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의 “좋아요” 반응경향과 게시글의 “좋아요” 수에 따른 페이스북 광고효과

        박은아,지용현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페이스북 사용자의 행동반응경향으로서 ‘좋아요’를 누르는 정도와 게시글의 ‘좋아요’ 수가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남녀 대학생135명에게 게시글의 ‘좋아요’ 수(고/저)와사용자의 ‘좋아요’ 반응경향(고/저)에 따라 페이스북 뉴스피드에 게시된 제품(운동화) 관련 글을 읽도록 한 후,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좋아요’ 반응경향이 높은 사용자는 ‘좋아요’ 반응경향이 낮은 사용자보다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좋아요’ 반응경향이 높은 사용자는 ‘좋아요’ 수 고(高)/저(底) 조건 모두에서 ‘좋아요’ 반응경향이 낮은 사용자보다 긍정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나, ‘좋아요’ 반응경향이 낮은 사용자는 ‘좋아요’ 수가 적은 조건보다 많은 조건에서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를 보였다. 즉, SNS 사용시 타인의 영향력은 행동반응 경향성이 낮은 소비자에게 더 크다는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SNS 광고관리자들이 게시물에 대해 ‘좋아요’와 같은 사용자의 감정반응을 많이 이끌어내는것이 광고효과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반응으로 ‘좋아요’ 뿐 아니라 ‘댓글’이나‘공유하기’ 반응의 광고효과에 대해서도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Facebook user’s behavioral tendency (clicking ‘like’) and amount of ‘liking’ of the posting on Facebook ad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135 students in 2(behavioral tendency: high “liking” vs. low “liking” response) x 2(amount of “liking” of posting: high vs. low) factorial des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user who had high tendency to clicking like button had higher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users who had low clicking ‘like’ response tendency. Second, users who had low ‘liking’ response tendency showed that higher attitude toward the product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on the condition of high amount of ‘liking’ of the posting than low amount of ‘liking’ of the posting. But, those with high ‘clicking’ the like button were not affected by other persons’ ‘liking’ response of the po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SNS marketing manager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ir ads by attracting a lot of user’s ‘like’ response on their posts.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research on the effects of user’s writing ‘comments’ and ‘sharing’ responses on the Facebook post.

      • 이중 언어 사용자의 한국어 쓰기 분석 : 여성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김남은,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2 다문화의사소통 Vol.1 No.1

        본 연구는 이중언어강사를 목표로 한국 어를 배우는 이중언어 사용자들 중 여성 결혼 이민자의 쓰기 분석을 통해 한국어 쓰 기 양상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 나타나는 문장 수, 평균 형태 소 길이, 어절 수, 문장 당 어절 수, 문법 오류 유형 및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총 584 개의 문장에서 평균 25.78의 평균형태소길이(MLU-m)가 나타났고, 430개의 문법 오 류가 나타났다. 총 어절 수는 5753개로 평균 159.81개의 사용되었으며, 문장 당 어절 수는 평균 10.52개였다. 전체 문법 오류 가운데 조사 오류는 382개, 89.07%로 가장 높 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형태, 사동·피동, 시제, 경어표현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중언어 사용자들의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육 방안이 마 련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허아남(YA NAN XU),이성원(Sung Won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장부장난감(榫卯玩具)은 어린이들에게 전통문화를 교육하는 완벽한 매개체이다. 본 연구는 KJ 법과 Kano 법을 사용하여 장부장난감에 대한 사용자 수요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1)KJ 법을 사용하여 장부장난감 제품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수요를 도출하고 수요 목록을 구축하였다.( 2) Kano 모델을 구축하여 도출된 18개의 사용자 수요에 대해 긍정적인 조사 및 부정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통계 분석을 하여 각 사용자 수요 항목의 분류를 정리하였다. (3) Better-Worse 계산 결과에 따라 만족도의 사분면 산점도를 구성하였다. (4)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매력적 품질속성(A)이 4개, 당연적 품질속성(M)이 7개, 일원적 품질속성(O)이 3개, 무관심 품질속성(I)이 4개를 포함된 것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장부장난감 제품 디자인의 발전을 추진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장난감 디자인에 이론적 참고를 마련할 수 있어서 중요한 연구 의의를 지닌다. Mortise and tenon toys are the perfect carrier for educating children about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analyzed and studied the user needs and satisfaction of ledger toys using the KJ and Kano methods. (1) The KJ method was used to obtain the user's requirements for the functionality of the mortise and tenon toys product, and a requirement list was established. (2) Establish a Kano model, conduct positive and negative surveys on the 18 user needs obtained, and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sorting out the classification of each user demand item. (3) Based on the Better-Worse calculation results, a quadrilateral scatter plot of satisfaction was constructed. (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ur attractive quality attributes (A), seven natural quality attributes (M), three monistic quality attributes (O), and four indifferent quality attributes (I) were identified. This study not onl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for mortise and tenon toys, but also provides theoretical reference for future toy design, which ha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 KCI등재

        MU-MIMO 하향링크 시스템에서의 MRT 기법 사용 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는 최적 송신 안테나의 수

        이정수(Jeongsu Lee),한용규(Yonggue Han),이충용(Chungyo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11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시스템에서 maximal ratio transmission (MRT) 기법 사용 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에 대해 알아본다. Full channel state information at the transmitter (CSIT) 환경에서 평균 채널 이득, 각 단말 간 채널 독립성, 평균 path loss를 사용하여 최적화 식을 근사하고 편미분을 이용하여 closed form으로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를 구한다. 또한 limited feedback 환경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근사한 목적함수에 대하여 bisection method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를 찾는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구해진 최적의 송신안테나 수가 exhaustive search로 찾은 최적의 송신안테나 수에 비해 오차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고, 단말의 피드백 비트 수가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We propose an optimal number of transmit antennas which maximizes energy-efficiency (EE) in multi-user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downlink system with the maximal ratio transmission (MRT) precoding. With full channel state information at the transmitter (CSIT), we find a closed form solution by partial differential function with proper approximations using average channel gain, independence of individual channels, and average path loss. With limited feedback, we get a solution numerically by the bisection with approximations in the same manner, and analyze an effect of feedback bits on the optimal number of transmit antenna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optimal numbers of transmit antenna getting from proposed closed form solution and exhaustive search are nearly same.

      • KCI등재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채널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기지국 활성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

        최승규(Seungkyu Choi),김도훈(Dohoon Kim),이충용(Chungyo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5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채널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zero-forcing beamforming (ZFBF) 전처리 필터 기반의 기지국 활성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최적의 안테나 수를 찾는 연산과정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순시 채널 이득 대신 ZFBF의 평균 채널 이득을 사용한다. 그리고 분수함수 형태의 목적함수를 차를 이용한 목적함수로 변환하여 최적의 안테나 수와 최대 에너지 효율을 찾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에너지 효율은 exhaustive search 방법으로 찾은 최대 에너지 효율과 거의 동일함을 확인한다. We introduce a number of antenna optimization problem for the zero-forcing beamforming (ZFBF) scheme to enhance energy-efficiency (EE) of th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broadcast channel. For proposed optimization problem, we assume an instantaneous channel gain of the ZFBF scheme as an average channel gain, given by Na-K+1, in order to reduce a computational complexity of finding the number of active antennas Na. Then, we convert a fractional-form objective function into a subtractive-form, and find a solution of Na and the maximum EE by an iterative proces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EE value obtained by proposed algorithm is almost identical to the optimal EE value by the exhaustive search method.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분석 : 사용자 반응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중심으로

        송형근,고병완 한국경영정보학회 2018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업데이트는 (i) 어플리케이션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서, (ii) 기존 사용자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어플리케이션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 그리고 (iii) 기능 추가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전략적 마케팅 도구로 빈번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많은 사례와 연구들이 이러한 업데이트의 중요성을 뒷받침해왔다. 그러나, 업데이트가 항상 이와 같이 의도했던 결과만을 가져오지는 않았으며 사용자들의 반발과 이탈을 가져오기도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존재한다. 많은 경우 업데이트는 기존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기존의 기능을 삭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사용자들의 부정적인 반응은 어쩌면 놀라운 일일지도 모른다. 본 연구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제 사용량 데이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목적과 시장경쟁환경 등에 따라 업데이트가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에 사용자수 측면에서, 이용빈도수 측면에서, 그리고 이용시간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해보았다.

      • KCI등재

        판례연구 :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의 묵시적 승계 -대법원 2011.7.28. 선고 2010도12834 판결을 중심으로-

        임호 ( Ho Im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2

        종업원의 발명능력을 참작하여 보수나 대가를 지급하면서 고용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종업원은 발명에 대하여 이미 보상을 받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비록 계약상 명시적인 조항이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그 고용의 결과 종업원이 한 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받을 가진다고 보아야 한다. 종업원의 발명에 대하여 발명자주의를 취하는 것은 종업원에게 발명에 대한 유인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그 발명에 대하여 이미 경제적 보상을 받은 경우에는 발명자주의가 충족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이렇게 종업원의 발명능력을 고려하여 고용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미국의 특허 판례법에서는 이를 ‘발명을 위한 고용 hire to invent’이라고 보고 사용자가 종업원으로부터 발명에 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묵시적으로 승계하였다고 보는 이론이 확립되어 있다. 따라서 발명자들이 개발 중인 발명을 평가하여 그 대가로 금원을 지급받고 그 대신 회사의 지분을 양도한 뒤 그 회사의 상무이사와 기획실장으로 취임하여 그 발명을 완성하였다면 종업원들은 이미 그 발명에 대한 대가를 지급받고 고용계약을 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그 완성된 발명에 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사용자에게 묵시적으로 승계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In case where the employee`s inventive ability was considered at the time of employment contract, the invention during the employment period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employer. The Supreme Court, however, does not allow the employee`s transfer of right to patent for his invention to the employer without more explicit causes. If the employer appreciates the employee`s ability to invent as an asset value and compensate it as salary or the equivalent of it, the employee impliedly transferred his right to patent for his invention to the employer. US courts and this critics name this doctrine as ``hire to invent,`` which is an exception to the doctrine that the right to patent for the invention should be vested to the original Inventor. In case where the employee was already compensated for his invention the employer has the right to patent for the invention. In this Supreme Court case the employees with inventive abilities sold the company`s 51% stocks to the third party for 50 million won with their inventive project and after that they became the employees of it, then the employees impliedly transfer their rights to patent coming thereafter to their employer.

      • KCI등재

        MRT 기법 사용 시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이정수(Jeongsu Lee),한용규(Yonggue Han),심동규(Dongkyu Sim),이충용(Chungyo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8

        본 논문에서는 사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과 만족해야 하는 최소 전송률에 대한 제한 조건 아래에서, maximal ratio transmission (MRT) 기법 사용 시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안테나 수와 송신 전력을 찾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순시 채널에 대한 최적화 문제는 직접 풀기 어려우므로 단말 간 채널의 독립성, 평균 채널 이득, 평균 path loss를 이용하여 근사한다. 근사된 에너지 효율에 대한 최적화 문제는 두 개의 변수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2차원 최적화 문제가 된다. 우리는 이러한 2차원 최적화 문제를 라그랑지 승수법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최적의 안테나 수와 송신 전력을 구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구한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와 송신 전력이 exhaustive search로 찾은 값과 근사함을 확인한다. Under the maximum transmit power constraint and the minimum rate constraint, we propose the optimal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nd transmit power which maximize energy-efficiency (EE) in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downlink system with the maximal ratio transmission (MRT) precoding. Because the optimization problem for the instantaneous channel is difficult to solve, we use independence of individual channel, average channel gain and path loss to approximate the objective function. Since the approximated EE optimization problem is two-dimensional search problem, we find the optimal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nd transmit power using Lagrange multipliers and our proposed algorith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nd power obtained by proposed algorithm are almost identical to the value by the exhaustive search.

      • KCI등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분석 : 사용자 반응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중심으로

        송형근,고병완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1 No.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업데이트는 (i) 어플리케이션의 가시성을 높이거나, (ii) 기존 사용자 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가치를 제고하거나, (iii) 기능 추가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많은 연구와 사례들은 이러한 업데이트가 모바일 어플리 케이션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다른 사례들은 업데이트가 오히려 사용자들의 반발과 이탈을 불러오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어플리 케이션의 실제 사용량 데이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목적과 시장경쟁 환경에 따라 업데이트가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에 사용자수 측면에서, 이용빈도수 측면에서, 그리고 이용시간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The updates in the mobile application market have been widely used as strategic marketing tools. It has been used to (i) improve the visibility of an application, (ii) enhance the value of an applicationand strengthen the loyalty of current users, and (iii) expand the market by adding additional features or functions. A number of studies and anecdotal evidence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se updates in the mobile application market. However, not all updates in the mobile application market have been successful. Snapchat, for instance, lost 3 million users in three months after it rolled out a major update in November 2017.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updates on the usage patterns of users in the mobile application market using MAU (Monthly Active Users), usage frequency, and usage time that we collected from a company that provides mobile application usage statistics.

      • KCI등재

        특징 결합과 블록단위 상관계수를 이용한 동작 기반 사용자 인증

        최현석,박혜영,이관용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6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2 No.3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매체와 기술도 다양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RGB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동작 영상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통계적 특징과 영상 고유의 특징 기술자를 결합하고, 특징행렬에 대한 행과 열 단위의 상관계수를 유사도 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고, 동작 데이터의 RGB 정보만을 활용하므로 계산의 효율성과 구현의 편의성도 함께 갖추고 있다. 공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실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mart devices, a variety of media and technologies have been exploiting in the area of user authentication.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which uses gesture video signals acquired from the RGB camera of a smart device. The method combines the statistical features with the unique feature descriptors of images, and utilizes a similarity measure with the block-wis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feature matrice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By using only the RGB information from gesture data, the method is also sought for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the ease of implementation. The experiments with a benchmark data set confirm the avail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