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찬과 한국 현대문화ㆍ역사지리학의 정립

        홍금수(Kew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현대 문화ㆍ역사지리학의 개척자인 이찬은 1923년에 황해도 연백에서 출생하여 평양사범학교와 서울대학교를 거치며 근대지리학의 내적 토대를 다진다.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로 유학의 장도에 올라 버클리 학파의 일원인 니펜에게서 문화ㆍ역사지리학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전수받는 한편, 도작문화에 관한 연구로 196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귀국하여 현대지리학 1.5세대에 기대되는 교육, 연구, 국제 활동을 활발히 펼친다. 이찬의 문화지리학은 문화요소의 기원, 전파, 분포에 맞추어져 있으며 시간적인 변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동시에 역사지리흑에기도 했다. 지도교수를 통해 시우어 지리학과 크뢰버 인류학을 섭렵한 까닭에 문헌보다는 야외 조사에 비중을 둔 경험적인 연구를 지향하였다. 중부지방의 민가를 조사하는 단계에서 니펜의 물질문화분석법을 원용하고, 한국지리학시를 개관하는 중에 국학으로서의 지리학에 관심을 환기하고 고지도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도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역사지리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구현하였다 한국문화역사지라학회, 『문화역사지리』, 다방면에서 활동 중인 후학은 이찬의 유산이자 한국문화ㆍ역사지리학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다. Born in a pastoral countryside in 1923 Chan Lee had learned and practiced geogra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flying over to Louisiana State University for his post-graduate work. He was awarded Ph.D. for the thesis A Culture history of rκe with special reference to Louisiana in 1960 under the guidance of the Berkeley school's cultural geographer Fred B. Kniffen. Lee's cultural geography which laid emphasis on the origin, diffus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traits took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the addition of time dimension.Exposed to Sauerian culture history of landscape morphology and Kroeberian ethnography Chan Lee emphasized fieldwork in practicing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is exemplified by the researches on folk housing, rice cultivation, and various other topics. Chan Lee left behind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nd disciples as his enduring legacy.

      • KCI등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이은숙(Euns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Since its found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has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such as Korean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geography, perceptions about environment, Korea's history and culture embedded in the cultural landscap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ical phenomena. During the initial ten years, the active research of th korea's traditional geography of the Association became the well-established area of Korean studies. The following ten years of the Association were devoted to studies of old map, Feng Shui landscape and the building of general system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t the same time, one observes an increase of the studies adopting the cultural and ecological approach as a way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To connect modern human geography and traditional geography, there have b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oponyms or contemporary diaspora. Young geographers in particular have been trying to use cultural-political or social-economical approaches regarding historical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and to apply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culture. 1988년 창립이후 한국문화역사지리확회는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전통적 환경지각 방식, 문화경관에 각인되어 있는 우리역사와 문화, 과거 문화역사지리적 현상의 복원 등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처음 10년 동안은 한국의 전통지리학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국학연구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다음 10년 동안은 고지도나 또는 풍수경관 등 전통지리학연구의 증가와 함께 종합적 체계구축을 위한 노력을 하여 왔다. 한편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가 증가되었으며, 현대 인문지리학과 전통지리학의 연결방안의 하나로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한 지명 연구, 현대 디아스포라 연구 등 많은 성과를 올려TEk. 특히 젊은 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방법론적 대안으로 신문화지리학적 접근, 사회와 문화의 역사적 변동에 대한 문화정치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 문화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도 시도되고 있다.

      • KCI등재
      •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부평’의 문화경관과 지역 정체성

        전종한(Jong Han Je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6 기전문화연구 Vol.37 No.-

        지역역사지리학(regional historical geography)이란 역사지리학의 하위 분야로서 어떤 지역(a region)을 매개로 그곳에서 전개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지역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과 문화와 역사의 연동 관계를 구명하려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적으로는 부평 지역, 시간적으로는 전근대 시기, 달리 말해 소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을 궁극적 도달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여러 선행 연구를 토대로 지역역사지리학의 전통적인 주제들을 추출한 다음, 이를 부평 지역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세부 테마들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내용 체계로 삼았다. 첫째,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를 가장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대표 지명과 그 의미, 둘째, 부평의 치소 입지와 권력 공간의 구성, 셋째, 지역의 지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인지, 넷째, 인문지리의 핵심 요인인 주요 사회집단과 인물(주요 성씨 집단과 배출 인물), 다섯째, 지역 경제의 단면을 알려주는 주된 생업 기반과 인구 분포, 여섯째, 지역문화를 표상하는 문화경관 및 상징적 장소들, 일곱째, 시간에 따른 지역의 변모과정을 엿볼 수 있는 경관 변화 및 지역구조의 변동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역사 지리학의 기본 내용 체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이며 구체적 서술 방식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를 위한 유의미한 실험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a sub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It is a fiel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having been developed there through a certain reg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environment, culture and history in the local context. In this study, the regional identities of so called historic Bupyeong , i.e. that of premodern Bupyeong, were set as the ultimate destination of study from the viewpoint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To this end, the author extracted traditional major themes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based on several previous researches, then applied them to the historic Bupyeong, and selected seven themes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name and its meanings that represen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regional image most implicitly; second, the composition of historic Bupyeong s location and composition of the space of power; third, th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ographical environment; fourth, the major social groups and figure(major genealogical groups and its great figures); fifth, the main employment base and population distribution; sixth, cultural landscapes and symbolic places representing local culture; seventh, the landscape changes and the dynamics of regional structure that would show the changing process of the region through time. These seven themes consists of the framework of concents to approach the regional(local) identities of historic Bupyeo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n meaningful experimental example of how to construct the contents framework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nd how to develop a specific narrative method to regional historical geographies in Korea.

      • KCI우수등재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최지영,조경진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1

        서울 송현동에 역사문화공원과 이건희 기증관이 조성될 예정이다. 송현동의 역사성은 조선 시대부터 현대까지 정치적 판도에 영향을 받은 시련의 땅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장소성 분석은 역사적 맥락보다는 토지소유자와 용도 변화에 국한해서 다루어졌다. 그래서 본 연구는 현대문화지리학과 비교역사학 관점을 활용하여 송현동의 장소성이 문화 헤게모니에 따라 변화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사적 이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화주의, 대항해, 시민혁명, 제국주의, 민족자결주의, 민족주의, 대중예술, 신자유주의 같은 범세계 차원의 문화 헤게모니는 송현동을 비롯한 북촌 일대에 새로운 지식인층을 만들어냈고, 사회제도와 공간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송현동의 장소성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첫째, 송현의 소나무숲은 이상적인 유교 국가를 목표로 했던 조선 건국세력이 왕조의 영속을 기원하며 만든 비보숲이었고, 내사산의 지맥을 보호하는 사산금표제로 관리되었다. 세계적으로 대항해시대를 맞이한 조선 후기에는 연행이 늘며 청나라 문화를 향유하는 경화세족의 정원이 들어섰다. 일제 강점기에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택단지개발로 소나무 숲과 정원은 사라졌지만, 인공적인 정원과 외부의 자연을 조화롭게 연결했던 차경의 경관적 미학은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가치가 있다. 둘째, 세계의 근대화 물결은 북촌 일대에 신식학교를, 친일파 소유의 송현동에는 하숙집을 만들었다. 송현동 옆의 안국동천길은 시민혁명과 민족자결주의를 접한 사상가들이 교류했던 장소였고, 최대규모의 하숙집이었던 송현동은 학생들이 3.1운동에 참여하며 학생운동문화가 발아한 계기가 되었다. 안국동천길은 옛길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어 광화문-북촌-인사동-돈화문로를 연결하는 역사 도심 보행 재생의 한 부분으로 의의를 지닌다. 셋째, 조선총독부의 문화 통치기부터 군사 정권기까지 송현동은 조선식산은행의 서구식 문화주택과 미국대사관 직원 숙소가 들어서며 서구문화의 통로였다. 주변 지역은 고미술과 현대미술이 공존하며 근현대 미술시장이 형성되었다. 이건희 기증관은 북촌한옥마을, 공예박물관, 현대미술관, 갤러리와 문화벨트를 이루며 시민의 공간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같이 장소를 이루었던 숲과 정원, 시민탄생의 거리, 근․현대 미술의 진원지로서 의미가 새롭게 조성될 역사문화공원과 미술관 그리고 주변 보행 네트워크와 조화롭게 재창조될 수 있도록 담론과 도전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경관은 지역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소재이다. 16세기 말 네덜란드의 농촌을 묘사한 풍경화에 어원을 두고 있는 ‘경관’이 연구대상으로서 지리학에 전격적으로 수용된 것은 사우어의 <경관의 형태학>이 발표된 1925년의 일이었다. 핫숀과 사우어의 경관논쟁을 계기로 연구의 지평이 확대되면서 중요한 성과들이 속속 발표되는데, 문화지리학 방면에서는 고래의 형태론적 접근, 감성을 자극하는 자연미의 해석, 나아가 문화정치와 도상학까지 아우르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간 소원했던 도시경관과 일상생활 속의 경관에 대한 의미부여도 심도 있게 진행되었다. 역사지리학에서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경관의 형태와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파악하는 데 주력해왔다. 특히 역사경관의 복원은 과거의 지역지리를 재구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지나간 시기의 경관과 지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유의 본원인 기억의 관여를 요하며 기억은 다시 경관을 통해 과거로 인도된다. 그러한 과정이 개인이 아닌 사회적으로 진행될 때 집단적 유대감과 장소정체성이 공고해진다. 내실 있는 경관연구를 위해서는 현장을 중시하는 지리학 본연의 정신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 Geography is a science of region, place, and space. Landscape performs a critical role for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se regional trilogy. It was since the publication of Sauer's seminal essay 'The Morphology of Landscape' in 1925 that landscape as a subject matter began to lie embedded in practitioners concerns. The contested Hartshorne-Sauer debate in the early 1940s turned out to have broaden the horizon of landscape studies. Cultural geography touches on various topics in association with morphology, aesthetics, cultural politics and iconography. Urban and ordinary landscapes unnoticed so far gather a serious attention as well. Historical geographers in the meantime try to make sense of landscape changes through time. The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landscapes in particular helps to capturing the essence of regional geographies of the past. Revisiting landscapes and regions of the foregone era leans on memory, while memory is in turn revoked by landscapes. When the memory work goes collectively, ethnic and place identities gets consolidated. Fieldwork enriches landscape studies to a great extent.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우수등재

        The Shaping and Progress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Since 1945

        Keumsoo Hong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4

        현대 역사지리학은 일제강점기 일본 여러 대학의 지리역사과에서 수학한 1세대 지리학자, 특히 노도양의 선구적인 활약에 힘입은 바 크며, 1960년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이찬에 의해 본격적인 출발과 비약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었다. 사우어의 문하생인 니펜의 지도를 받은 연유로 이찬은 답사와 문헌자료에 입각한 버클리 학파의 방법론을 한국에 이식하였으며, 1988년에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를 창립하여 과거의 지리와 지리적 변화에 관심을 가진 학자의 역량을 결집하는 구심체로 삼았다. 2세대 학자가 양산된 1980년대 이래 한국 역사지리학은 케임브리지 학파의 단면법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연구의 활성화를 기하고 있으며, 주제와 방법론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Korean historical geography as a distinct subset of modern geography began with the pathbreaking efforts of Do-Yang Roh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He was joined in 1960 by founding father Dr. Chan Lee who carried with himself the Berkeley geography he learned from Fred Kniffen, his advisor, and Robert West at Louisiana State University. Dr. Lee, the single-most important figur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founded in 1988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in order to pull together those interested in past geographies and geographical change. Korean historical geography took off in the 1980s when large numbers of doctoral theses were produced domestically and abroad and British cross-sectional methodology added. Diversity in research theme and methodology characterizes present-day Korean historical geography.

      • KCI등재

        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과 연구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5

        여러 나라 민속학 연구에서 물질문화(material culture)는 후발 주자로 성립된 분야이다. 이 글은 20세기 후반 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가 과연 어떻게 인식되었고 어떻게 연구되었는지를 살핀 것이다. 다만 설화를 연구하여 공식적으로 미국 최초의 민속학박사가 되었지만, 물질문화 연구로 주전공을 재설정한 워렌 E.로버츠(Warren E. Roberts, 1924~1999)의 연구에 한정하여 그 경향성과 의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로버츠는 설화연구자로 유명한 스티스 탐슨(Stith Thompson)의 제자였으나 고국 노르웨이에서 민속학을 연구한 경험을 계기로 물질문화 연구자로 전향하였다. 그 후 인디애나대학 민속학과 교수로 물질문화 분야를 담당하였다. 그의 물질문화 연구는 민중생활(folklife)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혹은 민중생활과 관련하여 예술품(art), 공예품(craft), 건축물, 그리고 제작 도구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로버츠가 말하는 물질문화는 이와 같이 사물(물건, 물질문화자료)로 구체화된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은 물질문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데 걸림돌이 된다. 그럼에도 전통적 공예품을 만드는 장인들을 주목한 것은 소비자보다 생산자를 훨씬 중시했기 때문이며, 사람 본위로 물질문화를 연구하는 길을 연 것이다. 또한 농민들의 생존활동 가운데 상당 부분을 수공기술의 관점에서 이해하려 한 점, 농부들의 삶과 활동을 생계형 수공기술(subsistence crafts)의 개념으로 연구한 점이 주목된다. 그의 물질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시선은 산업화와 더불어 사라지는 민중들의 전통적 물질문화를 조사·연구·보전하는 것이었다. 물질문화에 대한 접근방법은 물질문화라는 대상을 중심에 놓고 관련되는 문화요소를 최대한 풍부하게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이었다. 로버츠는 역사지리학적 방법, 연대기적 방법, 기능주의적 방법, 맥락주의적 방법으로 물질문화를 연구하였다. 그의 물질문화 연구는 미국 민속학 발전 초기에 수행되었으며, 야외박물관 설립 노력과 병행되었고, 민중생활의 맥락 속에서 풍부한 현지조사를 통하여 물질문화의 변천을 설명하고 분포지도를 작성하고, 기능적 고려와 적합성을 조사하여 서술하는 형태였다. 그는 장인들의 활동에 주목하였지만, 물질문화를 ‘행위의 체계’ 속에서 연구하는 학문적 전통을 분명하게 확립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Material culture in the folkloristics of many countries is a field that began to be studied relatively late. This paper has examined how material culture was perceived and studied for American folkloristics in the late 20th century. It focused on studies by Warren E. Roberts (1924~1999) and investigated their tendency and meaning. Warren E. Roberts committed himself to studying folktales and became the first titlist of Ph.D. in folklore in USA. Later he changed his major field to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Roberts was taught by Stith Thompson, the famous researcher of folktales. However, he changed his research field to material culture after he studied folklore in Norway, his native country. Afterwards he became a professor in charge of material culture in department of folklore at Indiana University. He studied material culture within the frame of folklife, focusing on art, craft, architecture and manufacturing tools which were related to folklife. What he referred to as material culture was what was concrete in objects (things and physical matters). His perception of material culture is an obstacle to that continuously activates the material culture studies. Nevertheless, he paid attention to artisans/craftsmen who made traditional craftworks because he valued producers much more than consumers. Such an attitude led to the research of material culture which valued human beings. It is notable that he examined farmers’ subsistence activities in terms of crafts and that he studied farmers’ lives and activities from the viewpoint of subsistence crafts. His basic job for material culture was to survey, research and preserve traditional material culture of folk which was disappearing on account of industralization. His approach was to investigate and research as many cultural elements as possible related, placing the objects of material culture at the center. Roberts used a historical-geographical method, a chronological method, functionalism and a contextual approach to study material culture. His study of material culture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acts: his material culture study is made early in the American folkloristics; it was made along with efforts to establish an outdoor museum; and his study investigated and narrated changes of times, distribution-map drawing, and functional consideration and propriety through a lot of field studies in the context of folklife. Regrettably, though it paid attention to artisans’ activities, this study has not firmly established an academic tradition whereby material culture can be studied in behavioral systems.

      • KCI등재

        ‘민속지도론’에 대한 비판적 점검

        허용호(Heo, Yong-Ho)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4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민속학계에 ‘민속지도론’이 대두되어 한 흐름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민속학계에서 한 흐름으로 자리 잡은 민속지도론을 문제 삼는다. 여기에는 ‘디지털 시대라는 조류에 휩싸여, 막연한 기대만으로 민속지도론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문제 의식이 자리한다. 한 걸음 물러서서, ‘민속지도 그리기’를 보다 잘하기 위해서도 그 동안 이루어진 민속지도 관련 작업과 연구에 대한 심도 깊은 검토와 점검이 필요하다는 입장 역시 본 연구를 하는 이유라 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 의식 아래, 필자는 그 동안 이루어진 민속지도 제작과 관련 연구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현재의 민속지도론은 김택규가 구상만 하고 미완에 그친 민속지도 그리기 작업을 디지털 시대에 맞게 수행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었다. 민속권 설정이라는 오랜 열망의 실현 과정이 21세기 이후 민속지도론의 양상인 것이다. 그런데 민속지도론은 역사지리학적 방법론과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다. 이는 역사지리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민속지도론이 그대로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실제 민속지도 그리기 과정을 통해서 보면, 여러 한계들이 나타난다. ‘편의적 요소주의’와 이에 기초한 ‘무리한 줄긋기’가 여전하다. 역사지리학적 방법론과 완전한 절연을 하지도 않고 있으며, 그렇다고 혁신의 노력도 보이지 않는다. 일부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는 구체화된 지도 제작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민속지도론 자체의 이론 관련 논의는 거의 없으며, 역사지리학적 방법론의 한계 극복을 위한 이론적 논의 역시 추상적이며 낙관적인 전망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검토 결과는 현 민속지도론이 이른바 디지털 시대에 부활한 역사지리학적 방법론이라는 판단을 하게 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한다면, 어떤 혁신이나 한계 극복도 없이 그저 역사지리학적 방법론에 분식을 한 것이 민속지도론이다. 민속지도론에 나타난 중앙 집권적 연구 태도 역시 마음에 걸린다. 지역 문화적 문제 의식을 강조하고 있지만 그 연구 태도에서 중앙 집권적 이라는 모순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역시 역사지리학적 방법론의 잔영이 짙게 깔린 것임은 물론이다. 민속지도론에 대한 점검을 마친 필자의 마음은 어둡다. 물론 여전히 민속지도론이 모색중에 있는 것이라 말할 수도 있다. 본 연구 역시 그러한 선상에서 이해할 수도 있다. 만약 민속지도론이 여전히 모색 중이라면, 강도 높은 혁신이 필요하다. 치밀하고도 치열한 점검을 통해 역사민속학적 방법론과의 분명한 관계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민속지도론이 갖는 위상 역시 냉정하게 재정립되어야 한다. In this article I pay attention to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n Here, there is a critical recognition that is ‘mayb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s practiced with a vague expectations amidst the tide of the digital age?’ For drawing folk culture atlas than do well this study which in-depth review and check on relevant research of folk culture atlas may be need. Based on the above critical mind, I review the mapping of folk culture atlas and related studies. As a result, I can say that the current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s a practice of Kim, Taek-Gyu’s idea in the digital era. The realization process of old yearnings which is fixing of folk culture area is aspects of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since the 21st century. By the way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geographic theory. That is saying that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can have a limitation of the historical-geographic theory. In fact, as review the drawing of folk culture atla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appear. An excessive line flicking which is clinging to the elements is still. There is not a dis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geographic theory. And there are not efforts of innovation. Some attempts which overcome limitation are not connected to a materialized mapping. A discussion which discuss theory of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almost nothing, and a theoric discussion which overcome limitations of the historical-geographic theory also in the abstra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s the historical-geographic theory which revive in the digital era.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s an embellishment of the historical-geographic theory. Of course, we can also say that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s looking for a solution. This article is also comprehensible in that context. If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s looking for a solution, it is necessary to an intensive innovation. Through the detailed examination, It should be a clear set of relations between the historical-geographic theory and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method of folk culture atlas should be rearr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