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80년대 민중미술을 다시 생각한다

        김종기(Kim, Chongki) 민족미학회 2012 민족미학 Vol.11 No.2

        한국의 민중미술은 일종의 미술운동으로서 80년대에 뚜렷이 드러난 바 있다. 이 민중미술은 대중들과의 소통, 현실비판, 민중들의 삶의 대변, 통일운동, 진보적 이념의 지향 등 다른 미술 유파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민중미술 15년전’(1994)을 기점으로 한국의 민중미술운동은 급속히 쇠퇴하였다. 그리고 현장을 중시하는 사회운동의 하나로서의 미술 ‘운동’은 사라졌다. 그러나 민중미술의 정신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 내용성은 기존의 민중미술가들에게 그리고 후배 미술가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넘겨졌다. 필자는 그것을 ‘네오 민중미술’이라고 부를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네오 민중미술’은 다양한 형식과 장르를 통해 사회와 역사 및 현실에 대한 비판 정신을 확장시켜가고 있다. 물론 현재 이 ‘네오 민중미술’이 한국의 현대 미술 또는 동시대의 미술에 의미 있는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 나아가 ‘네오 민중미술’이 아직 일정한 유파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동질성이나 실체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도 없을 것이다. 다시 말해 ‘네오 민중미술’은 이제 막 그 움직임이 포착될 정도의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그것은 초국적 자본주의에 대항해서 예술적 문화적으로 어떠한 효과적인 저항도 또 저항수단도 만들어내지 못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대체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개개인의 자유와 존엄성 고양, 권위적인 권력 비판, 소외의 극복, 생태 환경의 파괴 방지, 주민과의 소통, 나눔과 연대라는 실천적 지향성은 네오 민중미술의 내용성으로 취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성을 바탕으로 네오 민중미술은 전위적인 다양한 실험을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우리의 민족미술, 민족미학의 한 토양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The Minjung Art (Minjung Misul) of Korea was extant as an art movement in the 1980"s. Minjung Art was clearly distinct from other art schools as evidenced by its communication with the populace, criticism of reality, representation of the people"s lives, its association with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its orientation to progressive ideas. However, Korea"s Minjung Art declined rapidly after the exhibition "15 Years of Minjung Art" in 1994. Moreover, the art "movement" as one of the social movements emphasizing scenes and places of labour has disappeared. But the spirit of the Minjung Art has not dissipated. Its content was delivered and relayed to the traditional artists of the school and to younger artists in a variety of ways. I would characterise this as "neo-Minjung Art". Through a variety of forms and genres it takes its heritage of criticism and expands this spirit to take greater account of society, history and reality. Of course, one could not claim that neo-Minjung Art is greatly exerting its influence over Korean Modern Art or other contemporary art. Further, one could not say that neo-Minjung Art has strictly definable characters or trends that are substantial enough to be classified as a school of art. In other words, the neo-Minjung Art"s movement is currently so subtle and immature that its trend could only be identified recently. Nevertheless, it can be an alternative to postmodernism which itself cannot, artistically and culturally speaking, revolt or produce any means of resistance against transnational capitalism. Neo-Minjung Art"s practical orientations like promotion of the freedom and dignity of the individual, criticism of authoritarian power, overcoming alienation, prevention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communication among neighbours in local communities, sharing and solidarity can be interpreted as its defining properties. Based on this, it will be able to continue to conduct a variety of avant-garde experiments. Furthermore, it has the potential to be fertile ground for the growth ofour ethnic art and ethnic aesthetics.

      • KCI등재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과 이웃사랑 :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에 견주어 살펴보는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

        이인미 한국조직신학회 2019 組織神學論叢 Vol.56 No.-

        In this essay, the author attempts to prove that so-called 1st generation Minjung theologians were as storytellers when Minjung were as a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n 1970-80’s. The author’s attention is what was Minjung theologians’ inner motives of becoming storytellers at that time. As we know, 1st generation Minjung theologians were actors too. But then they didn’t call themselves as Minjung, i.e. the subject of history which means actors. Of course Minjung theologians went into the site of many Minjung events and acted together with Minjung, however they didn’t identify themselves with actors or the subject of history in those days. The author sees that’s right for political. Because they faithfully admitted that their priority was storytell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Hannah Arendt, a political thinker, actually Minjung theologians always have been trying to sit “inbetween”(Arendt’s term) Minjung. For them, Minjung theologians, that was spontaneous, proper, and relevant to their Christianity. The author considers that Minjung theologians have carried out ‘love of neighbor,’ one of the greatest commandments that Jesus Christ have told his disciples. According to Story theory by Arendt, that’s for very sure. Therefore the author emphasizes that Minjung theologians’ Iyagi(Story) theology was a love theory, and was an expression of “acting in concert”(Arendt’s term) as spectators at Minjung events. 이 논문은 1970-80년대 한국사회에서 민중이 행위자로 나섰던 때 그민중의 행위를 이야기로 열심히 전파한 민중신학자들의 신앙적 동기에 관심을 둔다. 물론 민중신학자들은 민중사건 현장에 직접 뛰어든 사람들이었다. 그런데 민중신학자들은 스스로를 민중이나 역사적 주체로 부르지 않았다. 민중신학자들은 자신들을 민중에 동일시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그들이 정치적으로 또 신앙적으로 올바랐다고 평가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우선적 역할이 ‘이야기하기’ 임을 정직하게 수용했기 때문이다.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에 비추어볼 때 민중신학자들은 민중의 “틈새”(아렌트의 용어)에 항상 충실히 앉아있었다. 아렌트의 용어로 설명하면 관찰자이자 이야기꾼 노릇을 제대로 감당하기 위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민중신학자들에게 자연스럽고 적합한 것이었으며 기독교 신앙에 비추어볼 때 타당한 것이었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자들의 그 같은 활동의 동기를 예수의 두 계명 중 하나인 ‘이웃사랑’에 연결한다. 즉,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은 민중신학자들이 민중과 “함께 행위한”(아렌트의 용어) 사랑의 행위를 종합적으로 그려낸 이론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은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이 지닌 그 같은 장점을 아주잘 드러내어준다.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각도로살펴보는 이 논문의 학술적 의의는 첫째, 그간 민중신학이 자주 다루지 않았던 ‘민중미화의 위험성’ 문제를 민중신학의 원칙과 기치와목적을 훼손하지 않으며 다룬 진지한 접근이라는 데에 있을 것이다. 둘째로는, 이 논문이 언어 ‧ 문학, 혹은 정신분석학 영역에 관한 지식을 ‘신학에 적용하는’ 게 아니라 매순간 역사로 지어져가는 우리의일상과 민중사건 현장을 ‘독자적으로 관찰하고 성찰하는’ 방법론으로서 행위중심의 이야기를 강조하였다는 데에 있다. 마지막으로 이논문은 이야기를 이웃사랑 행위에 연결하여 풀이하는 새로운 시도를 감행하였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각도로 살펴보며 새로운 논쟁거리를 제시함으로써 민중신학계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1920년대 지적 능력 담론의 지배화 과정과 그 단절에 관한 시론:

        이형진(Lee, Hyeong-Jin)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3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는 민중 주체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사회운동과 그에 관한 담론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새로운 국면은 개조론과 교육 담론이었다. 본고는 개조론과 교육 담론이 민중을 우민으로 계열화하여 지식인의 담론에 편입하는 지적 능력의 위계화 과정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개조론은 인간과 생활의 모든 관계를 평등적으로 개선하자는 혁신적인 주 장이었다. 그러나 개조론은 지식인들의 이념적 편차와 상관없이 민중을 개조의 대상으로 상정했다. 즉 개조론은 민중의 힘을 그 자체로 승인하지 않고 이론화된 언어의 교육을 통한 의식화의 대상으로 설정했다는 것이다. 교육은 민중 주체를 개조하기 위한 개조론의 구체적인 실행 방법이었다. 1920년대 교육론은 실력을 통해 누구나 평등해질 수 있다는 평등의 원리를 제창했지만, 교육의 문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것이 아니었다. 경제적으로 제한된 삶을 영위할 수밖에 없는 민중은 근대교육으로부터 철저히 소외당했다. 민중이 근대지(知)를 획득하는 것은 요원한 일이었다. 1920년대 교육론에서 주장한 실력을 통한 평등의 원리는 오히려 민중을 지적 도태의 원리에 안착시키는 결과를낳았다. 따라서 개조론과 교육론은 민중을 운동의 해방적 주체로 호명했지만,민중은 학력에 의한 새로운 신분 질서에 편입됨으로써 지식인의 담론장에 환 수되었다. 최서해는 독학을 통해서 능력의 질서에 따른 위치 분배를 극복했다. 독학은 근대교육이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라는 점을보여준다. 독학자적 주체성은 몇몇 성공한 사람만이 지니고 있는 특이성이 아니라, 민중 전체에게 내재하는 공통적인 주체성이다. 이 글은 1920년대에 작동했던 여러 담론의 영향관계와 독학자적 주체성을 규명했다. 이는 신경향파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함이었다. 민중의 출현을 징후로 포착한 신경향파는 지식인의 담론이 아니라 민중주의가 출현하게 된 시대성이었다. 그러므로 여전히 실체가 불명확한 신경향파를 온당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민중의 주체성을 해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From the late 1910s to 1920s, as the appearance of independent Minjung, social movement and its discussion faced new aspects. New aspects were the reorganiza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This text shed light that the reorganiza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systemized Minjung as ignorance and they were the process of a hierarchy of the intellectual ability entering to the discussion of intellectuals. Reorganization theory was innovative insistence that emphasized on improving every relation of people and living equally. But reorganization theory put Minjung as the subject of reorganization. Namely,reorganization theory did not approve the power of Minjung as itself,setting it as the subject of conscientiz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a theorized language. Education was a way of ectual practice for reconstructuring independent Minjung. In 1920s, education theory put forward the principle of equality that any one can be equal by his or her ability. But the gate of education did not open to any one. Minjung who had to live an economically ristricted life was estranged thoroughly from education. It was far distant for Minjung to acquire modern knowledge. The insistence of the discussion of education in 1920s which claimed the principle of equality through ability resulted in the consequence that it safely arrived Minjung the principle of intellectual selection. Accordingly, though reconstruc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called Minjung by name of liberal subjective of movement, Minjung was entered the field of discussion of intellectuals by being enrolled new hierarchy by school education. Choi Seo-hae surmounted distribution of position according to the order by self-education. Self-education shows that modern education is not the only way that attains knowledge. Self-educational subjective is not an idiosyncrasy that has some successful people but common subjective that wells in the whole Minjung. This text searched the influence of several discussions and self-educational subjective that functioned in 1920s. It was for approaching the substance of Shin-Gyunghyang-pa. Shin-Gyunghyang-pa that captured the advent of Munjung as a sign was not a discussion of intellectuals but a figure of the times that emerged the idea of Minjung. Therefore, for the sake of correctly dealing with Shin-Gyunghyang-pa that its entity is still not sure,the work explaining subjective of Minjung has to be prioritized.

      • KCI등재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민중신학

        정지석(Jung Ji-Seo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6 신학사상 Vol.0 No.134

          본 글은 함석헌의 민중사상을 연구하고, 그것이 민중신학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기독교 민중론, 민중 평화론과 민중 주권론(반 국가주의 사상)으로 분석된다.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1930년대 주로 기독교 고난 사상의 영향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이 기독교 민중론은 그후 함석헌 민중사상의 기본 뼈대가 되었다. 1940년대 이후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동서양 종교를 포괄하는 종교적 보편주의 사상에 근거한 민중의 종교적 영성을 강조하는 특성을 띠면서 민중의 역사 주체론과 사회적 실천론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본 글에서 민중 평화론과 민중 주권론(반국가주의 사상)으로 다뤄진다.   함석헌의 민중사상은 민중신학에 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진다. 이를 위해 먼저 함석헌의 민중사상과 1세대 민중신학자들(안병무, 서남등, 김용복)의 민중사상 간의 유사성이 분석된다. 또한 둘 사이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차이점도 다뤄진다. 이것은 민중 평화론(함석헌)과 민중 해방론(안병무)의 관점에서 분석된다. 이 연구를 통해 본 글은 민중의 평화 영성에 기반한 함석헌의 민중 평화론을 오늘의 시대 상황에서 민중신학의 새로운 논의의 주제로 제기하고자 한다.   This essay explores Ham Sokhon"s idea of minjung and its influence on Minjung Theology.   Ham Sokhon"s idea of minjung is analyzed in three ways: Christian idea of minjung, Minjung pacifism and Minjung sovereignty (anti-statism). In 1930s Ham Sokhon"s early idea of minjung was mainly expressed as a Christian idea of minjung, based on Christian idea of suffering in particular, which thereafter became a basic framework of Ham Sokhon"s idea of minjung. Since 1940s, Ham Sokhon"s idea of minjung was characterized as the minjung pacifism and sovereignty, which were based on the minjung spirituality and the social activism of minjung.   It is argued that Ham Sokhon"s idea of minjung had a great influence on Minjung Theology. Similarities between Ham Sokhon"s idea of minjung and the theological thinking of the early Minjung theologians, Ahn Byungmu, Suh Namdong and Kim Yongbok, are deal with in various aspects. On the other hand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injung pacifism (Ham Sokhon) and the minjung liberation (Ahn Byungmu).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Ham Sokhon"s minjung pacifism should become a key idea of Minjung Theology today.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행위자`와 민중신학의 `민중`

        이인미(Inmee Lee) 한국사회이론학회 2017 사회이론 Vol.- No.51

        이 논문은 두 가지 작업을 추진한다. 첫째, 민중신학이 추구한 민중 개념이 다만 빈자(貧者)가 아니라, 현존체제에 저항하는 ‘행위자’라는 점을 밝힌다. 여기서 행위자란 한나 아렌트의 행위 이론이 가리키는 정치적 주체를 뜻하되 특별히 ‘패리아(Pariah)’의 의미를 지목하며, 행위자로서 민중이 현존체제에 저항하는 까닭은 민중이 체제로부터 배제되는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임을 규명한다. 둘째, 아렌트의 주체 즉 행위자 개념을 따라 ‘민중이 어떤 행위자(주체)인가?’라는 질문을 구성하고 그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분류하면,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전체 민중신학계를 세 유형(해방 집중형, 구원 집중형, 변혁 집중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보인다. 그 과정에서 민중신학에 대한 기존하는 선입견을 재고하고 새로운 이해를 공고히 한다. 위의 두 가지 작업을 추진하며 도달하고자 하는 이 논문의 목적과 의의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민중신학이 처음부터 다만 빈자가 아니라 주체를 추구해온 신학이라는 사실을 입증한다. 이는 출범 이후 40여 년 남짓 각종 섣부른 오해들을 감수하며 체계화를 더디 진행해온 민중신학 내부의 반성을 겸한다. 실천을 이론보다 더 중시해왔기 때문이라는 해명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민중신학에 대한 변증을 시도하는 가운데 민중신학 내외부 모두에서 재평가가 촉진될 수 있다. 둘째, 민중신학과 민중주의적 정치 이론가 아렌트의 정치 이론이 구축한 주체의 의미가 ‘행위자’이며, 두 이론의 주체 추구가 서양 근대의 ‘주체’의 의미를 계승, 확장하는 것임과 동시에 전복하고 해체하는 철학적 정치적 그리고 신학적 작업이었음을 규명한다. 이는 민중신학의 유산을 철학적으로 정당하게 평가하는 일이며, 아렌트의 정치 이론과 협력 가능한 실천적 정치 신학 이론의 체계로서 민중신학의 재발견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examine and reinterpret what does ‘Subject’ mean in Minjung theology. In 1970’s Minjung theology was launched, which proclaimed “Minjung is the historical subject!” with another critical studies in those days. Minjung theology expressed ‘the people and the subject’ as ‘Minjung.’ In Minjung theology, Minjung means Subject. The term Minjung does not mean the people or the poor automatically. We need pay attention to that Minjung theology does not have ptokos (Greek: the poor) theory, but ochlos (Greek: the excluded) theory. In Minjung theology, ochloi (Plural form of ochlos) are always identified as Minjung and as actors with Jesus Christ. The author, as a little Minjung theologian, asserts that the term Minjung is identical to actor who offers resistance against the established system, and, that’s why Minjung is suitable for the term “Actor” by Hannah Arendt, a political thinker. This paper has two processes. First, as H. R. Niebuhr, the author classifies Minjung theology into three types: Liberation-Centered type, Salvation-Centered type, and Revolution-Centered type. Second, Minjung theologians and Arendt have rejected the Narcissist-Subject, which is the meaning of the Occidental world. While Minjung theologians see the tradition of the Occidental modern academic study excludes the Oriental Christian life and action, Arendt considers academic tradition despises political action and speech. Finally, Minjung theology and Arendt’s political theory were able to unfold meaning of ‘Subject’ which is not yet unknown modern Western world, and to deny the tradition of the Occidental study. In these two theories, “Actor” appears as ‘Subject’ in the public realm wherein spectators attend together, be not narcissistic self. So we could say that Arendt’s action theory and Minjung theology both persue the alternative meaning of the Subject autonomously.

      • KCI등재

        나, 우리, 민중 - 조태일 민중시의 시적 주체

        김나현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hetorical difficulties inherent in the Minjung poetry by focusing on Cho Tae-il’s poems and poetics. When examining the figure of Minjung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practicality of the Minjung poetry, what stands out important is the use of the first-person speakers ‘I’ and ‘we’. This paper examines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Cho Tae-il’s Minjung poems in the 1970s. In the series of ‘Sikalon’(theory of the knife) and ‘My Virginity’ in Sikalon, the declaration of ‘I’ is carried out, sharply opposed to the anti-Minjung. In these texts, qualities of Minjung converge into a singular first-person instruction ‘I’. However, it can be detected that the form of major poetic subjects changes from Kukto(national territory). In particular, in a series of ‘Kukto’ poems, the poetic subject ‘I’ expands to ‘we’ to represent the plurality of the Minjung, and at this time, ‘we’-speech serves as a practice sentence that construct the Minjung socially, not a description of the existing Minjung. These rhetorical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representation of ‘I’ and ‘we’ lead to continuous writing because it can never complete to represent. Therefore, Cho Tae-il’s writing is an important example of Minjung poetry in the 1970s and 1980s in that it was a record of rhetorical adventures surrounding the poetic subject of Minjung poetry. 이 글은 조태일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1970년대 민중시의 목표와 그 실천 과정을 점검함으로써 민중시의 양식적 특성에 내재해 있는 수사학적 난점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텍스트의 운동성을 추적하고자 한 글이다. 민중시가 하나의 언어 행위라는 점에 주목해 언어 행위의 구성물로서 민중 형상을 검토할 때 주목할 것은 일인칭 발화자 ‘나’와 ‘우리’의 쓰임이다. 본고는 조태일의 1970년대 민중시를 검토해봄으로써 민중시의 수사학적 특질이 무엇인지 살핀다. 『식칼론』의 ‘식칼론’ 연작과 ‘나의 처녀막’ 연작에서는 반민중적인 것과 날카롭게 대립하는 ‘나’의 선언이 수행된다. 이때 민중적인 자질은 단수의 일인칭 지시어 ‘나’로 수렴된다. 하지만 시집 『국토』에서부터는 시적 주체의 변화가 감지된다. 특히 ‘국토’ 연작시에서 시적 주체 ‘나’는 민중의 다수성을 재현하고자 ‘우리’로 확장되는데, 이때 ‘우리’의 언술은 존재하는 민중에 대한 기술이 아니라 민중을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수행문으로 작동한다. 수의 불일치성, 재현의 임시성, 지시체 불확정성 등 ‘나’와 ‘우리’의 재현에서 발생하는 수사학적 난점은 민중시 쓰기를 결코 완료시키지 못하고 지속적인 민중시 쓰기를 불러온다. 따라서 조태일의 시작은 민중시의 시적 주체를 둘러싼 수사학적 모험의 기록이었다는 점에서도 1970-80년대 민중시의 중요한 범례가 된다. 이 연구는 1970년대 민중시를 수행적 글쓰기로 보아 민중시의 수사학적 특질을 밝히는 동시에, 조태일 민중시의 시적 주체 전개 과정을 검토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Minjung Perspective in the Theology of Suh Nam-dong Revisited

        Pak Ung Kyu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ACTS 신학저널 Vol.29 No.-

        민중신학은 1970년대 중반에 군사독재 정권의 정치적 탄압과 근대화 과정에서 빚어진 농민과 도시 노동자들에 대한 경제적 수탈을 배경으로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한국교회들은 가난한자들과 압제받는 자들에 대해 관심을 갖지 못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그러나 1975년을 기점으로 소수의 진보적 신학자들에 의해 가난한 자들과 압제받는 자들을 민중의 주체로 삼아 민중신학을 전개하였다. 그 중의 대표적인 인물이 서남동 교수이다. 본고에서 서남동의 신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민중 관점 혹은 개념에 대해 그의 신학적 관심과 구조, 그리고 방법론적 틀을 고려하면서 복음주의적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민중신학에 대한 서남동의 저술들을 고찰한 결과, 그는 민중의 상황과 성경적 관점을 거의 동등하게 간주하고 있으며, 성경 자체도 그에게는 부차적인 참고서, 즉 정치적 교과서이지 믿음과 삶의 절대적규범으로서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 성경은 우리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구속역사이자 계시이다. 민중신학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하나가 성경에서 비롯된 신학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전거들을 근거로 시작된다는 점이다. 서남동을 비롯한 민중신학자들에게는 성경은 민중의 책이요, 민중을 위한 책일 뿐만 아니라, 민중을 위한 사회적전기로 간주된다. 서남동은 성경에 기록된 출애굽,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등과 같은 주요한 사건들을 고난 받는 민중의 정치적 해방에 초점을 둔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배타적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민중이 역사의 주체로서 가지는 자의식과 동일시한다. 이런 면에서 그의 민중관점이나 주요한 신학적 논제들이 과연 기독교 신학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지 심각한 질문이 제기될수밖에 없다. Minjung theology arose in the middle of the 1970s against background of the political oppression of the dictatorial military regime and the economic deprivation of urban workers and rural peasants in South Korea. In this situation, most of Korean churches were not concerned with the poor and the oppressed. Beginning in 1975, however, some progressive theologians unified their references to the poor and oppressed as Minjung and began to develop Minjung theology. One of them is Suh Nam-dong. In this article, his way of theologizing is analyzed within Suh Nam-dong`s own theological interest and structures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and criticized in terms of evangelic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his writings on Minjung theology, one cannot but notice that in Suh the context of Minjung is on par with the text of the Bible or even the Bible takes a secondary position as a “reference book.” It is clearly denied that the Bible is the absolute standard for faith and practice. He does not accept the Bible as the absolute standard, instead regards it as a political textbook. The Bible is the revelation of God`s redemptive history for our salvation. One of serious problems in Minjung theology, is that all the theologies start not from the Bible, but from the various social references. To Minjung theologians, including Suh, the Bible is the book of Minjung, only for Minjung, and take it as a social biography for Minjung. According to Suh, the major events of the Bible like Exodus, cross, resurrection and others are to be re-interpreted exclusively in terms of socio-economic perspective, centering on the political liberation of the oppressed Minjung. They are said to have been concrete historical reference points and nothing else. Jesus` resurrection, for example, loses its uniqueness in that Jesus` resurrection is identified with the self-conscious awareness of Minjung as the subject of history. In this sense, we have to ask this question, “Is Minjung theology really a Christian theology?”

      • KCI등재

        일본에서의 한국 민중사연구 비판 -趙景達을 중심으로-

        윤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일본에서의 전후 한국사연구는 이미 제3세대 연구자들이 주요한 흐름을 형성하는 단계에 도달했는데, 그 중에서 조경달은 근대 민중사연구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근대 민중사연구는 식민지근대론과 아울러 일본의 한국근대사 연구를 이끌고 있는 주요한 두 개의 조류이다. 조경달이 수행하고 있는 민중사 연구의 인식구조는, 그가 출간한 세 권의 연구서 곧 『이단의 민중반란』(1998)이라는 제목의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전작 연구서, 그리고 『조선민중운동의 전개』(2002) 및 『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과 민중』(2008)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그는 민중을 자신의 고유한 문화를 가진 자율적인 존재로 본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그는 ‘통속도덕’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민중의 내면적 주체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조경달은 변혁주체로 설정한 민중의 비일상적인 투쟁을 분석함으로써 민중의 ‘일상의 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아직은 민중‘운동’사 연구의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다. 조경달은 민중운동사 연구를 바탕으로 식민지근대론을 강렬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식민지근대성론은 식민지공공성, 헤게모니 등의 적절하지 않은 개념을 동원하여, 식민통치의 포섭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식민지근대성론은, 근대를 둘러싸고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는 수탈, 차별, 억압과 그것을 담보하는 폭력의 총체성을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런 비판은 조경달 자신의 민중사연구가 가진 일정한 편향으로부터 초래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경달의 민중사연구는 이원화 전략과 반헤게모니 전략에 입각하고 있다. 이원화전략이란, 민중을 모든 지배에 대응하는 변혁주체로 상정하고 이와 관련한 모든 것을 이런 이원적 구도 속으로 포섭한다. 또한 변혁주체로서의 민중 주체를 인정하기 위해서, 그는 그 어떤 헤게모니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그의 문제의식은 모두 민중으로 환원되어 버린다. 이는 그의 식민지공공성에 대한 심각한 오해에 의해서 잘 반증되고 있다. 하지만 근대적 개인의 자율성에 기반을 두지 않는 민중의 자율성이란 단지 공허한 슬로건에 지나지 않는 것 아닐까 한다. 그의 민중사연구는 이런 논리적 딜레마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지고 있는 것이다. The research on Korean history in Japan since the war has reached the stage where the main currents are made up of third generation scholars. Two main currents of Japan’s research on modern Korean history are “colonial modernity theory” and “minjung history.”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of Cho Kyŏngdal’s minjung history can be found in his three monographs: Idanŭi Minjung Pallan (The Heretical MinjungUprising, 1998) on the Kap’o Peasant’ Uprising; Chosŏn Minjungundongŭi Chŏn’gae (The Development of Korea’s Minjung Movement, 2002); and Sikminjigi Chosŏnŭi Chisikingwa Minjung (Intellectuals and Minjung in Colonial Korea, 2008). It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Cho sees minjung as autonomous beings possessing their own particular culture. Second, from this perspective, Cho attempts to verify the subjectivity of minjung by using the concept of tongsok todŏk (common ethics). And third, Cho makes the claim that he can confirm the “everyday world” of minjung, who have been established as agents of change, by analyzing their non-everyday struggles. However, his research does not reach beyond the level of minjung “movement” history. Based on his study on minjung movement history, Cho is strongly critical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According to Cho,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recognizes the subsumption of colonial rule by using inappropriate concepts such as colonial publicness and hegemony. In other words, Cho argues that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prevents the recognition of, first, exploitation,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hat are diversely carried out in the name of modernity and, second, the totality of violence that guarantees them. Cho’s critique seems to originate from the biases in his own research on minjung history. Cho’s mijung history is based on the strategies of dualism and anti-hegemony. The strategy of dualism is to assume minjung as agents of change in resistances against all forms of domination and to subsume all related things under this dualistic structure. Furthermore, in order to recognize the subjectivity of minjung as agents of change, Cho refuses to recognize any forms of hegemony. His problematization is entirely reduced to minjung. This is well evidenced in his serious misunderstanding of colonial publicness. Is not the autonomy of minjung that is not based on the modern individual autonomy merely an empty slogan? Cho’s research on minjung history has the task of overcoming such logical dilemma.

      • KCI등재

        1980년대 민중미술 : 반(反)풍요와 반(反)개방

        김현화(KIM hyun-wh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1 美術史學 Vol.- No.25

        민중문화운동은 1980년 5월 광주학살사태 이후 대중적이고 예술적인 반응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많은 미술가들은 미술을 통해 전두환 정권에 대항하고자 했다. 민중미술은 민중의 사회적 문화적 운동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또한 사회주의 미술의 미학적 원칙에 기본을 두었다. 김정헌, 김경인, 손장섭, 주재환 등과 몇몇의 비평가들은 전두환이 정권을 장악하는 시점인 1979년 12월에 그룹 ‘현실과 발언’을 창립했다. 김봉준은 1982년부터 ‘두렁’ 그룹을 이끌고, 이종구는 뜻을 같이하는 동인들과 함께 1982년에 ‘임술년’을 창립했다. 임옥상, 노원희 등도 1980년에 ‘현실과 발언’에 가입한다. 우리는 이것들을 ‘민중미술’이라 부른다. 민중미술은 사회적 소통과 정치적 참여를 추구하는 리얼리즘에서 출발하였다. 1980년대 모더니즘 미술의 대유행 속에 있었던 민중미술가들은 구상화로서 출발하였으며 추상미술을 거부하였다. 민중미술은 한국 전통예술과 모더니즘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이 확립되었다. 민중미술가들은 기본적으로 구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지만 하이퍼리얼리즘이나 전통적인 구상미술과 같은 것을 추구하지는 않았다. 민중미술은 사회적 현실에 근본을 둔 것이다. 혼란과 격변의 시기인 1980년대 10년 동안, 한국 경제는 다국적 자본주의와 후기 산업사회로 접어들게 된다. 민중미술은 노동자와 농민들로 대변되는 민중들이 정치적 투쟁의 주체임을 분명히 하였다. 민중미술가들은 정부에 빈부격차를 좁히고 모두가 평등하게 사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것을 촉구했지만 산업화, 현대화, 도시화를 거부하였다. 민중미술가들은 경제개발을 위해 외세와 협력하는 것을 거부하고 순혈주의와 자연을 보존하는 것이 민족생존의 길이라고 생각했다. 민중미술가들은 외세에 굴복하지 않고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고자 했다. 민중미술은 막스-레닌주의 관점에 기본을 둔 사회주의 미술이지만 사회현실의 혁명을 위한 것이 아니라 민중을 행복하게 만들고자 사회를 개혁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미술이라 할 수 있다. 민중미술가들은 노동자와 농민이 지식인계층을 지배하는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 했다. 조르주 바타이유는 노동은 무엇보다 인간 존재의 근본임을 주장하였다. 바타이유처럼 민중미술가들은 역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첫 번째는 노동와 노동자임을 강조한다. 민중미술에 있어 유토피아는 노동자들을 위한 세계이다. 민중미술은 무엇보다 순수미술이다. 1980년대의 사회 시스템과 민중미술과의 관계는 후에 한국현대미술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Minjung cultural movement has called forth the popular and artistic response after the Gwangju Massacre in May of 1980. ‘Minjung Art’ was originated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of Minjung(the populace), and was founded upon the aesthetic principles of Socialist Art. A lot of artists were inspired to line up against the military government by Chun Doo-hwan. Some painters, such as Kim Jung-heun, Kim Kyong-in, Son Jang-sup, Joo Jae-hwan, Oh Yoon, etc., and several art critics organized the Group 〈Hyun-sil and Bal-un〉 in December of 1979 when the General Chun Doo-hwan seized power in a military coup. Kim Pong-jun led the 〈Du-rong〉 Group since 1982; Lee Jong-gu launched the Group 〈Im Sul lun〉 in 1982; the famous painters, such as Im Ok-Sang and Nho Won-hee, etc., became the members in the Group 〈Hyun-sil and Bal-un〉 in 1980. It is called ‘Minjung Art’. Minjung Art started out at the Realism that agonized over social communic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Minjung Artists who were in jungles of Modernism Art in 1980s started creating the figurative painting and represented the defiance against Abstract Art. Minjung Art has arise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Traditional Art and Modernism. Minjung Artists used figurative images as a reference source, but unlike Hyperrealism, or Figurative Art in the tradition. Minjung Art is based upon Realism Art in the conte×t of intending to communicate with society. During the decade of the 1980s, termed as a period of confusions and Upheavals, Korean economy rapidly shifted to a multinational capitalism and to a post-industrial society. Minjung Art tried to show that the populace is the main body of political struggle through the reappearance of idealized laborers and famers. Minjung Artists has been urging the government to make Korea a better country for every one,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owever we are mortified to find the Minjung Art blaming the industrialization, modernization and citification. Minjung Artists refused to negotiate with foreign power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prefering instead to preserve the nature, the pure blood. Minjung Artists intended to show that our people shared a national characteristic of not succumbing to oppression. Minjung Art has its roots in Mar×ism. Minjung Art is the Socialist Art, based on the Mar×-Leninistic view, for not an revolution of social reality but an ideological art seeking for the reforms of the society to make happiness for Minjung. Minjung Artists is looking for a Utopia that the laborers, Farmers would dominate the intelligentsia. Georges Bataille insiste that Work, beyond all doubt, is the foundation of the human being as such. Minjung Artists maintain that From one end of history to the other, the first place belong to Work and workers. In Minjung Art, the Utopia means the World for workers. Minjugn Art, is above all else, the Fine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s of society and Minjung Art in the 1980s became the essent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Korean Modern Art afterwards.

      • KCI등재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황용연(Yong-Yeon Hw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0

        이 논문은 한국 민중신학 담론에서 민중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다룬다. 민중이라는 용어는 민중신학자들이 이론이나 개념보다는 증언에 주력하도록 이끌었다. 또한 민중신학의 구원론인 민중메시아론에서 민중이라는 용어는 민중 현실이 형성하는 장(場)이 그 장속에 끌려들어 온 사람들에게 미치는 작용으로 구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두 이야기의 합류’의 경우에서 보듯이 민중신학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지지 담론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장의작용이 감지될 때 기존의 담론을 해체하는 경향을 갖게 되었다. 최근 민중신학은 초기 민중신학의 오클로스론과 바울의 칭의론 관련 논의를 재해석하면서 민주화 이후 체제에서 시민이 주도하여 체제의 자기 정당성에 대한 확신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발생하는 배제를 탐색하는 경향을 발전시켰다. 이런 경향은 체제에서 배제당하는 비시민이 자신들을 표현할 언어 부재를 경험하고 있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앞으로 민중용어를 이해하는 전망도 민중 현실의 장과 그 속에 끌려들어 온 사람들 사이에 명시적인 언어로 재현되지 않는 작용을 탐색해야 할 필요성 위에 구축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term Minjung works in the discourse of Korean Minjung theology. The term helped Minjung theologians focus on witnesses rather than theories and concepts. In terms of Minjung Messiah, soteriology of Minjung theology, the term Minjung opened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salvation as the effects in the “field” constructed by Minjung reality. As seen in the “confluence of two stories”, while Minjung theology has the tendency to serve as a discourse supporting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it also deconstructs existing discourses when new interactions between Minjung reality and people are detected. Recent Minjung Theologians reinterpreted the theory on Ochlos and the discussions about Paul’s statement of justification in early Minjung Theology, and developed a tendency to explore the exclusion of non-citizens by Korean post-democratization regime in which citizens take the initiative and have more confidence about their own legitimacy. This tendency recognizes that non-citizens who are excluded from the regime are experiencing lack of language to represent themselves. Therefore, the prospect of understanding the term Minjung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necessity of explo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Minjung reality and people attracted into the “field” constructed by the reality, which are not explicitly represented i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