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분재문기(分財文記)의 작성과정과 그 특징 -초문서원문서복문서(草文書原文書複文書)의 제작과 수취를 중심으로-

        문숙자 ( Sook Ja Moo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본고는 조선시대 재산상속 문서인 분재기의 작성과 受取에 나타나는 사회사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분재기의 제작은 財主라 칭해지는 피상속인이 분재내역을 구술하고, 필집 혹은 상속인 중 한 사람이 그것을 書取하는 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그 안에는 草文書라 지칭되는 초본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原文書로 정제되는 몇 단계의 제작과정이 숨어있다. 또 초문서는 두 가지의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정제과정을 거쳐 원문서로 화하는 초본 형태의 문서이고, 다른 하나는 원문서를 만들기 위한 대본 역할을 하는 재산목록 형태의 전혀 다른 형식의 문서이다. 각 가문의 재산관리 방식에 따라 분재기 제작과정이 달라지고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초문서가 만들어진다. 즉 분재기 작성 방식에는 상속 주체들의 재산운영의 내용들이 숨어있다. 한편 분재기의 受取는 재산상속과 함께 분재기도 발급받았다는 전제하에 평등한 상속인의 권리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통념과 달리상속인수와 분재기 건수가 불일치하는 현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즉 상속인 사이의 보이지 않는 층위에 의해 분재기의 受取 자격이 결정된다는 점과, 사위보다는 아들이, 그리고 庶子보다는 嫡子가 분재기를 수취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추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실제 長男家와 壻家에서 각각 발견된 複文書로서의 분재기 중 衿付文記의 경우 壻家의 것은 딸(사위) 몫만 기록되어 있으나 長男家의 것은 장남과 차남 두 사람의 몫이 기록된 사례가 있다. 내용은 균분상속이되, 상속관념에 있어서는 사위에게는 일회성의 재산상속을, 장남에게는 동성 형제의 재산내역을 파악하고 운영할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재산승계를 의도했을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분재기의 내용이 보여주는 재산상속의 변화가 사회사적 의미를 가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분재기의 작성 과정과 발급·수취에 나타나는 가문별 차이와 상속인 사이의 층위 역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분재기에 나타나는 재산상속의 사례보다는 그 이면, 즉 분재기 작성과 수취에 드러나는 관념체계를 통해 작성자들의 의도를 읽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ociological meanings of preparing and acquiring Bunjaegi, which refer to property inheritance documents during Joseon. Preparation of Bunjaegi is based on a process of the inheritee dictat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Bunjae and the heir or someone else writing them down. Hidden in the process are, however, a couple of steps in which the primary documents(草文書) is made up and refined into the completed documents(原文書). There are two types of the primary documents; one is the draft -type documents, which becomes the completed documents through refinement; and the other is a sort of list of property completely different from it, serving as the script to prepare the completed documents. Every family has their own processes of preparing Bunjaegi according to the ways they managed property, in which process different types of the primary documents were created. That is, the way Bunjaegi was prepared contained the content about how the subjects of inheritance operated the concerned property. Under the assumption that Bunjaegi was issued along with property inheritance, the receiving Bunjaegi was regarded as a right to an equal heir. Unlike such a common idea, however, there were often cases in which the number of heirs and the number of Bunjaegi did not match. It is thus estimated that the receiving qualification of Bunjaegi was dependent upon the invisible hierarchy among the heirs and that it was highly likely that the sons and the legitimate sons would have a preferential right to Bunjaegi to the sons-in-laws and the bastard sons, respectively. As a matter of fact, when the plural documents(複文書) discovered in the house of the eldest son and that of the son-in-law contained the records about the individual share instead of the overall distribution, the son-in-law would be given only the document containing the records about the daughter(son-in-law)`s share and the eldest the records about the shares of the second eldest son as well as the eldest one himself. It is probably because such a heterogeneous Bunjaegi was required to allow the eldest son to inherit and manage the property of the head family unlike the son-in-law who inherited property only once. Just like the changes to property inheritance demonstrated by the content of Bunjaegi have sociological meanings, the differences among the families and the hierarchy among the heirs demonstrat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issuing, and receivng Bunjaegi also claim important significance. It is required to read the intentions of those who prepared the Bunjaegi through the ideological system reveal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receving Bunjaegi rather than the cases of property inheritance in Bunjaegi.

      • KCI등재

        1434년 신보안(辛保安) 처(妻) 정씨(鄭氏) 분재기(分財記) 연구

        손계영 ( Son Ke-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6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은 경북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1434년 정씨부인이 작성한 분재기이다. 현존하는 분재기의 대부분은 16-17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이 자료는 현재 공개된 분재기 가운데 시기적으로 일곱 번째에 해당되는 조선 초기의 것이다. 등장인물, 가족구성, 분재양상 등의 측면에서 여말선초 사회상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 자료로 판단하였다. 해당분재기는 앞부분 손상이 심하여 분재 배경과 사유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그러나 대략 부친 신보안이 사망하기 이전 1418년에 1차 분재가 있었고, 16년이 지난 1434년에 정씨부인의 노비, 1차 분재 시 누락된 노비, 각처에서 傳得한 노비 등을 2남 2녀에게 분재한다는 내용으로 추측된다. 현재2남 2녀에게 분재한 전체 내역인 分級文記는 전해지지 않으며, 그들 중 장남 辛斯鳳에게 분재한 내역만을 따로 기록한 깃부문기[衿付文記]만 남아있다. 장남 신사봉에게 분재된 재산은 모두 노비였으며, 8곳의 所從來에서 전래된 노비는 총 51구였다. 정씨 분재기를 통해 여말선초의 가족구성과 상속문화 및 조선전기 재산상속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신보안 측과 정씨부인 측 양가에 승려 삼촌이 있었다는 점과 혈족인 승려로부터 노비가 분재되어 전래되었다는 점을 들수 있다. 이는 고려말 사대부 집안 자식들 가운데 1명은 승려가 되었다는 기록과 같이 관인층 가문의 자제가 불교에 출가하는 것이 보편적 현상이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방계 혈족으로부터의 노비 전래 사례가 다양하고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所從來가 父邊, 母邊, 妻邊, 外祖 등 직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반면, 정씨 분재기에서는 從母, 三寸叔, 五寸叔母, 同生弟 등 5곳의 방계 혈족 전래 사례가 직계 사례보다 많으며, 방계 전래 노비수도 직계 전래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roperty Inheritance Record” written by Mrs. Jeong in 1434, which was collected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ibrary. While most of the existing property inheritance records are known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is record was made at the early Joseon period. It is the seventh earliest record among the reported property inheritance records in Korea. In terms of characters, composition of family members, and aspect of property inheritance, it was judged that this record was an important material to show the social aspects during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Because of severe damage to the front part, the background and reasons for her distribution of property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re was the first distribution in 1418 before her husband Shin Bo-an died and, 16 years later, 1434 Mrs. Jung gave her all slaves to her two sons and two daughters. This time slaves missing in the first distribution and slaves delivered from several relatives are distributed. At present, Bun-geup mun-gi (分級文記) of a total distribution for her two sons and two daughters is not exist. Only Gip-bu mun-gi (衿付文記) of the detailed inheritance record for her eldest son Shin Sabong remains. All of the assets inherited by her eldest son Shin Sabong were Slaves, with a total of 51 slaves transferred from eight places. Through Mrs. Jeong’s Property Inheritance Record, this paper examined the composition of Shin family, inheritance culture and the feature of property inheritance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 features foun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Buddhist monk uncles on both sides of Shin Bo-an and Mrs. Jeong and the slaves were handed down by their consanguineous monks. This indirectly shows that in that period it was a common phenomenon that a son from a bureaucratic family leave his family to become a Buddhist monk, just as it was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ccording to several record. Second, there are various and distinct examples of slave transmission from collateral relations. Unlike the general case that slaves inherited from lineal relatives such as father, mother, wife, and grandfather, in Jeong’s record, more collateral relatives such as uncles and aunts in distant kinship and even younger brother transmitted their slaves to Mrs. Jeong. And the number of slaves transmitted from those collateral relatives were 1.5 times many of them from lineal relatives.

      • KCI등재

        분재기를 통해 본 16세기 상속재산의 전승 양상

        고민정(高旻廷)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본 연구는 16세기 재산상속제의 실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분재기를 토대로 양반가의 상속재산이 전승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16세기 전후에 작성된 분재기 중에는 상속 대상이 되는 노비와 토지의 전래처를 기록한 사례가 존재한다. 이것은 해당 재산이 어떤 경로를 통해 형성, 전승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그리고 전래처의 기록이 없더라도 재주財主와 상속자의 상관관계를 추적해보면 어떤 경로를 거쳐 재산이 형성, 전승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재기 속에 나타난 상속 대상의 전래처, 재주와 상속자의 관계를 토대로 상속받은 재산이 얼마만큼 어느 기간 동안 유효하게 전승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광산김씨 후조당종택의 사례에서는 노비의 전래처 기록을 토대로 김효로金孝盧와 양성이씨의 재산이 김연金緣에게 상속되고, 다시 김연과 창녕조씨의 재산이 김부필金富弼에게 상속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김연이 부모로부터 상속한 노비 중 약 26%가 아들 김부필에게 전승되었으며 모변보다 부변 노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재령이씨 영해파종중의 사례에서는 재주와 상속자의 상관관계를 추적하여 이은보가 李璦와 진보백씨의 재산을 상속받는 과정과 이은보의 처 전의이씨가 부모의 재산을 상속받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은보와 전의이씨의 재산이 이함李涵에게 상속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이은보 부처가 부모로부터 받은 노비 중에서 약 20%가 아들 이함에게 전승되었으며 이 역시 모변보다 부변 노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두 사례에서는 16세기 부모가 자녀에게 전승한 재산 중에서 대략 20%가 다음 대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상속이 이루어지는 시점, 상속 대상의 유한성, 치산 방식의 차이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하나의 비교군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분재기 외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상속재산의 전승 형태를 보다 면밀하게 고찰하기 위한 선행작업으로서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an aspect that inherited property of Yangban based on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in order to study the fact of the system for inheritance of property in the 16<SUP>th</SUP> century.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becomes a clue to be able to grasp the origin that inherited property was formed because they have the examples which recorded places for transmission of heirs. And even though there are no any records of places for transmission in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property can be divided into the main family and the husband’s in-law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applicable holding institutions. And this also becomes a clue to be able to grasp one aspect that inherited property is handed down. For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of Gwangsan Kim Clan Hujodangjongtaek written before and after the 16<SUP>th</SUP> century, the transmission aspect that inherited property was connected from Kim, Hyoro to Kim, Yeon and from Kim, Yeon to Kim, Bupil as the places for transmission of heirs were recorded in it. In other words, about 26% of the slaves that Kim, Yeon inherited from his parents were transmitted to the son. And the rate of paternal slaves h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rate of maternal slaves. For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of Jaeryeong Lee Clan YeonghaepaJongjung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the places for transmission of heirs were not recorded in it. But there are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of the husband’s in-laws and the transmission aspect of inherited property has found to be connected from Lee, Ae to Lee, Eunbo and from Lee, Eunbo to Lee, Ham. In other words, about 20% of the slaves that the Lee, Eunbo couple received from the parents was handed down to their children. And the rate of paternal slaves has also found to be higher than the rate of maternal slaves. These conclusions are meaningful as a comparative group because they have the possibility of being changed depending on time of inheritance, heirs’ limitations, and families’ ways to manage household affairs and as the upfront work to study inherited property more closely by utilizing various materials with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 KCI등재

        1516년 金綏 分財記 및 許與斜給立案의 문서 생산 절차와 배경

        손계영 ( Ke Young So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2

        본 논문은 16세기 초반 예안 지역에서 작성된 일괄문서 5종이 생산된 배경에 대한 연구이다.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金綏(1491~1555) 관련 자료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조선전기 異姓繼後의 상황과 재산상속을 면밀히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문서이다. 또한 1516년 노비 상속과 상속의 등록을 위해 작성된 일괄문서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 김유는 1491년 태어난 지 8개월 만에 5촌 고모 김씨(金萬鈞의 부인)에게 收養되어 길러졌으며, 5촌 고모부 김만균이 별세한 이후 김씨 부인의 중풍으로 인해 상속이 추진되었던 1516년에 104구의 노비를 상속받았다. 이때 작성된 분재기에는 이러한 내역이 기록되어 있으며, 상속된 노비의 所從來와 이름이 모두 열거되어 있다. 당시 직계존비속 간의 상속이 아닐 경우에는 관에 신고하여 許與斜給立案을 발급받아야 했는데, 김유 일괄문서 5종은 관의 상속 입증 문서인 허여사 급입안의 발급 과정에서 생산·첨부된 문서들이었다. 즉 김유는 김씨 부인에게 재산을 상속받은 날로부터 2개월 후에 관에 허여사급입안 신청을 하였고, 관에서는 신청서를 접수받은 후 피상속인의 사실관계 확인과 함께, 상속시 증인의 사실관계도 확인받아 진술서를 작성하였다. 확인과 진술이 끝나면 상속받은 노비들이 차후 문제가 없는 노비들인지 노비장부[賤籍]에서 일일이 대조하는 작업을 거쳤고, 所志(입안신청서), 分財記(상속문서), 答通(피상속인 확인서), 招辭(증인·필집 진술서) 등을 허여사급입안과 함께 첨부하여 상속인 김유에게 발급하였다. 이를 통해 지방에서의 효율적인 문서행정과 체계적인 기록방식을 엿볼 수 있었으며, 문서의 발급절차와 법적 효력에 대해 살필 수 있었다. 추후로 이와 같은 재산상속 및 법률적 절차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조선전기의 중요 자료들이 다양하게 발굴됨으로써 각 사례별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d how the five-document package, which were made in Yean (禮安) in the early 16th Century, was prepared. The document package is important in that it is an unknown document related to Kim Yu (金綏, 1491~1555) and also is worthy of notice in that it can show in detail the aspects of adopting a wife`s nephew and related property succession. Besides, being a package prepared to register the succession of slaves in 1516, it is an important material. Kim Yu, born in 1491, was adopted to his father`s female cousin, Mrs. Kim, who is the wife of Kim Man-gyun (金萬鈞) when he was 8 months old. Kim Man-gyun died and his wife, Mrs. Kim, had a stroke. So Mrs. Kim carried out succession and Kim Yu inherited 104 slaves in 1516. In the document of property succession written at that time, such details are recorded together with the origins and names of inherited slaves. At that time, the succession between non-lineal ascendant and descendant should be declared to government office and receive a succession approval document, Heo·yeo·sa·geup·ip·an (許與斜給立案). The five-document package of Kim Yu was those prepared and attached to receive Heo·yeo·sa·geup·ip·an. Kim Yu applied for Heo·yeo·sa·geup·ip·an after 2 months from the day he inherited property from Mrs. Kim. And the government office checked the fact relevance of inheritee and collected statements from the witnesses of succession. After the check and statement collecting, the office compared the inherited slaves with Cheon·jeok (賤籍, slaves register) one by one to find out any potential cause of problems. Then, the office issued Heo·yeo·sa· geup·ip·an with Soji (所志, application), Bunjaegi (分財記, property succession document), Daptong (答通, Affirmation of inheritee) and Chosa (招辭, statement of witness) to inheritor Kim Yu. The package showed the effective document administration and recording system of local government, and document issuing procedure and their legal effects at that time. If other materials were found and could explain the property succession and legal procedure of the early Joseon period, it would boost additional researches on many cases.

      • KCI등재

        17세기 분재와 전답소유권 : 명문, 입지 그리고 분재기 - 경상도 봉화 법전 진주강씨 사례

        정수환(鄭銖煥)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이 글은 분재기 분석의 일환으로 토지를 대상으로 분재를 통한 가산의 전래경위 및 그 과정에서 형성된 매매명문과 입지와 분재기와의 관련성을 추적하였다. 시기는 분재관행의 전환기로 인식되는 17세기 전후이다. 사례는 17세기 초엽 경기도에서 영남의 봉화에 정착한 진주강씨 강각종가 고문서이다. 강각종가 선대는 조선 초기부터 경기도 파주 일대에 토지 기반을 유지하다가 강윤조와 강각 부자가 병자호란 직후 다른 인척들과 함께 영남으로 이주하면서 봉화에 입향 했다. 입향 당시 경기도 일대에 선영 및 전답이 산재해 있었다. 매매명문은 입향 전후한 시기 매매를 통한 소유권 확보 노력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전답의 확보 및 소유에 대한 노력은 강각의 부인 파평윤씨 부인이 주도하였다. 그녀의 아들 강찬은 선대로부터 분재 받은 토지에 대해 진황지 개간이나 분묘 수호를 이유로 전토를 확충하고 관으로부터 입지를 받음으로써 경영에 신중을 기했다. 분재기는 입향 후 강각 내외를 비롯하여 그의 부모로부터 연유하는 경기도 일원의 토지에 대한 분재 결과와 강각종가 인물의 토지매득 결과를 담고 있다. 입향 초 매득한 봉화의 토지는 17세기 동안 방매되지 않고 분재로 전수되면서 가문내의 전통으로 작용했다. 분재에는 명문, 입지 등의 문서 전여를 고려하여 관련 토지를 자녀들에게 분금함으로서 분재 후 전답 관리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은 17세기 강각종가의 명문, 입지 그리고 분재기라는 제한된 자료에 대해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향 과정에서 토지의 매득, 소유권 확충을 위한 입지 그리고 이들에 대한 분재는 토지의 전수와 함께 문기의 전래도 동시에 고려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property distribution and its documents which include land dealing and government endorsement. The case is on the JinJooKang clan’s collections produced in 17<SUP>th</SUP> century Choson. Some members of JinJooKang clan migrated from Gyeonggi province to Bonghwa district, Gyengsang province, in 1637 just after Manchu invasion. They purchased paddies and dry fields near their residential areas. Land dealing documents reveals how they invested their attentions for maintaining property ownership, and some of them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governmental endorsement and property distribution. Late 17<SUP>th</SUP> century, they submitted civil complaint document, obtaining land ownership or property protection, to the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endorsement for land is also related with land dealing documents and property division papers. JinjooKang Clan in Bonghwa district distributed their land property between their brothers and sisters among 17<SUP>th</SUP> century and produced the property division papers. These papers absorb land dealing activities across their ancestors- land dealing documents, and property protection achievement-local government endorse documents. When it comes to the land, land dealing document, local government endorsement document and property distribution paper have ties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when property division was happen they allocated related documents in their share.

      • KCI등재

        朝鮮後期 서울 名門家의 家計經營―京都大學 河合文庫 소장 안동김씨 金壽增 남매 분재기 분석―

        안승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At Kyoto University and Tokyo University in Japan, many old documents (古文書) by eunuch, court lady or the yangban such as Andong Kim Clan in Jang-dong, Dongnae Jeong Clan in Hoehyeon-dong will be handed down. In this article, introduced the Bunjaegi (分財記) of Andong Kim Clan’s Kim Su-jeung, Kim Su-hang and his siblings, and looked at the size of their assets. In 1672, Kim Soo-jeung’s brothers distributed assets was amount to Slave 410 gu (口) and farmland 500 durak (斗落). It is considered a very meaningful case in that it is the size of Seoul’s academic and bureaucratic Yangban’s property holdings, which are based on the gwageo (科擧), government posts and yehak (禮學) in the mid-17th century. The relatively small area of farmland compared to slaves is the difference between Yangban’s familly of Yeongnam and other regions during the same perio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Bunjaegi (分財記), the following: First, for the purpose of bongsa (奉祀), appropriated budget was that the be amount to slaves 205 and farmland 100 durak (斗落).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bongsa (奉 祀), run their property at the head family (宗家) betrayed the original meaning of equal distribution to their children and resulted in non-compliance with the law. however, this is a case in which the order of neo-Confucian (朱子學) is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the domestic economy, and rather sets an example for the sadaebu (士大夫) to consolidate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st son. Second, Most of Kim’s slaves are distributed to counties and prefecture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Gyeongsang-do, Jeolla-do and Hamgyeong-do. These slaves exist as sin-gong (身貢) and not sahwan (使喚), which means an economic structure centered on napgong (納貢) for slaves. As such, the possession and operation of slaves of non-related with farmland has a very weak economic structure. 일본 京都大學 東京大學에는 서울 壯洞의 안동김씨, 會賢洞의 동래정씨, 內寺⋅尙宮 등 京居 양반이나 왕실 주변 인물의 고문서가 다수 전한다. 이 글에서는 서울의 대표적 가문인 안동김씨 金壽增⋅金壽恒 남매의 분재기를 소개하고 이들의 재산규모와 그양태를 살펴보았다. 1672년 당시 안동김씨 金壽增 형제 남매가 분재한 재산은 노비 410구 전답 500여斗落에 달하였다. 17세기 중엽 과거와 관직, 禮學을 주업으로 하는 서울의 學術官僚型 양반의 재산보유 규모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사례로 판단된다. 노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답이 적은 것이 영남 등 같은 시기 여타 양반가와 차이가 나는 점이다. 분재기에 나타나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조가 노비 205구, 전답이 100여 두락에 달할 정도로 방대하게 책정되고있다는 점이다. 또한 봉사조 재산을 종가에서 운영토록 하는 것은 자녀 간 균분의 본뜻을 저버리고 법을 준수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이는 주자학적 질서를가정 경제 운용에 적용시킨 경우에 해당하여 오히려 사대부들이 장자의 경제적 지위를 공고히 해주는 본보기가 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김씨가의 노비는 대부분 경상도, 전라도, 함경도 등 전국의 군현에 분포한다. 이들은 使喚 노비가 아니라 身貢 노비로 존재한다는 것으로 노비에 대한 納貢 중심의경제구조이다. 이와 같이 토지와 결부되지 않은 노비의 보유와 운용은 매우 취약한 경제구조를 지닌다.

      • KCI등재

        조선후기 균분상속의 균열과 그 이후의 상속관행

        문숙자(文叔子)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본고는 조선시대 재산상속 관행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상속관행 중 특히 17세기 이후의 변화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고자 작성하였다. 조선시대 재산상속 관행은 양반 후손가에 전래된 분재기分財記가 활용되면서 매우 실증적으로 분석되어 왔다. 그 결과 자녀간 균분상속 관행이 유지되다가 17세기 중반 또는 후반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음이 밝혀졌다. 선행 연구성과는 균분상속에서 딸이 제외되고 난 후 17세기 후반 이후에는 장자 위주의 재산상속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균분상속과 함께 시행되던 윤회봉사가 장자 단독봉사로 전환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런 결론은 분재기의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얻어진 결과라기보다는, 변화의 원인을 유교에 기초한 종법적 가족질서의 정착으로 보고 그에 따른 이상적 종착점을 제시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남아있는 분재기들에는 18세기말~19세기초까지도 장자 위주의 상속관행이나 장자 단독봉사가 여전히 드러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장자 단독상속과 봉사가 이루어졌는지, 이루어졌다면 그 시기는 언제부터인지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상속제 변화의 원인을 종법 일변도로 해석하기보다는 소종小宗 위주의 분화와 존속을 중히 여기는 한국적 친족의식, 그리고 다양한 다른 요인을 고려하여 재해석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part of a broader research on the practices of inheritance of property in Joseon, this study set out to closely review the changing patterns of inheritance practices since the 17<SUP>th</SUP> century and interpret their meanings. In the domain of this research, the introduction of Documents of property inheritance, which had been transmitted to descendent families of Yangban, enabled the very empirical analysis of the property inheritance practices in Joseon. It was found that the practice of equalized inheritance was maintained for both sons and daughters and started to have problems in the middle or late 17<SUP>th</SUP> century. Previous studies understood that the exclusion of daughters from equalized inheritance was accompanied by the oldest son-centric property inheritance after the latter part of the 17<SUP>th</SUP> century. They also reported that the Practice of rotating memorial services for ancestors among children, which was provided along with equalized inheritance, was converted into sole service by the oldest son. However, these conclusions were far from the inductive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cuments of property inheritance. It is inferred that they found the cause of the changes in the settlement of family order according to the Jongbeop(※宗法, the protocols regarding the relative 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of memorial service) based on Confucianism.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Bunjaegis of the Yeongnam region, and found that some families, including those of the descendent families of Nango (蘭皐), did not began the oldest son-centric inheritance practice or sole memorial service by the oldest son until the end of the 18<SUP>th</SUP> century ~early 19<SUP>th</SUP> century, which raises a need to postpone the introduction of inheritance and service solely by the oldest son to the time after the end of the 18<SUP>th</SUP> century ~ early 19<SUP>th</SUP> century. It is also needed to reinterpret the causes of changes to the inheritance system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ojong-centered differentiation, the Korean-style kinship of putting emphasis on ascendants, and other various factor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Jongbeop.

      • KCI등재

        조선후기 濟州 지역의 재산상속과 奉祀 관행

        文叔子(Moon Sook-Ja)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1

        이 논문은 조선후기 分財記를 통해 제주 지역의 재상상속 관행과 관련된 가족 시스템을 규명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우선 분재기 자료를 중심으로 18-19세기 제주 지역의 재산상속과 奉祭祀의 관행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조선후기 제주 지역의 재산상속의 특징은 家長에 의한 생전 증여 방식의 보편화이다. 이는 외형상 家長에 의한 상속이므로 가부장권의 강화로 해석할 수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家長 生時에 異財가 자유롭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家長權의 약화로 볼 수 있는 측면도 있어 그 성격이 양면적이다. 제사 봉행에 있어서는 분재기에서 봉사조를 掃墳條 등으로 지칭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제사를 죽은 부모 혹은 先祖에 대한 死後奉養의 의미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했다. 또 윤회봉사의 관행이 19세기까지 지속되는 등 봉사 방식이 유교적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었다.<br/> 조선후기 제주 지역은 재산의 균분상속으로부터 딸에 대한 차등상속으로까지 진전된 점, 제사 輪行의 담당자들이 아들에 국한된 점 등으로 볼 때 유교적 가족 시스템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형태가 장기지속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養子制가 성행한 점, 死後婚을 통해 奉祀子를 입양하는 전통 등은 유교적 체제의 강고한 지속을 보여준다. 결국 일면은 유교적 체제로 이행하는 과도기적인 모습으로 잔존하고, 일면은 과도하게 유교적 경향으로 흘렀던 것이다. 이러한 양면성을 지닌 가족의 존재가 제주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전근대 가족의 모습은 지역ㆍ신분에 따라 다를 뿐 아니라 각각의 특성을 한마디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형태를 지닌다. 따라서 한두 가지 기준을 가지고 유교적ㆍ비유교적 운운하거나 특수성만을 강조하면 무리한 추론에 빠질 우려가 있다.<br/> 가족은 어느 사회에서나 존재하는 기초적 공동체이므로 가족의 범주에는 각 사회 개별의 특수성보다는 모든 사회에 통용되는 보편적 성향이 더욱 광범위하게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 고찰한 재산상속과 제사의 특징을 토대로 조선후기 사회의 보편적 범주 속에서 제주 지역의 가족구조와 생활상이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The essential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lucidate family system concerning property inheritance in the region of Jeju shown in the Dividing Property Document(property inheritance document). Above all the custom of property inheritance and performing sacrificial rite in the region of Jeju in 18th~19th centuries has been studied and its characteristics have been analysed laying stress on the Dividing Property Documents.<br/>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ty inheritance in the region of Jeju in the latter period of Choson dynasty is generalization of donation by patriarch during his lifetime, which has both sides to translate that the right of patriarch had been strengthened as the donation had been executed by patriarch in outward appearance and that it can be translated that the right of patriarch had been weakened as the property dividing had been executed freely in the lifetime of patriarch in the inner side. There was strong tendency that sacrificial rite was admitted with the meaning of postmortem supporting parents or ancestors which was acknowledged by the fact that property items purchased with the expenses for sacrificial rite had been called as Cleaning Graveyard Provision. Also Confucian sacrificial rite performing mode has not taken root, as the custom of rotational performing sacrificial rite(children perform the sacrificial rite rotationally.) has succeeded until 19th century.<br/> Inferring from a fact that property inheritance system has changed from equal division inheritance to differentiated inheritance towards daughters and that performers of sacrificial rite have bound just to sons, the transition period changing to Confucian family system has continued long time in Jeju region in the latter period of Choson dynasty. However prevalence of adopted son system and the tradition adopting performer of sacrificial rite through postmortem marriage show the strong continuance of Confucian system. Namely there remained one side which succeeded transition period and changed the other side which rapidly moved to Confucian tendency. This family system which had both sides have not been shown in the region of Jeju. The family system in the early stage of modern times has diversified forms, as it differed as per the regions and social statuses and its characteristics could not be expressed with one word. Accordingly it would be unreasonable induction if it is said Confucian or non-Confucian with just one or two criteria or special condition is focused.<br/> Because family is basic community which exists in all society, the family system has common characteristics prevailing rather tha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as per each society. Accordingly I expect that the family structures and living phases in Jeju region be elucidated in the common social category in the latter period of Choson dynasty with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sacrificial rite which was studied in this essay.

      • KCI등재

        유교 상속의 공정성: 분재기를 중심으로

        김우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8 퇴계학논집 Vol.- No.2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Confucian fairness and how it applies to inheritance of property, rather than ‘the justice of distribution’ in equal distribution or Western philosophy. It is also important to identify the fairness of Confucianism and the principles it applies to property inheritance, but it will also be meaningful to study it in Korean society today. Becaus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roblem of inheritance from an eth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before it can be solved by a legal method. First, despite the criticism that Confucianism has negative factors such as blood ties, school ties, and regional relations,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it holds firmly the principle of guaranteeing fairness. Next,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the Confucian standard of fairness is in Korea, where the Confucian culture still exists, and how the standard of fairness applies to property inheritance. Unconditionally, the method of equal distribution in property inheritance is not a fair distribution standard. For this work, this study analyzes the ‘Bunjaegi(分財記, property distribution record)’ of Seonbi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and idenfifies what is a fair distribution within it. 본 논문의 목적은 서구철학에서 규정하는 균등분배나 분배의 정의보다는 재산상속에서 유학의 공정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재산상속에 적용되는 유학의 공정성과 원리를 밝히는 것은 중요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그것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재산상속 문제를 법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전에 윤리적·문화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 우선, 유교가 혈연, 학연, 그리고 지연이라는 부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유학이 공정성을 담보하는 확고한 원리를 가지고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다음으로, 유교문화가 여전히 존재하는 한국에서 공정성에 대한 유학의 기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공정성 기준이 재산상속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재산상속에서 균등분배의 방식이 무조건적으로 공정한 분배기준은 아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본 연구는 조선 선비 가문의 ‘분재기’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공정한 분배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 KCI등재

        진천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 조사의 내용과 성격

        김의환(Kim, Eui-hwan),고수연(Ko, Soo-yeon)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진천 평산 신씨가 소장한 고문서와 전적 222점을 검토하였다. 교지 90점, 호적단자와 준호구 51점, 명문과 분재기 23점, 가승류 9점, 기타 고문서 21점 등 고문서 194점을 확인하였고, 일기 · 문집 · 족보 등 28점의 전적도 조사하였다. 교지는 15명이 모두 90점을 남겼는데, 신잡의 교지가 39점으로 가장 많고, 신계의 교지는 18점, 신대수의 교지는 13점 등이다. 특히 신잡은 하루에도 두 번씩 여러 차례 교지를 받았으며,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상황 및 후손들의 공신 책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가문의 호적단자와 준호구는 모두 51점이다. 14명의 主戶가 1669년부터 1891년까지 8대 220여 년 동안 작성한 것이며, 호적단자가 46점이고, 준호구가 5점이다. 이것은 충청도에서 한 가문의 자료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이다. 이 자료는 호적의 작성과정과 기재양상은 물론 노비 소유 규모와 존재 양상 등 사회경제적 기반을 이해할 수 있다. 명문과 분재기는 23점이 확인되었다. 18점의 명문은 노비 매매 8점, 토지매매 7점, 토지와 노비의 동시 매매 1점, 노비쟁송 1점, 대지와 기와집 관련이 1점이다. 5점의 분재기는 가문의 재산 소유현황과 재산상속의 원리 및 그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가승류와 족보는 절첩인 세계와 요람 9점을 비롯하여 족보가 8점이 있고, 이 외의 고문서도 21점이 있다. 이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통문류 9점인데, 이것은 모두 신의양 부인인 청주 한씨가 순조 34년(1834)에 정려를 받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평산 신씨는 28점의 전적도 소장하고 있다. 신잡의 문집과 행적, 필적류, 사마방목, 과거시험용 경서 등이다. 1596년의 신잡 일기는 임진왜란 동안 기존의 경서 위에 행초서로 가필한 난중일기이다. 그리고 1546년 신화국의 생진과 입격자 명단인 사마방목도 있다.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와 전적 222점을 조사하여 이들의 정치 · 사회 · 경제상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자료들과 함께 신홍주 · 신헌 · 신정희 · 신석희 · 신팔균 등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한다면, 가문의 위상은 물론 진천의 사회상과 정체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yeongsan Shin family in Jincheon has owned one hundred ninty four pieces antique documents and twenty eight books such as diaries, collection of personal works, family trees. Among them were ninty appointment certifications(敎旨), fifty one pieces household register and identification records, eighteen definite documents(明文) and five inheritance documents(分財記), nine brief family trees, etc. Ninty appointment certifications from fifteen persons were handed down ; thirty nine appointment certifications for Shin Jab, eighteen for Shin Gye. Shin Jab had received thirty nine appointment certifications, even twice a day due to his meritorious deeds during Japanese invasion in 1592. The household register, hojukdanja(戶籍單子) of Pyeongsan Shin are total 51 pieces and were recorded for two hundreds twenty years from 1669 to 1891 by fourteen persons. They ar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writing process of family trees, ownership of slave and slave’s resident ways. This family had owned all 1,463 slaves, 371 resident slaves(25.4%), 742 outside-resident slaves(50.7%) and 349 escaped slaves(23.9%). It had also eighteen definite documents which are eight slave dealing documents, seven land trading documents and one slave lawsuit document. Five inheritance documents are good materials to investigate the own status of family property, way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its process. Besides, the family owns nine brief family trees, eight family trees and twenty one other old documents. Especially nine interchanged documents(通文類) were written in 1834, when the wife of Shin Ui Yang, Cheongju Han was honored to her filial duty. This clan owns also twenty eight books. Shin Jab’s collection of works, record of his personal history and career achievement, Samabangmok(司馬榜目), confucian scripture for state’s examination etc. are about twenty pieces. Especially the Shin Jab’s diary written at 1596 is remarkable for War Diary, which was written by hand on the scriptu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ne hundred ninty four pieces of archives and twenty eight books owned by Pyeongsan Shin clan are the important materials to inquire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 of the last two hundreds years.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diverse materials that related with the persons, wh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as Shin Hong Ju, Shin Hyeon, and Shin Jeong Hee. Such a study and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ke clear their activities and also make sure the area Jincheon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