 다시 hard-copy로 출력하여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물리적 측정(ΔE, ΔL, Δc, Δh)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관적 평가에는 20명의 의류학 전공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결과 분석에는 분산분석과 Friedman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색차 측정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1차 주관적 평가치 사이의 일치도는 90.5%로 나타났으며, 2차 주관적 평가치와의 rank order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평가에서 피험자들은 색차인지에 있어 CIELAB 색채공간의 각각의 색요소 차이보다는 전체 색차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장면 이미지의 기억색 특징

        박다은(DaEun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기억색 연구의 연구 대상은 친숙한 자연물에서 출발해 브랜드 로고와 같은 인공물과 자연풍경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기억색은 장기기억에 저장된 원형(prototype)으로 재현된 색채 또는 이미지의 선호에 영향을 미친다. 이미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complex 이미지가 소비되는 지금, 일상의 모습을 재현한 complex이미지의 기억색 특성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 풍경과 인물, 인공물이 혼재하는 장면 이미지를 활용한 기억색 재인 실험을 시행했다. 실험 결과 장면 이미지의 색채는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이 상승한 상태로 장기 기억에 저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장면 이미지의 기억색은 saturation 감소에 민감한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 자연물 단일 대상을 활용한 기억색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표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OLED의 색재현성 모델링

        김은수,이승익,박경남,Kim, Eun-Su,Lee, Seung-Ik,Park, Kyung-Nam 한국산업정보학회 201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논문은 표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OLED의 색재현성 모델링을 제안한다. 비표준 RGB 디스플레이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게 있으며, 그 색 재현 특성은 삼원색 좌표와 기준 백색 좌표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다르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OLED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특성을 표준 디스플레이에 재현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듬을 이용하면, 색 재현 특성을 사전에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존 디스플레이의 성능 향상이나,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때 매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oposed the color reproduction modeling of OLED using standard RGB display. The kinds of non-standard RGB displays are various. And color reproduction of non-standard RGB displays is different by chromaticities of primaries and reference white etc. In this paper, we proposed algorithm that made OLED display's color reproduction to standard CRT monitor using conversion matrix. If using the algorism that is proposed in this paper, we can confirm the reproduced color characteristics to simulation beforehand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display. when developing new display, we are expected to be used very usefully.

      • 남색의 색명 연상에 따른 재현색

        이상진(Sang Jin Lee),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남색은 색이 연상되는 대표 자연물의 부족으로 인하여 색채 정보 교류, 색채 교육에 있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KS먼셀 10색상 중 비교적 인지도가 낮다고 판단된 남색을 중심으로 한국인이 인지하고 있는 파랑. 남색. 보라의 색 범위를 조사하고, 남색의 색명을 다르게 지칭할 때 실제 재현색은 어떻게 표현되는지 인접색인 파랑, 보라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남색은 파랑, 보라에 비교하여 넓은 색상 범위, 좁은 명. 채도 범위로 인식되고 있으며 색명 연상에서 한 가지 컬러칩에 선택이 집중되는 경우가 적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색채를 표현하여 의사 전달을 하고자 할 때 각각의 색명에 대한 재현색의 선택빈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언어 표현에 대해 고려함으로써 색채 정보로서의 가치와 활용을 높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