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악동 편평세포암종에서의 방사선치료

        김태현(Tae-Hyun Kim),윤원섭(Won-Sub Yoon),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Purpose : Maxillary sinus cancers usually locally advanced, and involve the structures around sinus, but the regional lymphatic spread is uncommon. Therfore, the local control of these cancers is important for their cure. We reviewed our experience of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nd looked for the role of radiation in maxillary sinus cancers.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November 1982 and October 1999, 55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maxillary sinus underwent either radiation therapy only, or combined with surgery or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All patients were restaged to the 1997 AJCC staging systems. The T classifications of the tumors of the patients were as follows : 1.8% (1/55) for T2, 81.8% (45/55) for T3 and 16.4 (9/55) for T4. Thirteen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ymph node involvement. With the surgical procedures, 12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21 were resected by FESS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and 22 by partial/medial/total maxillectomies. The details of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s : 8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only, 17 with a combination of FESS and radiation therapy, 22 with a combination of a maxillectomy and radiation therapy, 4 with combination of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surgery, and 4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The mean follow-up for all patients was 25 months, ranging from 2.8 to 125 months. Results :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for all patients were 45.5 and 33.3%, respectively. The 4-year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due to the extent of surgery, were as follows:32.1, and 21.4% for biopsy; 41.9, and 31.7% for FESS; and 56.8, and 52.7% for maxillectomy, respectively. Twenty-nine(52.7%) patients were not cured, and of these 29 patients, 23 (79.3%) patients had a local recurrence following treatment. Conclusion :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ajor failure sites following treatment to be the local regions, and that the completeness of surgery wa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목적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예후인자와 방사선치료의 역할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2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상악동암 중 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병기별로 보면, Ⅲ기가 44명, Ⅳ기가 11명이었다. 원발종양병기분류를 보면, T2가 1명, T3가 45명, T4가 9명이었으며, 림프절 전이는 13명에서 있었다. 수술은 12명은 조직검사만, 21명에서는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을, 22명에서는 전상악동 절제술 또는 아상악동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8명,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이 17명, 근치적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22명, 수술 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명이었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5개월(2.8~12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2년과 4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49.0%, 45.5%였고,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42.1%, 33.3%였다. 방사선치료 전의 수술적 절제 정도에 따라 보면 조직검사 군은 4년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각각 32.1%, 21.4%였고,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을 시행한 군은 각각 41.9%, 31.7%였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각각 56.8%, 38.5%로 차이를 보였다.(ρ<0.05). 전체환자 중 26명의 환자는 추적관찰 기간 중 무병상태를 보였고, 19명은 국소재발만을, 2명은 림프절 전이와 국소재발을 함께 보였고, 1명은 림프절전이를, 2명은 전신전이와 국소재발을 동시에, 5명은 전신전이를 보였다. 결론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술시 절제정도가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하였고, 치료 실패의 부위가 국소인 경우가 높아 효과적인 국소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보인다.

      • KCI등재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의 근치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

        노오규(O Kyu Noh),제형욱(Hyoung Uk Je),김성배(Sung Bae Kim),이진혁(Gin Hyug Lee),박승일(Seung Il Park),이상욱(Sang-wook Lee),송시열(Si Yeol Song),안승도(Seung Do Ahn),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에서의 근치적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치료 성적과 재발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절제불가능한 국소진행된 식도암으로 진단 받 거나 내과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식도암으로 진단 받은 후 근치적 목적의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원발병소와 종격동, 그리고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의 위치에 따라 쇄골 상부림프절과 복강림프절을 포함하여 42∼46 Gy의 외부방사선을 조사하였고, 이후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 부위에는 54∼66 Gy까지 추가 조사하였다. 분할조사 방법은 분할조사선량 1.8∼2 Gy씩 1일 1회 조사하거나, 1.2 Gy씩 1일 2회 조사하였다. 고선량률관내방사선치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Ir-192를 이용한 고선량률 방식으로 3 Gy씩 3∼4회 시행하였다. 항암치료는 5-FU와 cisplatin을 이용하여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5-FU 1,000 mg/m2/day, days 2∼6, 30∼34, cisplatin 60 mg/m2/day, days 1, 29)를 2주기 시행하고 방사선치료 후에 2 주기를 추가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분석 가능한 환자는 160명 이었으며, 추적관찰 기간은 1개월에서 149개월(중앙값 10개월)이었다. 환자의 AJCC 병기는 I, II, III, IV 기가 각각 5명(3.1%), 38명(23.8%), 68명(42.5%), 49명(30.6%)이었다. 26명(16.3%)의 환자에서는 9∼12 Gy의 추가 관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관내방사선치료를 포함하여 총 40 Gy 이상 조사받은 144명의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조사량의 범위는 44.4∼66 Gy (중앙값 59.4)이었고, 총 방사선 조사량의 범위는 44.4∼72 Gy (중앙값 60)이었다. 분석가능한 160명의 환자 중에서 101명(63.1%)에서 재발하였으며, 재발 양상으 로는 국소 재발이 20명(12.5%), 지속적 병변 또는 국소 진행이 61명(38.1%), 원격전이가 15명(9.4%),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함께 있는 경우가 5명(3.1%)이었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1.1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전체생 존율은 각각 31.8%, 14.2%이었다.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10.4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9.0%, 22.7%이었다.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에 종양 반응 및 림프절 병기만이 전체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 방사선 조사량(≥50 Gy vs. <50 Gy), 관내방사선치료의 추가 유무, 분할조사(1회/day vs. 2회/day)에 따른 전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결 론: 식도암에서 근치적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은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 후의 주된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이었다. 방사선 조사량의 증가(≥50 Gy), 고선량률관내방사선치료 및 과분할조사법의 시행은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utcome and failure patterns after definitive chemo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4 to December 2002, 168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or medically inoperable esophageal cancer were treated by definitive chemoradiation therapy.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42∼46 Gy) was delivered to the region encompassing the primary tumor and involved lymph nodes, while the supraclavicular fossa and celiac area were included in the treatment area as a function of disease location. The administered cone-down radiation dose to the gross tumor went up to 54∼66 Gy, while the fraction size of the EBRT was 1.8-2.0 Gy/fraction qd or 1.2 Gy/fraction bid. An optional high dose rate (HDR) intraluminal brachytherapy (BT) boost was also administered (Ir-192, 9∼12 Gy/3 ∼4 fx). Two cycles of concurrent FP chemotherapy (5-FU 1,000 mg/m2/day, days 2∼6, 30∼34, cisplatin 60 mg/m2/day, days 1, 29) were delivered during radiotherapy with the addition of two more cycles. Results: One hundred sixty patients were analyzable for this review [median follow-up time: 10 months (range 1∼149 months)]. The number of patients within AJCC stages I, II, III, and IV was 5 (3.1%), 38 (23.8%), 68 (42.5%), and 49 (30.6%), respectively. A HDR intraluminal BT was performed in 26 patients. The 160 patients had a median EBRT radiation dose of 59.4 Gy (range 44.4∼66) and a total radiation dose, including BT, of 60 Gy (range 44.4∼72), while 144 patients received a dose higher than 40 Gy. Despite the treatment, the disease recurrence rate was 101/160 (63.1%). Of these, the patterns of recurrence were local in 20 patients (12.5%), persistent disease and local progression in 61 (38.1%), distant metastasis in 15 (9.4%), and concomitant local and distant failure in 5 (3.1%).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31.8% at 2 years and 14.2% at 5 years (median 11.1 months). Disease-free survival was 29.0% at 2 years and 22.7% at 5 years (median 10.4 months). The response to treatment and N-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In addition, total radiation dose (≥50 Gy vs. <50 Gy), BT and fractionation scheme (qd. vs. bid.)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Conclusion: Survival outcome after definitive chemoradiation therapy in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was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series. The main failure pattern was local recurrence. Survival rate did not improve with increased radiation dose over 50 Gy or the use of brachytherapy or hyperfractionation.

      • KCI등재후보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방사선치료 성적에 관한 후향적 분석

        김수산(Sussan Kim),안승도(Seung Do Ahn),장혜숙(Hyesook Chang),김경주(Kyoung Ju Kim),이상욱(Sang-Wook Lee),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허주령(Jooryung Huh),서철원(Cheol Won Suh),김성배(Sung Bae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원발성 안와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반응, 재발 양상, 생존률 및 치료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2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원발성 안와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성별분포는 남자가 18명, 여자가 13명이었다. 연령은 3세에서 73세까지 분포하였으며 중앙값은 44세였다. 원발 부위는 결막이 9명, 안검이 12명, 안와가 10명이었다. 병리학적 소견은 MALT (low-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림프종이 28명, diffuse large B-cell 림프종이 1명, anaplastic large cell 림프종이 1명이었으며 lymphoblastic 림프종이 1명이었다. Ann Arbor staging에 따른 병기 분포를 살펴보면 1기가 31명으로 전부를 차지하였으며 각각 비장, 신장, 골수와 맥락얼기(choroid plexus)에 병변이 있었던 환자 4명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전체 환자 중, 양측 안와 침범이 있는 환자는 6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결막과 안검 부위는 6∼16 MeV의 전자선을 이용하여 전방 1문 치료로 30 Gy/10 fractions을 조사하였고, 안와 부위는 4 MV, 6 MV의 광자선을 이용하여 쐐기를 이용한 전사방 2문 치료로 20∼28회에 걸쳐 총 40∼50.4 Gy를 조사하였다. 특히 결막과 안검 부위는 수정체를 보호하기 위한 납차폐물이 사용되었다. 항암화학요법은 12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53개월이었다. 결 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0.7%이었으며, 2명이 질병과 무관하게 폐렴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사망하여 질병관련(cause-specific) 5년 생존율은 96.0%이었으며 5년 무병 생존율은 80.0%, 5년 국소제어율은 90.5%였다.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 모두가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완전관해를 보여 완전관해율은 100%였다. 이 중 국소 재발은 방사선치료 후 16개월과 18개월에 2명의 환자에서 보였고 구제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관해를 보였다. 2명이 조사영역 밖에서 재발하였고 lymphoblastic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18개월에 골수에서 재발하여 사망하였고 MALT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41개월에 폐에 재발하여 구제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였다. 12명의 환자가 방사선치료 전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며 부분관해가 11명에서 나타났고 1명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당시 시력이 있었던 29명 중 5명에서 방사선유발 백내장이 발생하였으며 2명에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하였다. 결 론 :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대부분이 MALT 림프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매우 좋은 치료 반응과 국소 제어율을 보였으며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국소 재발한 경우에도 방사선치료가 구제치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각한 후유증을 보이지 않는 안전한 치료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treatment outcomes, patterns of failure, and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s of primary lymphoma patients who receive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for 31 patients with primary orbital lymphoma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February 1991 and April 2001. There were 18 males and 13 females with ages ranging from 3 to 73 years (median, 44 years). The involved sites were 9 conjunctivae, 12 eyelids and 10 other orbits. The histological types were 28 MALT lymphomas (low-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1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1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and 1 lymphoblastic lymphoma. The Ann Arbor stages were all IE (100%). Ann Arbor stage Ⅲ or Ⅳ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Bilateral orbital involvement occurred in 6 cases. Radiation therapy was given with one anterior port of high energy electrons (6∼16 MeV) for the lesions located at the anterior structures like the conjunctivae or eyelids. Lesions with a posterior extension or other orbital lesions were treated with 4 or 6 MeV photons with appropriately arranged portals. In particular, lens blocks composed of lead alloy were used in conjunctival or eyelid lesions. Twelve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53 months. Results : The 5-year overall, cause-specific, and disease-free survival was 91%, 96%, and 80%, respectively. The complete response rate 6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was 100%. Local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2 patients at 16 and 18 month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reatment. They were salvaged with additional radiation therapy. Two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A MALT lymphoma patient with a lung relapse was successfully salvaged with radiotherapy, but the other lymphoblastic lymphoma patient with bone marrow relapse expired. There were no severe complications but 5 patients developed radiation-induced cataracts and 2 patients developed dry eye. Conclusion : Most primary orbital lymphomas consisted of MALT lymphomas. Radiation therapy was a successful treatment modality for orbital lymphoma without any severe complications. In cases of local relapses, radiation therapy is also a very successful salvage treatment modality.

      • SCOPUSKCI등재

        21세기 방사선종양학의 전망 : 최근의 진보와 한국에서의 발전

        허승재(Seung Jae Huh),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최근의 방사선치료는 치료의 질을 향상시켜서 치료 후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 내에서도 방사선치료 환자와 치료 시설의 빠른 증가로 방사선종양학 분야는 많은 발전이 되고 있으며, 치료기술 또한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의 보편화, linac 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의 활 발한 적용과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의 도입 준비 등 고난도의 치료 기술도입이 시 도되고 있다. 저자는 최근 20년간 한국에서의 방사선 종양학의 발전을 조망하고 최근 발전되는 4차원 적 방사선치료, IMRT의 현황, biological conformality치료의 개념, 항암제와 방사선치료의 병용에 대하여 살펴보고 최근 정보기술 혁명에 따른 인터넷과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 및 원 격진료의 세계적 현황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21세기 한국에서의 방사선치료의 질을 올리기 위한 방법 들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1) QA (quality assurance) 향상, 2) 공동 프로토콜에 의한 3상 임상 연구의 필 요성, 3) 특정 암에 대한 통일된 치료 프로토콜 또는 가이드라인, 4) 전국적인 방사선종양학 관련 자료의 광역 data base구축과 중요 암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등 시행의 필요성이다 The objective of recent radiation therap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reatment and the after- treatment quality of life. In Korea, sharing the same objective, significant advancement was made due to the gradual increase of patient number and rapid increase of treatment facilities. The advancement includes generalization of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application of linac-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and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Authors in this paper prospectively review the followings: the advancement of radiation oncology in Korea, the recent status of four-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IMRT, the concept of the treatment with biological conformity, the trend of combined chemoradiotherapy, the importance of internet and radiation oncolog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s influenced by the r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finally the global trend of telemedicine in radiation oncology. Additionally, we suggest the methods to improve radiotherapy treatment, which include improvement of quality assurance (QA) measures by developing Koreanized QA protocol and system, regional study about clinical protocol development for phase three clinical trial, suggestion of unified treatment protocol and guideline by academic or research societies, domestic generation of treatment equipment's or system, establishment of nationwide data base of radiation-oncology-related information, and finally patterns-of-care study about major cancers.

      •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비인강암의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계획

        추성실(Sung Sil Chu),이상욱(Sang-wook Lee),서창옥(Chang Ok Suh),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1

        목 적 : 비인강암 환자의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상 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방법(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 IMRT)을 계획하고 기존 3차원 입체조형치료방법과 비교하여 최적의 방사선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3- 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으로 치료받았던 비강암환자(T4N0M0) 1예를 선택하여 치료면의 굴곡과 뼈, 공동 등 불균질 조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표적체적의 선량분포를 균일하게 만들고 주변 정상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차 입사선량의 강도 조절을 보상여과판으로 시행 하였다. 환자는 열변성 plastic mask로 고정시킨 후 치료조준용 CT Scan (PQ5000)을 이용하여 3 mm 간격으로 scan 하고 가상조준장치(virtual simulator)와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 컴퓨터(ADAC- Pinnacle3)를 이용하여 보상여과판을 제작하였다. 각 조사면을 세분한 소조사선(beamlet)의 강도 가중치(weighting)를 계산하고 가중치에 따른 선량 감약을 보상여과판의 두께로 환산하여 판별이 쉽도록 도표화하였다. 방사선 치료성과의 기준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량체적표(dose volume histogram : DVH)와 종양억제확율(tumor control probability :TCP)및 정상조직 손상확율(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 NTCP)의 수학적 관계식을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전방위 IMRT에서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 PTV)내의 최소선량과 최대선량의 차이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평균선량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약 10% 더 높았고 전체 방사선량의 95%가 포함되는 체적(V95)은 비교적 양쪽 설계방법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주위 건강장기들의 DVH에서 방사선에 민감한 장기인 시신경, 측두엽, 이하선, 뇌간, 척수, 측두하악골관절 등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많이 보호되었다. PTV의 종양제어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변조치료계획에서 모두 비교적 균일하였으며 계획선량이 50 Gy에서 80 Gy로 증가함에 따라 TCP가 0.45에서 0.56으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척수, 측두하악골 관절, 뇌간, 측두엽, 이하선, 시신경교차, 시신경 등정상장기의 손상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월등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뇌간(brain stem)의 NTCP는 입체조형치료계획에서 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훨씬 적은 값(0.3에서 0.15)으로 감소되었다. 계획선량의 증가에 따른 TCP와 NTCP를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TCP는 공히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나 NTCP값은 선량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입체조형치료계획이 강도조절치료계획보다 월등히 증가하였다. 결 론 :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에서 PTV내의 선량 균일도의 개선은 없었지만 뇌간, 척수강 등 정상장기의 피폭을 줄일 수 있었다. 특히 인체표면의 굴곡이 심하거나 뼈, 동공 등으로 종양에 도달하는 방사선량분포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매우 유리한 치료방법이였다. 방사선치료성적을 평가함에 있어 DVH와 TCP, NTCP 등 수학적 척도를 이용함으로서 치료성과의 예측, 종양선량의증가(dose escalation), 방사선수술의 지표 및 방사선치료의 질적 상황을 정량적 수치로 평가할 수 있어 방사선치료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improve the local control of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ncer, we have implemented 3- D conformal radiotherapy and forwar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to used of compensating filters. Three dimension conformal radiotherapy with intensity modulation is a new modality for cancer treatments. We designed 3- D treatment planning with 3- D RTP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system) and evaluation dose distribution with tumor control probability (TCP)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Material and Methods :We have developed a treatment plan consisting four intensity modulated photon fields that are delivered through the compensating filters and block transmission for critical organs. We get a full size CT imaging including head and neck as 3 mm slices, and delineating PTV (planning target volume) and surrounding critical organs, and reconstructed 3D imaging on the computer windows. In the planning stage, the planner specifies the number of beams and their directions including non- coplanar, and the prescribed doses for the target volume and the permissible dose of normal organs and the overlap regions. We designed compensating filter according to tissue deficit and PTV volume shape also dose weighting for each field to obtain adequate dose distribution, and shielding blocks weighting for transmission. Therapeutic gains were evaluated by numerical equation of tumor control probability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The TCP and NTCP by DVH (dose volume histogram) were compared with the 3- D conformal radiotherapy and forward intensity modulated conformal radiotherapy by compensator and blocks weighting. Optimization for the weight distribution was performed iteration with initial guess weight or the even weight distribution. The TCP and NTCP by DVH were compa red with the 3- D conformal radiotherapy and intensitiy modulated conformal radiotherapy by compensator and blocks weighting. Results : Using a four field IMRT plan, we have customized dose distribution to conform and deliver sufficient dose to the PTV. In addition, in the overlap regions between the PTV and the normal organs (spinal cord, salivary grand, pituitary, optic nerves), the dose is kept within the tolerance of the respective organs. We evaluated to obtain sufficient TCP value and acceptable NTCP using compensating filters. Quality assurance checks show acceptable agreement between the planned and the implemented MLC (multi- leaf collimator). Conclusion : IMRT provides a powerful and efficient solution for complex planning problems where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s place severe constraints on the prescription dose. The intensity modulated fields can be efficaciously and accurately delivered using compensating filters.

      • KCI등재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로 치료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방사선 폐렴

        김명세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1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prognostic factors of treatment-related pneumoniti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treated with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Materials and Methods: One-hundred-five patients with NSCLC treated with IMRT between 1 August 2004 and 30 November 200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9 years, and squamous carcinomas were confirmed in 81 patients (77%). Sixty-six patients (62.9%) were classified as stage III, and 59 patients had lesions in the right lung. Twenty-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dose of 3,060 cGy preoperatively, and 10 patients were given a dose of 5,040 cGy postoperatively. Sixty-eight patients received a dose of 7,020 cGy for curative intent. Sixty-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use of the CORVUS planning system and 37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use of the ECLIPSE planning system. Results: Of 105 patients, 21 patients (20%) had abnormal radiological findings, but only seven patients (6.7%) required treatment for radiation pneumonitis. Six of the seven patients had other serious lesions, including a bronchioesophageal fistula (one patient), recurrence in the treatment field (two patients), brain metastasis (one patient) and lung-to-lung metastasis (two patients); all of these patients died within 19 months after radiation treatment. Sixteen patients (23.5%) that received planning with the CORVUS system had abnormal lung findings. Five patients (13.5%) had abnormal lung findings with the use of the ECLIPSE planning system. Other prognostic factors such as perioperative radiation therapy, a volume over 10% of the V20 volume in the right lung,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suggests that IMRT could be a beneficial treatment modality for the reduction of radiation pneumonitis in NSCLC patients. However, the higher incidence of abnormal radiological findings in perioperative patients treated with relatively lower doses (3,060∼5,040 cGy) suggest the need for judicious treatment planning in preoperative or postoperative treatment. 목 적: 세기조절방사선치료로 치료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방사선 폐렴의 발생률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 1일부터 2006년 11월 30일까지 비소세포폐암으로 확진되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로 치 료한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62.9세였고 편평상피암이 81명(77%)이었고, III기 환자가 66명으 로(62.9%) 가장 많았으며 우측 폐에 병소를 가진 환자는 59명, 좌측 폐는 46명이었다. 수술 전 방사선 치료로 3,060 cGy를 조사받은 환자는 27명, 수술 후 방사선치료로 5,040 cGy를 조사받은 환자는10명이었고 7,020 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68명이었다. 치료계획은 CORVUS 시스템이 68명, ECLIPSE 시스템이 37명이었 다. 결 과: 방사선 폐렴 혹은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병리학적 이상 소견으로 본원 영상의학과에서 진단된 환자는 21명 (20%)이었으나, 증상이 있어 치료를 받은 사람은 7명(6.7%)이었다. 치료받은 환자는 기관식도누공(1명), 재발(2 명), 뇌전이(1명), 반대 측 폐전이(2명)를 동반한 환자였고, 항암제 치료중 원인 불명으로 화장실에서 사망한 1명을 포함 7명 모두가 사망하였으나 방사선 폐렴만이 사망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웠다. 영상의학과에서 진단된 21 명중 CORVUS 시스템으로 치료 계획한 환자가 16명(23.5%), ECLIPSE로 계획한 환자는 5명(13.5%)이어서 CORVUS로 치료한 환자 군에서 폐렴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전 방사선 치료환자 27명중 5명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0명중 3명이 방사선폐렴을 보여 수술이 시행된 군이 수술이 시행되지 않은 군에 비해 상 대적으로 저 선량임에도 불구하고 폐렴 발생률이 높았다. V20은 우측에서 10% 이상인 환자, V10은 우측에서 20% 이상인 환자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였다. 결 론: 영상의학과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는 21명이었으나 증상이 있어 치료를 받은 환자는 7명(6.7%)으로 세 기조절 방사선치료가 정상조직의 손상을 줄여 합병증을 줄이는 데 기여하였다고 생각된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로는 치료 전후의 수술, CORVUS 시스템으로의 치료계획, 우측, V20이 10% 이상, V10이 20% 이상인 경우 였고, 비교적 적은 방사선량을 조사받은 수술 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에서 높은 비율의 증상을 동반한 폐렴을 보인 것은 향후 세심한 치료계획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 시 주변 정상장기 피폭선량을 이용한 암발생확률 평가

        이주아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ancer incidence rate and provide basic data by measuring the photoneutron dose generated during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used in radiation therapy for prostate cancer. Th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albedo neutron dosimeter for neutron measurement was placed on the Rando phantom in the abdomen and thyroid and photoneutron dose generated was measu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7 portal) was measured to be higher than volumetric rotational radiation therapy in both abdominal and thyroid locations. When the cancer incidence rate was evaluated using the nominal risk coefficient of ICRP 103, the cancer incidence rate due to exposure to the colon and thyroid during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was 9.9 per 1,000 people, and volumetric rotational radiation therapy for 1,000 people. It was 3.5 per person. Based on the principle of ALARA (As low as reasonably archievable), it is considered to be a guideline for minimizing the exposure dose to normal organs in the establishment of a radiation treatment plan.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 시 사용되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부피적회전방사선치료시 발생하는 광중성자선량을 측정하여, 암 발생률을 평가하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Rando phantom에 중성자 측정용 광자극발광선량계를 복부와 갑상선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생하는 광중성자선량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기조절방사선치료(7 portal)가 부피적회전방사선치료보다 복부와 갑상선 위치에서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ICRP 103의 명목위험계수를 이용하여 암 발생확률을 평가하였을 때, 세기조절방사선치료시 대장과 갑상선의 피폭으로 인한 암발생확률은 1,000명 당 9.9명 이었으며, 부피적회전방사선치료시는 1,000명 당 3.5명이었다. ALARA(As low as reasonably archievable)원칙에 의거하여 방사선치료계획 수립에 있어서 정상장기들의 피폭선량의 최소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Treatment Outcome of Metastatic Carcinoma of Cervical Lymph Node from an Unknown Primary

        Kyubo Kim(김규보),Eui Kyu Chie(지의규),Hong-Gyun Wu(우홍균),Kwang Hyun Kim(김광현),Myung-Whun Sung(성명훈),Dae Seog Heo(허대석),Charn Il Park(박찬일)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3

        목 적: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는 각 기관들의 치료원칙에 따라 경부림프절청소술, 림프절 절제술,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치료 등 다양한 조합의 치료가 적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 서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3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가 12명에서, 선행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8명에서,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18명에서 시행되었고, 1명은 선행항암화학요법, 경부림프절청소청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성별은 남자가 31명, 여자가 8명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55세였다.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5%였다. 치료방법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 수술+방사선치료가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항암화학요법+방사선치료에 비해 우월한 5년 무병생존율을 보고하였다 (75% vs. 48% vs.19%). 그 외에 원발병소 발현여부가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결 론: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 절제술 및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 방사선치료±항암화학요법에 비해 우월한 무병생존율을 보여주었다. 항암화학요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outcome of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a metastatic carcinoma of cervical lymph nodes from an unknown primary (MUO), and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for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1981 and June 1999, 39 patients with MUO underwent radiation therapy with curative intent. Twel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Group 1), 8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Group 2), and 19 with either an excision or neck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3). There were 31 males and 8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55 years, ranging from 25 to 77 ears. The median duration of follow-up was 38 months, ranging from 3 to 249 months. Results: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55%.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Groups 1, 2 and 3 were 48, 19 and 75%, respectively (p=0.0324). In addition to the treatment modality, the appearance of the primary sit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disease-free survival (p=0.0085). Conclusion: Surgical resection and radiation therapy achieves a superior disease-free survival compared to radiation therapy alone, either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evaluate the role of chemotherapy in the treatment of MUO.

      • KCI등재

        전립선암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분포 특성

        김성규,최지훈,윤상모,Kim, Sung-Kyu,Choi, Ji-Hoon,Yun, Sang-Mo 한국의학물리학회 2010 의학물리 Vol.21 No.3

        전립선암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입체조형방사선치료의 선량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치료계획표적용적에 200 cGy를 33회 조사하여 6,600 cGy가 조사되도록 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PTV의 최대선량이 104.4%이었으며, 최소선량이 89.5%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PTV의 최대선량이 105.3%이었으며, 최소선량이 85.5%을 나타내었다. 100%에 대한 CI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1.02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0.97을 나타내었다. 중요장기 직장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5,000 cGy 이상이 34.0%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63.3%였고, 방광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4,000 cGy 이상이 30.1%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30.6%였고, 오른쪽 대퇴골두부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2,000 cGy 이상이 9.5%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17.5%였고, 왼쪽 대퇴골두부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2,000 cGy 이상이 10.6%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18.3%을 나타내었다. 삼차원입체조형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비교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가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 비해 PTV의 선량분포에서는 5%의 정도 선량분포의 이득이 있었으며, 직장 선량에 대해서는 5,000 cGy 이상 선량에서 29.3%의 감소가 있었고, 방광 선량에 대해서는 거의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고, 오른쪽 대퇴골두부의 선량에서는 8.0%, 왼쪽 대퇴골두부의 선량에서는 7.7%의 선량 이득을 나타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ose distribution of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with 3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in prostate cancer. The IMRT plan and the 3DCRT plan used the 9 fields technique, respectively. In IMRT, tumor dose was a total dose of 66 Gy at 2.0 Gy per day, 5 days a week for 5 weeks. All cases were following the dose volume histogram (DVH) constraints. The maximum and minimum tumor dose constraints were 6,700 cGy and 6,500 cGy, respectively. The rectum dose constraints were <35% over 50 Gy. The bladder dose constraints were <35% over 40 Gy. The femur head dose constraints were <15% over 20 Gy. Tumor dose in the 3DCRT were 66 Gy. In IMRT, the maximum dose of PTV was 104.4% and minimum dose was 89.5% for given dose. In 3DCRT, the maximum dose of PTV was 105.3% and minimum dose was 85.5% for given dose. The rectum dose was 34.0% over 50 Gy in IMRT compared with 63.3% in 3DCRT. The bladder dose was 30.1% over 40 Gy in IMRT compared with 30.6% in 3DCRT. The right femur head dose was 9.5% over 20 Gy in IMRT compared with 17.5% in 3DCRT. The left femur head dose was 10.6% over 20 Gy in IMRT compared with 18.3% in 3 DCRT. The dose of critical organs (rectum, bladder, and femur head) in IMRT showed to reduce than dose of 3DCRT. The rectum dose over 50 Gy in IMRT was reduced 29.3% than 3DCRT. The bladder dose over 40 Gy in IMRT was similar to 3DCRT. The femur head dose over 20 Gy in IMRT was reduced about 7~8% than 3DCRT.

      • 자궁경부암에서 방사선치료 중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값의 변화

        윤형근(Hyong Geun Yun),박석건(Seok Kun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방사선치료 중에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값의 변화를 관찰하여 치료에 대한 반응을 감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 특히 치료중 원격전이 등으로 인한 치료실패가 발생할 경우에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단국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원발성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13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치료전 및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중 매주 1회씩, 그리고 치료 후에 혈중 SCC 치를 측정, 분석하였다. 결 과 : 13례 중 9례에서는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후에 시행한 검사상 원격전이의 소견이 없어서 자궁강내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었다. 이들 9례 중 7례는 방사선치료 전에 혈중 SCC 치가 상승되어 있었다. 이 7례중 6례에서 치료 후 완전 관해의 소견을 보였는데 그중 5례에서는 혈중 SCC 치가 정상화되었다. 부분관해를 보인1례에서는 혈중 SCC 치가 치료전보다 낮아졌으나 정상범위보다는 높았다. 13례 중 나머지 4례에서는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시점에 원격전이가 확인되어서 자궁강내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못하였다. 이 중 3례는 방사선치료 전에 혈중 SCC 치가 상승되어 있었는데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직후 시행한 흉부단순촬영 사진상 원격전이의 소견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 때의 혈중 SCC 치는 감소하였다. 치료 전에 혈중 SCC가 상승되어 있었던 10례 중 7례에서 9 Gy 치료 후에 혈중 SCC 값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였다. 18 Gy 시행한 후의 값은 9 Gy 시행한 경우에 비해서는 3례에서 증가하였고 7예에서 감소하였으며 치료 전에 비해서는 4례에서 증가하였고 6례에서 감소하였다. 18 Gy 이후에는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혈중 SCC 치가 감소하여 종양이 완전 관해에 이르면 정상범위에 도달하였다. 결 론 :방사선치료 중에 혈중 SCC 치는 9 Gy까지는 치료 전에 비해서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18 Gy에서는 치료전의 값과 비슷해지며 그 후에는 빠르게 감소해서 종양이 완전 관해에 이르면 정상치에 도달하였다.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후 흉부단순촬영 사진상 폐 전이의 소견을 보인 경우들도 혈중 SCC 치는 주로 자궁경부의 주종양의 관해도에 따라 감소하여 주종양의 완전관해시 정상화되었고 폐 전이의 발현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지 않았다. Purpose : To evaluate the s ignificance of serum SCC for the monitoring of treatment response and the early detection of distant metastas is during radiotherapy (RT). Mate ria ls and Me thods : In 13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serum SCC values were checked in pre- RT point, weekly during RT, and in post- RT point. Results : In 4 of 13 cases , metastas is appeared at the end of external RT, so that intracavita ry radiation couldn't be performed. Of these 4 cases , 3 with elevated pre- RT SCC level, who resulted in lung metastas is on chest PA at the end of external RT showed decreased post- RT SCC value despite of metastas is . Of all 10 cases with elevated pre- RT SCC value (including 3 with metastas is at the end of external RT), SCC value was higher than pre- RT value in 7 at 9 G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 ignifica nt. At 18 Gy, SCC was higher in 4 and lower in 6 than pre- RT va lue. After 18 Gy, SCC value decreased continuous ly to the end of RT in all 10 cases . Conclusion : During RT, SCC value increased initially at 9 Gy. To 18 Gy, SCC value decreased to the nearly same with pre- RT va lue. After 18 Gy, to the end of RT, SCC value decreased continuous ly and normalized in completely responded cases . In cases with appearance of lung metastas is , SCC value also decreased with the disa ppearance of main mass of uterine cervix despite of metastas i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