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Foerster)) 발생소장 및 온도별 발육기간

        김동순,조명래,전흥용,임명순,이준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0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9 No.2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배를 가해하는 나무이과(Psyllidae) 해충은 배나무이(Cacoosylla pyrisuga)와 꼬마배나무이(C. pyricola) 두 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정확한 생태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꼬마배나무이의 생태를 구명하여 방제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월동생태 및 발생소장, 온도발육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꼬마배나무이는 겨울형 성충태로 배나무 거친 껍질 밑에서 월동하였으며, 월동성충은 2월 중순경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성충과 약충이 배나무 잎이나 과실을 흡즙하면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피해가 발생하였다. 꼬마배나무이의 포장발생 정도는 이상저온이었던 1993년에는 연중 다발생되었고, 한발고온이었던 1994년에는 7월 이후 발생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기온이 평년수준이었던 1995년에는 7~8월에 발생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9, 10월 발생이 다시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꼬마배나무이 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 20, 25, 30, $35^{\circ}C$에거 각각 13.33, 9.32, 7.82, 6.60, 7.75일 이었으며, 1영에서 5영까지 온도별 발육기간은 15, 20, 25, $30^{\circ}C$에서 각각 33.75, 23.77, 15.21, 17.40일 이었다. 고온영역에서 꼬마배나무이의 발육기간은 증가하였고 사망률도 증가하였다. 또한 온도와 꼬마배나무이 발육율과의 관계를 비서형 발육모형과 선형발육모형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Two Psyllidae species of Cacopsylla pyricola (Foerster) and C. pyrisuga (Foerster)damaging pear tre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However,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amagepatterns have not been evaluated yet. To establish basic control measures of C. pyricola, field phenology,overwintering ecology, seasonal fluctuation and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C. pyricola wereexamined. C. pyricola overwintered under the bark scale of pear trees as winter form adults and theymoved to fruiting twigs from mid-February. Honeydew produced by C. pyricola nymphs and adults asthey feed caused serious black sooty mold on leaves and fruits. The seasonal occurrence of C. pyricolawas different every year. In 1993, characterized by cold temperature and heavy precipitation, C. pyricolapopulation was maintained highly during growing season. However, the population was decreased rapidlyfrom early July in 1994, year of hot and dry weather condition. In 1995, year of average temperature, thedensity of C. pyricola population was decreased during hot months of July and August, and rebuilt up inSeptember and October. The development periods of C. pyricola eggs were 13.33 days at 15"C, 9.32 daysat 20$^{\circ}$C, 7.82 days at 25"C, 6.60 days at 30$^{\circ}$C, and 7.75 days at 35$^{\circ}$C. The development periods ofnymphs were 33.75 days at 15OC, 23.77 days at 20$^{\circ}$C, 15.21 days at 25"C, and 17.40 days at 30$^{\circ}$C. Theirdevelopment periods and mortalities were increased in higher temperatures. The parameters of nonlineardevelopment model, Weibull and linear development models of Cacopsylla pyricola were estimated.models of Cacopsylla pyricola were estimated.

      • KCI등재

        가야금 정악보의 기보와 음역에 대한 연구 - 20세기 이후 발행된 악보를 중심으로 -

        이주인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정악을 기보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야금 정악보는 율자보를 주로 사용한다. 황종(黃鍾)을 예로 들면 율자의 높낮이는 청탁(淸濁)이라 하여 한 옥타브 높은 음역에서는 청성(淸聲)의 청에서 삼수변(氵)을 사용하여 潢으로 쓰고, 청황종이라 읽는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에서는 배성(倍聲)의 배에서 사람인변(亻)을 사용하여 僙으로 쓰고 탁황종이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배(倍)의 연원을 알 수 없었다.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더니 『세조실록』 권48에서 ‘하4(下四), 하5(下五)는 배탁성(倍濁聲)이다’라는 글귀와, 『악서』에서 율관을 반(半)으로 줄이면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이 되고 두 배(倍)로 늘이면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이 된다는 황종 율관의 제작방법에서 배(倍)의 연원을 찾을 수 있었다. 20세기 이후 율자보로 발행된 가야금 정악보는 11종이 있는데 㣴-仲, 僙-㳞, 黃-㴢의 3가지 음역으로 기보 되어있다. 그리고 오선보 음역 기보는 4종이 있는데 2종에서 E♭2–A♭4에서 㣴-仲을, 1종에서 E♭3–A♭5에서 㣴-仲을, 1종은 E♭3–A♭5에서 僙-㳞으로 기보 되어있다. 1920년대에 정악을 오선보로 처음 채보하였고,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현재 아악은 황(黃)=C4, 향악은 황(黃)=E♭4로 기보한다. 합주음악인 정악의 주요 악기들(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의 실제 음역을 측정하였더니 정악가야금의 음역은 E♭2–A♭4이고, 율자기보는 㣴-仲이 적합하였다. 정악에서 사용하는 음역에 대한 용어의 정립과 실음에 맞는 기보를 한다면 가야금 정악보가 보다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mong various notation systems used to notate jeongak (court/classical music), yuljabo (music letter notation) is often used for gayageum. In yuljabo, the pitch range of yulja (music letter) is called cheongtak (淸濁). For instance, hwangjong (黃鍾) is written as 潢 and called cheonghwangjong (淸黃種) using the water radical (氵) derived from the character cheong from cheongseong (淸聲). On the other hand, when indicating the lower register, called baeseong (倍聲), it is written as 僙 using the person radical (亻), derived from the character bae from baeseong (倍聲), and called takhwangjong. However, it was unclear from where bae (倍) was derived. Through my research, I have found the origin of the character bae (倍). From the 48th Annals of King Sejo, I have located a written passage where it says “hasa (the fourth lower note, 下四) and hao (the fifth lower note, 下五) are baetakseong (倍濁聲).” Moreover, I have also found its origin from the process of making a pitch pipe for hwangjong: “When you cut a pitch pipe in half (半), you get an octave higher note, and when you make it twice (du bae, 2 倍) longer, you get an octave lower note.” Since the twentieth century, 11 jeong-ak (court/classical music) sheet music books for gayageum using yuljabo have been published and three different ranges are used to notate music: 㣴-仲, 僙-㳞, 黃-㴢. Among the four music books using a staff, two books use E♭2–A♭4 (㣴-仲), one book uses E♭3–A♭5 (㣴-仲), and another book uses E♭3–A♭5 (僙-㳞). After undergoing several changes since jeongak was first written on a staff in the 1920s, currently hwang (黃) = C4 in aak (ritual music) and hwang (黃) = E♭4 in hyangak (indigenous music). By measuring the actual pitch ranges of the major instruments (gayageum, geomungo, daegeum, piri, and haegeum) in playing jeongak, which is often played as an ensemble, I have found that the pitch range of the gayageum is E♭2–A♭4 and thus concluded that the proper written range for yuljabo is 㣴-仲. In conclusion, if we unify the terms related to jeongak and write music based on the actual pitch range of the instrument, the gayageum jeongak music books will be more logical and utilized more conveniently.

      • KCI등재

        배양육 산업 규제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유성희,정민재,양용현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3 과학기술법연구 Vol.29 No.1

        배양육은 육류를 대체하여 단백질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배양육은 인류의 식량안보를 고려한 대안이기도 하면서 환경오염 감소와 동물윤리성 제고측면에서 필요성이 제기되는 대체단백질식품자원 중 하나이다. 특히 동물세포를 배양하여 제조한다는 점에서 여타 대체단백질식품 유형과는 달리 맛과 식감 측면에서 육류와 유사성이 높아 잠재적인 소비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싱가포르에서 이미 배양육이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등 해외에서는 배양육 상용화 속도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배양육은 아직 연구개발 단계에 진입해 있다. 이에 따라 배양육을 식품화하기 위해 필요한 규제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배양육을 식품으로 상용화하는 경우 식품안전 확보 측면과 함께 신산업 육성을 위해 어떠한 고민이 필요한지 선제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배양육 제조단계별로 적용되는 법령과 규제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배양육 식품을 상용화하는 경우 검토가 필요한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세포를 확보하는 단계에서는 동물로부터 직접 채취하는 방식 혹은 세포주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동물보호법령 및 축산물 위생관리법령 등이 적용되어 지속적인 세포공급에 애로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특히 세포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종양 발생 등 부작용 가능성에 따라 GMO 규제가 적용될 여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세포 배양단계에서는 배양액과 관련하여 각종 첨가물질을 투입하게 되면서 식품안전성의 우려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배양기 사용시에도 현행법령에 따른 개방검사의 시행주기를 보다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식품허가 단계에서는 안전성 심사뿐만 아니라 식품 표시기준을 준수하여야 할 것이며, 배양육을 식품원료로 인정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위 검토사항들을 토대로 제도적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로 배양육을 제도권 안으로 편입하여 관련 법령 및 규제가 적용되는 명확한 범위를 마련하여 피규제자로 하여금 예측가능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배양육 제조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하며, 배양육의 식품안전성에 관한 과학적 근거가 마련되기 이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규제체계를 마련할 것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는, 싱가포르, 이스라엘, 미국 등에서 이미 판매허가를 받거나 판매허가가 가시화되고 있으므로, 배양육 기업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배양육 시장까지 준비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서 국제사회와의 규제조화와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고 관련 정부지원 사업을 확대하면서 배양육에 특화된 지원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新石器時代 日本列島의 통나무배로 본 韓半島 통나무배 硏究의 豫察

        이상균(Lee Sang Kyun)(李相均)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8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esent state, the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ugouts which were made in Jomon age. And I looked into the material on Korean dugouts and compared them with Japanese ones. There are 124 dugouts of Jomon age and they have been found in 67 places. They were spread in the middle period of Jomon age and many of them were made in the late period. Their plane figures are generally the shape of Kyounjeol (chopped tuna) and made of cryptomeria and torreya. There are 4 engravings of boats in the petroglyphs of Bangudae, two dugout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Bibongli and an earthen ware which had been made in the shape of a boat and wa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Dongsamdong. The dugouts of Bibongli could be the shape of chopped tuna, and like Japanese ones they were made by carving raw timbers into boats. 본고에서는 日本列島에서 출토된 繩文時代 각 지방의 통나무배 현황을 정리하고, 형태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韓半島에서의 통나무배 관련 자료를 파악 해 보고, 日本의 통나무배와 견주어 韓半島 통나무배 연구의 豫察을 해보았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124기에 달하며, 출토된 유적의 수는 약 68개소에 이른다. 통나무배는 繩文 早期 말에 제작되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中期를 거쳐, 後期, 晩期에 는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평면 형태에 있어서는 鰹節形이 가장 많고, 단면은 半圓形이 주류를 이룬다. 이른바 繩文時代 통나무배를 대표하는 2A 유형에 속한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대개 원목을 파내어 가공하는 단순한 구조의 單材方式이다. 통나무배의 재료는 15종의 수종이 있으며, 삼목과 비자나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韓半島에서 新石器時代의 배와 관련된 것은 東三洞貝塚의 배모양토기, 반구대 암각화의 4기의 배 그림, 西浦項遺蹟의 고래뼈로 만든 노, 飛鳳里貝塚의 통나무배 2기가 있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日本 통나무배의 시기보다 빠르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鰹節形일 가능성이 높으며, 日本 통나무배 형태분류의 2A 유형과 유사하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일본지역과 마찬가지로 원목을 파내어 만드는 單材方式을 이용하고 있다. 통나무배의 곳곳에 불에 그을린 흔적과 石斧의 가공흔적이 보이고 있으며, 재료는 소 나무를 사용하고 있다. 日本列島에서 발견된 통나무배의 연구상황을 근거로 하여, 앞으로 韓半島에서 출토 되는 통나무배의 기초 데이터를 충실히 만들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초대 울도 군수 배계주의 행적에 대한 고찰

        유미림(Yoo, Mi Rim)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7 No.2

        이 글은 초대 군수 배계주의 행적 가운데 1898-1899년 사이의 행적을 고찰하되, 일본에서의 소송에 초점을 맞춰 검토한 것이다. 울릉도 개척을 구상하고 있던 배계주는 일본의 산업 시찰을 겸하여 1898년 가을에 도일했다. 그는 마쓰에에 도착한 뒤 사카이-오키-사카이-도쿄-조선으로 귀국하는 경로였는데, 도일 전 고발장을 지참하고 갔다. 배계주가 고발한 자는 요시오 만타로 등 3인인데, 이들이 배계주가 매매하기로 한 목재를 몰래 일본으로 수송했기 때문이다. 이 사건은 마쓰에지방재판소 사이고지청에서 다뤄졌는데, 예심(豫審)한 결과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면소(免訴) 결정이 내려졌다. 다만 이 사건은 민사소송으로서 판결이 내려져, 재판소는 1899년 2월 원고가 청구한 규목 31매를 원고에게 반환할 것을 판결했다. 요시오가 이의를 신청했지만, 기각당했다. 첫 번째 소송은 배계주의 승소로 끝났다. 두 번째 소송은 1898년 12월 배계주가 후쿠마 효노스케를 제소한 건이다. 후쿠마가 울릉도에서 밀반출한 규목 95매를 시마네현의 항구에 감춰두었기 때문이다. 이 소송은 예심에서 후쿠마가 형사소송법을 위반한 것으로 적시되었고, 재판장은 중금고(重禁錮) 석 달, 벌금 10엔(圓), 감시 6개월에 처할 것을 판결했으므로 배계주가 승소했다. 그러나 후쿠마는 히로시마공소원에 항소했고, 항소에서 배계주는 패소했다. 후쿠마의 승소 이후 일본 외무성은 자국민이 벌목을 하게 된 것이 도감의 묵인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다. 배계주는 귀국한 뒤에도 일본인의 불법 벌목, 밀수출 현황을 자주 정부에 보고했다. 대한제국은 이를 일본 공사관에 조회하여 일본인의 철수를 계속 요구했다. 한편 정부는 배계주의 보고로 인해 울릉도의 현황을 자세히 알게 되었고, 이로써 울릉도를 행정적으로 정비할 필요성을 인식했다. 1900년 6월 양국 조사단의 조사는 울릉도를 행정적으로 정비하는 촉매가 되었다. 대한제국이 1900년 10월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승격시키는 데 배계주의 활동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그의 행적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first county governor, Bae Gye-ju, between 1898 and 1899, focusing on lawsuits in Japan. Bae Gye-ju, who was planning to develop Ulleungdo, went to Japan in the autumn of 1898 to visit the Japanese industry and accuse the Japanese of crimes. Bae Gye-ju accused three people, including Yoshio Mantaro, of secretly transporting timber that Bae Gye-ju intended to trade to Japan. The case was heard at the Saigo branch of the Matsue District Court, and the trial court dismissed the case in a preliminary trial on the grounds of insufficient evidence. However, the case was ruled as a civil suit in February 1899, and the court ordered the defendants to return 31 ash tree boards to plaintiffs. Yoshio objected but was dismissed. The first lawsuit was a victory for Bae Gye-ju. The second case was in December 1898 when Bae Gye-ju filed a complaint against Fukuma Hyonosuke for smuggling 95 ash tree boards from Ulleungdo. At the preliminary trial, the case was reported to be a violation of Fukuma"s criminal law procedure, and the judge ruled that Fukuma would be punished with three months of heavy penalties, a fine of ten yen, and six months of surveillance. However, Fukuma appealed to Hiroshima Public Prosecutors Office, and Bae Gye-ju lost the appeal. After Fukuma"s victory,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 began to show a hardline stance, arguing that the people"s logging was due to Bae Gye-ju’s acquiescence. Even after returning to Korea, Bae Gye-ju often reported Japanese illegal logging and smuggling activities to the Great Han Empire government. The empire made inquiries to the Japanese embassies and demanded withdrawal of the Japanese. Due to Bae Gye-ju’s reports, the Great Han Empire government recognized the status and need for administrative reform in Ulleungdo. In June 1900, a joint investigation by Korea and Japan accelerated administrative reform of Ulleungdo. Ulleungdo was promoted to Uldocounty in October 1900, a process that was heavily influenced by Bae Gye-ju’s reports and the Great Han Empire.

      • 影响旅游企业培训实效的误区探讨

        芦爱,英(LU Ai-ying) 세계문화관광학회 2009 Conference Proceedings Vol.10 No.0

        旅游企业培训是行业服务品质提升的重要途径,而培训的实效体现才是培训的根本目的所在,笔者基于多年从事旅游企业培训的体验,试图从旅游企业对培训的定位与目标、企业员工对培训的心态与手表现以及培训师对培训的准备等实施等现状进行分析,发现存在的认知误区,提出自己对旅游企业培训的拙见,以便与大家共同探讨。 Tourist business training is the profession service quality promotion important way, but trains the actual effect manifests is the training primary purpose is, the author is engaged in the experience which based on many years the Tourist business trains, attempts from the Tourist business to the training localization and the goal, the enterprise staffs with display as well as train present situations and so on preparation which and implementation to the training point of view trains teacher carry on the analysis, discovery existence cognition erroneous zone, proposed that oneself opinion which trains to the Tourist business, in order to discuss together with everybody.

      • KCI등재

        <서경별곡> ‘강-배’ 비유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

        임재욱 한국시가학회 2019 韓國 詩歌硏究 Vol.48 No.-

        이 논문은 남녀 관계를 가리키는 <서경별곡>의 ‘강-배’ 비유가 현대 시문학 작품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본 글이다. 표층적 차원에서 <서경별곡>의 ‘강-배’ 비유는 ‘도강의 수단’ 및 ‘이별의 계기’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대동강”이 실제의 강, “배”가 도강을 위한 교통수단을 뜻하면서,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행위는 화자가 임과 이별하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심층적 차원에서는 ‘강-배’ 비유가 애정의 쌍방인 남성과 여성을 가리키면서 동시에 강물 위에 배가 떠다니는 상황은 남녀의 육체적 결합을 상징한다. 본고에서는 <서경별곡> ‘강-배’ 비유의 표층적 차원의 의미를 계승한 사례로 <떠나가는 배>와 장석남의 <배를 밀며>를 검토해 보았다. 남녀 사이의 사랑을 표현하기 위해 ‘강-배’ 비유를 활용하고 있는 두 작품에서, 특히 <떠나가는 배>에서는 시적 자아의 이별과 외로움을 ‘배’의 탓으로 돌리고자 하는 발상이 “저 배는 야속하리”에 드러나고 있는데, 이는 <서경별곡>의 화자가 임과의 이별을 사공의 탓으로 돌리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배를 밀며>에서 화자는 임과의 이별을 자신이 배를 밀어 그 배가 손에서 떨어지고 시적 자아로부터 멀어지는 상황을 통해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서경별곡>이나 <떠나가는 배>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바이다. <서경별곡> ‘강-배’ 비유의 심층적 차원의 의미를 계승한 사례로는 <내 마음>, 서정주의 <모조리 돛이나 되어>와 <추천사>를 살펴보았다. <내 마음>의 “내 마음은 호수요 / 그대 노 저어 오오”라는 구절에서는 화자가 자신을 “호수”에, 상대방을 “배”에 비유하면서 ‘호수에 배가 떠다니는 상황’과 그 배가 ‘시적 화자에게 다가오는 상황’을 통해 애정의 두 당사자 간의 만남과 사랑의 성취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실연한 사람들이 다시 사랑을 되찾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한 <모조리 돛이나 되어>에서는 “실연”을 상징하는 “돌”에 “돛 단 배”를 뜻하는 “돛”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그것이 다시 강이나 바다에 떠가기를 기원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원은 <서경별곡>에 나오는 ‘물-배’ 비유의 심층적 문맥에서 보면 남녀 간의 사랑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추천사>는 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을 모티프로 하는 <춘향가>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는 점, <춘향가>를 원작으로 하여 재창작된 세 편의 연작 가운데 나머지 두 작품인 <다시 밝는 날에>와 <춘향유문>이 모두 이도령에 대한 춘향의 사랑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 원작에서 두 인물의 사랑의 계기가 된 “그네”를 미는 행위로부터 작품이 시작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춘향의 자유로운 사랑에 대한 갈망과 자신이 원하는 사람과의 사랑을 아무런 구속 없이 이룰 수 있는 이상적 세계에 대한 동경을 표현한 작품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그넷줄을 미는 행위’와 그것에 대한 비유적 표현으로 제시된 ‘배를 내어 미는 행위’는 모두 이도령과의 사랑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춘향의 마음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바다로 배를 내어 미는 행위’는 두 당사자 간의 사랑의 성취라는 함축적 의미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의 구속과 제약을 뜻하는 “수양버들 나무”, “풀꽃데미”, “산호”, “섬”과 같은 존재들과의 결별이라는 의미...

      • KCI등재

        마가복음의 배 모티프의 문학적 기능과 신학적 의의 ― 문학적 접근 방법을 통한 막 4:35-8:21 연구

        김선욱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1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discovering the literary function and theological significances of a boat motif in Mark, especially focusing on Mark 4:35-8:21. While many of understandings and discussions about a way motif in Jesus’ journey to Jerusalem (8:22-10:52) have been performed, the concerns and studies of a boat motif in Jesus’ latter ministry of Galilee (4:35-8:21) have relatively been neglected until now. In this paper, I first compare between a boat motif and a way motif in Mark’s narrative flow in order to explicate the function and meanings of a boat motif more clearly. Both motifs play a key role in revealing the meanings of Christology and discipleship. In a boat motif, Jesus manifests his divine epiphany and power in sea miracles, but the disciples do not perceive who Jesus is. In a way motif, Jesus informs his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but the disciples misunderstand Jesus’ identity while requiring worldly high positions. Next, I explore how a boat motif performs a literary function and delivers theological significances. For a literary function, a boat motif serves as a framework to make a structure of Jesus’ latter Galilean ministry. The structure which I propose presents a cyclic pattern of the sea-wilderness miracles by producing the two cycles (4:35-6:44; 6:45-8:10) and one conclusion (8:11-21). The beginnings of the two cycles are the sea miracles (4:35-41; 6:45-52) and the endings are the wilderness miracles (6:31-44; 8:1-10). And the backdrop of the discussion about bread (8:13-21) in conclusion is a boat on the sea. A boat (crossing) motif in the three sea episodes, therefore, serves as making the narrative framework of this structure. For theological significances, first, a boat motif reveals Jesus’ divine epiphany and power to rule over the universe and to deliver God’s people from dangers, but the disciples do not still perceive who Jesus is. Second, it serves as a backdrop for Jesus’ teaching. Jesus calls the disciples who catch fish in their boat into his boat in which they become fishers of men. In a boat, he teaches the crowd beside the lake, and gives instructions to his disciples. Finally, a bo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breaking down the barriers between the Jews and the Gentiles. The boat carrying Jesus and his disciples freely crosses over the sea which divides and blocks between Jewish territory and Gentile territory and delivers the gospel that brings salvation and unification. A boat serves as a role of a means to eliminate racial, regional, and religious discriminations, and to make the two become the one as the people of God, and to expand the kingdom of God. 본 논문은 예수의 갈릴리 사역에 나오는 배 모티프의 문학적 기능과신학적 의의를 발견하는 데 있다. 마가복음에서 예루살렘으로의 여정(8: 22-10:52)에 나오는 길 모티프에 대한 이해와 논의는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갈릴리 후기 사역(4:35-8:21)에서 발견되는 배 모티프 상대적으로 관심과 연구가 소홀히 이루어져 왔다. 필자는 먼저 마가복음의 내러티브의 흐름 속에서 배 모티프와 길 모티프를 대조하여 비교함으로써 배 모티프의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 두 모티프는 기독론과 제자도를 동시에보여주면서, 예수의 십자가 죽음을 향해 점진적으로 심화된다. 배 모티프는 기독론적 차원에서 예수의 바다 기적들을 통해 그의 신적 현현과 능력을 나타내지만, 제자도적 차원에서 그것을 보고 경험한 제자들이 여전히깨닫지 못하는 몰이해를 보여준다. 길 모티프는 기독론적 차원에서 예수의 수난 예고를 통해 그를 고난 받는 메시아로 나타내지만, 제자도적 차원에서 제자들이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상에서 큰 자가되고 높은 자리에 앉겠다는 오해를 지속적으로 드러낸다. 다음으로 필자는 마가복음에서 배 모티프가 어떻게 문학적 기능을 하고 신학적 의미를 전달하는가를 제시한다. 배 모티프는 건너감 모티프를수반하면서 갈릴리 후기 사역의 구조적 틀을 형성하는 문학적 기능을 한다. 갈릴리 후기 사역은 예수께서 배를 타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릴리호수를 가로지르는 세 번의 장면(4:35-41; 6:45-52; 8:13-21)을 중심축으로바다-광야의 두 개의 사이클과 결론을 가진 순환 구조(4:35-6:44; 6:45-8: 10; 8:11-21)를 이룬다. 배(건너감) 모티프는 이 구조에서 각각의 사이클의시작을 알리고 갈릴리 후기 사역의 결론을 마무리하는 구조적 틀이 된다. 또한 배 모티프는 세 가지 신학적 의미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첫째로, 배 모티프는 바다 기적들을 통해 예수의 신적 현현과 능력을 보여주고 우주의 주권자이며 구원자이심을 나타낸다. 또한 제자들이 그 광경을 지켜보고 경험했음에도 여전히 깨닫지 못하는 제자들의 몰이해를 드러낸다. 둘째로, 배 모티프는 가르침의 장소(설교단)로 제자들과 무리들을 가르치는 배경막의 역할을 한다. 예수는 제자들을 물고기를 낚는 배에서 사람을낚는 배로 부르시고, 배에서 무리들을 가르치시며, 제자들에게 자신의 사역의 의미와 정체를 알리신다. 마지막으로, 배 모티프는 건너감 모티프를수반하면서 유대인과 이방인을 가로막는 장벽을 허무는 의미를 보여준다. 예수를 태운 배는 유대인 지역과 이방인 지역을 나누며 가로막는 장벽인갈릴리 호수를 자유롭게 가로지르면서 복음을 전달한다. 배는 이렇게 예수의 하나 되게 하는 복음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인종적, 지역적, 종교적 차별을 없애고, 하나님의 한 백성 되게 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가져다준다.

      • KCI등재

        소비자의 배양육 인지도가 배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권희경 한국경영교육학회 2024 경영교육연구 Vol.3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비자의 배양육 인지도가 배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배양육에 대해 아는 것이 배양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배양육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세 이상 1,008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성별, 연령대, 교육 수준, 직업을 통제하고 배양육 관련 명칭 인지와 배양육에대한 전반적 인지도가 배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배양육 관련 용어 인지도는 배양육, 인공육, 실험실 생산육, 청정육, 세포육 순이었다. 배양육, 인지도는 중간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배양육에 대한 인식은긍정적 인식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주관적 경제 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배양육 관련 용어 중 배양육, 실험실 생산육, 세포육, 배양육 인지도는 배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시사점] 배양육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가 드문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배양육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의 배양육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s’ awareness of cultured meat on their positive perception of cultured meat to explore Korean consume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ultured meat.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1,008 consumers aged 20 or old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recognition of cultured meat-related names and overall awareness of cultured meat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ositive perception of cultured meat. [Findings] Consumers’ awareness of the terms related to cultured meat was in the order of cultured meat, artificial meat, laboratory-produced meat, clean meat, and cell meat. Awareness of cultured meat was lower than the medium of the measure,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cultured meat was higher than the medium of the measure. While controll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job, among cultured meat-related terms, cultured meat, lab-produced meat, cellular meat, and awareness of cultured mea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positive perception of cultured meat.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bout cultured meat can increase consumers’ awareness of cultured meat and create positive perceptions.

      • KCI등재

        러시아 만화영화 「날으는 배」에 나타난 날으는 배의 기능

        정막래 ( Mak Lae Jeong ),정사랑 ( Sarang Jeo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1 No.-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만화영화 「날으는 배」에서 날으는 배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 분석한다. 본 연구는 러시아 만화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소재의 기능에 대해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음에 주목하여 ‘날으는 배’라는 소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만화영화인 「날으는 배」를 사례로 하여 소재의 기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분석 결과 날으는 배라는 소재가 만화영화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능은 사랑의 쟁취, 악에 대한 징벌, 그리고 미래를 향한 통로 등 세 가지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첫 번째 기능은 사랑의 쟁취로서 이는 자신이 날으는 배를 만들어오겠다고 제안한 이반을 통해 설정된다. 사랑을 쟁취하는 수단으로서의 날으는 배를 얻기 위한 노력에서 이반과 폴칸은 상이한 방식을 보인다. 두 번째 기능은 악에 대한 징벌로서 소극적인 선으로서의 이반과 대비되는 적극적인 악으로서의 폴칸의 죽음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에는 폴칸이 자초한 부분과 이반이 개입한 부분이 결부되어 있다. 마지막 기능은 미래로의 통로인데, 이는 두 주인공이 날으는 배를 타고 떠나가는 결말이나 이들이 반복하여 부르는 꿈에 대한 노래 등에서 드러난다. 또한 배를 날아가게 하는 주문 속에도 미래로의 전진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재의 기능이 이야기 전체의 주제와 직결됨을 확인하였다. 즉 날으는 배가 이야기 속에서 수행하는 주요 기능인 사랑의 쟁취, 악에 대한 징벌, 그리고 미래로의 통로는 만화영화 「날으는 배」의 주요 테마인 순수한 사랑, 권선징악, 그리고 희망찬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를 실현시킨다. This paper analyzes the functions of the flying ship in the Russian animated film “The Flying Ship.”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function of the main material in Russian animated film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function of the main material in the case of “The Flying Ship,” an animated film where the material called “the flying ship” plays a pivotal role.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main functions of the flying ship in the film are winning over love, reproval of vice, and passage to the future. The first function, winning over love, is set by Ivan who suggests that he will build a flying ship. In their attempts to obtain a flying ship as a means of winning over love, Ivan and Polkan show different approaches. The second function, reproval of vice, is realized as the death of Polkan, the active evil who is contrasted with Ivan, the passive good. This result is caused by Polkan himself and also by Ivan in some sense. The last function, passage to the future, reveals itself in the happy ending where the two main characters depart on the flying ship and in the song about hopes they repeat in this scene. In addition, the spell that makes the ship fly away implies the advance toward the futur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unction of the material is directly linked to the theme of the whole story. More concretely, the main functions of the flying ship-winning over love, reproval of vice, and passage to the future-talk about and realize the main themes of the animated film “The Flying Ship,” namely pure love,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and hopeful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