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들의 노인과 동성애자에 대해 주관적으로 지각된 영상매체이미지가 노인과 동성애자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 영상매체 인물 동일시 및 사회적 자아개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황미구,권선희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영상매체 속에 등장하는 노인과 동성애자에 대해 주관적으로 지각된 이미지가 이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과 영상매체 인물 동일시와 사회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표집은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생과 강원도 소재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1,004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했다. 본 연구를 위해 노인과 동성애자들에 대해 지각된 영상 매체의 이미지를 측정하였고, 영상매체 인물 동일시는 최우신(1999)과 이종우(2006)의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를, 사회적자아개념 검사는 정원식(1994)과 최강준(2003)과 권용숙(2005)이 사용한 검사를, 사회적 거리감은 김상학(2002)이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했다. 본 연구를 위해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노인에 대한 영상매체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영상매체 인물의 동일시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했다. 다만, 사회적 자아개념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둘째, 청소년들은 동성애자에 대한 영상매체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동성애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하였고, 영상매체 인물 동일시나 사회적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매개변인으로서 의미가 없었다. 또한 영상매체 인물 동일시가 증가할수록, 사회적 자아개념이 증가할수록 동성애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감소했다. 그러나 영상매체 인물 동일시는 사회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영상매체에서 노인과 동성애자들에 대한 왜곡되지 않은 이미지의 수용은 이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the older people,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foreign workers, and the homosexuals are identified as minority groups,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towards them is analyzed. Based on survey data including 1,024 cases, social distance towards the groups are compar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s of students, perceived image and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social self-concept and their attitude towards each group a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social distance of students towards the older people was associated with degree of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and negatively perceived image of visual media towards older people. Second, high social distance of students towards the homosexuals was associated with degree of negatively perceived image of visual media towards homosexuals. And also, high degree of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influenced to low social distance of students towards the homosexuals. However, there are no association between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and social self-concept.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 매체의 특성 및 읽기 방향 탐색

        최정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1

        Social studies textbook was written in letters and inscriptions such as pictures, photos, maps and others. So reading the textbook refers to reading inscriptions as well as letters. Inscriptions are also a cluster of meanings. Thus, students need to understand what the meanings the inscriptions imply are when they read. Interestingly, students tend to go through a different process of acquiring socials studies knowledge from the process of reading a written language. For instance, students should learn map symbols to read a map.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the ways to improve students’ reading ability adaptable for social studies textbook by exploring the types and roles of inscriptions in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data analysis, inscriptions were grouped as photos, pictures/cartoons, graphs, tables, and maps. Their role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y the degree of social studies knowledge the inscriptions have. As a result, I found that pictures/cartoons are most popularly used in textbook and they play explanatory and complementary roles in describing the social studies content. To improve reading ability for inscriptions, teachers should provide a plenty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read different types of inscriptions and learn how to read a compound format of text. 사회 교과서는 글뿐만 아니라 사진, 그림, 지도 등 다양한 시각 매체를 포함하고 있어 사회 교과서를 읽는다는 것은 글뿐만 아니라 시각 매체를 읽는 과정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각 매체는 글과는 다른 기호로 중요한 학습 내용을 담고 있어, 글을 읽는 것과는 사뭇 다른 읽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회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시각 매체의 종류와 그 역할을 알아봄으로써 사회 교과서 읽기의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시각 매체의 종류는 사진, 삽화/만화, 그래프, 표, 지도로 분류하였으며, 시각 매체의 기능을 분석함에 있어 시각 매체가 학습 내용을 담고 있는 정도와 본문에서의 역할에 따라 장식적, 묘사적, 설명적, 보완적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사회 교과서에 가장 많이 활용된 시각 매체는 삽화/만화와 사진이었으며, 주요 기능은 사회과 학습 내용을 담고 있는 설명적 기능과 보완적 기능이었다. 학생들이 다양한 시각 매체를 읽고 사회 학습 내용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 교사는 시각 매체를 읽는 데 익숙해지도록 많은 기회를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글과 시각 매체가 함께 어우러진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은 방법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가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미치는 영향

        오미영(Mi-Young Oh)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8 언론정보연구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TV, 지역신문, 케이블TV와 같은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매체사가 행하는 다양한 지역사회관계 활동에 대한 참여가 지역민의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언론이 지역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인 차원에서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매체사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 대한 참여는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부 공중파TV 방송사 지역프로그램에 대한 시청과 강원지역 일간지구독은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앙 일간지나 원주지역 무가지 구독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 공중파TV 방송사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 대한 참여는 지역사회 유대 구성요소 중 일체감과 애착에 그리고 B 공중파TV 방송사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는 지역사회 유대와 관여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주지역 무가지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는 어떤 유의미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가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미치는 영향은 거주민 유형, 매체유형, 매체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언론이 지역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오늘날과 같은 다매체 다채널의 매체환경 속에서 지역언론의 존재 의의를 제시해 준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possibility of local media'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identity. It investigated how the use of local media, such as local TV, local newspaper, and local cable TV, and the participation in diverse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which is held or sponsored by local media, affect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1 residents in Wonju City. The finding shows that residents' use of local media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partially influenced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In other words, watching some local TV programs and subscription to local daily newspapers had meaningful impacts on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while the use of metropolitan daily newspapers or Wonju area's free newspaper shad no meaningful impacts on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Moreover,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held or sponsored by a specific local media had meaningful impacts on identification of and attachment to the community-the components of community ties. In contrast,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held or sponsored by Wonju area's free newspapers had no meaningful impacts on both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Meanwhile, the use of local media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had different effects on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resident type, media type, and media company. This study suggests that local media can contribute to forming community identity, thereby confirming why local media must exist in today's multimedia and multi-channel environment.

      • KCI등재

        매체 이용자 집단별 사회자본 상관분석 :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따른 사회참여와 인적교류에 관한 연구

        박진영(Jin Yeong Park),강태영(Tae Young Ka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8 No.1

        매체 이용 및 사회자본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선 개별적인 매체 이용과 사회자본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이를 검증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더불어 사회자본 변인은 연구자에 따라 제각기 조작적으로 정의되고 일관되지 않은 기준으로 개념화 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콜만(Coleman)의 지적처럼 사회자본이 추상적이고 애매모호한 개념으로 기술되고 측정의 타당성을 확증하지 못한 연구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자본과 매체 이용의 관계는 퍼트남(Putnam)의 1990년대 중후반 연구 이후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가상공간에서의 사회자본 형성에 대한 논의 또한 증가하였다. 사회자본이 포괄하는 여러 개념 구성체에서 공통된 일반 논리로 꼽을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온라인을 매개로 더욱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 매체와 뉴미디어를 포함한 다매체 이용 환경에서 어떤 매체 중심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는지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화하고 각 집단의 매체 이용과 사회자본을 분석한다. 특히 200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를 근거로 하여 사회참여활동 및 인적교류 시간데이터를 분석하고 매체 이용자 집단에 따라 사회자본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한다. 즉 집단으로 분류된 각기 매체들의 정보자원 환경을 탐색하여, 이타적 참여활동으로서의 사회참여 및 대면접촉을 기반으로 한 인적교류와 어떤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자본 축적의 가능성을 지지하는지 분석하는데 의의를 둔다. Regarding social capital, many social scientists have examined a series of factor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Especially as Coleman’s indication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errors i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For instance some researchers argued whether the media enhance or erode social capital ambiguously. Apart from commonly defining the notion of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they took concepts of those in a somewhat indistinct direction. Nevertheless, the growing interest in relationships between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has spreaded and tended to be under discussion after the study of Putnam in the middle of 1990s. These days many researchers treat of online social capital more than they used to due to the social interaction which expanded at the online community. This paper analyzes media repertoires and social capital randomly drawn from the Time Use Survey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explore how media using groups are formed and sustain social capital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That is the aim to examine a series of factors to explain correlation between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of this study.

      • 위험사회의 정보유포 매체와 세계시민사회 : 재난영화, 재난보도, 디지털매체

        홍찬숙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논집 Vol.27 No.-

        루만에 의하면 현대사회에서 (의사)소통의 중요한 매체는 두 가지이다. 정보를 유포하는 매체와 일반화된 상징적 소통매체(또는 성공매체)가 그 것들이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유포 매체를 중심으로 재난의 위험과 세계 시민사회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근대 시민사회의 발현을 가능하게 했 던 정보유포 매체는 활자매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전자매체 특히 디지털매체의 사회구성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 논문에서는 벡, 루만, 하이어의 관점을 비교하면서, 현대 사회에서 시민 주체의 형성과 관련하여 디지털매체의 중요성이 일방적으 로 강조되는 경향을 비판하고자 한다. 특히 세월호 참사와 관련하여 한국 사회에서 디지털매체뿐만 아니라 전자 대중매체의 역할이 새롭게 확인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즉 언론통제 상황에서도 TV 전자매체가 전혀 의도하 지 못한 상태에서 불러일으키는 사회적 감정의 효과를 강조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Luhmann, there are two sorts of communication media in modern society: the information spreading media and the generalized symbolic (or success) media of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former and argue on the relation between dangers of a disaster and a construction of a world civil society. The print media contributed basically to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ociety in the West. But nowadays it seems to be unclear which sort of the electronic media is more essential to the construction of a contemporary world society. I think that in this respect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has been overestimated.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Sewol ferry disaster, I would argue that the TV broadcasting had an unintended effect of evoking civil moral affections in Korea.

      • KCI등재

        중국의 한반도 전문가와 한국 언론 사이의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 -SNA를 통한 정치,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허재철 한중사회과학학회 2015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3 No.3

        目前在中國有痕多朝鮮半島專家,而且新人硏究者也繼續輩出。隨着在中國的對外問題決策過程當中各種智庫和專家的作用越來越重要,對這些專家的硏究也是在硏究韓中關係上必不可少的。本硏究本着這樣的必要性通過社會網絡分析(SNA:Social Network Analysis)方法對喊過的新聞媒體和中國的朝鮮半島專家的網絡進行了分析。分析結果顯示時殷弘、朱鋒、金燦榮、金景一、張連櫃和楚樹龍等少數專家占有網絡的中心地位,卽韓國的新聞媒體主要關注這些專家們的想法和發言。韓國媒體關注的這些專家有幾個特点;在國際關係層面硏究朝鮮半島問題;予朝鮮相比,對韓國較友好;所屬于北京的高校或硏究機關。這樣的分析結果表示,有可能這些少數專家對朝鮮半島問題的意見以中國的輿論被韓國社會接受,而且這樣的歪曲現象影響到韓國社會對中國的意識形態及外交決策過程。因此需要媒體報導態度的改善。令外,本硏究還發現了在中國學界被認定爲威高的專家和韓國的新聞媒體關注的專家不一樣。媒體的 消費者應該在接觸媒體過程當中認識到這樣的事情,取舍有關信息。

      • KCI등재후보

        사회적 매체(Social Media)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증감에 미치는 영향 : 정보교환양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기호(Park Kiho)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1 경영과 사례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매체(실시간 대화앱과 생활공유서비스) 시대에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와 정보교환량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동기 및 의문점으로는 첫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의 양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정보교환의 양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보교환의 양이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인가?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단계는 탐색적으로 의사소통 실태에 대해 정성조사 기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2단계는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 조사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 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정보교환의 양은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온라인 의사소통은 증가하였으나 오프라인 의사소통과는 무관하였다. 사회적 매체의 정보교환양은 사용빈도와 온라인 의사소통 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보였다. 사회적 매체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양 변수보다 온라인 의사소통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매체의 사용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음으로 사회적 매체의 등장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부정적 혹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긴 어렵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affects quantity of communic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e age of social media.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was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Also,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communication activities were increased, but it was not related to offline communic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social media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frequency of use and communication increase.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had a greater impact on online communication than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is study, the use of social media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offline communication, so it is hard to think that social media had a negative or positive effect on offline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industry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ge.

      • KCI등재후보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지역 사회 참여 활동과 지역 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에 대한 연구

        이영원(Youngwon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1

        본 연구는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역사회 관여도와 정서적 유대감을 통해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지역 매체를 포함한 대중 매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관여도가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이나 사교성의 친목활동 모두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유대감에 따른 지역 사회 활동은 사교성의 친목 활동에만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 관여도와는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남성 보다는 여성의 지역사회 내에서 사교성 친목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과 친목 활동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 장년층의 지역 사회 활동이 보다 다양하고 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력에 따른 지역 사회활동은 사회, 교육 분야 등 대외적 지역 활동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 고학력자일수록 개인적 사교 모임 보다는 사회적 목적을 가지는 지역 사회 활동에 대한 참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지역사회에 관심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사회 활동 면에서는 대외적 지역활동이나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활동이 다양할수록 지역 매체 이용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정서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많았으며, 지역 사회 활동 중에는 사교적 친목 활동이 많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매체 이용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식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SNS 활용도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로운 것은 지역 활동 중 사교성의 친목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 매체를 포함한 SNS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대외적 지역 활동 보다는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 sense of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and on the use of local media, SNS, and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th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nnection to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as positiv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higher age,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hich means that the aged group has the diverse and active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education, the more 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s of a sense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media use shows that the mor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local media use. It also shows that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local media use, which means that the diverse local community activities encourage the local media use. In contrast, the higher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more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effect of the local community interaction on the use of S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매체 소비 사회의 감성과 주체의 연출

        최혜경(Choe, Hye-Gyeo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3

        오늘날 매체와 정보 중심의 사회는 개인의 감성이 고유하고 자율적인 범주에 속해 있다는 통념의 상용성을 상실했다. 개인의 고유한 가치평가나 정동의 변화는 판매 유통되는 주력 디지털 매체의 생산물에 의해 비(非)자율적으로 편집되고 있다. 이 글은 자율적이면서 개별적인 감성을 구성함이 불가한 사회 혹은 다양한 집합적 감성에 대한 선택적 수용과 편집만이 개별적이고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의 피동성을 문제적으로 본다. 개인의 고유한 인식과 감성보다 집합적 감성의 다기한 수집 결과가 곧 개성이자 변별적 특성이 되는 사회에서 개인은 사회적 사태에 대한 민감성과 자율적 판단력을 상실해가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즉, 공감과 연대의 체계가 노동과 일상의 필요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사회 속에서 한국 사회의 개인들은 고립과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어떠한 대응을 하고 있거나 할 수 있겠는가 하는 물음이 이 글의 문제의식이다. 이에 대한 논의는 기호자본의 금융화에 의해 개인들이 결합할 수 있는 인식적 혹은 물리적 장(場)으로서 교점(node)을 상실한 한국 사회의 불안정성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하였다. 2장에서는 그러나 자의식의 공감과 인식적 공유에 대한 필요에 의해 개인이 ‘거리’와 ‘광장’과 같은 실체의 규합 공간과 다른 형태, 즉 디지털 매체공간을 통한 주체 구성을 욕동하고 있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디지털 매체에 대한 집적 양상이 그러한 소통의 욕구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자본에 의한 개인 단절 혹은 소외 현상과 동시에 개인의 규합된 감성이 배태되는 이중성이 도출됨을 논의했다. 3장에서는 자본화된 정보의 한정적 소비 주체로 기능하는 개인들이 매체의 주된 상업 전략으로 사용되는 ‘연출’의 속성을 정보 재구성의 주체 입장에서 차용하는 경우에 유효한 상관관계가 도출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정체성 혹은 감성의 불안정성과 관련한 한국 사회 프레카리아트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고 이들 주체에 관한 논의를 자기 서사 연출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제시하였다. 이 글의 쟁점은 정보화된 사회가 간과해서는 안 될 ‘실체’로서 주체의 구성 논의와 더불어, 한국 사회 노동의 축이자 감성의 축의 이동 경로를 이해하는 데 있다. 한국 사회 프레카리아트의 불안정한 정체성과 감성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변화된 세대 감성을 규명하고 감성과 행위의 구조적 관계를 조망하는 행위이자 불안정한 감성의 장(場)을 변환 전환시킬 수 있는 사회적 연출의 전초(前哨)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In today"s society,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autonomous and individual sensibility. Instead, it is just barely available Selective acceptance or posterior editing for various collective emotion. In this society, it become to Individuality and Distinctive features that various acquisitions of collective Feelings than Unique recognition of individuals or emo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cause to bring the loss sensitivity and autonomous judgment on the social situation In other words, a critical mind of this article is on the corresponding of individuals in Korea"s society to isolation and anxiety. Today, in Korea"s society, a world of sympathy and solidarity by the needs of the labor and everyday does not appear spontaneously. Discussion of this is started to instability in South Korea due to Financialization of semiocatital. And Chapter 2 pointed out that there was different from a personal desire and the configuring subject through the digital media space a space that brings together entities by the need for empathy and self-awareness of cognitive share. Also, it noted the duality drawn up the rallying sensibilities of individuals with the phenomenon of personal disconnection or alien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capital are shown together. The reason for that duality is considered because an such integrated aspect for digital media is due to the desire for communication. In Chapter 3, I discussed that a valid correlation can be derived if individuals serves as a limiting consumption principal of capitalizing information are using the properties of the "directing" or "self-directing" using by the main strategies in medium industry. Chapter 4 analyzes the aspects of identity or correspondence of Korean precariat with respect to the instability of the sensitivity and presented a discussion on these subjects In relation to the needs of self-directed epic.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be an act of identifying an altered generation sensitivity of Korean society and an attempt to overlook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eelings and actions.

      • KCI등재

        하버마스, 루만, 들뢰즈·가타리, 데리다의 이론을 통한 일반 대중매체 체계론의 제안

        박대민(Daemin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7 No.3

        커뮤니케이션학에서 통약가능한 이론적 대중매체체계론이 부재하다는 점은 비교연구를 비롯한 경험연구에서 난점으로 남아있었다. 본 연구는 하버마스의 2단계 사회론을 수정한 수정된 2단계 사회론을 바탕으로 정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을, 루만의 경계이론과 들뢰즈·가타리의 배치이론을 종합한 경계배치이론을 바탕으로 동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을 제안한다. 정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에서 대중매체체계는 일반화된 언어를 조정매체로 하는 문화체계의 하위사회체계로서 여타 하위사회체계 및 생활세계와 상호침투한다. 동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에서 대중매체체계는 다른 모든 하위사회체계의 경계로서 하위사회체계의 자기관계적 관찰을 생활세계에 의한 타자관계적 관찰과 접목시킨다. 또 대중매체체계는 체계와 생활세계 간의 상호침투를 매개한다. 특히 대중매체체계에서의 수행은 체계를 생활세계로 탈영토화하고 생활세계를 체계로 재영토화한다. 일반대중매체체계론은 다양한 경험적 대중매체체계론에 통약가능성을 제공해주고 편향되게 연구대상을 설정하지 않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bsence of the commensurable general mass media system theory has been problematic in empirical communication studies. This study first suggests the static mass media system theory based on modified Habermas’s two level society, and then develops the dynamic mass media system theory based on the boundary-agencement theory that synthesizes Luhmann’s boundary theory and Delueze & Guattari’s agencement theory. In the static mass media system theory, the mass media system interpenetrates other social subsystems and the life world as a part of the cultural system coordinated by generalized language media. In the dynamic mass media system theory, the mass media system is a boundary of all social subsystems. The mass media system also articulates its self-referential observations to other-referential observations from other subsystems, mediated interpenetrations between the social subsystems and the life world. Especially, performances in the mass media system deterritorizes social systems to the life world, and reterritorizes the life world to social systems. The general mass media system theory can provide commensurability for various empirical mass media system studies, and prevent biases when researchers choose research top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