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後百濟 佛敎美術의 特徵과 性格

        진정환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지금까지의 後百濟佛敎美術에 대한 논의는 王宮里五層石塔出土品, 後三國期地方化된 佛像, 百濟系 石塔에만 머물렀다. 이러한 논의의 대부분은 후백제 불교미술품의 土俗的性格을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고찰은 후백제 불교미술을 대표할 만한 왕실 발원의 불사가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왕실 발원 불교미술품의 분석을 통하여 종국에는 후백제 불교미술의 성격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그러한 후백제 불교미술의 성격 형성에 어떤 배경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후백제 甄萱정권은 金山寺와 彌勒寺를 근거로 한 彌勒信仰과 결탁하였으며, 王權强化를 위해 華嚴 宗, 그리고 禪宗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 만큼 왕실 주도의 많은 불사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의 예로 미루어 볼 때, 정권에서 주도적으로 불교미술품을 조성한 예는 첫째, 왕경 내 佛敎儀式을 위한 사찰의 佛事, 둘째, 왕경 인근의 주요 방어 및 교통 거점의 裨補寺刹을 위한 불사, 셋째 정치적 목적을 위한 불사가 있을 수 있다. 후백제에서 불교의식은 금산사나 미륵사 같은 기존 사찰을 이용하였고, 방어와 교통로의 비보를 위해서 南固寺와 鳳林寺같은 사찰을 창건하였던 것으로 여겨지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백제의 옛 宮城址에 王宮里五層石塔을 보수하기도 하였다. 후백제 왕실 발원 불교미술품 가운데 石塔은 華嚴寺東五層石塔, 鳳林寺址五層石塔등이 있는데, 대 체로 통일신라 석탑을 바탕으로 일부 형식에서 백제 석탑의 요소가 보인다. 石燈은 鳳林寺址石燈이 있 는데, 형태에서는 통일신라 석등과 고려 석등의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기는 하지만, 火舍石에 조각된 四 天王像의 형식과 양식은 雲門寺四天王像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佛像은 王宮里五層石塔出土金銅佛 立像, 鳳林寺址三尊佛이 있는데, 두 상은 모두 통일신라 9세기 후반의 불상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특히 봉림사지 삼존불은 불상 조성 유파를 추정할 수 있는 특정 형식이 安東, 聞慶, 八公山地域과 연관된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후백제 불교미술의 특징은 두 가지로 집약된다고 하겠다. 첫째, 통일신라시대 이 지역에 광범위 하게 유입되었던 통일신라 양식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경북 북부지역 특히 문경지역의 불교 미술의 특정 형식이 후백제 불교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백제적 요소는 일부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 백제의 불교미술 양식이 잠재되었다가 표출되었다기보다는 후백제 견훤에 의해 촉발된 백제 계승 의지를 표출하기 위해 특정 형식만 차용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특징의 이면에는 후백제 견훤 정권의 출신 배경과 대신라관에 기인한 견훤의 내재된 신라에 대한 향수와 신라 문화에 대한 동경, 그리고 백제 계승을 표방한 정치적 입장이 相應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So far, discussions about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have focused 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Wanggung-ri, localized Buddha images dating back to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and Baekje stone pagodas. Such discussions have mostly shed light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Buddhist temples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which include representative works of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and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and the background to the formation of those characteristics. The Gyeon Hwon government of the Late Baekje Dynasty based its philosophy on the Maitreya Buddhist faith and adopted Geumsansa Temple and Mireuksa Temple as its spiritual guiding lights. It also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the Hwaeom (Huayan) and Seon (Zen) Orders of Buddism to reinforce its regime. Thus, it is presumed that many temples were directly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y. Based on examples dating back to the Goryeo Period, the instances of the government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production of works of buddhist art include a Buddhist-style rite in the capital; a rite for temples (located in major defense and traffic strongholds near the capital) supposed to support the country; a rite for particular political purposes. During the Late Baekje Dynasty, rites were mostly held at temples, such as Geumsansa Temple or Mireuksa Temple. It is thought that Namgosa Temple and Bongnimsa Temple were built to offer prayers for the national defense and the protection of roads.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Wanggung-ri was restored on the site of the royal palace of the preceding Baekje Period for a political purpose. Examples of buddhist art from Buddhist temples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Late Baekje Dynasty include the East Five-story Stone Pagoda of Hwaeomsa Temple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Generally speaking, they appear to be based on the style of Unified Silla pagodas, with some form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s dating back to the Baekje Period. Concerning stone lantern structures, the Stone Lantern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in appearance, but the style and form of the sacheonwang (four heavenly kings) images sculpted ther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acheonwang statues in Unmunsa Temple. Both Buddha statues, such as the Standing Bronze Buddha excavated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and the Buddha Triad at Bongnimsa Temple, follow the style of Buddha statues made in the late 9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Buddha Triad at Bongnimsa Temple Site shows its association with Andong, Mungyeong and the area near Palgongsan Mountain concerning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Dynasty can be divided into mainly two principles: first, it was based on the styl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as widespread in the area. It also appears that the specific styles of the buddhist art developed in Mungyeong in Gyeongsangbuk-do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at of the Late Baekje Dynasty second,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Baekje period were found in only a few pieces, because Gyeon Hwon of the Late Baekje Dynasty used specific styles to express his commitment to the continuation of Baekje styles rather than to the reappearance of the styles of the Baekje area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e foregoing shows the background of the Gyeon Hwon government of the Late Baekje Dynasty, the king’s longing for the culture of Silla and his political position inheriting Baekje.

      • KCI등재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진정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e Later Baekje Kingdom, founded by Gyeonhwon in 892, had for a brief period the most powerful army among the Three Later Kingdoms, and used its own reign title, Jeonggae (literally meaning “Authoritative Opening”). The kingdom was embroiled in almost permanent war with the other two Korean kingdoms, Silla and Later Goguryeo (later Taebong, and then Goryeo), over the unification of all three, until Goryeo brought about its final collapse in 936. It also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not only with Goryeo and Silla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 Wuyue and Later Tang in China, and with Japan. 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Later Baekje and its mutual exchanges with Silla, Goryeo, and the Chinese dynasties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The firs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Buddhist ceremonies and rites held in Later Baekje and the Buddha statues produced by Baekje artisans for the purposes of worship. The study then takes up other topics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Later Baekje, Silla and Goryeo (and Taebong before it) and their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s respective sculptures, as well as the Buddhist statues of the Five Dynasties in China.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892-936) is extremely short compared with other time periods in Korean history, yet the Buddhist sculpture of Later Baekje shows a unique combination of Baekje and Unified Silla styles. The Buddhist sculptural works of Taebong exhibit similar features, although they are more decorative and elaborate, while Goryeo statues tend to be more imposing figures. Th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Buddhist statu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lso reflect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kingdoms’ political goals and relations with Silla. The artisans of Later Baekje actively adopt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Unified Silla statues, as evidenced by the Buddha Triad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and the Standing Stone Buddha in Cheolcheon-ri, Naju. These statues suggest that Gyeonhwon admired the cultural heritage of Silla, as shown by the fact that he regarded himself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 of Unified Silla, while proclaiming that he did so in order to restore Baekje. Meanwhile, the Buddhist statues of Later Baekje show few signs of influence of the statues of Taebong or, after the later 1920s, those of Goryeo, with which it had been at war since its foundation. Interesting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Later Baekje Kingdom (i.e.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ju), which had previously been occupied by Taebong and Goryeo, there are various Buddhist sculptural works made by Taebong and Goryeo artisans, including the Seated Stone Buddha of Yonghwasa Temple in Jangheung (Taebong) and the Rock-cut Seated Buddha of Bungmireugam Hermitage, Daeheungsa Temple, Haenam (Goryeo). Of the Later Baekje sculpture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discovered at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of Buljusa Temple in Gunsan exhibit the influence of sculptures from Wuyue in China, which maintained close diplomatic relations with Later Baekje. Statues with a voluminous face and lean body, characteristic elements of Wuyue statues, are found mostly around Gunsan, which was a major port linking Later Baekje and Wuyue, suggesting that the Buddhist artisans of Later Baekj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Wuyue across the Yellow Sea. 892년 甄萱이 건국한 後百濟는 한때 후삼국 중 가장 강대한 군사력을 자랑하였으며,‘正開’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후백제였던 만큼 936년 고려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끊임없이 三韓一統을 위한 전쟁을 진행하는 한편, 신라·고려는 물론 中國의 吳越과 後唐 그리고 일본과도 적극적인 외교를 펼쳤다. 본고는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써, 후백제 불교조각이 신라·고려, 그리고 중국 불교조각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 佛事의 양상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불상이 조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후백제 불교조각과 신라 불교조각과의 관계, 태봉과 고려 불교조각과의 영향 여부와 함께 중국 오대 불교조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후삼국기가 매우 짧은 기간이었음에도 후백제 불교조각은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바탕으로 일부 백제 형식을 차용한 특징을 보인다. 반면, 태봉의 불교조각은 후백제 불상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불상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섬세함과 장식성이 두드러지며, 고려의 불교조각은 건장함과 당당함이 극대화 되었다. 이처럼 후삼국의 불교조각이 제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후백제, 태봉, 고려가 추구하였던 정치적 지향점과 對新羅觀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특히 후백제는 완주 봉림사지 삼존불이나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에서 볼 수 있듯 통일신라 불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이는 후백제가 백제의 부흥을 표방하였음에도 견훤이 신라의 지방관을 자임하는 한편 신라의 문화를 동경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건국부터 적대적이었던 태봉이나 920년대 후반부터 적대관계였던 고려의 영향은 후백제에서 살펴볼 수 없다. 다만 태봉과 고려의 점령지인 후백제 서남해일대(나주일대)에 태봉과 고려가 직접 조성한 불상이 전하고 있을 뿐인데, 전자의 사례가 장흥 용화사 석불좌상이고 후자의 사례는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좌상이다. 또한 후백제 불교조각 가운데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입상, 군산 불주사 금동불입상 등에서는 후백제와 빈번한 교류를 하였던 중국 오월 불교조각의 영향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불상은 오월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양감의 얼굴과 평판적이고 홀쭉한 신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들 불상은 지역적으로는 후백제와 오월의 중요한 무역항이었던 군산지역 인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정치뿐만 아니라 불교조각에 있어서도 후백제와 오월과의 교류가 빈번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 百濟 滅亡後 扶餘隆의 行蹟과 活動에 대한 再考察

        김영관 백제학회 2012 백제학보 Vol.0 No.7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whereabouts and activities of Buyeo Yung (扶餘隆, 615-682) from the collapse of the Baekje in 660 until he died in 682. He was the crown prince of Baekje kingdom, and was appointed as heir to the throne in 644. He was sent into exile at Luoyang, capital of the Chinese Tang dynasty, along with his father who king Uija(r. 641-660), the last king of the kingdom and about ten thousand Baekje people when Baekje was conquered by the Silla-Tang allied forces. Buyeo Yung did not do public activities due to his father's funeral at the early times of his residence in Tang China. After returning to the former Baekje area in July, 663, Yung persuaded the former Baekje people who engaged in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to surrender to Tang forces by using his former position as the crown prince of Baekje. After the Restoration Movement was defeated, Yung was tasked with controlling the kingdom's former territory and in attacking Goguryeo Kingdom by Tang. Buyeo Yung ruled former Baekje people as Dowi(都尉, Commandant) and Dodok(都督 Supervisor-in-chief) in Ungjin Commandery. He also kept Silla from being the sole lead i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UngryongHoemaeng(熊嶺會盟), a meeting conducted by Kim Inmun of Silla and Buyeo Yung in Ungryong for the purpose of formalizing alliance, which was held in February, 664 and Mt.ChwiriHoemaeng(就利山會盟), alliance formed between King Munmu of Silla and Buyeo Yung in Mt. Chwiri in August, 665. Yung attended the Fengshan ritual (封禪) in Mt. Tai in China performed by Tang Emperor Gaozong who conferred the title of Baekje Gungong (百濟郡公, Commandery Duke of Baekje) on Yung in January, 666. In the same year Yung conducted a ritual on behalf of Tang emperor in a Kongzi Temple(孔子廟) in Qufu(曲阜), Shandong province, China. After returning to the Ungjin Commandery from China in May, 666, he control the former Baekje subject, provided Tang forces with military supplies to support Tang's expedition to Goguryeo and tried to prevent Goguryeo from connecting with Woe(倭, Japan) through diplomatic steps. These activities continued until September, 668 when the Pyongyang fortress in Goguryeo was conquered. After Goguryeo was conquered, almost all former domains of Baekje were occupied by Silla, in spite of Yung's effort to prevent Silla from being the sole lead. Furthermore he barely kept the Ungjin Commandery in existence. It was in 675 that he went to Tang. After he left, Silla finally occupied the Ungjin Commandery, which was reestablished in Geonan(建安) Fortress in the former Goguryeo’s area. Yung governed the former Baekje people who moved here and died at the age of 68 in 682. 부여융이 唐에 들어간 초기에는 의자왕의 장례를 치르느라 대외적인 활동이 거의 없었다. 부여융이 백제 고토로 돌아온 시기는 663년 7월이었고, 부흥운동에 참여하고 있던 백제 유민들을 회유하고 설득시켜 당군에 투항하도록 하였다. 부여융은 본인이 의자왕의 뒤를 이을 백제의 태자였다는 점을 충분히 활용하였다. 백제부흥군을 진압한 뒤에 부여융은 당의 백제 고토 지배와 고구려 정벌에 이용되었다. 부여융은 웅진도독부에서 도위와 도독으로서 백제유민들을 다스리고 664년 2월 웅령 회맹과 665년 8월 취리산 회맹을 통해 신라를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666년 1월 당 고종의 태산 봉선에 참여하였고, 백제군공의 작위를 받았다. 666년 2월 2일에는 曲阜의 孔子廟에 가서 황제를 대신해 제사를 지냈다. 666년 5월경에 웅진도독부로 돌아와 백제유민 按撫와 더불어 당의 고구려 원정에 필요한 군수품 지원 준비와 倭에 대한 외교적 조치를 통해 왜와 고구려가 연결되는 것을 막는 일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고구려 평양성을 함락시키는 668년 9월까지 계속되었다. 668년 고구려가 패망한 이후 부여융은 웅진도독부를 통해 신라를 견제하고자했지만, 신라에게 밀려 백제 고토의 대부분을 내주었고, 간신히 웅진도독부의 명맥을 이어갔다. 그러다가 당으로 들어간 것은 675년 무렵이었다. 부여융이 백제 고토를 떠나면서 웅진도독부는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676년 2월 고구려 고토의 건안 고성에서 웅진도독부는 부활되었고, 이곳에서 부여융은 당으로 옮겨간 백제 유민들을 다스리다가 682년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 KCI등재

        후백제의 역사적 성격

        신호철(Shin Ho-cheol)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4

        견훤은 신라 말의 혼란 속에서 단순히 반란을 일으키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사회건설을 목표로 내세웠다. 그는 민심의 수습과 호족세력의 통합에 성공하여 후백제를 건국하였고, 한 걸음 더 나아가 후삼국통일과 고구려의 옛 영토 수복을 꿈꾸었다. 견훤의 후백제 건국은 궁예의 후고구려 건국의 모델이 되었다. 견훤의 후삼국통일과 고구려 구토 회복의 꿈은 왕건의 고구려 계승과 西京중시 등 북방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은 그에 맞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수립하였다. 그 하나가 백제계승의식이고, 다른 하나는 미륵신앙을 통한 이상 사회의 실현이었다. 이 둘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현실사회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민심을 끌어들이는 정치이념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당시 호남지역 주민의 정서에 맞는 새로운 정치이념이었다. 견훤은 외교에도 민첩하였다. 대외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상황에 따라 명분과 실리를 추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관계를 실현하였다. 그리하여 새로운 국제질서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등 그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후백제는 여러 가지 한계도 있었다. 견훤은 우선 구체제를 극복하는데 실패하였다. 그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견훤의 역사인식의 이중성에 있었다. 자신이 백제계승자로서 백제부흥과 삼한 통합을 내세우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라 왕실에 대한 ‘尊王의 義’를 강조하였다. 견훤은 자신의 출생설화를 통해 백제 계승자임을 정당화하면서도, 반면에 자신의 先代를 신라 왕실과 연결시키고자 했다. 즉 자신의 계보를 진흥왕의 5대 손으로 신라왕족의 직계 후손에 연결시킨 것은 백제계승자임을 표방했던 정치이념과는 이율배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견훤의 역사인식의 이중성은 신라와의 대외관계에서도 나타난다. 즉 견훤은 한편으로는 후백제왕을 칭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라의 군신임을 자임하고 있었다. 견훤은 미륵신앙을 통해 민심을 수습하고 호족세력과 결합하는데 어느 정도 성공하였지만, 호족세력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그는 자신의 초기 세력기반인 광주 호족과 천도 후 등장한 전주 호족 간의 대립을 막지 못하였다. 특히 나주를 비롯한 서남해 일대의 해상세력이 견훤에게 등을 돌린 것은 후백제 성장의 결정적 약점이었다. 후백제의 한계는 對중국?일본외교에서도 나타난다. 후백제는 吳越과 後唐과의 외교에 앞장서서 후삼국 중 우월적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지만, 그들로부터 받은 직함에는 ‘百濟王’과 함께 ‘신라서면도통’이라는 명칭이 함께 나온다. 일본과의 외교에서도 비슷하였다. 일본 측 기록에 의하면, 후백제 사신을 ‘新羅人’이라고 하였고, 견훤을 가리켜 ‘新羅 陪臣’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일본에서는 후백제를 독립된 국가로 인식하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후백제의 관부나 관직 등의 내용에서도 그 성격 및 한계를 찾을 수 있다. 즉 후백제는 백제의 정치제도를 계승하지 않고 오히려 신라의 그것을 그대로 차용하였다. 후고구려가 독자적인 행정체계를 갖고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후백제의 성격을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다. Gyeonhweon did not stop at simply revolting in the midst of a chaos at the end of Silla Dynasty, but came up with a goal of constructing new society. Successfully settling the public and combining the powerful clans, he found Hubaekje (Later Baekje), and furthermore dreamed of the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and recovery of old territory of Goguryeo. Gyeonhweon’s foundation of Hubaekje became the model of the foundation of Hugoguryeo (Later Goguryeo) by Gung Ye. Gyeonhweon’s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and recovery of Goguryeo territory influenced the Nothern Policy, such as Wang Geon’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emphasis on Seogyeong. Gyeonhweon, who established Hubaekje, established a new ideology accordingly. One of them was the consciousness of Baekje succession, and the other was realization of ideal society through Maitreya faith. These two had the indivisible relationship, and acted as the political belief to draw discontent public. It was a new political concept that suited especially the residents of Honam area at the time. Gyeonhweon was quick in diplomacy also. H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realized activ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such as seeking justification and benefit based on the situation. Therefore, he played a leading role by rapidly responding to the new international order. However, Hubaekje had many limitations also. First, Gyeonhweon failed in overcoming the old system.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lied within the dualism on Gyeonhweon’s historical recognition. While he claimed Baekje’s revival a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s a successor of Baekje,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d the ‘rightness of honoring the King’ towards the Royal Family of Silla. Gyeonhweon justified his position as Baekje successor through his birth story, but on the other hand, tried to connect his ancestors to the Royal Family of Silla. In other words, connecting his pedigree directly to 5th generation descent of Silla Royal Family is contradictory to his political ideology that claimed he was the successor of Baekje. The dualism of Gyeonhweon’s historical recognition show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Silla. That is, while he called himself the King of Hubaekje, he was posing as the ruler and the ruled of Silla. Gyeonhweon was somewhat successful in settling the public and uniting with the powerful clans, but failed in resolving the conflicts among the clams. He could not prevent conflict between his initial power base, Gwangju Clan, and Jeonju Clan, which appeared after moving the capital. Especially, the southwestern seashore clans, including Naju, turning their backs on Gyeonhweon were a crucial disadvantage in the growth of Hubaekje. Limitations of Hubaekje also appear in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Hubaekje held a prominent position among the Later Three Kingdoms by leading the diplomacy withWuyue and Later Tang, but the title received from them includes ‘King of Baekje’ along with ‘Southern Silla Military Governor’. It was similar in the diplomacy with Japan. According to Japan’s record, Hubaekje ambassador was called ‘person of Silla’, and Gyeonhweon was described as ‘retainer of feudal lord of Silla’. This proves that Japan at the time did not recognize Hubaekje as an independent country. Information on Hubaekje’s government or office positions shows its nature and limitations. Rather than inheriting Baekje’s political system, Hubaekje borrowed that of Silla. Comparing with Hugoguryeo’s independent administration more clearly shows Hubaekje’s characteristics.

      • KCI등재

        2017년 웅진·사비기 백제사 연구 성과와 과제

        박지현 ( Park Ji-hyun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4

        이 글은 2017년에 발표된 웅진·사비기 백제에 관한 문헌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글이다. 연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논문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각 논문의 주요 논지를 간단히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연구 경향에서 보이는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언제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정치·정치제도 외에 대외관계, 멸망기 분야의 연구가 많이 제출되고 있다. 백제 멸망기에 대해서 박사학위논문 1편을 포함하여 총 10편의 연구가 제출되는 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최근 중국에서 계속 발견되고 있는 백제인 묘지 자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외관계사는 2016년과 마찬가지로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백제사 연구의 외연 확장과 함께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외연 확장의 측면에서 중국계 백제인과 왜계 백제인에 대한 연구도 주목된다. 대외관계사가 백제라는 정치체의 활동상을 고대세계 속에서 폭넓게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이들 중국계·왜계 백제인에 대한 연구는 ‘백제인’의 개념을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개념 규정과 백제인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에 관하여 충분한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사 분야 중 국가제사를 다룬 연구가 단행본을 포함하여 모두 6편이나 제출되어 국가제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특징적이다. 이는 2015~2016년에 걸쳐 한국 고대 국가제사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이 3편 제출되면서, 이 분야 연구자들이 활발하게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Baekje history in the period of Woongjin and Sabi, analyzing the articles and reports published in 2017. To effectively explore the current research trend, the sample studies have been classified by their subjects and main findings. Political history has been the most popular subject, followed by the era of Baekje’s fall. The recent discoveries of Baekje refugees’epitaphs contribute to this trend.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s been significantly highlighted in the field since 2016. Given that the scope of the literature on Baekje history has been expanded, scholars would continue to shed light on this topic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ing expanding the scope, scholar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immigrant group-Chinese Baekje people (中國系 百濟人) and Japanese Baekje people(倭系 百濟人). The research on these immigrant groups expands the range of Baekje people, while the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im to explore the international activities of Baekje state in the ancient times. However, scholars should further discuss the issues including a clear definition of ‘Baekje people’ and the boundaries of this group. It is a current problem that both ethnicity and territory are used to regard someone as Baekje people.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six articles or studies on the state ritual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cultural history during the year. Researchers have actively engaged in this field, as shown in the three doctoral dissertations that focused on the ritual of Korean ancient states.

      • KCI등재

        백제의 사비회의 개최와 가야 諸國의 대응

        신가영(Shin, Ka-young)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이 글은 사비회의를 중심으로 가야 諸國과 백제가 처한 대내외적인 상황을 종합하면서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왕의 연구를 통해 6세기 전반 가야 제국이 백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에도, 사비회의 개최 과정은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부용’관계로만 볼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백제가 가야 각국을 대하는 태도 혹은 구체적인 방식은 규명되지 못하였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안라의 입장을 중심으로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안라 이외 가야 제국들의 입장 역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고구려와의 전쟁을 대비해야했던 백제는 가야 제국을 둘러싸고 신라와 직접적으로 대립할 수 없었기에 백제의 가야 진출은 신라의 방식과 같은 적극성을 가질 수 없었던 한계가 있었다. 그렇기에 백제는 관념적이나마 가야 제국을 통할하는 宗主國의식에서 여러 가야 세력을 사비에 소집하여 두 차례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가야 제국이 신라에 복속․통합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6세기에 들어서면서 가야 제국은 백제와 신라의 위협에 직면하였다. 각국이 처한 상황과 이해관계는 달랐지만, 이들은 백제와 신라 사이에서 세력 균형을 이루고자 노력하였다. 가야 제국이 사비회의에 참석한 것도 이러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541년․544년 회의의 참석국 수에 차이 가 있었던 것, 그리고 다양한 위계를 가진 참석자가 파견된 것은 가야 각국의 외교 현안에 대한 관심과 적극성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또한 다양한 참석자 구성은 가야 제국 내에 어떤 한 나라의 주도로 합의체가 구성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가야 제국은 사비회의 참석을 통해 백제의 적극적인 지원과 보호를 기대했지만, 여전히 관념적인 위상에 집착하며 현상유지를 바라는 백제의 태도에 실망했을 것이다. 결국 사비회의에서 제시된 대안은 신라의 가야 진출을 저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며, 오히려 사비회의를 계기로 가야 제국은 백제보다 신라를 선택하게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by integra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they were facing, focusing on the Talks at Sabi(泗沘會議). In the early six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however, when investigating the Talks at Sabi,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cannot be seen solel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One aspect is the attitude or the method in which Baekje treated each of the Gaya countries. Furthermore, in current study, the analysis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was mostly on the perspective of Anra. As such,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each of the other Gaya countries with respect to their relations with Baekje. Baekje, which had to prepare for war with Goguryo, could not directly confront Shilla regarding the Gaya countries. Moreover, the expansion of Baekje into Gaya was limited, unlike Shilla’s more aggressive method. Therefore, Baekje called various powers of Gaya to Sabi, with the awareness of a suzerain state that in theory controls the Gaya countries. Through such talks, Baekje sought to prevent the Gaya countries from being subjugated to and integrated into Shilla. In the six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faced direct threats from Baekje and Shilla. The circumstances and stakes of each country were different, but they all attempted to establish a balance of power in the middle of Baekje and Shilla. Thus, the Gaya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Talks at Sabi.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years 541 and 544 meeting,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various ranks reflect the interest and assertiveness to diplomatic issues of each of the Gaya country. Furthermore, the composition of the various participants reflects the lack of a centralized committee which led by one country within the Gaya countries. The Gaya countries anticipated Baekje’s active support and protection by participating in the Talks at Sabi, but they must have been disappointed at Baekje wanting to maintain the status quo, unable to separate from the ideological superiority. In the end, the alternative that was offered at the Talks at Sabi was insufficient to stop Shilla’s expansion into Gaya, and it can be believed that the Talks at Sabi triggered for the Gaya countries to choose Shilla.

      • KCI등재후보

        百濟의 ‘九九段’ 木簡과 術數學

        윤선태(Yoon, Seon-tae)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7

        泗沘 시기 백제 지배층들의 사상적 기반과 학문적 저변은 상당히 넓었다. 당시 백제 지배층들은 유학이나 불교뿐만 아니라 陰陽五行, 曆法, 醫藥, 占卜, 觀相 등 ‘術數學’의 여러 학문분야에 큰 관심을 갖고있었다. 최근 발굴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백제의 木簡에도 약간이지만 술수학과 관련된 몇몇의 자료들이 보고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목간들의 내용과 기존 연구 성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백제의 算學 및 醫藥의 일측면을 보완해보았다. 우선 부여 쌍북리에서 백제의 ‘九九段’ 목간이 발굴되었다. 이 목간은 형태와 서식으로 볼 때, 각 단을 횡선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시각화하여 각 단의 공식을 찾기 쉽도록 배열할 목적에서 애초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고안한 ‘구구단 公式表’라고 명명할 수 있다. 말단의 관료도 구구단을 외우고 있었지만 셈법에 틀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기 위해 검산과정에서 이 공식표를 이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九九術’은 단순하지만 사람들은 그 數에 내재된 법칙성과 정연한 논리 구조를 자각하고 감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구구술’은 오랜 세월동안 數術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지녔다. 따라서 구구단을 직각삼각형에 담으려고 한 발상은 『周髀算經』에 3:4:5의 직각삼각형을 우주의 완전체로 이해하고 있었던 점과 관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백제에서는 이미 한성시대부터 중국의 술수학을 통해 음양, 5행, 10간, 12지, 64괘가 만들어내는 우주, 자연, 인간에 구현된 數의 상징성과 규칙성을 깊게 받아들였다. 백제에서는 우주의 중심을 상징하는 5나 6, 또는 그 둘이 병칭되는 사례가 많이 확인된다. 또 백제의 핵심관부인 22部司가 왕실이 관할하는 內官 12개 관청과 중앙행정을 담당하는 外官 10개의 관청으로 구성된 것도 바로 天數 12와 人數 10의 상징성을 政治에 적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支藥兒食米記’목간도 그간 백제의 醫藥과 관련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이 ‘支藥兒食米記’를 ‘藥兒에게 食米를 支給한 記錄’으로 해석하고, 백제의 藥兒를 唐의 ‘藥童’이나 古代日本의 ‘藥生’과 같은 관인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기존에 제기되었다. 이 약아나 약생은 약재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거나 빻고 채질해서 調劑할 준비를 했던 의약전문 관인이었다. 그런데 백제의 藥兒 또는 支藥兒는 지급된 食米의 양으로 볼 때 인원이 22명 이상이었다는 점에서, 율령관인이었던 약아나 약생과는 다른 존재였다고 생각된다. 고대일본의 경우 藥生 밑에 말단의 사역인인 ‘客作兒’나 ‘嘗藥小兒’ 등이 확인되는데, 백제의 약아 또는 지약아는 이들과 그 성격이 유사한 존재가 아닌가 생각된다. 또 작명방식도 이들과 유사한 ‘支藥兒’로 보인다. ‘支藥兒食米記’목간의 출토지는 지방에서 都城으로 들어오는 입구, 도성의 경계지점에 해당된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男根形’ 목간이나 ‘水’字가 여러 개 連書되어 大祓 의식 때 ‘洗淨’의 의미로 만든 주술목간 등으로 볼 때, 이곳은 주기적으로 災厄을 막기 위해 祭祀가 벌어졌던 非日常的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 陵寺가 완공된 이후에는 사찰이 그러한 의식들을 일부를 주관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지약아목간’의 내용으로 볼 때, 능사에는 능사가 완공되기 전부터 都城人이나 지방관(道使), 지방인(彈耶方) 등 도성을 출입하는 이들을 치료하기 위한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치료소는 고려의 ‘東西大悲院’이나 고대일본의 ‘施藥院’처럼, 大慈大悲의 뜻을 담아 사찰이 완공된 뒤에도 부속시설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치료시설에는 藥園이 할당되었고, 이에는 약을 재배하는 藥戶를 비롯해 藥材를 능사로 운반하는 支藥兒와 같은 말단의 사역인들이 예속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백제와 왕릉을 수호하는 능사가 도성의 경계 지점이라는 비일상적 제의공간을 활용해 도성을 출입하는 관인과 인민에게 施惠를 베푸는 권력 장치로 기능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부여 관북리 蓮池에서 출토된 나무로 만든 팔과 다리는 어깨와 고관절 부위에 연결용 구멍이 두 개 있는 나무인형의 부속품으로 추정된다. 이 목제의 팔과 다리는 일본에서 소위 ‘마리오네트(marionette)式 人形’으로 부르는 ‘詛呪’와 ‘呪禁’의 치료용으로도 사용했던 인형의 부속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주금의식에는 고대일본이나 고려의 사례로 볼 때, 인형을 ‘結縛’하는 의식이 행해졌는데 그때 주술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와 방불하도록 손과 발이 움직일 수 있는 인형을 제작하였다. 또 고대일본의 발굴사례로 보면 결박된 팔이 빠진 채로 발견된 인형도 있어서 관북리 연지의 팔과 다리는 그러한 방식으로 인형에서 분리된 부속품일 가능성이 있다. This article has examined Baekje’s Shushu(artifice studies), calculations and medicines through wooden document from the recent excavation in Buyeo. In Ssangbuk-ri, a wooden multiplication table was excavated. Originally designed in the form of a right-angled triangle, it can be called the “official table for multiplication” in terms of its form and format. Most petty officials memorized it, but it is presumed that they used this official table in order to make the best of the calcul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wooden document will be excavated in China and Japan in the future. At a temple site in Neongsan-ri, wooden document of ‘Jiyakasikmigi(支藥兒食米記)’ was excavated. The place where it was excavated is the entrance to the capital, Sabi, the border of the city. It was a special space where ceremonial ceremonies periodically took place to prevent calamity. There seemed to be facilities for treating people who entered and exited the city. At this treatment facility, low ranking servants such as ‘Jiyaka(支藥兒)’, would have been subordinated. At a lotus pond In Kuanbuk-ri, wooden arms and legs were excavated. Researchers estimated that they were used as parts of a wooden doll with two holes in the shoulder and hip joints. In Japan, accessories for the marionette type dolls used for treatment were unearthed. In ancient Japan and Goryeo, a ceremony of witchcraft was held to “tie” the dolls. For this purpose, they made dolls that could move their hands and feet. Wooden arms and legs of Kuanbuk-ri are also possible accessories of such dolls.

      • KCI등재

        문헌사료로 본 백제의 마한 통합과정

        정동준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9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Mahan, this paper reviewed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rela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which was problematic in the prevailing theory, and examined literature materials and related studies on the south of Geum River and north of Noryeong Mountains,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 The summary is as follows. This paper reviewed the article of King Onjo of Baekjebongi(百濟本紀) in Samguksaki (三國史記) and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Byeokgolje which were materials on Baekje’s annexation of Mahan before the reign of King Geunchogo, and also reviewed the Jinguki(神功紀) of Nihonshoki(日本書紀) which was material on annex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The results of the review showed that all three materials lack of evidence that Baekje’s annexation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be convinced that the prevailing theory before the 1990s was a theory proven through literature material. This paper also reviewed Baekjejeon(百濟傳) of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Oujinki(應神紀) of Nihonshoki which were literature materials on the trends in southern area of Geum River after the 5th century. Both materials showed that Baekje did not carry out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area until the 5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d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on the trends of You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after the 5th century, including the Samguksaki, Nihonshoki, Baekjejeon of Chinese official history. Through these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 Yeongsan River basin became a part of Baekje's territory at some point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nd that the small states of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 which had remained in the state of ‘subjugation’ until the reign of King Muryeong, were territorial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Seomjin River basin, such as Gimun(己汶) and Daesa(帶沙), was incorporated into Gun(郡: county) which was a territory of Baekje no later than 600, and that the Dam-ro system(擔魯制) was implemented in the 530’s and the five Bang(方: province) system in 540s. 이 글에서는 백제와 마한의 관계에 대하여 먼저 통설에서 문제가 되었던 근초고왕대 백제와 마한의 관계에 대한 사료와 관련연구를 재검토하고, 금강 이남 노령산맥 이북,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순서로 사료와 관련연구를 검토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근초고왕 이전 백제의 마한 통합에 대한 사료로서 『三國史記』 百濟本紀 溫祚王조와 벽골제 축조 관련 사료, 근초고왕대 백제의 마한 통합에 대한 사료로서 『日本書紀』 神功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3개 사료 모두 근초고왕대에 백제의 마한 통합이 완료되었다는 근거로 부족한 점이 있어서, 1990년대 이전의 통설은 적어도 문헌사료로 입증된 학설이라고는 하기 어려웠다. 5세기 이후 금강 이남 지역의 동향에 대한 사료로서 中國正史 百濟傳, 『日本書紀』 應神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두 종류의 사료 모두 5세기까지 백제가 금강 이남 지역에 대한 영역화를 관철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5세기 이후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동향에 대한 사료로서 여러 사료 『三國史記』·『日本書紀』, 中國正史 百濟傳 등 여러 사료를 검토하였다. 이들 사료를 통하여 영산강 유역이 6세기 중반의 어느 시점에 백제의 영역이 되었고, 무령왕대까지 ‘복속’에 머물렀던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소국들이 성왕대에 영역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己汶·帶沙 등 섬진강 유역이 늦어도 600년을 전후한 시점에는 백제의 영역으로서 郡으로 편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530년대에 담로제가, 540년대에 5방제가 실시되었을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사비기 백제의 對中관계와 문화교류 - 도교 · 불교를 중심으로 -

        박지현(Park, Ji-hyun)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백제는 동진과 교섭한 이래 주로 남조와 교류해 왔다. 개로왕대 북조와의 관계가 단절된 이후, 웅진도읍기의 대중관계는 남조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강유역을 둘러싼 각축전 속에서 성왕이 사망하고 한강유역도 다시 상실하면서 백제의 국제적 입지가 약화되었다. 어지러운 국내외 정세 속에서 즉위한 위덕왕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것이 대외적으로 나타난 것이 북조와의 교섭 재개였다. 당시 북제 역시 국제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백제와의 관계에 적극적으로 임하였다. 이러한 백제-남북조 간의 교섭양상은 문헌과 유물에서 드러난다. 472년 개로왕이 북위와 국교를 단절한 이래 100여 년이 지난 후 재개된 백제와 북조와의 교섭은 서로에게 새로운 문화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周書』와 『北史』 등에는 교류단절의 기간 동안 변화, 발전해 온 백제의 정치, 제도, 사회, 문화, 사상, 풍습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었다. 이는 백제에 대한 북조의 관심사가 무엇이었는지를 알려주기도 한다. 특히 백제의 도교문화는 매우 산발적·단편적으로 나타나는데, 북조 사서에 기록된 도교관련 기록들은 사비기 백제 도교문화의 일면을 살펴보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백제 역시 북조의 문화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던 것 같다. 먼저,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북제의 상평오수전은 백제와 북조 간 교류를 직접적으로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그리고 6세기 이래 제작된 불상들에 남조의 요소가 그대로 유지되는 동시에 북조적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돌이 불상을 제작하는 주요 재료로 사용되었다는 점, 북조의 경우처럼 교통로상에서 불상이 만들어진다는 점도 북조의 영향을 짐작케 한다. Baekje developed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since it sent an envoy to East Jin(東晉, Dōng Jìn) in 372. Moreover, King Gaero discontinued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North Wei(北魏, Běi Wèi) in 472. Since then, Baekje only interacted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in various fields. Although the capital and Hangang River basin were taken by Goguryeo in 475, Baekje developed power and interacted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However, by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having a feeding frenzy around the Hangang River basin with Shilla, King Seong of Baekje fell in Gwansanseong Fortress Battle. King Uideok, who succeeded to the throne,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In the crisis, to establish a solid foothold in East Asia, he resumed the development of diplomatic tie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while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sending an envoy to North Qi(北齊, Běi Qí). Because of this change in relations with China, Zhōushū(『周書』) and Běish(『北史』), histories of the Northern Dynasties, included the contents about Baekje’s political system, social custom, culture, religion and so on. In particular records related to Taoism(道敎) in Baekje were important to study Taoism of Baekje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materials about that. Also, the existence of those records implies what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were interested. On the other hand, several relics, especially the sculptures of Buddha, showed what Baekje accepted and adopted from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Since the 6th century, some sculptures of Buddha made in Baekje presented features of both the Southern and Northern China style. It seemed that these sculptures were added the Northern China’s features based on the Southern China style. Moreover, it seemed to be affected by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sculptures of Buddha seem to be made of stone and located in the main roads of Baekje.

      • KCI등재후보

        百濟의 文字 生活

        鄭在永(Chung Jae Young) 구결학회 2003 구결연구 Vol.11 No.-

        이 글은 百濟 時代에 記錄된 문자 資料를 대상으로 하여 백제의 문자생활을 살핀 논문이다. 먼저 제2장에서는 백제 시대의 문자 기록 자료들을 漢城時代(B.C.18~475년)와 熊津時代(475~538년), 泗?時代(538~660년) 등으로 시대별로 분류하여 문자 자료로서의 특징과 가치를 살펴보았다. 백제의 유물 중에는 문자생활을 뒷받침해 주는 문방구들도 많이 출토된 바 있다. 실재하는 백제의 1차 기록 자료들을 보면 백제의 文字 사용 실태를 알 수 있다. 문자의 보급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行政文書에 능통한 官吏들과 漢文의 解讀에 뛰어난 인력들도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또, 木簡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발굴된 百濟의 문자 자료들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면서 百濟人들의 漢文 실력이나 書藝 솜씨가 동시대 중국의 여러 나라들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할 수 있었다. 百濟人들의 정갈하고 獨創的인 書藝 솜씨도 맛볼 수 있다. 漢字의 사용에서는 다양한 異體字들뿐만 아니라 독특한 造字, 한자의 일부를 빌려서 쓰는 半字(省劃字) 등도 보인다. 백제 文字 資料 중에는 中國 漢字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 고유의 造字들이 있다. 이 현상은 고구려와 신라의 文字 資料에도 나타난다. 半字의 사용은 借字表記法의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半字들은 口訣을 표기하는 口訣字로 많이 사용된 것이다. 宮南池 出土 木簡이나 瓦塼 등에는 ‘部’字가 半字(省劃字)인 ‘?’로 표기되는 데 이것은 高句麗의 銘文土器와 平壤城 城壁石 刻文에 쓰인 것과 같은 字形이다. 백제의 印章瓦에도 '?’字가 쓰이는데, 이것은 일반에서도 이 半子가 보편적으로 쓰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런 사실은 고구려와 백제의 借字表記法이 같은 전통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日本에서는 7세기를 경계로 ‘?’字가 ‘マ’로 변형을 보인다. 백제의 문자자료 중에는 흥미 있는 異體字들도 많다. 그중 많은 이체자들이 그 자형이 쓰인 시대와 당시의 문화교류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들이다. 新羅의 文字 자료 중에는 두 字를 합쳐서 한 字처럼 쓰는 合字들이 많이 쓰였다. 신라에 비해 百濟에는 이런 자료들이 많이 보이지 않지만 宮南池 出土 木簡에 나타나는 ‘水田(畓)’은 이 유형에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百濟의 문자 기록 자료 부족으로 인하여 高句麗와 新羅에서 차자표기법이 발달되어 사용된 것으로 이해한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百濟 시대의 문자 자료들에서도 차자표기 자료들이 발견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백제 시대의 文字 資料 중에는 백제의 어휘 즉, 관명이나 인명, 지명, 寺名 등을 표기한 많은 1차 자료들뿐만 아니라, 초기 吏讀文의 모습을 지닌 자료들도 있다. 이런 사실은 借字表記의 歷史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百濟 시대의 吏讀文 중 대표적인 것은 斯麻王 王妃의 은팔찌에 陰刻되어 있는 銘文 즉, 銀釧銘이다. 이 문장은 斯麻왕의 왕비가 죽기 6년 전 520년에 새긴 것으로 이 문장도 초기 吏讀文의 모습을 보인다. 이 외에도 토기나 전에 새겨진 명문 중에는 한자를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한 초기 吏讀文의 형식을 띠고 있는 것이 있다. 백제의 1차 문자 자료 중에는 많은 백제의 어휘들이 보이는데 그중 武寧王의 이름인 斯麻가 『三國史記』에는 斯摩로 기록되어 있어 武寧王陵의 誌石과 『日本書紀』의 斯麻와 차이를 보인다는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두 표기를 통해서 斯麻와 斯摩는 ‘시마’를 표기한 異表記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literary life in Baekje(百濟) based on materials recorded in the Baekje period. In section 2, documents of the Baekje period are classified into Hanseong(漢城) period(B.C.18~475), Ungjin(熊津) period(475~538), and Sabi(泗?) period (538~660),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values are discussed. First-hand materials which show literary life of Baekje include inscriptions written in various things (e.g. stone monuments, bells, wooden strips, tiles, bricks, earthen vessels, etc.), characters written on silk, stationary, etc. These materials show that the number of literate people was quite great, and that their proficiency in classical Chinese was no less than that of contemporary Chinese people. Officers were versed in writing administrative documents with classical Chinese. These materials show various hand-writing styles, including cursive and square styles. The calligraphy of these styles was also aesthetically respectable. Documents of Baekje include characters created by Baekje people, which are not found in Chinese materials. Some characters were used with some strokes being omitted. Such characters, which are called half-characters(半字), are very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borrowing writing systems(借字表記法) in that such half-characters were used in gugyeol(口訣). For example, in inscriptions written in wooden strips unearthed in Gungnamji(宮南池), tiles and bricks, the character '部' is written as the half-character '?', which also appears in inscriptions of earthen vessels of Goguryeo(高句麗), the citadel of Pyeong-yang(平壤) and stamping tiles. This fact shows that Goguryeo and Baekje shared the same tradition of Chinese-borrowing writing systems. In Japan, from the 7th century, '?' was transformed into 'マ'. Documents of Baekje also contain many variants of the same character. These variants provide valuable clues about the cultural interchange among countries. So-called combined characters(合字), which are abundant in Silla(新羅), are not frequently found in materials of Baekje. But '水田(畓)', which appears in wooden strips unearthed in Gungnamji(宮南池), belongs to this category. Hitherto, due to the lack of data related to literary life of Baekje, many people have been thought that Chinese-borrowing writing systems, i.e. systems by which Korean language could be written using Chinese characters, arose in Goguryeo and Silla. But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such systems also appear in data of Baekje. These data include examples in which proper names, e.g. names of persons, places and temples, and official titles were written using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sentences in the pattern of early Idu(吏讀). The most remarkable of data of Baekje Idu is the inscription written in Queen Sima(斯麻王 王妃)' s silver bracelet, which was written in A.D. 520, 6 years before her death, and which shows the patterns of early Idu. In addition, some sentences written in earthen vessels and bricks also show word order patterns of Korean, which is indicative of early Idu. King Munyeong(武寧王)'s name 'Sima' is written as '斯摩'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as '斯麻' in 『Nihonshoki(日本書紀)』 and the memorial stone of King Munyeong. These two are notational variants of the same n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