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화론적 관점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발생

        최혜경(Hyekyung Choi)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문화콘텐츠는 발생 초기부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갑자기 대두된 문화콘텐츠의 실체를 탐색하고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하는 당면과제에 한정된 경향이 있었다. 문화콘텐츠의 발생에 대해서도 용어 사용의 주체가 정부였던 탓에 산업 및 정책의 필요 또는 기술 요인으로 문제의식 없이 받아들여 온 것도 사실이다. 최근 일각에서는 그간 논의를 재론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그 본질을 밝히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문화콘텐츠와 그 용어의 발생 배경을 살펴보았다. 문화콘텐츠가 여타의 문화예술과 같은 ‘사회적 산물’이라는 입장에서 코흐의 진화론적 기호학 모형을 대입하여 문화콘텐츠의 발생을 분석하였다. 예술이 탄생한 시기부터 대중문화와 문화콘텐츠를 둘러싼 외적 및 내적 변동 사항을 통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새로운 문화예술이 형성될 때에는 문화예술 생산 시스템이라는 근원적 변화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문화예술이 새로운 문화예술 발생에 메타 발생 요인으로 작동함에 있어 특정 속성은 심화 또는 대립 양상을 보이는가 하면 전혀 새로운 형질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때에 사회문화적으로 이전의 문화예술과 구분해야 할 뚜렷한 필요성이 요구되면 문화예술 용어의 개념이 새롭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예술의 발생을 토대로 문화콘텐츠의 발생 배경을 돌아보면, 그 역시 다른 문화예술과 마찬가지로 예술 생산 시스템이 수용자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영향으로 이전에는 없었던 네트워크, 하이퍼링크, 상호작용성과 같이 새로운 속성이 나타남에 따라 대중문화와의 구분도 필요해졌다. 이에 문화콘텐츠라는 새로운 용어와 개념이 태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Cultural contents are gaining a lot of attention as i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from an industrial, political and academic aspect. As a result, active related research has been completed since the first appearance of culture contents. However, the culture contents were limited to urgent matters such as exploring the nature of the suddenly rising culture contents and how to embrace them. As for the reason of the appearance of culture contents, people have accepted the need in industry, policies and/or technology without question since the main agent of the use of the term was the government. Recently, some review the discussion of culture contents and try to determine the nature in an extended view. This research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of culture contents and the terminology. It analyzed the causes of the occurrence of culture contents from the footing of social product as arts and popular culture, putting it in the evolutionary semiotic model of Koch.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surrounding popular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since the birth of arts were studied diachronical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s production system changed when new cultural art forms, rather than the changes in the time or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addition, when previous cultural art acts as a factor for meta-formation, some properties intensify, conflict, or create new properties. If the new art needs to be clearly separated from the previous cultural art, a new terminology is formed for the new cultural art, as well as the concept. The background of culture contents was also studied based on the above noted text.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other cultural arts, changed the art production system around the users. Additionally, it was necessary to separate it from popular culture, as new properties such as network, hyperlink, and interactions, which had not existed, were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It is assumed that this is how new terminology for culture contents for med, as well as the concept of it. The research included discusses the background of the evolution of culture contents based on a comparis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rts and popular culture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clearly distinguished and systemized the difference between culture contents and other cultural arts.

      • 산업적 활용을 위한 불교문화콘텐츠 기획

        이재수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5 전자불전 Vol.8 No.-

        본 논문은 현재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와 문화콘텐츠 산업의 측면에서 불교문화콘텐츠의 기획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불교문화콘텐츠는 활용적인 가치도 매우 높은데,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확산, 교육적 활용도 매우 높고, 외국인들에게도 문화상품으로 훌륭한 역할을 하여,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상품으로서도 원소스 멀티유즈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전략에서 콘텐츠 기획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라는 One Source를 Multi-use로 개발하는 것이 기획의 목적이다. 아울러 사용자 중심의 열린 콘텐츠를 지양해야 할 것이다.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가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하는데 조금이나마 이바지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Plann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very broad and valuable. Educational applications, the expansion of people's understanding of our culture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culture to foreign countries are all highly expected. Furthermore, One Source with Multiple-Uses as a cultural product is available. The ultimate purpose of plann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lies in developing from one source contents into multi-use contents.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focused on open access to contents for the sake of the user's conveniences. I would like to dedicate myself to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which can reflect the true happiness way, the Buddhism.

      • KCI등재

        공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플레이스 브랜딩 사례 분석

        이지혜 ( Ji Hye Lee ),임경호 ( Kyung Ho L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오늘날의 도시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도입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 이외에도 도시 브랜드의 이미지를 새롭게 형성하고, 더 나아가서는 국가 브랜드의 가치를 향상하는 데 힘쓰고 있다. 플레이스 브랜딩이란 도시의 장소, 공간을 가꾸고 포장하여 관광객을 유치해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세계 많은 도시가 앞다투어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물리적 변화에 치우쳐 세계의 도시들은 서로 닮아가고 있다. 더는 경제 자본에 의존한 물리적 변화가 플레이스 브랜딩의 경쟁력이 되기란 쉽지 않다. 또 다른 자본과 기술에 밀려 후퇴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문화적 요소에 주목하였다. 어느 도시든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대변하는 공공문화콘텐츠는 존재한다. 활용함에 따라 무궁한 가치를 창출하는 공공문화콘텐츠 산업을 플레이스 브랜딩에 도입한다면 획일화된 도시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개성이 풍부한 도시 이미지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갖춘 플레이스 브랜딩을 위해 공공문화콘텐츠를 새로운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플레이스 브랜딩에 적용 가능한 국내 대표 공공문화콘텐츠 사례를 문화유산, 문화시설, 문화축제의 세 분류로 선정하여 평가 분석하였다. 국내 대표사례의 평가는 공공디자인과 플레이스 브랜딩에 관련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로써 국내 공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플레이스 브랜딩의 현황과 가능성에 대해 평가를 하였으며, 유형별 특성과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공공문화콘텐츠가 플레이스 브랜딩에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Today`s Place Branding does not stop at creating added value but goes on to form new images of the cit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national brand as well. Place Branding refers to efforts to attract tourists and gain additional profits by designating an area within the city as a special tourist destination. Numerous cities in the world are competing to change, but the cities in the world are starting to resemble each due to the heavy reliance on the physical changes. Physical changes that rely on the economic capital no longer can become the source of Place Branding`s competitiveness. Moreover, it is a question of time in which retrogression takes place, due to other capital and technology. To this,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cultural elements. No matter which city it is, Public Culture Contents that speak for the unique culture and history exist. If Place Branding is to be adopted to the Public Culture Contents industry that crates infinite value, it would be possible to cast away the image o standardized cities to create the image of the cities filled with their own unique colors. Therefore, this research puts forward public cultural contents as a key word in Place Branding and asserts that active utilization of public cultural contents will serve as a new and effective strategy for Place Branding. Hereupon, this research examines and analyzes fifteen Place Branding cases in foreign countries utilizing public cultural contents and divid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cultural heritage,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festivals. Next,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iciency of representative cases of Place Branding within Korea using theoretically gleaned strategies as assessment criteria. This analysis was done through high-impact interviews and surveys of experts who worked in the field of public cultural contents and Place Branding. This achieved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mpetitiveness unique to each category. I hop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establish Place Branding strate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빅데이터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문화콘텐츠학 지식구조 연구

        오정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문화정책논총 Vol.34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academic big data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using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and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ystem. To achieve concrete resul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following goals: first, to determine the important central theme in the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second, to outline the major topic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ird, to explain how major topics and subjects have change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and fourth, how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visualized on a network map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The research followed four steps—data collection, data refinement, data analysis, and integrating and interpret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2000, when the very first paper on cultural contents wa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2020 from 3,685 academic papers. The collected unstructured data were refined for computer-aided analysis. First, nominal morphemes were extracted using a Korean morpheme analyzer; then, various controlling and TF-IDF analyses were applied. 18,027 words from academic papers have undergone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with a NetMiner program. Topic modeling is a probabilistic algorithm discovering subjects and topics hidden in a large set of documents, which extracts and classifies documents according to the topic. Text network analysis applies the network theories and analysis methods that developed out of sociology to literature analysis, analyzing the structure of connected words in the text and showing the result in the form of a network map. Recent big data analyses are evolving toward utilizing various optimized analytical techniqu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 Thus, this paper used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o draw a result that is optimal for the purpose of our research. This paper contributes to relevant studies as it uses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to analyze the big data that have accumulate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n addition, it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as it provides a visualized knowledge map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keywords and main topic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leads to the intuitive understanding of abstract contents. 문화콘텐츠학은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신생학문임에도 빠르게 성장해 왔다. 문화콘텐츠 관련 학술논문 수가 2000년에 100편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 누적 논문 수가 24,935편을 넘어섰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문화콘텐츠를 독자적인 학문으로 인정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선행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학의 고유한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확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계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이용해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대상 및 지식구조, 연구동향 등을 연구하였다. 2000년부터 2020년 최근까지 약 20년 동안 발간된 KCI학술지 논문 중에서 “문화콘텐츠”로 검색되는 논문 3,685편의 초록 및 서지정보 등을 텍스트네트워크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이용해 분석했다.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대상, 연구분야, 연구체계 등을 도출했으며, 토픽모델링을 통해 3,685편의 논문내용을 40개 토픽으로 요약,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종합해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분야와 주제 분류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크게 ‘문화콘텐츠 활용’, ‘문화콘텐츠 산업’, ‘한국사회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 장르’, ‘문화콘텐츠 기술’, ‘문화콘텐츠 이론 및 체계’ 등 6개로 구분하였고, 40개 토픽을 각 분야에 맞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활용방법’을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방법론으로 제시하였다. 문화콘텐츠 활용방법에는 스토리텔링, 문학작품의 창작 소재화, 지역문화관광자원 활용, 정보콘텐츠 활용, 교육과 콘텐츠 활용 등이 있다. 이밖에도 문화콘텐츠 연구동향, 연구자 공동연구협력체계 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약 20년 동안 문화콘텐츠 분야에 축적되어 있었던 학술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지식구조 등을 도출함으로써 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체계와 위상을 정립하는 일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의 문화콘텐츠산업 활용방안 연구

        이동민(Yi Dong Mi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3 문화예술콘텐츠 Vol.- No.9·10·11

        본 논문은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의 문화콘텐츠산업 활용 방안을 강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은 고부가가치 재화 창출의 문화콘텐츠 산업에 있어 원천 소스로서의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은 문화콘텐츠산업의 문화적 재료가 되는 문화원형의 한 부분으로서,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함축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이 문화콘텐츠산업으로 활용되어 성공한다면 국가이미지 상승 뿐 아니라 문화산업 전반의 활성화에 핵심적인 촉매제 역할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한 가치를 지녔음에도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편이며, 이마저도 대부분 디지털 기록화 또는 디자인적 요소의 활용으로 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편향적인 연구시각에서 벗어나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을 문화콘텐츠산업의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각적 접근을 통해 ‘고증을 통한 소재 활용’, ‘스토리텔링 활용’, ‘뉴미디어활용’이라는 세 가지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purpose to find out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crafts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s has absolute value for finding out highly-produced value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 is part of cultural forms that become culture contents industry. It includes cultural ideology. Thus,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s promote not only to national image but also to general culture industry, if they are utilized well on culture contents industry. However, even if they have such an important value, studies on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s are not spreaded, and such studies are mostly limited into digitalized recording or design ele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utilizations such as material utilizatio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 story-telling utilization and new media utilization through new visual approach which is called culture contents industry out of original biassed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문화콘텐츠 유형분류의 전제

        김수영(Kim Su-you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4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7 No.-

        문화콘텐츠는 산업분야와 매체 특성, 기존의 대중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영역 등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 되어 있다. 그러나 기술 발달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다양한 산업 영역들이 융섭, 융화됨에 따라 그 구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플랫폼의 개발과 새로운 소비자의 등장에 따라 유형도 다양화되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지표를 정할 때, 전제되어야 할 사항은 다양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속성인 소통의 다양한 관점들과 문화콘텐츠의 환경 변화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 가치사슬의 생성과 변화를 검토해보았다. 문화콘텐츠를 구분하는 분류의 기준이 어떤 목적에 따라 상정되는가에 따라 유형이 달라질 수 있으며 모든 문화콘텐츠들을 실제적으로 명확하게 가름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도 않다. 따라서 위에서 논의한 근원적으로 숙고해야할 세 가지 사항을 전제로 문화콘텐츠의 유형을 검토할 때 IT발전에 따라 급변하는 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불변하는, 문화산업의 논리와는 차별되는 문화콘텐츠의 유형 분류 기준 및 제작/유통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Cultural content is divided into various fields depending on the areas that comprise industry, media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pop culture. However, the boundary is becoming blurred according as variety of industrial areas are converged and collaborated by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echnological advances. In addition, the type is also diversified by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platforms and the emergence of new consumers. Although various precondition is consist to set the index to classify the types of cultural content, this paper review communication which is the important properties of communication of cultural content, the production process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 in the cultural content and the creation and changing of value chain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hat separates the cultural content that determine assumed for some purpose, the type can be changed. In fact, the classification does not even been established which can clearly be a separator practically all cultural content. Therefore, when reviewing the type of cultural content on the premise underlying the three things to ponder as discussed above, it can be established which Unchanged despite the changing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IT development, discrimination with the logic of the culture industry and the type of cultural content classification and production / distribution process.

      • 한국어교육에서의 한류 문화콘텐츠 활용 현황 및 과제 : 통합형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리,김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이른바 ‘한류’로 일컬어지는 한국의 대중문화콘텐츠가 한국어 학습자의 범위 확장에 기여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교육에서 일정부분 견인차 역할을 한 한류문화콘텐츠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역할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통합형 한국어 교재 다섯 권에서 제시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현황을 분석해봄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콘텐츠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Hammerly(1982)의 문화 분류 유형 중 성취문화(achievement culture)에 해당하는 문화콘텐츠가 한국어 문화교육의 사례로 적절히 제시되어 있는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 의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단계별로 선정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최종적인 목적이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출현과 구조, 그리고 구현

        박범준(Park, Bum Joon)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

        21세기는 눈부신 기술의 발전이 열어 놓은 첨단기술의 시대이다. 내손 안에 전화는 물론 콘서트와 극장이 가능하다. 인간의 신체에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세상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원하고 상상하는 것이 곧 현실이 된다. 인간이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것들이 디지털 형식으로 전환되어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기술이 가져 온 현실에서 인간은 무엇이든 생각할 수 있고 생각한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자부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기술의 진보가 가져온 결과의 감추어진 이면에는 수 많은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다. 선진국들이 모여 지구의 환경 문제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고 지역 간 평화를 강조하고 있는 것은 지구상의 인류의 미래가 이대로 가다가는 불행으로 다가올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날 서양의 많은 철학자들은 현대를 위기로 규정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본 연구자는 인류의 상생과 통합이 중요한 가치로 등장한 지금, 문화콘텐츠의 출현은 시대적 맥락에서 그 가치와 의미를 진단하는 것을 통해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느끼고 문화콘텐츠의 출현과 구조 그리고 구현을 정리하였다. ‘문화’, ‘소통’, ‘매체’라고 하는 오늘날 급부상한 단어들에 주목하면서 문화콘텐츠의 등장을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문화콘텐츠의 구조와 차원을 다양한 연구자들의 모형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콘텐츠의 구현을 미디어에 탑재되어 구현되는 차원을 넘어, 인간 개인적 차원 그리고 인간이 이룬 단위집단적 차원에서의 구현임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인, 국가, 인류의 모든 차원에서 문화콘텐츠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이 활발히 모색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21st century technology that will open the era of advanced technology. In the human body beyond time and space in the world is unfolding. Wants and imagination that soon become a reality. Human beings see, hear and feel things that you can switch to a digital format that will be unfolding in front. Come from technology, in reality, humans can think of anything that could get more confident and may have thought. However, advances in technology that is hidden in the results obtained there are many problems exist. Because of the future of mankind on earth will come unfortunate, Earth s environmental problems of developed countries gathered to discuss measures and to stress the peace of region. So many of today s Western philosophers and the modern may be defined as a crisis. Today human coexistence and integration emerged as a critical, Out of cultural contents, the value and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times to diagnosis is required consideration, So I organized the emergence of cultural contents and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The appearance of cultural contents was said Culture , communication , media . And the structure and dimension of cultural contents by various researchers models were analyzed.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cultural contents, beyond implementation on the media, I explain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cultural contents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 human dimension and human dimensions. Through the study, I hope that Personal,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 all dimensions of humanity s new roles and functions will be found more lively.

      •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판소리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박병호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9 문화예술콘텐츠 Vol.- No.3

        ‘PanSori’s unique epic, musical and dramatic elements have been transferred to and influenced many different genres. As a Korean traditional form of art, it should be preserved for its own sake by Korean people, but it is not easy for the Korean public to have chances to enjoy the original PanSori. Hence, regarding experiences on PanSori, many people usually think of movies involving PanSori such as ‘서편제’ or PanSori stories adapted for nursery tales, plays and movies like ‘Simcheongjeon,’ ‘Heungbujeon’ and ‘Chunhyangjeon’. The year 2001 saw huge worldwide successes of ‘The Lord of the rings’ and ‘Harry Potter.’ Originating from an old English fantasy novel, the movie, ‘The Lord of the Rings’ earned New Zealand a fortune making the shooting sites famous to tourists, and ‘Harry Potter’ showed the strength of the Britain’s entertainment business in terms of storytelling. These were pleasant surprises indicating the prospects of the content-based economy. Similarly In Korea, although ‘Korean traditional subjects’ were recently highlighted as sources for the content industry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promoted digitalization of Korea’s original cultural content, PanSori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ject. In order to make PanSori popular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popular media in the global standard should be used effectively. In that sense, we need to seriously take the examples of ‘Ballet 심청’ and ‘춘향’ which were adapted from PanSori for ballet and praised by the foreign press. Meanwhile, needless to say, the purpose of making economic value underlies the content industry.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economic value, the industry must produce fun and touching content and attract as many customers as possible. Hence, if Korea is able to spread its culture and as well as make economic profits with cultural products using PanSori, the cultural content will be an ideal example for Korea. Not every cultural product made from tradition will be successful, but regarding the current Korean cultural industry in need of fresh subjects, PanSori of many interesting and well-known subjects is complementary enough to the industry. Tradition should be preserved and developed further for a country’s artistic and cultural objectives. Moreover, beyond the artistic and cultural value, if the tradition can be shared by a larger public and eventually contributes to generatingeconomic value, the existing government policies for tradition may need to apply different approaches. There are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proving the influence of culture, but what matters is carefully commercializing the culture to be economically successful. Both popularizing and commercializing traditional cultures are not simple matters. Because the probability of a market failure on cultural products is high, the Korean government has even designated the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that needs to be fostered. The US accounts for around half the entire market for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 help of its dominant economic power while France supports its cultural industry without stopping claiming that developing France’s own cultural industry is necessary for cultural pluralism. If Korea also continues its government-level support for creating a variety of content utilizing many traditional sources including PanSori, the country will be sure to grasp chances for transmitting its culture and generating economic value. 판소리가 지니고 있는 서사적 요소, 음악적 요소, 극적 요소로 인하여 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장르로 계승ㆍ발전 되어왔다. 판소리는 자체로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이며, 소중히 보존해야할 의무도 있으나, 일반인들이 본래의 판소리를 접하고 향유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많은 대중들은 판소리에 대한 경험을 떠올릴 때, 명창들의 판소리 완창을 떠올리기 보다는 영화 〈서편제〉, 〈춘향전〉, 동화나 연극으로서의 〈심청전〉, 〈흥부전〉 등을 먼저 생각게 되는 경우가 많다. 2001년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시리즈〉가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킨 한해였다. 신화를 모티브로 뉴질랜드에 막대한 관광수입을 안겨준 〈반지의 제왕〉과 스토리텔링으로 영국 문화산업의 저력을 보여준 〈해리포터 시리즈〉의 성공은 콘텐츠 기반 경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신선한 충격이었다. 국내에서도 ‘전통문화 소재’가 부각되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을 추진하였으나 판소리가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았다. 판소리의 대중화를 넘어 글로벌화를 생각한다면 그들의 정서에 익숙한 매체를 활용하여야 효과적이다. 우리의 전통 판소리가 유니버셜발레단에 의해 〈발레 심청〉과 〈춘향〉과 발레로 재창조되어 많은 해외 언론들로부터 호평을 받을 수 있었던 것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고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한편 문화콘텐츠는 경제적 가치 창출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그 이면에는 가치 창출을 위해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창조하여 보다 많은 향유층을 확보해야 한다는 당면한 과제가 있는 것이다.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인 판소리를 활용하여 우리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경제적 이윤까지 확보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일 것이다. 물론 문화콘텐츠로 재창조 된다고 하여 모든 상품이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지만 콘텐츠 소재발굴에 목말라 하는 문화콘텐츠산업과 보편성이 높은 콘텐츠소재를 지니고 있는 판소리가 상호 보완해야 하는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하겠다.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문화예술적 관점에서 보존하고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다만 그것이 예술적 가치로서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대중들에게 확산되고 재화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 정책적 지원의 관점을 달리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문화가 갖는 파급력에 대해 이미 알고 있지만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작품화 하여 성공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전통문화의 대중화, 문화콘텐츠산업으로의 상업적 성공 모두 간단치 않다. 시장실패의 가능성도 그 만큼 높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에서 문화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할 분야로 정해 놓은 것이다. 미국은 거대 자본의 힘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고, 프랑스의 경우 문화다원주의를 외치며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도 판소리를 비롯한 전통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재창조 하는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문화의 전파와 경제적 부의 창출 모두 거머쥐는 날이 올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와 대학교육

        김만수 대중서사학회 2006 대중서사연구 Vol.- No.16

        문화산업과 문화상품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이들의 영향력은 대학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문화콘텐츠학과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학과신설과 커리큘럼 개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는 일반적으로 ‘좋은 것(good)’을 지칭하지만, 이제 현대사회에서 ‘상품(goods)’으로 기능할 것을 강요받고 있는 형국이다. 문화콘텐츠학의 탄생은 멀티미디어/매스미디어의 등장과 궤를 같이한다. 이 과정에서 예전의 전통적인 문화적 내용물들은 ‘문화콘텐츠’라는 이름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고 만족할만한 커리큘럼을 마련하고, 문화콘텐츠의 대상과 방법론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 문화콘텐츠전공의 교과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한 학과의 분석이지만, 한국 대학들의 전반적인 운영방향과 일치하는 것이어서 표준모델로 간주하기에 크게 부족한 점은 없다고 보았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문화콘텐츠학의 성공과 실패, 가능성을 함께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문화콘텐츠, 인문학, 미디어, 콘텐츠, 교과과정, 스토리창작, 콘텐츠이론, 콘텐츠응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