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촌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김주희(Joo Hee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2

        이 연구는 지난 삼십여 년간 경기도에 소재한 S 농촌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사회적 자본, 즉 접착성 사회적 자본과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조사 자료는 2010년 6월부터 6개월 간 16명의 마을 여성들과의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구해졌으며, 이를 연구자가 1970년대 후반 10여개월간 참여관찰을 통한 민속지(ethnography) 조사와 비교하면서 논의를 진행했다.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가 마을 안에서 마을 밖으로 확대되었다는 것 그리고 예전 그들에게 중요했던 이웃관계가 현저히 약화되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S마을 여성들은 농경기계화가 가져다준 시간적·육체적 여유를 마을 밖 경제활동에 활용해 왔으며, 인구 감소로 인한 마을 내 관계의 감소를 마을 밖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보완해 왔다. 이러한 활동들은 의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봉사활동 또한 일상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S마을 여성주민들은 도시와의 차이를 거의 느끼고 있지 않으며, 도시생활에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적 관계망을 공적 관계망을 통해 만들어 가고 있다. 지난 삼십여 년간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감소하고 대신 연결성 사회적 자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접착성 사회적 자본에 익숙했던 여성들이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유용성을 이용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친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보듯이 마을 내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마을 여성들의 마을 밖에서의 활동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럴수록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은 확대될 것이며, 이는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계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에 대한 예상은 조심스러워야 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in social relationships among women in a Korean rural villag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author has been acquainted with the life of the village for more than thirty year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for the present study to the caus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changes of women`s social relationships, namely, the mechanization of farming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former has reduced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among villagers and the contribution of women`s labor to the family farming. The latter has enabled women with spare labor power to easily seek new economic opportunities provided by nearby towns such as Asan tourist facilities. Sixteen women aged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most conspicuous change in women`s social relationships can be termed as extens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village. Unlike those whose social relationships were bounded within the village in the past, women in the village now not only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official organizations sponsored by the District Office, but enjoy social gatherings formed through those formal meetings. They pursue instrumental needs and emotional satisfaction by maintaining social networks with women from other villages. Even the neighbor relationship within the village that us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women has greatly weakened. All these changes are the manifestations of the rapid decrea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ciprocal acts among villagers.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mong the village women we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The weakened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village and their extension outside of the village were taken as the phenomenon of enlarging of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mong women in the village, who used to lack such social capital. But their bridging social capital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bond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관계 변화신념, 사회적 성취목표,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성취목표 중 수행접근목표를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와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목표유형이 또래관계 변화신념과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중학생 613명(남 297명, 여 316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사회적 숙달목표는 절충전략 및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뿐만 아니라 공격성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절충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또래관계 증진신념은 사회적 숙달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높였으나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사회적 수행회피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낮추었다. 셋째,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여학생들의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에 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 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에 대한 신념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성취목표를 지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갈등해결전략의 선택과 사회적 적응 수준이 달라지며 성차에 따라 그 효과가 다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achievement goals wit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as antecedent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aggression as consequences. The participants were 613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297 males, 316 females) enrolled in six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mastery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whereas social approval-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lthough both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not only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nd aggression but also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s expected, peer relationship incremental beliefs posi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ies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mastery goals.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s nega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everal paths. The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 positively predicted the approval-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only for girls, whereas its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was significant only for boys.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only for boys. The present findings evidenced several mediating mechanisms through whic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had different effects on social adjustment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these mechanisms.

      • 대학생의 연애 경험을 통한 사회적 관계 맺기에 관한 연구

        이은주 한국가족관계학회 2017 한국가족관계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

        이 연구는 관계적 포기 및 개인주의적 문화를 요구받는 청년과 저출산·고령화라는 사회 현상 속에서 청년기인 대학생의 사회적 관계 맺기 양상이 향후 다양한 사회현상과 맞물려 사회적 행동으로 지속화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대학생의 연애 경험을 통한 사회적 관계 맺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학생들은 연애라는 사회적 관계 시작 및 유지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사회적 관계 시작의 어려움으로 ‘연애 하지 않음과 비혼의 선택’, ‘안하는 연애가 아닌 못하는 연애’, ‘자기 노출에 대한 두려움’을, 사회적 관계 유지의 어려움으로 ‘취업과 연애 사이에서의 갈등’, ‘미리 준비하는 이별’, ‘데이트 비용에 대한 고민’을 경험하고 있었다. 궁극적으로 대학생들의 연애라는 사회적 관계 시작과 유지에 개인주의적 문화, 수동적인 태도, 사회불안감, 자기노출 부족, 썸문화, 노동시장 불안, 성역할 고정관념과 같은 다양한 요인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청년기의 사회적 관계 맺기의 어려움은 생애주기별 발달과업 성취에 어려움을 초래해서 사회적 고립감으로 이어지고 관계 포기, 개별화라는 사회적 행동으로 인해 저출산·고령화 사회라는 역기능적 순환 형태를 보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김종향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1 임상사회사업연구 Vol.8 No.2

        고령자의 재취업은 개인적으로는 노후생활에 필요한 소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취업을 통해서 안정된 역할을 갖게 됨으로써 노년기의 무료함이나 고독감을 해소하고, 신체 및 정신적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국가적으로는 사회보장기금의 절약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다양한 요인을 밝히고, 그 요인들이 고령자 재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즉 취업한 고령자 집단과 미취업 고령자 집단의 사회적 관계망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재취업에 도움을 주는지를 밝히고, 취업욕구가 있는 고령자들의 취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서울시 노원구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최근 2년간 등록한 노인 중 과거 취업경험이 있고, 55세 이후 재취업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에 의해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대면조사와 우편조사를 실시, 총23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Chi-square)과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재취업을 위해 개인적 관계망 유형보다 제도적 관계망 유형을 이용할 경우 재취업 할 확률이 1.8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가 증가 할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2.3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0.35(1-0.647)배 감소하지만,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접촉빈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관계망의 도움유형 중 정보제공 유형 보다 영향력 제공 유형일 경우가 재취업을 할 확률이 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립변수로 투입된 이질적 결합정도, 상향지향적 결합정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유의미한 값을 가지지 않아 고령자의 재취업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관계망 요인 중 고령자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Wald값과 유의도를 기준으로 볼 때,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Wald=20.726, p=.000)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자가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사회적 관계망이 많을수록 재취업률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 요인으로는 도움유형(Wald=11.324, p=.001)으로. 고령자에게 있어 재취업을 위해서는 추천?직원소개?직접고용 등의 영향력을 제공하는 도움이 재취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지식 축적에 미치는 영향: 업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승현,이창원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1

        본 연구는 공급사슬환경에서 구매자-공급자 관계 사이 사회적 결과물인 사회적 자본이 공급자 관점에서공급사슬 관계자인 두 주체 간에 일어나는 지식축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이 업종에 따라 나타나는조절효과의 영향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기존에 연구된 구매자 관점과 달리 공급자 관점에더욱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자의 관점에서 공급사슬 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을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그리고 관계적 자본으로 세분화하여 지식 축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기존에 연구가 부족하였던 공급자 관점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간의 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제조업과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인으로 업종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공급사슬환경에서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 요인 중 관계적 자본이지식축적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이 다음으로 지식축적에 높은 영향을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의 관계에 대한 업종의 조절효과는 제조업의 경우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을 제외하고,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아울러, 정보통신업은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환경의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식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이해를 넓히고, 업종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에 대한 차별화된 경영전략과 지속적인 성과 향상에도움을 줄 수 있는 공급사슬관리의 전략적 방향성이 요구된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 study result between buyer and supplier in supply chain environment, on knowledge accumulation between two suppliers and suppliers, and the effect of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rocesses depending on industry. Especially, since societal capital has more important meaning in the supplier's perspective than the previous buyer's perspective, this study tried to prove how this relationship is realized within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supply chain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First, from the supplier's perspective, social capital is divided into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o understand how it affects knowledge accumulation. Seco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ustry as a moderating factor that can positivel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entering o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collect data. The measurement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on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n additio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on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95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50.9%, and 188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anies were 49.1%. In addition, 247 companies with an average sales of less than 50 billion won accounted for 64.6%, while 292 companies with less than 500 regular workers accounted for 76.3%. In addition, the trading period with buyers was 177 with less than 10 years, 46.2%, and 53.8% with 206 with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in the supply chain environment, relational capita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knowledge accumulation, and structural capital and cognitive capital we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knowledge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is social capital, which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apital,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except for structural capital, bu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ognitive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the situation wher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supply chai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re required ar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buyers. Third,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by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affecting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of supply chain environment was broadened,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was required to help the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y.

      • KCI등재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영역과 학업적 영역을 교차하여 유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적응의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대도시 소재의 2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학생 705명(남 341명,여 36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그리고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숙달목표를 추구 할수록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이었고,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수행회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 숙달목표는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지만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성취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 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of adolesc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play significant roles in the mediation of the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The participants were 705 first grade students(48, 4% boys) in high school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mastery goal,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econd, academic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whereas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Third, social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whereas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cademic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 pursue social mastery goal had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not only in academic domain but in social domai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both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social achievement goal were discussed for the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djustment of adolescents across the academic and social domain.

      • KCI등재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안현서,김인혜,윤소현,박혜연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을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이 건강증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라이프스타일 영역별 건강증진행동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은 비동거 가족, 친인척, 친구, 이웃의 4가지 관계망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인 관계망 크기와 접촉빈도, 기능적 특성인 사회적지지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이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 사회적 관계망 크기는 친구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으며, 접촉빈도와사회적 지지는 비동거 가족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동은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생산적⋅사회적 활동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 중성별,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건강증진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웃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우울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델은 37%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행동 촉진을 위해서는 이웃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을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정책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 Social networks based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by lifestyle were measured in 226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years and ov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 independent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etwork size was the highest in the friend network,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in the non-living family network.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highest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owest for productive and social activities. All subfactors of social network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as the variable with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gender and depression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and this model showed 37%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of older adultsin the community,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related policies considering social networks centering on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is required.

      • 조직 내 사회적 관계가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기현 대한경영학회 2015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2

        오늘날 많은 조직들이 팀제를 도입하여 운영함에 따라 팀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할이 다양화되고 업무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팀 리더는 증가하는 역할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게 되어 많은 부담을 느끼게 되고, 이는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는 효율적인 의사결정과 업무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 요구-자원(job demands-resources) 모형의 관점을 채택하여, 직무 요구로 인하여 팀 리더에게 주어지는 잠재적인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이 항상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팀 리더가 충분한 직무 자원을 보유하게 되면 직무스트레스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사회적 관계를 팀 리더에게 직무 자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통로(conduits)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조직 내 사회적 관계를 수직적-수평적인 관계와 팀 내부-팀 외부에서의 관계를 포괄해야 한다는 기존 연구의 제언에 따라, 팀 리더가 사회적 관계를 맺는 대상을 상위 리더, 동료 리더, 팀원들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회적 관계가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국내의 4개 회사의 팀 리더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팀 리더들이 상위 리더, 동료 리더, 팀원들과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 지원 등 사회적 관계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자원들이 직무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을 팀 리더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첫째, 다양한 형태의 직무 자원이 직무 요구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기존의 논의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팀 리더가 보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직무 자원으로서의 사회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제시한다는 것이고, 둘째, 팀 리더가 사회적 관계를 맺는 대상을 상위 리더, 동료 리더, 팀원들로 구분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의의와 함께 실무적 함의,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여행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연구동향 분석 및 개념적 재구성 -SSCI 학술지 논문의 내용분석-

        이윤주,박창환,이훈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ravel. Specifically, the study intends to define the scope and examine the change of trends in various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hips over time. A total of 83 papers published in 43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SSCI) journals were selected for analysis. Utiliz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se trends were examined from three perspectives in travel: 1) subject, 2) relational object, and 3) relational effects. Three dimensions of social relations theory; the personal dimension, the interpersonal dimension, and the relational effect dimension, were employed in the analy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each study was classified by year, subject, journal, research method, and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studies began to increase in 2013, until reaching a peak in 2019. Moreover, in the personal dimen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needs for relatednes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travel motivation. In the interpersonal dimension, the results showed that behavioral exchange is preceded by emotional exchange. Lastly, in the relational effect dimension, social relationships in travel have an effect on increasing psychological benefits and on strengthening social utility. The study reveals that social relations in travel have expandability and circularity, while the objects of social relationship expand from existing relationships to new relationships such as residents and service employe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omoting the formation of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among travel stakeholders. 이 연구는 여행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변화 흐름에 관한 국제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부적으로는 여행에서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 범위를 규정하고 여행형태가 다양화됨에 따라 전통적 사회적 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특성과 시기에 따른 변화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1) 여행에서 사회적 관계에 대한 주제를 분석하고, 2) 사회적 관계대상을 분석하여, 3) 이를 통한 사회적 관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회관계론의 개인적 차원과 대인관계 차원, 관계 효과적 차원의 개념적 틀을 활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게재 시기, 연구주제, 학술지, 연구방법, 분석기법으로 세부 분석 유목을 선정하고 체계적인 분류를 시도하였다. 총 43개 SSCI급 학술지에 게재된 8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3년부터 관련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9년 가장 많은 연구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차원의 관계 욕구는 내재적·외재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어 관광 동기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차원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교류와 행위적 교류로 분류되었고, 대체로 행위적 교류가 정서적 교류보다 선행되었다. 관계 효과적 차원은 행복, 웰빙과 같은 개인 심리적 편익과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사회적 효용 강화를 제공하였다. 최종적으로 여행에서 사회적 관계는 관계형성대상, 관계 형성 과정, 관계 효과적 측면의 확장성이 드러났으며, 특히 관계형성대상은 가족, 친구와 같은 기존 관계에서 지역주민, 종사자 등 새로운 관계로 확장되었다. 또한, 여행에서 사회적 관계는 향후 행동의도를 자극하는 순환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행에서 다차원적인 관계 형성에 필요한 이해관계자 대상 프로그램 개발 및 장치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