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 Ⅰ -북한문학계의 평가와 1960년대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이상숙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This thesis aims at identifying Back Suk, a North Korean poet. He had made his debut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nd continued his literary activities since Liberation. He mainly translated Russian literary works and wrote poetry for children and then became obscure betwee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after publishing several poems. Considering the attributes of his works, his obscurity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other words, the shifting era to Juche ideology from socialistic realism coincided with the vanishment of a plethora of literary figures who went to North Korea, inclusive of Back Suk. This thesis includes his translated works, children poetry and poems he published to protect himself from North Korea, who typically employed richly indigenous dialects and folk tales to depict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loneliness in his writing. In this regard, it will be greatly enthusiastic for researchers to appreciate his perspective and passion on poetry hidden in translated Russian poems and his pursuit of vernacular words and relics veiled in fairy tale poems. In fact, a few poems he wrote in the early 1960s reminds us of his pre-liberation literary style, which, nevertheless, seemingly didn't lead him to eminence. This thesis will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reviews on Back Suk made by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s well as those altered in the mid-1960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ave the way for the culmination of the latter period of his literature which the division of Korea has kept in the dark. 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북한 전후 시대의 서정시 의식 고찰

        권성훈(Kwon Sunghu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6 No.-

        본고는 북한 서정시의 흐름 중에서 1950~1960년대 북한 전후 시대 시에 나타난 서정시 의식 전개와 특성에 대한 고찰이다. 거기에는 남북한의 평화통일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민족 문화적인 동질성을 회복해야 하는 것을 전제로 체제와 이념을 넘어선 서정성이 담보된다. 문학에서 서정성은 인류 보편적 인식이며 본질적으로 언어에 투과되기 마련이다. 그간의 연구들은 대체로 북한 서정시의 전개 과정과 문학적 이해를 주체사상 구축에서 기인한다. 이데올로기와 체제 강화를 위해 문학을 도구화해 온 북한 서정시는 사회주의 현실을 토대로 형상화된다. 또한 북한시편의 정형률 자체가 주체문학에 입각한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서정시는 수령과 당에 대한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이데올로기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창작된다.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북한 서정시를 순수한 의식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북한 문학의 자장을 확대하는 데 있다. 이같이 서정성은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이며 고유한 의식이라는 점을 부각하기 위해 최대한 이데올로기를 배제하여 북한 서정시를 파악했다. 살펴본 전후 시대 북한 서정시는 1970년대 이후보다는 조금 더 시인의 감정을 서정적으로 표현하는 서정성이 배태되어 있다. 그 근저에는 주체사상과 당과 수령이 있지만 그러한 이데올로기를 제거하면 고유의 서정성이 시를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북한 서정시는 현대서정시와 마찬가지로 객관적 세계를 시적 자아의 내면에 용해 시켜 세계를 자아화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 방법으로 북한 서정시에서 두드러진 주제의식을 현대서정시의 분류 방법으로 설정하고 세 가지로 구분했다. 말하자면 사랑의 서정시를 북한의 연시편으로, 계급적 서정시를 북한의 공동체 시편으로, 전원적 서정시를 자연 시편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 같은 북한 서정시의 특징으로는 50행 이상이 넘는 ‘장시’와 사건 형식으로 된 ‘서사시’와 이야기 형식으로 된 ‘대화 시’ 등이 극적인 형태로 등장한다. 이로써 텍스트로 북한 전후 시대의 서정시 의식과 특성 중에서 두드러진 시적 양상으로서 첫째 연시편을 통한 시적 동일성에서 운명의지가 관찰된다. 둘째 공동체적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적 조화성과 그에 따른 희망 의식이 편철되어 있다. 셋째 자연과의 동화성 속에서 생명 인식이 관철되어 있다는 사실 등에 주목했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the theme consciousn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yrics shown during the postwar period of North Korea in the 1960s in the flow of the lyrics of North Korea. It is premised that lyricism must be ensured beyond the system and philosophy of restoring ethnic and cultural homogeneity in the sense of praying for peaceful unit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studies so far, the process of developing North Korean lyrics and literary understanding are generally at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Juche ideas. It has played a role in showing the realization of socialism by North Korea"s tooling of lyrics for ideology and strengthening the regime. As a result, North Korean lyrics is created in a way that combines socialism realism and ideology for the leader and the party, given that the fixed form itself is based on Juche literature, just like ordinary North Korean psalms. However,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lyrics of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pure consciousness and to expand the magnetic field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is way, lyricism is a basic human emotion, and in order to emphasize the point of inherent consciousness, I eliminated ideology as much as possible and grasped the lyrics of North Korea. Since the 1970s, the lyrics of North Korea postwar period are displayed with the lyricism that expresses the poet"s emotions a little more lyrically. At its root, the Juche, the party and the leader, when such ideologies are removed, the inherent lyricism constitutes the poem. The North Korean lyrics, like modern lyrics, dissolve the objective world inside the poetic ego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the world. The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modern method of classifying lyrics. So to speak, the lyrics of love are the kite psalms of North Korea, and the lyrics of the class are the community psalms of North Korea, and the lyrics of rural are the natural psalms. The characteristic of such North Korean lyrics is that more than 50 lines of “long poem”, “epic poem” in the form of an incident, and “dialogue poem” in the form of a conversation appear dramatically. This allows the text to be stylized into three to explore the lyric theme consciousness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stwar period. First, the will of fate is observed by the poetic identity using the kite psalms as a poetic aspect as the main theme of the lyrics. Second, the poetic harmony that takes place in a community life, and the resulting nationalism, is edited. Third, it was noted that world awareness and others were carried out in assimilation with nature.

      • KCI등재

        특집 논문 : 북한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변모 양상 -"평화적 민주건설시기"(1945.8-1950.6)를 중심으로

        이승윤 ( Seung Yun Lee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남북한 문학사는 서술주체나 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 서술은 언어만 같을 뿐 서로 다른 민족(혹은 국가)의 문학사 서술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공분모를 찾기 힘들다. 이 글은 해방이후 북한에서 출판된 여러 문학사에서 ``평화적 민주건설시기``라고 명명한 1945년에서 한국전쟁까지의 시기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해방공간``, 혹은 ``평화적민주건설시기``는 정치에 문학이 휩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각각의 문학 단체는 정치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런와중에도 좌익과 우익 모두 ``민족문학건설``이란 거창한 슬로건을 내걸고 있었는데, 이때 ``민족문학건설``이란 결국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정치적인 과제에 직결된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낡은 것들을 청산하고, 민중의 자기해방을 기도하며, 그것을 당대현실의 객관적 발전 과정의 추동력 위에서 형상화하는 것은 해방 후 남북한 문학 모두에게 공통의 과제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방 후 북한의 ``사회과학원문학연구소``가 발간한 『조선문학통사-현대편』(1959), 『조선문학사 1945-1958』(1978), 『조선문학사』 10(1994) 등 세편의 문학사와 1986년 출판된 박종원·류만, 『조선문학개관』 2이다. 시기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출판된 각각의 문학사를 함께 검토해 봄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라 서술태도나 대상작품의 선정과 평가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북한문학사에서 어떠한 작품들이 문학사에 등재되고 탈락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2000년 연변대학 출판부가 발행한 『조선-당대문학사」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이른바 제3국에서 출판된 한국문학사인 셈인데 남한과 북한의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면서 남북한 문학모두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란 점에서 주목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가 해방 직후 문학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관점과 서술 태도에 주목한 것은 이 시기에 대한 검토가 북한 문학의 향후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였다. 실제로 이 시기에 생산된 문학작품들은 북한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수령형상의 창조, 미제국주의의 타도와 남조선 혁명, 노동계급의 찬양고취 등이 원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화적민주건설시기``를 정리한 북한문학사는 모두 소설보다 시 장르에 보다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이 시기 시문학이 왕성하게 창작된 이유는 ``해방``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시 장르는 해방의 감격과 민주개혁에 대한 희망과 결의를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장르였으며, 효과적인 예술적 선전성을 획득하는데도 유용한 장르였다. 시가 비교적 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손댈 수 있는 양식이란 점도 많은 시인의 등장과 시편들의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더하여 식민체제 아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송가나 서정서사시, 서사시 등 새로운 양식들이 등장한 점도 이 시기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shows not in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subject of narrative, method, and etc. Especially, it is so difficult to find common aspects in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though the language is simply the same, that it would be better to mention that the narratives have different ethnicity (or nationality). The paper will review how the period from 1945, which is call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in many publishings of literatur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to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is narrated. ``The space of liberation`` or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was in a situation which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become swept by politics, and each literature gro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reality. Even among such period, the left and the right both showed a grandiose slogan of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and here,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eventually becom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al task of constructing a new nation. For construction of a new ethnic nation, eliminating old things, praying for the people`s self liberation, and projecting such on the impetus of the objective development process in the reality at the time were the common task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s after the liberation. The detailed subject for the study regards to three history of literature books, 『The Complet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 Modern Days (1959),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45-1958 (1978)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0 (1994), and etc published by North Korea`s ``Social Science Center for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and also, 『Overview of Joseon Literature 2 by Park Jong Won and Ryu Man and published in 1986. By reviewing each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certain periodical distance, it was reviewed how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or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work, and etc according the change of age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such work, it could be known which works were registered and dropped out in the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Besides, 『Joseon - istory of Literature at the time published by the Yunbyun University in 2000 was also reviewed. It would be the so-called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3rd world, and the test gains attention from the point that it contains history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while utilizing both data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 reason for the study to draw attention to the viewpoint and narrative attitude of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regarding literature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because of the judgment that reviewing the period would become an important basis for reviewing the future proces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ctually, it would not be wrong to say that literature work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suggest the original form of the co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such as the creation of the image of the leadership, the overthrow of US empiricism and the revolution of South Joseon, inspiration of glorification of the labor class, and etc. All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which arrang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allocates more pages in the poetry genre than novel. The reason for poetry being prosperous is can be explained by linking it to the special situation called ``liberation``. Above all, the poetry genre was the most effective genre for expressing hope and determination regarding the sweetness of liberation and democratic reformation, and also, it was a useful genre for obtaining effective artistic propagation. The point that poetry has a form which even people with comparatively insufficient knowledge in literature can easily contact also enabled emergence and production of many poets and poems. Furthermore, the point that new styles such as hymn, lyrical epic poetry, epic poetry, and etc emerged can b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 북한문학계의 평가와 1960년대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08 No.17

        <P>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P><P>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P>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이상숙(Lee Sang-sook)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at identifying Back Suk, a North Korean poet. He had made his debut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nd continued his literary activities since Liberation. He mainly translated Russian literary works and wrote poetry for children and then became obscure betwee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after publishing several poems. Considering the attributes of his works, his obscurity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other words, the shifting era to Juche ideology from socialistic realism coincided with the vanishment of a plethora of literary figures who went to North Korea, inclusive of Back Suk. This thesis includes his translated works, children poetry and poems he published to protect himself from North Korea, who typically employed richly indigenous dialects and folk tales to depict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loneliness in his writing. In this regard, it will be greatly enthusiastic for researchers to appreciate his perspective and passion on poetry hidden in translated Russian poems and his pursuit of vernacular words and relics veiled in fairy tale poems. In fact, a few poems he wrote in the early 1960s reminds us of his pre-liberation literary style, which, nevertheless, seemingly didn't lead him to eminence. This thesis will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reviews on Back Suk made by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s well as those altered in the mid-1960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ave the way for the culmination of the latter period of his literature which the division of Korea has kept in the dark.

      • KCI등재

        북한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변모 양상 — ‘평화적 민주건설시기’(1945.8-1950.6)를 중심으로

        이승윤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남북한 문학사는 서술주체나 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 서술은 언어만 같을 뿐 서로 다른 민족(혹은 국가)의 문학사 서술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공분모를 찾기 힘들다. 이 글은 해방이후 북한에서 출판된 여러 문학사에서 ‘평화적 민주건설시기’라고 명명한 1945년에서 한국전쟁까지의 시기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해방공간’, 혹은 ‘평화적민주건설시기’는 정치에 문학이 휩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각각의 문학 단체는 정치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런 와중에도 좌익과 우익 모두 ‘민족문학건설’이란 거창한 슬로건을 내걸고 있었는데, 이때 ‘민족문학건설’이란 결국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정치적인 과제에 직결된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낡은 것들을 청산하고, 민중의 자기해방을 기도하며, 그것을 당대현실의 객관적 발전 과정의 추동력 위에서 형상화하는 것은 해방 후 남북한 문학 모두에게 공통의 과제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방 후 북한의 ‘사회과학원문학연구소’가 발간한 『조선문학통사-현대편』(1959), 『조선문학사 1945-1958』(1978), 『조선문학사』 10(1994) 등 세편의 문학사와 1986년 출판된 박종원·류만, 『조선문학개관』 2이다. 시기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출판된 각각의 문학사를 함께 검토해 봄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라 서술태도나 대상작품의 선정과 평가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북한문학사에서 어떠한 작품들이 문학사에 등재되고 탈락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2000년 연변대학 출판부가 발행한 『조선-당대문학사』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이른바 제3국에서 출판된 한국문학사인 셈인데 남한과 북한의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면서 남북한 문학모두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란 점에서 주목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가 해방 직후 문학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관점과 서술 태도에 주목한 것은 이 시기에 대한 검토가 북한 문학의 향후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였다. 실제로 이 시기에 생산된 문학작품들은 북한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수령형상의 창조, 미제국주의의 타도와 남조선 혁명, 노동계급의 찬양고취 등이 원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화적민주건설시기’를 정리한 북한문학사는 모두 소설보다 시 장르에 보다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이 시기 시문학이 왕성하게 창작된 이유는 ‘해방’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시 장르는 해방의 감격과 민주개혁에 대한 희망과 결의를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장르였으며, 효과적인 예술적 선전성을 획득하는데도 유용한 장르였다. 시가 비교적 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손댈 수 있는 양식이란 점도 많은 시인의 등장과 시편들의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더하여 식민체제 아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송가나 서정서사시, 서사시 등 새로운 양식들이 등장한 점도 이 시기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shows not in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subject of narrative, method, and etc. Especially, it is so difficult to find common aspects in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though the language is simply the same, that it would be better to mention that the narratives have different ethnicity (or nationality). The paper will review how the period from 1945, which is call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in many publishings of literatur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to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is narrated. ‘The space of liberation’ or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was in a situation which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become swept by politics, and each literature gro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reality. Even among such period, the left and the right both showed a grandiose slogan of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and here,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eventually becom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al task of constructing a new nation. For construction of a new ethnic nation, eliminating old things, praying for the people’s self liberation, and projecting such on the impetus of the objective development process in the reality at the time were the common task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s after the liberation. The detailed subject for the study regards to three history of literature books, 『The Complet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 Modern Days』 (1959),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45-1958』 (1978)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0 (1994), and etc published by North Korea’s ‘Social Science Center for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and also, 『Overview of Joseon Literature』 2 by Park Jong Won and Ryu Man and published in 1986. By reviewing each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certain periodical distance, it was reviewed how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or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work, and etc according the change of age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such work, it could be known which works were registered and dropped out in the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Besides, 『Joseon – History of Literature』 at the time published by the Yunbyun University in 2000 was also reviewed. It would be the so-called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3rd world, and the test gains attention from the point that it contains history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while utilizing both data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 reason for the study to draw attention to the viewpoint and narrative attitude of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regarding literature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because of the judgment that reviewing the period would become an important basis for reviewing the future proces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ctually, it would not be wrong to say that literature work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suggest the original form of the co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such as the creation of the image of the leadership, the overthrow of US empiricism and the revolution of South Joseon, inspiration of glorification of the labor class, and etc. All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which arrang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allocates more pages in the poetry genre than novel. The reason for poetry being prosperous is can be explained by linking it to the special situation called ‘liberation’. Above all, the poetry genre was the most effective genre for expressing hope and determination regarding the sweetness of liberation and democratic reformation, and also, it was a useful genre for obtaining effective artistic propagation. The point that poetry has a form which even people with comparatively insufficient knowledge in literature can easily contact also enabled emergence and production of many poets and poems. Furthermore, the point th...

      • KCI등재

        『문화전선』을 통해 본 북한시학 형성기 연구

        이상숙(Lee Sang-sook)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1945-1948년을 북한시학 형성기로 정한다. 이 시기는 북한시의 모습을 문예지 『문화전선』을 통해 살펴보고자한다. 북한시가 김 부자 찬양 문학이며, 정치 선동의 구호일 뿐이라는 것은 일반의 상식이지만 이 상식을 실증적이거나 체계적으로 살핀 연구는 많지 않았다. 북한시가 김일성, 김정일 찬양과 체제 선전 일색의 정치 문학인지, 그렇다면 언제부터 어떻게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인지, 감정과 정신의 예술인 문학이 정치화되는 과정의 충돌과 고민은 어떻게 드러나고 사라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당시 간행된 문예지 『문화전선』 전 5권을 살펴보고자 한다. 1946년 7월에 창간된 『문화전선』은 시기적으로도 앞서 있을 뿐 아니라, 북조선예술총동맹 기관지로 당시 문학계의 대표 잡지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잡지에 실린 시와 관련 평론들을 통해 북한문학이 형성되는 초기의 상황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문화전선』 전 5권에는 총 12명의 시인 27편의 시가 실렸다. 안룡만, 백인준, 리찬, 이원우, 조기천 등 북한 시단의 대표적 시인들의 시 27편은 다음 몇 가지 주제로 분류된다. 해방의 기쁨과 귀환, 토지개혁으로 대표되는 새시대에 대한 희망, 소련에 대한 우호감정 등이 대표적인데 이는 북조선인민위원회 탄생을 기점으로 시의 정치성이 강화되고 김일성에 대한 찬양이 분명히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새로운 시대에 대한 환호에서 출발하는 북한문학 초기 시와 평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제도에 대한 호감과 이를 시로 표현하는 소박한 장르인식이 권력자에 대한 환호와 그에 대한 우상시로 쉽게 변화하게 하는 바탕이 된 것이다. 한설야의 「모자」 수거 사태와 「응향」 사건은 표현의 자유와 그 한계를 보여 주었을 뿐 아니라, 북한당국과 문학과의 수직 관계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조선문학』에 실린 남한 시의 프레임 고찰

        박지학(Park, jihak) 국어문학회 2014 국어문학 Vol.56 No.-

        1990년대 북한 시의 전반적인 양상은 국가를 아버지의 은유로 인식한 데서 시작한다. 1990년대 북한에서 남한 시를 수록한 것은 북한 체제가 지향하는 프레임을 내세운 것이다. 프레임은 한 종류의 사물을 다른 종류의 사물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경험하는 은유의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에서 연상되는 여러 가지 프레임은 은유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1990년대 북한 시는 은유 과정에서 나온 ‘억압’의 프레임이 또 다른 ‘해방’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양상을 지닌다. 『조선문학』에 <남조선>으로 수록된 전체 19편의 시는 ‘억압’의 프레임을 동일하게 사용한다. 1990년대 『조선문학』 상재된 남한의 시는 북한에서 정치외적 압력으로 작용하는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분단의 원인을 제국주의에서 찾는다.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과 분단 의식에 내재된 억압의 프레임에는 구속 받는 자와, 고통, 그리고 고통에서의 해방 및 자유?희망 의지의 프레임이 생성된다. 이러한 해방 의지는 남한 사회의 모순을 반영한 시편에서 인도자의 필요성을 부여하는 프레임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 체제의 정당성 확보는 김일성 사망 이후 수록된 김정일 송가 시에서 집약적으로 드러나는데, 이는 김정일 송가 시를 <남조선>의 프레임으로 제시하여 북한 사람들에게 이데올로기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한다. 1990년대 『조선문학』에 상재된 남한의 시는 주체사상에 근거하면서도 대내외적 정치적인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1990년대 『조선문학』에 남한의 시는 정권 교체시기에 수령에게 당위성을 부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기능하였다.

      • KCI등재

        북한에서의 창작 시조 전개와 의의

        박미영 ( Mi Young Park ) 한국시가학회 2012 韓國 詩歌硏究 Vol.33 No.-

        본 연구에서는 분단이후 현재까지 북한에서 시조 창작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그의미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시조는 시조부흥론을 거치면서 현대시조로서, 현대시의 한 부분으로서 지금까지 창작되고 있다. 나아가 연변, 미주 지역 등 한민족이 있는 곳은 어디에서나 시조 창작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사이버 상에서 한국시의 대표적인 시로서 외국인들까지 영어시조를 창작하고 있는데 정작 북한에서의 시조 창작 현황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지금까지의 북한시조에 대한 연구는 고시조가 문학사에 어떻게 기술되었는가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단이후 창작된 시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창작시조 현황과 의미를 밝힌다. 물론 이 연구에는 자료의 합리적인 확보라는 데에 치명적인 한계가있다. 현 통일부 산하 북한자료센터의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김학렬 서울대 기증도서, 남북교역 자료목록을 최대한 이용한다. 발굴된 창작시조의 작품 수는 빈약하다. 모두 11편 40수로, 분단 후 60여년의 세월로보면 거의 창작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발표시기가 1960년 이전과 1990년 이후로 뚜렷한 경향성을 노정하며, 게재지 또한 『조선문학』으로 한정된다. 이들이 발표되는시기와 주제를 살펴보면 1960년 이전으로는 1957, 58년에 집중되며 남북의 문제와 평양전후 복구를 다룬다. 분단 초기에는 김일성 교시에 의해 시조가 이념적, 미학적으로 배척되었으나 고전문학의 집성과 민족적 특성을 강조하는 시기에 발표된 것이다. 1990년 이후는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에서 "시조는 짧은 시지만 거기에는 서정시가 갖추어야 할 모든 특성이 다 있다. 원래 짧은 형식 속에 풍부하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담는것이 서정시의 기본특징의 하나이다. 사실 서정시는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는 시조의 긍정적인 평가와 더불어 1995년에 시조 창작이 재개된다. 이후 2010년까지 5 편이 발표되는 데 김일성의 송가와 김정일의 생일 시기 찬양으로 주제가 한정되어 있다. 2010년의 시조에서 이데올로기적 색채가 옅어지지만 시조가 창작되어 발표된 시기나 주제, 내용은 당의 문예지도 방향과 합의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형식면에 있어서 우리나라 현대시조는 초중종장의 각 행이나 연(聯) 구성 등 다양하게 시험하고 있으나 북한에서 창작된 시조는 초기 조운의 시험적인 4행시 시도를 제외하고는 1행 4음보 3행시라는 고시조의 형식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북한에서 시조 창작이 확대전개될 것인가하는 귀추가 주목된다. It is found in earlier studies that North Korean`s position towar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or classical poetry is basically hinged on its own political ideology. They have two different views in describ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or classical poetry depending on the age of socialist realism based on Maxism-Leninism or the age of Juche realism. Among genres of the literature, sijo is the one that exhibited the most change. In Korea, sijo has gone through consistent development and advanced to modern stage since the revival movement of sijo in the 1920s. Numerous sijo are being created as the center of Korean diaspora and as a mental source that the Korean people build their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sijo in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and how sijo has been recognized by North Koreans. Up until now, most studies on North Korean sijo has been mainly focused on how sijo has been describ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hereas in this study we are to investigate on sijo works and North Korean`s view on sijo since 1945. However, it must be addressed that of the materials and resources for this study is very limited, so the outcome of this study may be highly likely to be arguable as a result. In general, number of published creative sijo in north Korea in past decades is extremely small. In 1950 to 1990, collections of sijo published in South Korea, such as by Cho Un(조운), were reprinted later in North Korea. The creative art works by Cho Un, Heo Choon (허춘) and Lee Soo-bong(리수 봉) appeared in a journal of literature 『Joseon Literature(조선문학)』. Later 1990, Jin Dong-hwa(진동화)`s work, <Our Military>, appeared in the same journal. In the beginning, sijo was rejected to Kim Il-seong`s instruction. However after Kim Jong-il made positive evaluation on sijo later in 1990, the study became very active, but resulted in very small number of publications. It appears that North Korean people`s zeal for the creation of sijo is due to the wane over about five decades. How sijo was perceived by North Korean is well illustrated by the complete works by Kim Il-seong and Kim Jeong-il. As for the attitude of Kim Il-seong and Kim Jeong-il toward sijo, Kim IL-seong viewed it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class, and Kim Jeong-il regarded it as the essence of lyric poetry that was part of cultural heritage. In this study, North Korean awareness of sijo i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Kim Il-seong and Kim Jeong-il, especially in associa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IL-seong`s attitude and the criticism of early journal 『Joseon Literature』, and between Kim Jeong-il`s attitude and studies conducted in 1990s. This ultimately proves the fact that North Korean awareness of sijo is within the scope of studies conducted in South Korea.

      • KCI우수등재

        건국 17년 시기(1949~66) 중국 문단의 북한문학 비평 연구

        申先玉(Shen Xian yu)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6

        본고는 중국의 외국문학 연구사 측면에서 건국 17년 시기 중국에서의 북한문학 비평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조명하고자, 말뭉치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북한문학 평론과 독후감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먼저, 북한문학에 대한 陶炳蔚의 평론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에서의 북한문학 비평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당시 북한문학 평론이 중국문학계의 문예이론 구축과 인민문학 개념 정립 및 중국 내 외국문학 연구 이론 구축을 위한 비평이었고, 정치적 환경과 새로운 국가적 이론 모색에 대한 그 당시 지식인들의 응답이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다음, 북한문학에 대한 중국인 독자들의 독후감을 분석함으로써, 독후감 텍스트가 신문이라는 교육적 장을 통하여 중국인 독자들이 북한의 사회, 문화, 정치, 경제를 이해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 그 당시 북한문학과 관련된 평론과 독후감이 현재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토론해봄으로써, 북한문학 비평이 북한 작가와 중국인 독자를 평론이나 독후감 텍스트로 대면시켰다는 점, 지식인과 새로운 정권 체제의 대화를 문학으로 매개했다는 점, 그리고 국가적 이론 구축에 문학 비평의 주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literature scholarship in China,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cholars’ criticism of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17 years after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founded, namely from 1949 to 1966, and identify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such criticism. In this study, a text corpus was built, which comprises the criticism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book reviews at that age, and an analysis was made about the corpus.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firstly focuses on Tao Bingwei’s literary criticism to investigate the discourse features that Chinese scholars revealed in their critique of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demonstrates the impact such literary criticism had on the way Chinese literary community built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art and the way Chinese society constructed public discourse. Moreover, book reviews made by common readers are also analyzed in this paper to explain the guiding role of book reviews in making Chinese readers more informed of North Korean society in terms of the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critique and book reviews being discussed for the current study on Korean literature. Overall,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Chinese critic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readers were proactive in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discourse in China through literary criticism, and in the same way they responded to the practical issue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new system in China from 1949 to 1966. Chinese literary critics, as the subject of media criticism, wer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socialist country through the intermediary of the literary criticism, which provides significant value for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the construction of critical discourse and the reinforcement of academic responsibility at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