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으로 수술 후 재발암의 방사선치료

        김진희(Jin Hee Kim),김옥배(Ok Bae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1 No.2

        목 적: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단독치료만 시행받은 후 재발암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생존율 및 실패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1999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초기(I, IIa)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후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31세에서 70세로 평균 48세이며 수술 당시 병기1기가 20명,2기가 7명이었고 23명이 편평상피암이었고 4명은 선암이었다.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2개월에서 90개월로 평균 29개월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질 부위가 14명, 골반강이 9명, 복합재발이 4명이었다.수술은 25명에서 전자궁 적출술과 골반내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2명은 전자궁 적출술만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13명에서는 외부방사선 치료만을 받았고 13명에서는 외부방사선 치료와 질강내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1명은 질강내 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방사선치료 후 추적관찰기간은 6개월에서 128개월로 중앙값 55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71.9%, 68.2%이었다.재발부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질 부위에만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가장 높은 5년 무병생존율을 나타내었다(5년 무병생존율, 질 부위에만 재발한 환자는 85.7%, 질 부위를 제외한 골반부위에 재발한 환자 53.3%, p=0.09).재발시기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실패양상으로는 질 부위에만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7%의 국소재발만 있었고 골반강내에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국소재발이 주된 실패이었고 골반과 복벽, 복막 등에 같이 재발되었던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원격전이가 주된 실패이었다. 방사선치료 후3도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이상으로 볼 때,초기 자궁경부암에서 수술 단독치료 후 재발암에서는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라고 생각되며 특히 수술 후 질 부위에만 재발한 경우에는 외부방사선치료와 질강내 방사선치료로 좋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reatment results in terms of the survival and failure patterns subsequent to radiation therapy in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primary surgery.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1999, 27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primary surgery,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radiation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t th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Their median age was 48, ranging from 31 to 70 years old. With regard to the initial FIGO stage on presentation, 20 and 7 patients were stages I and II, respectively. Twenty three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4 had adenocarcinomas. The time interval from the primary surgery to the recurrence ranged from 2 to 90 months with a median of29 months. The recurrent sites were the vaginal cuff alone, the pelvic cavity and combined recurrence in 14, 9 and 4 patients, respectively. Radiation was performed, with external and vaginal intracavitary radiation in 13 patients, external radiation alone in 13 and vaginal intracavitary radiation alone in another one.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55 months, ranging from 6 to 128 months. Results: The five year disease free survival (5y DFS) and five year overall survival (5y OS) rates were 68.2 and 71.9%, respectively. There was a margin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5y DFS in relation to the recurrent site (5y DFS, 85.7% in vaginal cuff recurrence alone, 53.3% in pelvic cavity recurrence, p=0.09).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rvival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primary surgery and a recurrence. There was only a 7% local failure rate in the patients with a vaginal cuff recurrence. The major failure patterns were local failure in the patients with pelvic cavity recurrence, and distant failure in the patients with a combined recurrence.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bove grade 3 after the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Radiation therapy was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a recurrent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following primary surgery, especially the external beam radiation and vaginal intracavitary irradiation achieved the best results in the patients with a vaginal cuff recurrence following primary surgery.

      •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비인강암의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계획

        추성실(Sung Sil Chu),이상욱(Sang-wook Lee),서창옥(Chang Ok Suh),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19 No.1

        목 적 : 비인강암 환자의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상 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방법(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 IMRT)을 계획하고 기존 3차원 입체조형치료방법과 비교하여 최적의 방사선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3- 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으로 치료받았던 비강암환자(T4N0M0) 1예를 선택하여 치료면의 굴곡과 뼈, 공동 등 불균질 조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표적체적의 선량분포를 균일하게 만들고 주변 정상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차 입사선량의 강도 조절을 보상여과판으로 시행 하였다. 환자는 열변성 plastic mask로 고정시킨 후 치료조준용 CT Scan (PQ5000)을 이용하여 3 mm 간격으로 scan 하고 가상조준장치(virtual simulator)와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 컴퓨터(ADAC- Pinnacle3)를 이용하여 보상여과판을 제작하였다. 각 조사면을 세분한 소조사선(beamlet)의 강도 가중치(weighting)를 계산하고 가중치에 따른 선량 감약을 보상여과판의 두께로 환산하여 판별이 쉽도록 도표화하였다. 방사선 치료성과의 기준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량체적표(dose volume histogram : DVH)와 종양억제확율(tumor control probability :TCP)및 정상조직 손상확율(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 NTCP)의 수학적 관계식을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전방위 IMRT에서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 PTV)내의 최소선량과 최대선량의 차이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평균선량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약 10% 더 높았고 전체 방사선량의 95%가 포함되는 체적(V95)은 비교적 양쪽 설계방법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주위 건강장기들의 DVH에서 방사선에 민감한 장기인 시신경, 측두엽, 이하선, 뇌간, 척수, 측두하악골관절 등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많이 보호되었다. PTV의 종양제어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변조치료계획에서 모두 비교적 균일하였으며 계획선량이 50 Gy에서 80 Gy로 증가함에 따라 TCP가 0.45에서 0.56으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척수, 측두하악골 관절, 뇌간, 측두엽, 이하선, 시신경교차, 시신경 등정상장기의 손상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월등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뇌간(brain stem)의 NTCP는 입체조형치료계획에서 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훨씬 적은 값(0.3에서 0.15)으로 감소되었다. 계획선량의 증가에 따른 TCP와 NTCP를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TCP는 공히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나 NTCP값은 선량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입체조형치료계획이 강도조절치료계획보다 월등히 증가하였다. 결 론 :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에서 PTV내의 선량 균일도의 개선은 없었지만 뇌간, 척수강 등 정상장기의 피폭을 줄일 수 있었다. 특히 인체표면의 굴곡이 심하거나 뼈, 동공 등으로 종양에 도달하는 방사선량분포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매우 유리한 치료방법이였다. 방사선치료성적을 평가함에 있어 DVH와 TCP, NTCP 등 수학적 척도를 이용함으로서 치료성과의 예측, 종양선량의증가(dose escalation), 방사선수술의 지표 및 방사선치료의 질적 상황을 정량적 수치로 평가할 수 있어 방사선치료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improve the local control of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ncer, we have implemented 3- D conformal radiotherapy and forwar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to used of compensating filters. Three dimension conformal radiotherapy with intensity modulation is a new modality for cancer treatments. We designed 3- D treatment planning with 3- D RTP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system) and evaluation dose distribution with tumor control probability (TCP)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Material and Methods :We have developed a treatment plan consisting four intensity modulated photon fields that are delivered through the compensating filters and block transmission for critical organs. We get a full size CT imaging including head and neck as 3 mm slices, and delineating PTV (planning target volume) and surrounding critical organs, and reconstructed 3D imaging on the computer windows. In the planning stage, the planner specifies the number of beams and their directions including non- coplanar, and the prescribed doses for the target volume and the permissible dose of normal organs and the overlap regions. We designed compensating filter according to tissue deficit and PTV volume shape also dose weighting for each field to obtain adequate dose distribution, and shielding blocks weighting for transmission. Therapeutic gains were evaluated by numerical equation of tumor control probability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The TCP and NTCP by DVH (dose volume histogram) were compared with the 3- D conformal radiotherapy and forward intensity modulated conformal radiotherapy by compensator and blocks weighting. Optimization for the weight distribution was performed iteration with initial guess weight or the even weight distribution. The TCP and NTCP by DVH were compa red with the 3- D conformal radiotherapy and intensitiy modulated conformal radiotherapy by compensator and blocks weighting. Results : Using a four field IMRT plan, we have customized dose distribution to conform and deliver sufficient dose to the PTV. In addition, in the overlap regions between the PTV and the normal organs (spinal cord, salivary grand, pituitary, optic nerves), the dose is kept within the tolerance of the respective organs. We evaluated to obtain sufficient TCP value and acceptable NTCP using compensating filters. Quality assurance checks show acceptable agreement between the planned and the implemented MLC (multi- leaf collimator). Conclusion : IMRT provides a powerful and efficient solution for complex planning problems where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s place severe constraints on the prescription dose. The intensity modulated fields can be efficaciously and accurately delivered using compensating filters.

      • 자궁경부암에서 방사선치료 중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값의 변화

        윤형근(Hyong Geun Yun),박석건(Seok Kun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19 No.2

        목 적 :방사선치료 중에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값의 변화를 관찰하여 치료에 대한 반응을 감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 특히 치료중 원격전이 등으로 인한 치료실패가 발생할 경우에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단국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원발성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13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치료전 및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중 매주 1회씩, 그리고 치료 후에 혈중 SCC 치를 측정, 분석하였다. 결 과 : 13례 중 9례에서는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후에 시행한 검사상 원격전이의 소견이 없어서 자궁강내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었다. 이들 9례 중 7례는 방사선치료 전에 혈중 SCC 치가 상승되어 있었다. 이 7례중 6례에서 치료 후 완전 관해의 소견을 보였는데 그중 5례에서는 혈중 SCC 치가 정상화되었다. 부분관해를 보인1례에서는 혈중 SCC 치가 치료전보다 낮아졌으나 정상범위보다는 높았다. 13례 중 나머지 4례에서는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시점에 원격전이가 확인되어서 자궁강내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못하였다. 이 중 3례는 방사선치료 전에 혈중 SCC 치가 상승되어 있었는데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직후 시행한 흉부단순촬영 사진상 원격전이의 소견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 때의 혈중 SCC 치는 감소하였다. 치료 전에 혈중 SCC가 상승되어 있었던 10례 중 7례에서 9 Gy 치료 후에 혈중 SCC 값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였다. 18 Gy 시행한 후의 값은 9 Gy 시행한 경우에 비해서는 3례에서 증가하였고 7예에서 감소하였으며 치료 전에 비해서는 4례에서 증가하였고 6례에서 감소하였다. 18 Gy 이후에는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혈중 SCC 치가 감소하여 종양이 완전 관해에 이르면 정상범위에 도달하였다. 결 론 :방사선치료 중에 혈중 SCC 치는 9 Gy까지는 치료 전에 비해서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18 Gy에서는 치료전의 값과 비슷해지며 그 후에는 빠르게 감소해서 종양이 완전 관해에 이르면 정상치에 도달하였다.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후 흉부단순촬영 사진상 폐 전이의 소견을 보인 경우들도 혈중 SCC 치는 주로 자궁경부의 주종양의 관해도에 따라 감소하여 주종양의 완전관해시 정상화되었고 폐 전이의 발현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지 않았다. Purpose : To evaluate the s ignificance of serum SCC for the monitoring of treatment response and the early detection of distant metastas is during radiotherapy (RT). Mate ria ls and Me thods : In 13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serum SCC values were checked in pre- RT point, weekly during RT, and in post- RT point. Results : In 4 of 13 cases , metastas is appeared at the end of external RT, so that intracavita ry radiation couldn't be performed. Of these 4 cases , 3 with elevated pre- RT SCC level, who resulted in lung metastas is on chest PA at the end of external RT showed decreased post- RT SCC value despite of metastas is . Of all 10 cases with elevated pre- RT SCC value (including 3 with metastas is at the end of external RT), SCC value was higher than pre- RT value in 7 at 9 G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 ignifica nt. At 18 Gy, SCC was higher in 4 and lower in 6 than pre- RT va lue. After 18 Gy, SCC value decreased continuous ly to the end of RT in all 10 cases . Conclusion : During RT, SCC value increased initially at 9 Gy. To 18 Gy, SCC value decreased to the nearly same with pre- RT va lue. After 18 Gy, to the end of RT, SCC value decreased continuous ly and normalized in completely responded cases . In cases with appearance of lung metastas is , SCC value also decreased with the disa ppearance of main mass of uterine cervix despite of metastas is .

      • SCOPUSKCI등재

        대동맥주위 림프절에 재발된 자궁경부암에서 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의 결과

        김준상(Jun Sang Kim),장지영(Ji Young Jang),김재성(Jae Sung Kim),김삼용(Sam Yong Kim),조문준(Moon June Ch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18 No.1

        목 적 :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방법으로 방사선민감제로 paclitaxel(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결과 및 부작용을 분석하여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 년 9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골반부에 근치적 또 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되어 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2명 환자중 30 Gy 이하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2명을 제외한 1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은 31∼70세(중앙값 51세)이 었 고 초기 진단시 FIGO 병기는 IB1이 1명, IIA가 2명, IIB가 7명이었다. 대상환자 10 명중 7명이 재발 되기 전에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3명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명이 좌측 쇄골상관절종에 동시 재발한 상태였다. 방사선치료부위는 재발된 대동맥주위림프절을 포함하면서 위로는 12번 흉추부터 아래쪽으로는 과거에 치료받았던 골반조사부위 상연에서 조사야의 간 극 을 계산한 후 결정하였다. 일일 방사선 선량은 1.2 Gy, bid였고 총 방사선 선량은 50.4∼60 Gy (중 앙 선 량 58.8 Gy)로 조사하였다. 동시화학요법은 paclitaxel을 방사선민감제로 사용하였으며 방사선치료기간 중 매주 1회씩 체표면적당 20∼ 30 mg (중 앙 값 25 mg)을 정맥주사하였다. 방사선 치료기간동안 화학요법 총 횟수는 3∼6회(중앙값 4.5회) 시행하였다. 치료 후 추적기간은 3∼21개월(중앙값 9.5개월)이었다. 결 과 :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까지의 무병생존기간은 2∼63 개월(중앙값 7개월)이었고, 대동맥주위림프절 치료 후 1년 생존율 및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75%와 9.5개 월 이 었 다. 그리고 1년 무병생존율 및 중앙무병생존기간은 각각 30%와 7개월이었다. 치료종료후 1개월에 시행한 복부전산화단층 촬영상 대상환자의 40% (4/10)가 완전관해를, 60% (6/10)가 부분관해를 보여 모든 치료환자에서 부분관해 이 상 의 치료반응을 보 였 다. 완전관해를 보였던 4명중 1명이 치료 후 8개월에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하였고 부분관해를 보였던 환자중 2명에서 치료 후 각각 7개월과 12개월에 대동맥주위림프절 병소가 진행되었다. 치료 후 10명 중 6명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2명에서 골반부 림 프 절 에 재발하였다. 원격전이 부위로는 폐 3명, 뼈 3명, 쇄골상관절종에 3명이었다. 치료에 대한 혈액학적 급성합병증으로 1명 이 grade 4 백혈구 감소로 약 3주 간 방사선치료를 중단하였으며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가 2명이었고, grade 2 이상의 혈색소 감소 및 혈소판 감소가 각각 2명, 1명이었다. 상부위장관에 대한 급성합병증으로는 grade 2 이하의 오심 및 구토가 8명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수용할만 하였다. 추적관찰 중 복부 또는 골반부위에 만성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 발 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 민감제로 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를 하여 적은 합병증의 발생과 매우 높은 치료반응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atment results, toxicity and efficacy of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axel for paraaortic node recurrence in cervix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September 1997 to March 1999, 12 patients with paraaortic node recurrence in cervix cancer who previously received radical 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were treated with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axel. Of these, 2 patients who irradiated l ess than 30 Gy were excluded, 10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Median age was 51 years. Initial FIGO stage was 1 stage IB1, 2 stage IIA, 7stage IIB. For initial treatment, 7 patients received radical radiotherapy and 3 received postoperative radi otherapy. The paraaortic field encompassed the gross recurrent disease with superior margin at T12, and inferior margin was between L5 and S1 with gap for previously pelvic radiation field. The radiation field was initially anterior and posterior opposed f ield followed by both lateral field. The daily dose was 1.2 Gy, twice daily fractions, and total radiotherapy dose was between 50.4 and 60 Gy(median, 58.8 Gy). Concurrent chemotherapy was done with paclitaxel as a radiosensitizer. Dose range was from 20 mg /m3 to 30 mg/m3 (median, 25 mg/m3), and cycle of chemotherapy was from 3 to 6 (median, 4.5 cycl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3 to 21 months. Results : Interval between initial diagnosis and paraaortic node recurrence was range from 2 to 63 months (median, 8 months). The 1 year overall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were 75% and 9.5 months, respectively. The 1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median disease free survival were 30% and 7 months, respectively. At 1 month after treatment, 4 (40%) achiev ed a complete response and 6 (60%) experienced a partial response and all patients showed response above the partial response. There was distant metastasis in 6 patients and pelvic node recurrence in 2 patients after paraaortic node irradiation. There was 2 patients with grade 3 to 4 leukopenia and 8 patients with grade 1 to 2 nausea/ vomiting which was usually tolerable with antiemetic drug. There was no chronic complication in abdomen and pelvis during follow up period. Conclusion :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axel as a radiosensitizer showed high response rate and few complication rate in paraaortic node recurrence in cervix cancer. Therefor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 axel chemotherapy can be used as optimal treatment modality in this patients.

      • SCOPUSKCI등재

        전립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전립선특이항원 농도 변화 양상

        김보경(Bo-Kyoung Kim),박석원(Suk Won Park),하성환(Sung Whan H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 적:전립선특이항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은 전립선암의 진단, 수술이나 방사선치료 후 결과 판정 및 추적관찰 등에 널리 사용된다.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전립선암 환자에 있어 혈중 PSA 농도가 감소되는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환자의 방사선치료 후 결과 판정 및 추적관찰 시 PSA 를 이용한 경과 판정에 필요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3년 4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방사선치료를 받은 전립선암 환자로, 호르몬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지 않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골반에 45 내지 50Gy 조사 후 축소조사야로 14 내지 20Gy를 추가하여, 전립선에 총 63 내지 70Gy를 조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 내지 66개월로 중앙값은 26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혈중 PSA 농도의 정상화 기준은 3.0ng/ml 미만으로 하였다. 결 과:혈중 PSA의 농도는 방사선치료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감기는 0.6 내지 4.0개월로 평균 2.1(±0.9)개월, 중앙치는 1.9개월이었다. 20명의 환자 중 19명(95%)에서 PSA 농도가 정상 범위에 도달하였고, 정상 범위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기간은 방사선치료 종료 직후 내지 12개월로 평균 5.3(±2.7)개월, 중앙치는 5.0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전의 PSA 농도가 10ng/ml 미만이었던 8명 중 2명에서 방사선치료 종료 시 PSA 농도가 정상화되었고, 10ng/ml 이상이었던 12명에서는 치료 종료시까지 정상화되지 않았다. PSA 농도가 정상화된 19명의 환자에서 근치적방사선치료 후 혈중 최저 PSA 농도(nadir PSA)는 0.2 내지 1.8ng/ml로 평균 0.8(±0.5)ng/ml, 중앙치는 0.6ng/ml였다. 최저 PSA 농도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6 내지 23개월로 평균 13.5(±4.3)개월, 중앙치 14.0개월이었다. 치료 후 추적관찰 중 2명에서 PSA 농도가 임상적 재발 진단 6개월 및 20개월 전에 증가되었다. 결 론:혈중 PSA 농도가 방사선치료 후 12개월 이내에 정상화되지 않는 경우 전립선내의 잔류암이나 원격전이를 의심할 수 있으며, 치료 후 추적 관찰 시 재발의 조기진단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is a useful tumor marker, which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index and predictor of both treatment and follow-up result in prostate cancer. A prospe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period of PSA normalization and the half life of PSA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iod of PSA normalization. The PSA level was checked before and serially after radical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Twenty patients with clinically localized prostate cancer who underwent radic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ccrual period was from April 1993 to May 1998. Median follow-up period was 26 months. Radiotherapy was given to whole pelvis followed by a boost to prostate. Dose range for the whole pelvis was from 45 Gy to 50 Gy and boost dose to prostate, from 14 Gy to 20 Gy. The post-irradiation PSA normal value was under 3.0 ng/ml. The physical examination and serum PSA level evaluation were performed at 3 month interval in the first one year, and then at every 4 to 6 months. Results:PSA value was normalized in nineteen patients (95%) within 12 months. The mean period of PSA normalization was 5.3 (±2.7) months. The half life of PSA of the nonfailing patients was 2.1 (±0.9) month. The nadir PSA level of the nonfailing patients was 0.8 (±0.5) ng/ml. The period of PSA normalization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treatment PSA level (R2=0.468). The nadir PSA level had no definit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treatment PSA level (R2=0.175). The half life of serum PSA level also had no definite correlation with pretreatment PSA level (R2=0.029). Conclusion:The PSA level was mostly normalized within 8 months (85%). If it has not normalized within 12 months, we should consider the residual disease in prostate or distant metastasis. In 2 patients, the PSA level increased 6 months or 20 months before clinical disease was detected. So the serum PSA level can be used as early diagnostic indicator of treatment failure.

      • KCI등재

        Survival and Compliance with the Use of Radiation Therapy for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Yoon-Kyeong Oh(오윤경),Ji-Young Jang(장지영),Woong-Ki Chung(정웅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use of external radiation therapy (ERT) in terms of survival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7 patients with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treated with ERT between 1993 and 2002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ERT was administered after surgery in 14 patients and after a biopsy in three patients. Among the 14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nine underwent a curative resection and five underwent a palliative resection. Six patients had associated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and 1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a tumor size exceeding 5 cm.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6∼70 Gy (median dose, 37.5 Gy). Eleven 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course of ERT, whereas six patients did not.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1∼104 months (median, 5 months; mean, 20 months). Results: Five patients started the ERT without the presence of a gross mass and all of the patients completed ERT without a re-growth of tumor. Twelve patients (four patients after a curative resection, five patients after a palliative resection and three patients after a biopsy) started ERT with a gross mass present and only six patients were able to complete the planned course of ERT. Among the six patients who completed ERT, two patients showed a marked regression of the tumor mass, whereas two patients showed slight regression and two patients showed no response. The median survival was five months (range, 1∼104 months) and the mean survival was 21 months. The overall survival was 41% at 1-year, 24% at 2-years and 12% at 5-year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cluded the number of primary tumors present, tumor size, whether surgery was performed and completion of ERT as planned. Long-term survivors showed a tendency of having smaller sized initial tumors and smaller sized pre-ERT tumors than the short-term survivo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tients with a small initial tumor (≤5 cm), which was treated by surgery (curative resection or palliative resection) before ERT, and without rapid re-growth of the mass seen at the surgical site at the beginning of the ERT course, would be the best candidates for postoperative ERT. In contrast, patients with a large initial tumor (>5 cm) and did not undergo surgery before ERT or that rapid re-growth of the mass was observed at the surgical site are likely to have a short survival time, along with the interruption of ERT. In these cases, the role of ERT is very limited and the omission of ERT could be considered 목 적: 본 연구는 미분화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순응도와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미분화 갑상선암으로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던 1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4명에서 수술 후에 시행하였고, 3명에서 조직검사 후에 시행하였다. 수술이 시행되었던 14명의 수술 방법은 9명은 근치적절제술, 5명은 고식적절제술이었다. 고분화 갑상선암이 6명에서 동반되어 있었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보다 컸던 경우는 14명이었다. 총방사선량은 6∼70 Gy (중앙선량, 37.5 Gy)이었고, 11명은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고, 6명에서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었다. 추적기간은 1∼104개월로 중앙값이 5개월, 평균값이 20개월이었다. 결 과: 5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에 육안적 종양이 없었으며, 5명 모두 종양의 재성장 없이 방사선치료를 잘 끝낼 수 있었다. 나머지 1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 육안적 종양이 있었는데, 이 중 4명은 근치적절제술 후에 바로 암이 자란 경우였고, 5명은 고식적절제술, 3명은 조직검사만을 받은 상태였다. 육안적 종양이 있었던12명 중 6명 만이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는데, 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로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 고, 2명은 약간 감소, 2명은 무반응이었다. 전체 환자의 생존기간은 1∼104개월의 범위로 중앙 생존기간은 5개월이 었고, 평균 생존기간은 21개월이었다. 1년, 2년, 5년 생존율은 41%, 24%, 12%이었다. 원발암수, 종양크기, 수술, 방 사선치료 완료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장기 생존자는 단기 생존자에 비해 진단 당시와 방사선치료 시작 당시에 암 의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었다. 결 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 이하, 방사선치료 전에 수술 시행(근치적 또는 고식적), 수술 부위에 종양의 빠른 재성장이 없는 환자들이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좋은 지원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와 반대인 경우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기 쉽고 생존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매우 부족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 KCI등재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금기창(Ki Chang Keum),심수정(Su Jung Shim),이익재(Ik Jae Lee),박원(Won Park),이상욱(Sang-wook Lee),신현수(Hyun Soo Shin),정은지(Eun Ji Chung),지의규(Eui Kyu Chie),김일한(Il Han Kim),오도훈(Do Hoon Oh),하성환(Sung Whan Ha),이형식(Hy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5 No.1

        목 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 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 PCS) 를 계획하였다. 그 두 번째 단계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 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에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 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임의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49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 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등 9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7개 병원에서 입력된 28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은 20∼81세(중앙값 44세)였다. 환자의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6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 9.7%, T2: 59.2%, T3: 25.6%, T4: 5.2%이었으며 T0가 1예 있었다. 액와림프절 곽청술에서 떼어낸 림프절이 10개 미만인 환자가 10.5%, 10개 이상인 환자가 86.7%이었으며 7.3%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었고,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4%, 4∼9개가 38.8%,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38.5%였다. 따라서 병기 I기: 0.7%,IIa기: 3.8%, IIb기: 9.8%, IIIa기: 43.0%, IIIb기: 2.8%, IIIc기: 38.5%이었다.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시기에 따라서는 수술후에 항암약물치료를 마치고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가 47.9%로 가장 많았고, 수술 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후에 다시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35.0%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수술 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그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도 12.5%였다. 방사선치료 범위는 전체의 5.6%가 흉벽만 치료받았고 20.3%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27.6%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25.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19.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시행하였다. 2예(0.7%)에서는 내유방림프절만 치료하였다. 흉벽의 방사선치료 방법에 있어서는 57.3%에서 양쪽 접선조사를 사용하였고, 42%에서는 전자선으로 치료하였다. 양쪽 접선조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54.8%에서 조직보상체를 사용하였고, 전자선으로 치료한 경우는 52.5%에서 사용하였으며 흉벽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91.3%에서 45∼50.4 Gy이었으며, 5.9%에서 그 이상이 2.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쇄골상 림프절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89.5% 에서 45∼50.4 Gy이었으며, 2.4%에서 그 이상이 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결 론: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치료와는 달리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는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성적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방사선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P urpose: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fter mastectomy and treated with radiotherapy. A nationwid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radiotherapy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web- based database system for the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PCS) for 6 common cancers was developed. Randomly selected records of 286 eligible patients treated between 1998 and 1999 from 17 hospitals were reviewed. R esults: The ages of the study patients ranged from 20 to 80 years (median age 44 years). The pathologic T stage by the AJCC was T1 in 9.7% of the cases, T2 in 59.2% of the cases, T3 in 25.6% of the cases, and T4 in 5.3% of the cases. For analysis of nodal involvement, N0 was 7.3%, N1 was 14%, N2 was 38.8%, and N3 was 38.5% of the cases. The AJCC stage was stage I in 0.7% of the cases, stage IIa in 3.8% of the cases, stage IIb in 9.8% of the cases, stage IIIa in 43% of the cases, stage IIIb in 2.8% of the cases, and IIIc in 38.5% of the cases. There were various sequences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fter mastectomy. Mastectomy and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otherapy was the most commonly performed sequence in 47% of the cases. Mastectom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llowed by additional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35% of the cases, and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was performed in 12.5% of the cases. The radiotherapy volume was chest wall only in 5.6% of the cases. The volume was chest wall and supraclavicular fossa (SCL) in 20.3% of the cases; chest wall, SCL and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MN) in 27.6% of the cases; chest wall, SCL and posterior axillary lymph node in 25.9% of the cases; chest wall, SCL, IMN, and posterior axillary lymph node in 19.9% of the cases. Two patients received IMN only. The method of chest wall irradiation was tangential field in 57.3% of the cases and electron beam in 42% of the cases. A bolus for the chest wall was used in 54.8% of the tangential field cases and 52.5% of the electron beam cases. The radiation dose to the chest wall was 45∼59.4 Gy (median 50.4 Gy), to the SCL was 45∼59.4 Gy (median 50.4 Gy), and to the PAB was 4.8∼38.8 Gy, (median 9 Gy) Conclusion: Different and various treatment methods were used for radiotherapy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mastectomy in each hospital. Most of treatment methods varied in the irradiation of the chest wall. A separate analysis for the details of radiotherapy planning also needs to be followed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is needed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 processes.

      • 초기 성문암 환자에서의 소분할 조사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우홍균(Hong Gyun Wu),홍세미(Semie Hong),신성수(Seong Soo Shin),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19 No.4

        목적: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소분할 치료(hyg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의 용이성과 그 부작용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여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Ⅰ,Ⅱ 병기의 초기 성문암환자는 2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군의 성별분포는 18명이 남자, 2명이 여자였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9세였다. 병기의 분포는 T1aN0-16명, T1bN0-1명, T2n0 3명이었다. 18명의 환자는 후두미세수술을 통한 조직생검을 시행하였으며 2명의 환자는 레이저 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모든 환자는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2.5Gy의 분할조사선량으로 총 60 Gy의 방사선을 24회 분할하여 시행받았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36일 이었다(범위31~45일). 결과: 방사선치료 기간 중 금성 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식도염과 애성이였으며 치료 후에는 호전되었다. RTOG grade 3의 식도염으로 인한 연하통을 보인 환자가 1례에서 있었고, 6례에서 grade 3의 애성을 보였다.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은 치료 종료 1개월 후에 판정하고 모든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 20명의 환자 중 3명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는데, 2례는 방사선치료 후 10개월과 13개월의 시점에서 국소재발이 관찰되었고, 1례 방사선치료 후 2개월의 시점에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이 관찰되었고 4개월 후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시행상의 큰 어려움 없이 진행되었으며 질병에 관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사선치료기간의 단축이 종양의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만성 부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보다 오랜 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and toxictiy of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From February 1999 to February 2000, 20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Stage Ⅰ,Ⅱ glottic cancer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There were 18 males and 2 female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9 years. The distribution of st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T1aN0-16 patients, T1bN0-1 patient, T2N0-3 patients. Eighteen patients underwent laryngomicroscopic biopsy only, and two patients underwent laser cordectomy. All patients received radical radiation therapy(2.5 Gy per fraction, 24 fractons, total 60 Gy). Median duration of teratment was 36days (range 31~45 days). Results: Radiation therapy were well tolerated. Most common acute reactions were odynophagia and hoarseness, and these reactions resolved after radiation therapy. There were one case of RTOG grade 3 odynophagia (5%), six cases of grade 3 hoarseness (30%). Response of radiation therapy was evaluated one month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All patients revealed complete response. During follow up, total three cases of treatment failure were detected. two cases were local recurrence in 10 and 13 months of radiation therapy and one case wa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in 2 months of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This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schedule was feasible and effective for control of early glottic cancer. But longer follow up time would be required to assess the long0term disease control and the late complication by shortening radiation therapy duration.

      • KCI등재

        식도암 방사선 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1998∼1999)의 예비적 결과 분석

        허원주(Won Joo Hur),최영민(Youngmin Choi),이형식(Hyung Sik Lee),김정기(Jeung Kee Kim),김일한(Il Han Kim),이호준(Ho Jun Lee),이규찬(Kyu Chan Lee),김정수(Jung Soo Kim),전미선(Mi Son Chun),김진희(Jin Hee Kim),안용찬(Yong Chan Ahn),김상기(S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5 No.2

        Purpose: For the first time, a nationwide survey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basic parameters for the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and to offer a solid cooperative system for the Korean Pattern of Care Study database.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1998∼1999, biopsy-confirmed 246 esophageal cancer patients that received radiotherapy were enrolled from 23 different institutions in South Korea. Random sampling was based on powerallocation method. Patient parameters and specific information regarding tumor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s were collected and registered through the web based PCS system.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use of the Chi-squared test.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collected patients was 62 yea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about 91 to 9 with an absolute male predominance. The performance status ranged from ECOG 0 to 1 in 82.5% of the patients. Diagnostic procedures included an esophagogram (228 patients, 92.7%), endoscopy (226 patients, 91.9%), and a chest CT scan (238 patients, 96.7%). Squamous cell carcinoma was diagnosed in 96.3% of the patients; mid-thoracic esophageal cancer was most prevalent (110 patients, 44.7%) and 135 patients presented with clinical stage III disease. Fifty seven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lone and 37 patients received surgery with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Half of the patients (123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together with RT and 70 patients (56.9%) received it a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The most frequently used chemotherapeutic agent was a combination of cisplatin and 5-FU. Most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either with 6 MV (116 patients, 47.2%) or with 10 MV photons (87 patients, 35.4%). Radiotherapy was delivered through a conventional AP-PA field for 206 patients (83.7%) without using a CT plan and the median delivered dose was 3,600 cGy. The median total dose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5,040 cGy while for the non-operative patients the median total dose was 5,970 cGy. Thirty-four patients received intraluminal brachytherapy with high dose rate Iridium-192. Brachytherapy was delivered with a median dose of 300 cGy in each fraction and was typically delivered 3∼4 time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complication during the radiotherapy treatment was esophagitis in 155 patients (63.0%). Conclusion: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patients at radiation facilities in Korea, this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and benchmark data for the solid cooperative systems of the Korean PCS. Although some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institutions, there was no major difference in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RT techniques. 목 적: 전국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식도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각 병원으로부터 입력 받아 세부 항목별로 분석하여 식도암 환자들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여 범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치료방침을 분석하 여 향후 적절한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국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의 2년간에 걸쳐 식도암으로 확진된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간 400명 미만의 방사선치료 신환자 발생병원들을 A군, 400명 이상 900명 미만의 병원들을 B군, 그리고 900명 이상 신환자가 발생하는 병원을 C군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A군에서 12병원, B군에서 8개 병원,그리고 C군에서 3개의 병원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미 개발된 Web-based Korean PCS system을 통해 각 병원으로부터 직접 자료를 입력 받아 이를 세부 항목별로 분석하였고 통계적 처리는 SPSS version 12.0.1을 사용하고 범주형 자료는 Chi-squared test를 사용하였고 연속변수는 ANOVA, Kruskal-Wallis test를 적용하였다. 결 과: 입력된 환자들의 성별 분포는 남자 224명(91.1%), 여자 22명(8.9%)이었고 연령별 중앙값은 62세 전후였다.진단 및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로는 식도 촬영술(228명, 92.7%), 식도내시경(226명, 91.9%) 및 흉부 식도 CT 스캔 (238명, 96.7%)을 주로 시행하였다. 편평상피암이 대종을 이루어 237명(96.3%)의 환자에서 관찰되었고 중흉부식도(mid-thoracic esophagus)에서 발생한 식도암이 가장 많았다(110명, 44.7%). 임상 병기는 III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135명, 54.9%). 방사선 치료만 받은 경우는 57명(23.2%), 방사선 치료와 수술을 병용한 경우는 전체의 15%인 37명, 항암약물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경우는 123명(50%)이었다.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경우 전례에서 수술을 먼저 시행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항암치료를 방사선치료와 병행한 경우 반수 이상에서 (70명, 56.9%) 동시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고 31명(25.2%)에서 항암치료 후 방사선치료를 또는 항암요법 단독치료 후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13명, 10.6%)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 MV (116명, 47.2%)와 10 MV (87명,35.4%)의 X-ray가 대종을 이루었다. 방사선 치료 시 조사야는 longitudinal margin의 경우 중앙값은 7.0 cm이었지만 각 군별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A군; 5.5 cm, B군; 8.0 cm, C군; 14.0 cm). 계획용 CT를 사용하지 않고 고식적인 AP/PA 조사야를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206명, 83.7%) 이 때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3,600 cGy이었다. 이후 추가 방사선 치료 시 계획용 CT를 사용하지 않고 2-oblique fields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가 87명(35.4%)이었는데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1,800 cGy이었다. 전 환자에서 1일 1회 180 cGy로 치료하였다. 전 환자에서 조사된 총 방사선량의 중앙값은 5,580 cGy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중앙값은 5,040 cGy이었고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중앙값은 5,940 cGy이었다. 근접조사 방사선 치료는 총 34명(13.8%)에서 시행되었고, 전 환자에서 high dose rate Iridium-192를 사용하였다. 조사범위는 종양에서 longitudinal margin의 중앙값은 1 cm, prescribed isodose curve에서 axial length의 평균값은 8.25 cm, 폭은 2 cm, 그리고 전후 폭의 중앙값도 2 cm이었다. Fraction size의 중앙값은 300 cGy이었는데 B군의 경우는 500 cGy이었다. 총 분할 횟수는 3∼4회가 대부분이었다. 한편, 방사선 치료 중 발생한 급성 부작용은 식도염이 가장 많았는데 전체 246명 환자 중 155명(63.0%)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전국 23개 병원의 식도암 환자 치료 Data를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의 병원에서 환자의 특징과 진단 및 병기결정 방법, 치료의 유형 등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신환 발생 수에 따른 병원 규모의 차이는 조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병원 규모가 클수록 10 MV 이상의 고에너지로 치료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3D CTPlan도 병원 규모가 클수록 활용도가 높았다. 조사 야의 면적도 병원 군별로 차이를 보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입력하여 생존율 분석까지 이루어지면 이 연구는 식도암 치료방침의 결정에 중요한 guideline을 제시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후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에 대한 고찰

        김경주(Kyoung Ju Kim),김종훈(Jong Hoon Kim),최은경(Eun Kyung Choi),장혜숙(Hyesook Chang),안승도(Seung Do Ahn),이제환(Je Hwan Lee),김진천(Jin Cheon Kim),유창식(Chang Sik Yu)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18 No.1

        목 적 :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로서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시,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의 시행 시점에 따른 부작용과 치료 실패양상, 생존율을 비교하고자 전향적 무작위 3상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가장 적절한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순서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AJCC 병기 2기 및 3기의 직장암 환자 313명을 대상으로 조기 방사선치료군(arm I)과 지연 방사선치료군(arm II)으로 나누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 병용치료를 시행하였다. 화학요법은 5- FU 375 mg/m2/day와 leucovorin 20 mg/m2/day를 방사선치료와 동시치료 기간에는 3일간씩, 화학요법 단독 기간 동안에는 5일간씩 총 8회를 정맥주사하였고 방사선치료는 전골반 영역에 45 Gy/25 fractions/5 weeks를 시행하였다. 이 중 1998년 6월까지 등록된 228명을 대상으로 중간 분석을 시행하였고 228명중 두명의 환자는 이차적인 원발종양의 발생으로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Arm I은 1회차 화학요법과 동시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arm II는 화학요법을 2회 마친 후 3회차와 동시에 시행하였다. 중앙추적관찰기간은 23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은 arm I에서 11명(9.7%), arm II에서 9명(8%)이었고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원격전이는 arm I에서 22명(19.5%), arm II에서 35명(31%)으로 의미있게 arm I에서 낮게 나타났다(p=0.046). 그러나 3년 무병생존율(70.2% vs 59.2%, p=0.2)과 3년 생존율(89.4% vs 88.0%, p=0.47)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치료중 RTOG grade 1 이상의 백혈구 감소는 78.3%에서 관찰되었고 방사선치료 후 화학요법 기간 동안에는 79.9%에서 관찰되었으나, RTOG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각각 2.1%, 6%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저위전방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하루 10회 이상의 설사를 한 환자는 arm I에서 71.2%, arm II에서 42.6%로 의미있게 arm I에서 높았으나(p=0.02) 이러한 부작용은 보조적인 치료로 회복되었다. 결 론 : 근치적 절제술 후 그 순서에 관계없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있었다. 원격전이는 수술 후 조기 방사선치료군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뚜렷한 원인은 밝힐 수 없었고 향후 추적 관찰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치료는 대부분의 환자가 큰 부작용 없이 마쳐 비교적 안전한 치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치료순응도는 좀 더 높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side effects,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patients with stages II and III rectal cancer who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were randomized to early radiotherapy group (arm I) or late radiotherapy group (arm II) , then we inten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sequence of th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6 to March 1999, 313 patients with curatively resected stages II and III rectal cancer have been randomized to early or late radiation therapy group and received combined chemotherapy (5- FU 375 mg/m2/day, leucovorin 20 mg/m2 , IV bolus daily D1- 5, 8 cycles) and radiation therapy (whole pelvis with 45 Gy/25 fractions/5 weeks). Arm I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day 1 with first cycle of chemotherapy and arm II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day 57 with third cycle of chemotherapy after completion of first two cycles. Preliminar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228 patients registered up to Jun 1998. Two out of the 228 patients were excluded because of double primary cancer. Median follow- up period was 23 months. Results :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11 patients (9.7%) for arm I and 9 patients (8%) for arm I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p=0.64). However, distant metastasis was found in 22 patients (19.5%) for arm I and 35 patients (31.0%) for arm II and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46). And neither 3-year disease- free survival (70.2% vs 59.2%, p=0.2) nor overall survival (89.4% vs 88.0%, p=0.47)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incidence of leukopenia during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was 78.3% and 79.9% respectively but leukopenia more than RTOG grade 3 was only 2.1% and 6.0%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diarrhea more than 10 times per d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for arm I than for arm II (71.2% vs 41.6%, p=0.02) but this complication was controlled with supportive cares. Conclusion : Regardless of the sequenc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rectal cancer, local recurrence rate was low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But distant metastasis rate was lower in early radiation therapy group than in late radiation therapy group and the reason is unclear. Most patients completed these treatments without severe complication, so these were thought to be safe treatments but the treatment compliance should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