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독일 방언학의 전통과 현 좌표

        송완용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conventions of German dialectology as well as contemporary changes occurring within it. Due to length restrictions, this paper will limit the parameters of its study to the following topics: Chapter 2 -- This chapter will introduce the potential of computer-based dialectology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Digital Wenker-Atlas examples from the "Marburger Forschungszentrum Deutscher Sprachatlas". Chapter 3 --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German dialects and how might that affect the way in which we define a dialect, and what are the challenges contemporary German dialectology faces today? Chapter 4 -- This chapter will briefly outline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German dialectology by research fields, and then introduce "Wortgeographie der stadtischen Alltagssprache in Hessen(WSAH)" and "Syntaktischer Atlas der Deutschen Schweiz(SADS)" as new directions of geodialectology. Chapter 5 -- This last chapter will present a general profile of German dialectology and discuss projected future research trends. 이 논문은 독일방언학의 전통과, 쇄신을 모색하는 현 좌표를 진단해보고자 한다. 지면 관계상 다음과 같은 주제들에 국한시키겠다. 2장: 마부르그 연구소의 <디지털 벤커지도집 >Digital Wenker-Atlas 사례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방언연구>의 새로운 가능성들을 소개하겠음. 3장: 오늘날 독어권의 방언상황은 어떠하며, 이에 따른 방언 개념은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며, 현재 독일방언학은 어떤 과제를 추구하고 있는가? 4장: 독일 전통방언학의 현황을 연구부문별로 약술하고, 방언지리학의 새 방향들로서, <헤센주 일상어 어휘지도집>WSAH과 <스위스독어 통사지도집>SADS을 소개하겠음. 5장: 끝으로 독일방언학의 전체적 틀 윤곽을 제시하고, 연구경향을 간단히 전망하겠음.

      • KCI등재

        사회언어학과 한어방언학의 새로운 전기

        游汝杰(Ru-Jie You),朴贊旭(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한어방언학과 사회언어학은 모두 실제 사용된 언어를 연구대상으로 언어의 변화를 탐구한다. 하지만 이념과 목적, 조사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언어를 질서정연한 동질체로 보는가 질서정연한 이질체로 보는가 하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사회언어학의 탄생으로 인해 한어방언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사회언어학은 분명 방언학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다. 새로운 한어방언학은 앞으로 역사언어학, 기술언어학 그리고 사회언어학이 결합된 것이어야 할 것이다. Both Chinese Dialectology and Sociolinguistics study language changes on the basis of language used in real world.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the idea, goal, research method etc, and above all,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on the view of language, that is to say, while Chinese Dialectology sees language as a ordered homogeneity, Sociolinguistics considers it as a ordered heterogeneity. By birth of Sociolinguistics, Chinese Dialectology is facing a new challenge, nevertheless Sociolinguistics may offer a turn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ialectology. For the next phase, Chinese Dialectology should be a collaboration of Historical Linguistics, Descriptive 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 KCI등재

        방언 분포의 변화에 대한 사회방언학적 연구

        김덕호 한국방언학회 2018 방언학 Vol.0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analysis methods from a Socio-dialectical point of view on the change of dialect distribution caused by dialect contact. If we assume that the change of dialect distribution due to contact is also made in social relations besides geographical adjacency, the Socio-dialectology is more advantageous to study the change of dialect distribution. The newly formed dialects as a result of the dialect contact include the new-dialect of the Tokyo and the neo-dialect, the koiné.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dialect distribution, there are a glottogram analysis which measures the field time and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Sociolinguistic statistical treatment method. In addition, there are a S-curve theory analysis and a common language (standardization) trend analysis. 본 논문은 방언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변이형 중에 새로운 방언 유형을 소개하고, 방언의 변화 현상을 사회방언학적으로 분석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근대화와 도시화로 인해 필드의 환경이 크게 달라지면서 전통 방언을 알고 있는 제보자가 점점 없어져 가는 상황에서 방언학의 연구가 한계에 봉착했다고 우려하게 되었고, 방언학계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도 미력이나마 미래 방언학 연구의 지평과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노력에 동참하려는 의도에서 논문으로 기획하게 되었다. 방언 접촉에 의한 방언 분포의 변화는 지리적 인접성 외에 사회적 관계망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사회적 요인에 의한 방언 분포의 변화를 규명하는 연구는 사회방언학적 방법을 활용하는 편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유럽과 일본에서 제안한 새로운 방언형들을 소개하고, 방언 분포의 변화 현상을 사회방언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震檀學報』와 국어학에서의 어휘론과 방언학의 정립

        이상신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9

        본고는 『震檀學報』 1호(1934년)부터 48호(1979년)까지에 실린 국어학 논문 중 어휘론과 방언학 분야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장에서는 어휘론과 방언학에 해당하는 논문을 확정한 뒤에 어휘 혹은 방언 분야와 부분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논문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 3장에서는 李崇寧(1966)과 金完鎭(1973)을 대상으로 하여 어휘론에서의 연구사적 의의를 알아보았고, 4장에서는 李翊燮(1972ㄴ, 1976ㄱ, 1979)와 李秉根(1973)을 대상으로 하여 방언학에서의 연구사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진단학보』가 우리 국어학의 성립에 공헌한 역할을 어휘론과 방언학의 측면에서 관찰할 수 있었는데, 어휘론 분야의 경우에는 『震檀學報』 2호의 「魚名雜攷」를 필두로 하여(이 논문은 방언학 분야에 속하기도 함) 통계적 관점의 연구(「詩歌에 나타난 植物名의 語彙論的 考察」)와 통시적 관점의 연구(「國語語彙磨滅의 硏究」) 등이 있었고, 방언학 분야의 경우에는 역시 「魚名雜攷」를 필두로 하여 지역방언 논문(「江陵 方言의 形態音素論的 考察」, 「東海岸方言의 二重母音에 대하여」)과 사회방언 논문(「韓國 漁村 言語의 社會言語學的 考察」) 등이 있었다. 국어학에서의 어휘론과 방언학의 성립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이들 논문을 통해 국어학 성립기의 연구가 후대 국어학의 전개와 발전에 미친 영향을 엿볼 수 있었다. 그 영향을 한마디로 정리하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지만, 관견(管見)을 무릅쓰면 그것은 체계화를 통한 어휘론과 방언학의 정립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 방언 연구의 전통과 현황

        변지원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1

        This paper overviews the tradition of Chinese dialectology as well as its current studies, especially digitalized and data-based one. The modern blooming on Chinese dialectology began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t took almost 2000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Fangyan, the first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 dialects' lexicond. For a long time, any specialized research on Chinese dialects was not needed until the arrival of western linguistic view point. The latest integrated, digitalized and technology-based software environment of this era provides the geographical research of Chinese dialects open to anyone, making the production of digital dialect maps available. 이 글에서는 중국 방언학의 전통 및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적 의미에서의 중국 방언학은 20세기 초부터 움텄으나, 이미 약 2000년 전에 방언 어휘에 관한 종합 연구가 시작되었다. 음운에 관한 연구 역시 수(隋)대 이후 별도의 학문으로 전승되어 왔다. 서구의 언어학 전통이 중국으로 유입됨으로인하여 중국 방언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는데, 그 전에는 개별 한자음(漢字音)의 역사적 음운 추이가 주요 연구 대상이었다. 최근에는 중국 방언 연구의 종합적 비교 분석 결과가 전자화되어 발표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전자 지도 제작이 누구에게나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

      • KCI등재후보

        방언과 무속의 언어로 기록된 민족지(ethnography)

        여태천(Yeo, Tae-chon)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7

        백석의 시는 사라져가는 과거의 풍속에 숨겨진 존재의 고유성과 가치를 감각과 정서의 미학으로 구현해냈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백석의 시집 『사슴』이 보여주는 토속적이며 원초적인 시공간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었으나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과의 관련성을 면밀하게 살피지 못했다. 당시 중요한 관심사였던 민속학이나 박물학, 그리고 방언학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이 점에서 백석의 시는 민속학, 박물학, 방언학 등 당시 새롭게 등장한 분과 학문과의 연관성속에서 면밀하게 파악될 필요가 있다. 민속학, 박물학, 방언학에서 다루는 영역은 소수자의 존재성을 스스로 증명한다. 그런데 이것들은 식민지 지배정책의 한 방편인 동시에 중심에서 벗어난 곳에서 식민지적 근대성에 대한 저항의 한 방식으로 분명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이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또한 백석의 시는 무속과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조선민속학의 한 형태로서의 민족지(民族誌, ethnography)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백석의 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특별한 요소들이다. 백석이 민속학, 박물학, 그리고 평안도 방언과 같은 지역적인, 혹은 지방적인 것들의 재발견을 통해 『사슴』이라는 민족지를 기록했다는 사실은 한국현대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적 행위에 해당한다. The poems of Baek Seok realized peculiarity and value of the existence which unrevealed in fading cultural customs in an aesthetic sense and emotion way. In this context, many of research are accumulated for collection of Baek Seok’s poems Saseum have a folksy and basic atmosphere. Because his poems are often connected to culture, traditions and superstitions. But these research did not study relevance with Japanese colonial policy in detail. Contemporary significant concern such as folklore, natural history and dialectology did not connected with Japanese colonial policy. In this regard, we have a profound study on Baek Seok’s poems in connection with branches of natural study(folklore, natural history, dialectology) which appeared as a powerful new modernity. The fields of folklore, natural history and dialectology are certifying minority existence for themselves. By the way folklore, natural history and dialectology have double meaning. On the one hand those are Japanese colonial policy, on the other hand those are off-centered resistance for colonial modernity. Most of all Baek Seok’s poems are connected to shamanism and have taken on a character of ethnography. These factors can be attributed for the way to understanding Baek Seok’s poems in general. Baek Seok created ethnography called Saseum through rediscovery locality and regionality such as folklore, natural history and Phyeongan-do dialect. This fact i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in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어학’과 ‘한국어 방언학’의 문제점과 그 대안

        최명옥 ( Choi Myung-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roblems with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dialectology, and to show my opinions as a suitable alternative. Korean linguistics are to study the system of Korean as a natural language, because it is a part of general linguistics which is to study the system of languages. And naturally, Korean dialectology is a study just like the general dialectology which is to compart dialects of a language or sub-dialects of a dialect, to study the system of a dialect of them, to compare and find relations in more than two dialects, and to discuss differentiation of a language or a dialect and the history of a certain linguistic element of a language or a dialect. Unlike this general purpose of linguistic studies, Korean linguistic studies have focused almost on Korean standard language or central dialect and Korean dialectology has dealt with one of sub-system, such as phonology, morphology, syntax etc. in a certain regional language. Therefore, the Korean linguistics should change to study the system of Korean language as a natural language not focusing on so called standard language, and Korean dialectology should change to general dialectological study such as studies in the division of dialects, geo-dialectology, contrast dialectology, and comparative dialectology etc.

      • KCI등재

        강경애 소설 속 질병·장애의 재현과 방언 발화의 의미 -『인간문제』, 「어둠」, 「동정」, 「지하촌」을 중심으로

        구자연 춘원연구학회 2022 춘원연구학보 Vol.- No.24

        본 연구는 계급문학이자 여성문학으로 주로 해석되어 왔던 강경애 문학을 질병장애학과 방언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독해해 보려는 시도다. 강경애의 소설에는 질병이나 장애를 가진 인물들이 중심인물로 빈번히 등장하며, 방언 화자 역시 많은 작품에서 그려지고 있음에도 이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소략한 실정이다. 그동안 한국문학 작품 속에서 장애를 가진 인물이나 방언화자 인물이 우스꽝스럽거나 부정적인 인물로 그려져 온 문학적 관습에 반기를 들고 강경애는 『인간문제』, 「어둠」, 「지하촌」, 「동정」 등의 소설을 통해 비장애중심주의와 표준어중심주의라는 정상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고자 하였다. 본고의 2장에서는 강경애가 질병과 장애의 전사(前史)로서 노동하는 몸들을 소설화한 지점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강경애의 소설 속에서 지식인 혹은 부르주아 인물들의 연약하지만 완전무결한 신체는 쉽게 질병이나 장애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그녀자」의 마리아의 민중의 아픔에 공감할 줄 모르는 태도나 『인간문제』의 유신철의 위선적이고 기회주의적인 면모를 통해 ‘서울 출신의/ 표준어를 구사하는/ 지식인의/ 완전한 신체’에 대해 작가가 견지하고 있던 비판적 태도를 엿볼 수 있다. 3장에서는 아프거나 미친 여성 인물들에 주목하여 분노의 에너지를 저항의 자원으로 삼아 세상 속으로 뛰쳐나오거나(「어둠」의 영실) 자신의 아픔을 이해받지 못하는 현실에 좌절해 죽음으로써 발화하려 했던(「동정」의 산월) 탈주의 장면들을 분석했다. 강경애가 19세에 형부에게 폭행을 당한 뒤 청각장애를 가지고 살아갔으며, 39세로 요절하던 시점에는 청력뿐 아니라 시력도 거의 상실한 상태였다는 사실을 떠올려 볼 때, 강경애의 창작과정은 작가 자신의 질병과 장애의 경험을 경유하여 ‘아픈 여성’으로서의 정체성과 거기에 배태된 변혁의 에너지를 소설화해나간 여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방언을 통한 소설에서의 묘사가 하층민이나 여성 인물을 타자화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왔던 일반적 경향과 달리, 강경애의 소설 속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하층민과 여성 인물은 간도 지역에서 통용되었던 육진방언화자 혹은 황해도방언화자로서 그려지면서도 아픈 몸들을 연결하며 상호의존성의 가치를 주제화하는 긍정적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요컨대 강경애는 자신의 문학세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방언과 표준어 사이에 성립된 위계적 관계를 전도시키면서 동시에 질병이나 장애로 인하여 불완전한 몸을 가진 인물들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작가 고유의 혁명적 문학의 꿈을 지속해나갔던 것이다.

      • KCI등재

        사회언어학의 이론으로 본 지역 인구 변동과 지역어 변화의 관련성

        오새내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introducing the sociolinguistic approach to relationship among regional population change and dialect change. In the late 20th century Korean situation has undergone population growth and social change that effects Korean dialec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pproach of sociolinguistic method to Korean dialectology. Generally it has been recognizes that region is stable and stereotyped and dialect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region. However population has dynamic phenomenon. Regional features are diverse and heterogeneous. Traditional dialectology collected data informants who non-mobile and rural elderly people. Nowadays primary industry is decreasing and people was born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rrives at senescence. Sociolinguistic approach is an alternative research in a changing environment. This article proposes to study focused sociology of population, mobility and population decreasing in Korean rural community. 본고의 목적은 지역 인구의 변동이 지역어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하는지 소개하고 20세기에 인구 변동과 경제적, 사회적구조 변화를 겪은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현대 한국어에도 인구 변동을 고려한 사회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자는 제안을 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지역은 고정되고 전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 지역 구성원들은 이동성을 지닌 존재이며 지역은 지역 구성원들의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지닌다. 전통적인 방언학에서는 이동 경험이 없는 고령의 1차 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현재 한국은 1차 산업이 쇠퇴하고 20세기 후반 산업화 사회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노년층에 진입하고 있다. 사회언어학은 변화하는 지역어 사용 환경에서 지역어 연구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인구 집중에 의한 언어 접촉 상황에서의 방언 변화 유형론을 소개하고, 표준어와 방언이 공존하는 현실을 반영한 지역어 연구 이론도 다루었다. 그리고 지역 인구 감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방언 소멸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비도시지역 인구과소화에 주목하여 방언 사용자의 감소와 표준어 또는 다른 방언의 영향으로 인한 방언사용 축소로 인한 지역어 변화 가능성도 다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