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홋카이도 아사지노비행장 건설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에 대한 고찰

        서인원(Seo, In-Wo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9 No.-

        1942년에서 1944년 사이 일본 홋카이도 아사지노지역의 육군 비행장건설에 강제 동원되어 사망한 조선인들에 대한 진상규명을 하기 위해 「아사지노신증사(信證寺)과거장」, 「사루후쓰무라 매 · 화장허가기록」, 「하마톤베쓰쵸 매 · 화장허가기록」, 「홋카이도개척순난자조사보고서(1991)」등에서 아사지노비행장 건설 사망자 명부와 피해 신고서를 비교 분석하여 사망자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사망자의 사망원인, 노동환경에 대해 분석하여 강제동원 및 인권유린 실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명부, 사료, 다코베야 수용시설 등을 종합하면 조선인은 아사지노비행장에서 1,000~1,200명 정도 거주했을 것이고 사망자는 300~400명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명부인 「강제연행기 홋카이도 조선인 사망자명부」, 「아사지노 신증사(信證寺)과거장」, 「홋카이도개척순난자조사보고서」,「하마톤베쓰쵸 매화장인허증」을 정리하여 99명 정도의 조선인 사망자 명단을 확보할 수 있었다. 명부를 분석하면 건설업체 책임자가 학대와 폭행치사 등의 사망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매화장인허증을 작성했을 때 사인을 허위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丹野組는 사망자의 현주소가 존재하지 않은 비행장 관계 함바로 기입을 하고 허위 사망원인을 적은 매화장인허증을 하마톤베쓰쵸에 제출한 것도 있었다. 허위 매화장인허증은 사루후쓰무라에서 받아주기 않기 때문에 하마톤베쓰쵸에 사무실이 있는 것처럼 꾸며 사망신고서를 해당 관공서에 제출한 것이다. 또한 도망간 조선인을 잡아 구타로 사망하게 해놓고 매화장인허증 사인에는 정신이상, 변사 등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것은 홋카이도신문, 관련 사료, 증언 등의 분석을 통해 조선인이 구타에 의해 사망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노동환경면에서 강제 동원된 조선인은 가혹한 중노동으로 영양실조가 되거나 장티푸스, 설사 등이 계속되어 치료도 받지 못하고 공사 현장에서 사망하는 경우도 많았다. 조선인 사망자 59%가 공사 현장인 아사지노비행장 대지와 현장막사에서 사망한 것은 과로사를 입증해주는 데이터이다. 이런 사망 원인은 가혹한 중노동, 인권유린, 감금, 폭행치사, 도주 감시 등 혹독한 노동환경에서 왔다. 일본 홋카이도 아사지노지역 사망자 현황과 피해 증언의 의하면 강제동원 조선인 사망자들은 대부분 강제 동원되었고 면서기, 일본경찰, 헌병, 행정직원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강제 동원되었고 가혹한 노동과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희생되었다는 것이 증명된다. We were analyzed in the list of victims, Certification for Burial and Crem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facts about the Koreans who were forced to build an army airfield at Asajino in Hokkaido, Japan from 1942 to 1944. We analyzed the history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Asajino Airfield and the cause of death and the place of death in the list, proves the fact of forced mobilization. Analysis of victims list and materials proved that Koreans would have lived at about 1,000 to 1,200 people at Asajino Airfield and victims could be estimated at 300 to 400 people. The list of about 99 Korean victims could be obtained. When we analyzed the victims list, it was often the case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company made false autographs when he wrote Certification for Burial and Cremation to cover up the deaths of abuse and assaults. There was also a case where the victims residence address was forged and submitted to the other government office. Koreans forced to work in the labor environment often suffer from malnutrition due to severe hardship, typhoid fever and diarrhea. 59% of Korean victims died at the Asajino Airfield site and barracks. Analysis of the list and the feed showed that Koreans were forced to work to Asajino at that time and that they were sacrificed in harsh and depressed working environments in construction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