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김광균 시의 구조화 원리 연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오형엽 ( Hyung Yup Oh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이 글은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기준으로 김광균 시의 특질을 세밀히 분석하여 그 구조화 원리를 탐색하고자 한다. 김광균 시에는 ‘정서-이미지’의 상관 항으로서 크게 ‘대낮’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 ‘저녁’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이미지’ 조합이 차별적으로 등장한다. 김광균은 작품의 내적 시간성 속에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을 먼저 시도하지만, 이 시도가 허물어지면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이 더 큰 비중을 가지고 등장하게 된다. 이와 함께 핵심적 이미지가 ‘대낮’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조형성’의 형태적 이미지에서 ‘저녁’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황혼’,‘등불-안개’ 등의 색채적 이미지로 전환된다. 김광균 시의 특질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가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로 이동하는 양상과 관련된 구조화 원리는 다음두 가지 초점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적 형식의 차원으로서 ‘조형성의이미지’가 무너지고 ‘불투명성의 이미지’가 등장하면서 경계가 지워지며 흐려지는 부분은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고 부를 만한 성격을 가진다. 둘째, 시적 내용의 차원으로서 ‘건조한 정서’가 사라지고 ‘멜랑콜리의 정서’가더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화자의 정서 표출이 강화되는 부분’에서 시의주제적 차원이 탈은폐되면서 노출된다. 정신분석적 ‘승화’ 개념을 ‘멜랑콜리’ 개념과 결부시키면, 대상을 숭고한 실재적 사물의 차원까지 고양하는 ‘승화’와 그것이 무너지고 추락할 때발생하는 ‘멜랑콜리’는 일단 상호 대립적 관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승화’와 ‘멜랑콜리’ 사이의 간극 및 공백을 메우는 것은 바로 심리적 현실로서의 ‘실재’이다. 이 글이 분석한 시간성에 따른 ‘정서-이미지’의 상관항으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에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으로의 이동은 ‘승화’가 ‘멜랑콜리’로 전이되는 과정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부분은 ‘멜랑콜리’에 ‘승화’의 지향성이 잔존해 있고 혼융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김광균 시에 등장하는 ‘등불’은 ‘승화’와 연관되고, ‘안개’는 승화가 추락할때 겪는 ‘멜랑콜리’와 연관된다. 따라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는 승화와 멜랑콜리의 결합물, 좀더 정확히 말한다면, ‘승화가침잠된 멜랑콜리’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글은 김광균 시에서 회화적 이미지의 조형성과애상적 감상성이 공존하여 모순을 야기한다는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의 조합이 차별성을 가지고 존재하고, 작품의 내적 시간성에 따라 이동하면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를 통해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히려 했다. 이를 통해 김광균 시에서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 중 ‘대낮의 시간성-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향일성 및 형태의 사상성과 함께 원근법적 구도, 기하학적이고 건축학적인 구성, 공감각적 이미지 등을 통해 입체적 공간성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저녁의 시간성-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의 정서를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는 방식으로 형상화하여 실재의 사건성을 현재적으로 체험하고 시적 내용으로서 사유 및 정서에 투신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 This writing wishes to analyze Kim Gwang-Gyoon’s poetry in a viewpointof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and search it’s structural principle. Time of ‘high noon’ result link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 timeof ‘evening’ result link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ppearsgreatly as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In Kim Gwang-Gyoon’spoetry. Kim Gwang-Gyoon attempts first ‘dry emotion-modeling image’association, but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has larger weightas this attempt is pulled down. Also, central image is converted by color imageof ‘dusk’ and ‘light-fo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evening’ in fromfomations image of ‘modelin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afternoon’. Structural principle in Kim Gwang-Gyoon’s poetry can be arranged tofollowing two foci related to aspect that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moves as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s the first focusis dimension of poetic form, as opacity image appears after that modeling image``is pulled down, the border is removed and something that is equivocated haspersonality which is worth ‘negative description of real’. As second focus isdimension of poetic contents, dimension of main subject disclose in ‘speaker’semotion is solidified’ as ‘dry emotion’ vanishes and ‘melancholie emotion’ accounts for larger weight. If psychoanalysis’s ‘sublimation’ concept is linked with ‘melancholie’ concept,we can think that was put in conflicting relation mutually between ‘sublimation’that exalt target to dimension of noble thing and ‘melancholie’ that happenwhen it collapses and falls. To fill gap and blank between ‘sublimation’ and‘melancholie’ is ‘real’ as psychological reality be. The movement from the formerto the latter as correlation of ‘emotion-image’ by time that this article analyzescan be reinterpreted in process that ‘sublimation’ is changed as ‘melancholie’. We must keep in mind here that directivity of ‘sublimation’ has survived andmix in ‘melancholie’. In psychoanalysis’s concept, ‘light’ is involved with‘sublimation’, and ‘fog’ is involved with ‘melancholie’ that suffer whensublimation falls. Therefore ‘opacity image’ that ‘light’ and ‘fog’ are combinedcan understand by conjoiner of sublimation and melancholie. If say more correctly,we can understand as ‘melancholie that sublimation is deposited’.

      • KCI등재

        은폐된 은유 - 장 스타로뱅스키와 멜랑콜리 연구

        김영욱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論叢 Vol.80 No.3

        『멜랑콜리 치료의 역사』(1960)에서 『멜랑콜리의 잉크』(2012)까지 반세기 이상수행한 연구를 통해 장 스타로뱅스키는 멜랑콜리의 대표적 관념사가가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같은 대상을 의학사와 문학사 양쪽에서 길게 조사한 제네바대학 교수에게서멜랑콜리의 규정, 역사, 함축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것이다. 논문은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멜랑콜리 치료의 역사』에서 멜랑콜리 현상과 은유의 본질적 관계를 추출하여그것을 ‘은폐된 은유’라는 관념으로 규정한다. 그런 다음 『비평의 관계』(1970)를 중심으로 멜랑콜리의 역사에서 과학적 언어와 시적 언어의 분화라는 근대성의 조건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검토한다. 이 역사적 조건 위에서 멜랑콜리는 두 언어의 교착을 통해근대적 주체성이 고안되는 양태가 된다. 이 명제를 지지하는 사례가 문학사와 의학사 연구 양쪽에서 첨부된다. 『운동하는 몽테뉴』(1960)와 『거울에 비친 멜랑콜리』(1989)가 문학비평의 사례고, 『비평의 관계』에 수록된 의학사 논문 두 편이 과학 담론 연구의 사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현대사회에서 우울증 수기를 하나의 장르로 진지하게 다룰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스타로뱅스키의 멜랑콜리 연구가 가진 함축을 밝히고 동시에 그의사유에 한 가지 증거를 추가한다. 개인과 사회, 정신과 신체, 자연과 문명 등의 본질적 관계를 은유라는 형식으로 문제시하는 멜랑콜리의 사유는 고대에서 현대까지 유럽 의식의주요 토대다. 특히 스타로뱅스키는 개별 사례들을 유심히 살피며 이 문화적 패러다임의근대적 양상을 추적한다. Through more than half a century of research, from Histoire du traitement de la mélancolie (1960) to Encre de la mélancolie (2012), Jean Starobinski became a leading historian of ideas on melancho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k what the definition, history, and implications of melancholy are from Starobinski’s long conducted investigation in both medical history and literary history. The paper proceeds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from Histoire du traitement de la mélancolie,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of melancholy and metaphor is extracted and defined as concealed metaphor. Then, focusing on Relation critique (1970), it examines, in the history of melancholy, the consequences of a condition of modernity: the differentiation of scientific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On this historical condition, melancholy serves as a mode in which modern subjectivity is devised through the various intersections of two languages. This proposition is supported by cases from both literary history and medical history. Montaigne en movement (1960) and Mélancolie au miroir (1989) are examples of literary criticism, and two medical history treatises included in Relation critique are examples of the study of scientific discourses. Finally,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eriously treating depression memoirs as an important genre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reveals one implication of Starobinski’s melancholy research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s a piece of evidence to his thought. The “pensée mélancolique”, which questions, by considering the problem of metaphor,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mind and body, nature and civilization, is a major foundation of European consciousnes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In particular, Starobinski traces the modern aspects of this cultural paradigm by carefully examining individual cases.

      • KCI등재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

        배선미(Pei, Xian-Mei)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4

        본고에서는 피식민 국가에 살다간 시인 이상화가 인지한 비극적 현실인식을 시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슬픔과 비애의 감정을 ‘멜랑콜리의 정동’이라고 규명하였고 층위를 나눠서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우선 이상화의 작품에 드러난 세계인식의 형성을 살펴본다면 ‘상실’이라는 체험이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상실 체험과 이로 인해 파생된 우울한 내면을 동물 이미지와 결합하여 독특한 시 세계를 형성하였다. 조국과 민족 상실을 경험한 이상화는 자신이 처한 세계를 임박한 파국으로 바라보았다. 그의 시에 나타난 신 또는 신적인 이미지는 구원자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피할 수 없는 재앙과 종말을 가져오는 부정적인 존재로 형상화되었다. 이런 불행의 심리가 세계의 종말과 초월적 존재의 구원에 대한 불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종말론적 멜랑콜리’라고 정의하였다. 이상화는 부정적 세계의 종말에 대한 기대를 표출했지만 이는 단지 파멸의식 또는 죽음 충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파국과 같은 현실 속에서도 그는 새로 창조된 세계에 대한 희망을 간직하였으며 새로움을 추구하는 ‘영웅적 멜랑콜리’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는 단순한 슬픔만으로 귀결된 것이 아니라 상실한 것을 인식하고 그 상실한 것을 새롭게 창조하게 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화의 멜랑콜리는 역동적인 힘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는 시 세계를 추동하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그리하여 ‘멜랑콜리’는 그동안 감상주의 또는 퇴폐주의로 평가받았던 이상화의 시 세계를 재평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This paper mainly does research about a poet Lee Sang-hwa who has lived in a colonized country and his sadness he showed in his poem in the process of his cognition of the real world. And the feelings, which can be summarized as “melancholy affect”, will be investigated in layers subtly. By combining his experience of losing and the crying of animals together, Lee Sang-hwa expressed his sadness and sorrow over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extended sadness of his and the community. Besides, Lee Sang-hwa, who experienced the losing of his motherland and nation, believed that the world in which he lived was on the verge of collapse. The image of god in his poems didn’t mean the savior, but the brining inevitable disasters to the public of Korea oppositely. Therefore, a defiant attitude against the god was shown. Such a mentality, based on the expectation of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distrust of salvation, is defined as “the eschatological melancholy”. Despite of his expectation of the end of the passive world where he lived, this didn’t just end by the consciousness of destruction or the impulse of death. In the reality just as a dangerous situation, he was still hopeful about the “new world”, and put constant emphasis on innovation, which has demonstrated the “melancholia heroica”. In conclusion, the melancholy embodied in Lee Sang-hwa’s poems is not merely negative emotion, but an affect that implies a force driving him move forward.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when re-examining his world of poetry.

      • KCI등재

        2부 일반논문 : 우리 사회의 멜랑콜리: 자본주의적 멜랑콜리와 좌파 멜랑콜리

        김동규 ( Dong Gyu Kim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5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병리현상인 ‘사회적 멜랑콜리’를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하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 내에서 자본에 대한 물신숭배가 낳은 ‘자본주의적 멜랑콜리’이고, 다른 하나는 일찌감치 그 멜랑콜리의 원인을 간파하고 체제변혁을 갈망했던 좌파 진영이 빠져든 ‘좌파 멜랑콜리’이다. 추가적으로 나는 이런 멜랑콜리의 지성사적 배경으로서 그리스 신화를 도입하고 분석할 것이다. 먼저 피츠제랄드의 작품 『위대한 개츠비』에서 데이지의 목소리에 대한 기술방식에 주목하고, “돈으로 충만한 목소리”라는 표현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것은 돈에 대한 물신숭배를 가리킨다. 사실 이런 물신숭배는 피그말리온 신화에까지 소급된다. 여성혐오증자인 피그말리온은 자신의 조각품을 사랑하는데, 이것은 자기의 분신(조각상)을 사랑하는 것을 뜻한다. 자기사랑이라는 점에서 피그말리온은 나르키소스와 일치한다. 피그말리온의 후예들은 수학적이고 합리적인 질서로 표상되는 세계의 설계도면을 집요하게 추구했고 그것을 현실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대의 과학기술과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바탕에는 이런 나르시시즘이 놓여있다. 이것을 바탕으로 이 시대의 멜랑콜리가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벤야민과 짐멜, 맑스와 르 고프 등의 논의를 원용하면서, 나는 자본주의적 멜랑콜리를 정밀하게 규정할 것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런 멜랑콜리를 극복하고자 한 좌파도 멜랑콜리에서 자유롭지 않다. 좌파에는 고유의 멜랑콜리가 존재한다. 나는 좌파 멜랑콜리를 두 가지로 구분한다. 한편으로 기존 사회질서에 만족하지 못하고 마치 예술가처럼 새롭게 사회를 변혁하려는 창조적 멜랑콜리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벤야민이 말한 바 있는 무기력한 좌파 멜랑콜리가 있다. 전자가 예술가적 천재의 멜랑콜리에서 유래한 것인 반면, 후자는 중세 아케디아에서 유래한 멜랑콜리다. 벤야민이 보기에, 무기력한 좌파 멜랑콜리는 절망과 허무로 귀착된다. 사회적 멜랑콜리를 치유하는 근본 해법은 차치하고라도, 나는 이 글을 통해 사회적 멜랑콜리를 치유하는 해법 찾기가 지식인들의 어께에 얹힌 엄중한 과제라는 사실만큼만은 입증하려 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pathological symtoms in our society, especially ‘the social melancholy’ in two aspects. The one is the capitalistic melancholy which the capitalistic economy system have brought about, the other is the ‘left-wing melancholy’, into which the left-wing have sunk, who had seen through a few causes of this capitalistic melancholy and had longed for the revolutions. Additionally I will treat two Greek myths, narcissus and pygmalion as the intellectual historical background of this melancholy. First of all I am going to focus on the mode of description of the Daisy`s voice in F. Scott Fitzgerald`s work, The Great Gatsby. This passage, “her voice is full of money” is a expression among many descriptions and indicate that Daisy is a sort of money fetishist. In fact this fetishim extends back over the pygmalion`s myth. Pygmalion loved his own sculpture, because he could not love the other, but only the thing that was seen as his alter ego. In the aspect of Self-loving, pygmalion is very similar to narcissus. The decendants of pygmalion tried to seek the blueprint of the world, which represents the mathematical and reasonable order and developed the technology which could actualize it. This narcissism lies on the ground of modern technology and capital economy system. Based on this narcissism, the melancholy could be rampant in our society. I will define exactly the capitalistic melancholy, referring to the discourses of Benjamin, Simmel, Marx, and Le Goff etc. Interestingly the left-wing also were not free from the melancholy, even if they tried to overcome the capitalistic system. I divided the left-wing melancholy into 2 parts. On the one hand there is the creative melancholic that are not satisfied with ready-made social order and want to change it as if they were artis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powerless melancholy that Benjamin said about. The former is derived from the melancholy of genius artists and the latter is derived from the acedia in Middle Ages. According to Benjamin, the helpless left-wing melancholy is resulted in the nihilism. Putting aside a foundamental solution to heal the social melancholy, this paper is proving that it is the heavy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 to seek for the solution.

      • KCI등재

        변증법적 사유와 멜랑콜리

        김경수(Kim, Kyoung-Soo)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6 No.2

        1990년대 벌어진 구-현실사회주의권의 붕괴 이후 진보적 지식인들에게는 ‘좌파 멜랑콜리’가 낯선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노동해방과 인간해방의 전면적 혁명이란 ‘실체화된 절대적 동일성’에 대한 희구가 남아 있어 생겨난 사태였다. 이런 부분적으로 병적인 절대적 동일성은 현실과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형태변화 되어야 한다. 멜랑콜리 개념을 반성철학적으로 재구성하면, 그것은 “타자와의 부등성, 자신과의 부등성, 그리고 폐쇄적 자아내부에서 자신과 그것의 타자와의 부등성”으로 정리된다. 이런 구조는 헤겔의 『정신현상학』의 ‘불행한 의식’ 및 『논리학』의 ‘상이성’ 범주 등과 구조적 유사성을 지닌다. 이들 모두는 그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위해 존재 자체가 지닌 절대적 부정의 힘을 호출한다. 그렇다면 헤겔에서와 마찬가지로 ‘이행운동’의 동력은 어떤 낭만적으로 신비화된 특정 사회체제, 혹은 실체화된 절대적 동일성에서 얻어질 수는 없다. 그것은 더 이상 분할/환원 불가능한 궁극적 단위로서의 인권과 같은 절대적 부정성이어야 하는 바, 좌파 멜랑콜리의 지양은 바로 이런 전환에서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collapse of the sphere of realsocialism in the 1990s, the leftist melancholy was not a stranger to the progressive intellectuals. It was a situation that may be caused by the “substantialized absolute identity” of the total revolution of labor liberation and human liberation. This absolute identity should be transformed in oder to establish a healthy relationship with reality. When the melancholy concept is reconstructed reflexions philosophically, it is summarized as “inequality with the other, inequality with oneself, and inequality with oneself and its other within the closed self”. This structure has a structural similarity with Hegel’s “Unhappy consciousness” of the Phenomenology of the spirit(1807), and the catagory “Diversity” of the logic of the science(1811). All of these call for the absolute power of the Negativity that is originally embedded in the Being for the transition to the next dimension. Then, as in borrowed Hegel, the dynamic of the “movement” can not be obtained from any romantic mystified social system, or from the “substantialized absolute identity” of reality. It should be an absolute negativity, such as human rights as the indivisible and irreducible ultimate unit, which may be achieved in this transformation of the leftist melancholy.

      • KCI등재

        멜랑콜리: 17세기 유럽 문화의 한 가지 동인 -시대적 배경, 바로크 멜랑콜리, 그리고 멜랑콜리 담론

        김유동 ( Yuh Dong Kim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3 No.-

        Diese Arbeit stellt zuerst die zeitgeschichtlichen Hintergrunde dar, vor denen die Melancholie des 17. Jahrhunderts entstehen konnte, und zeigt danach, dass die Melancholie einer der Kernbegriffe ist, die die barocke Kultur kennzeichnen und dass sie von zeitgenossischen Texten auf unterschiedliche Weise thematisiert wurde. Die Melancholie im 17. Jahrhundert war vor allem die emotionale Reaktion auf komplexe Krisen, und dazu wirkte in protestantischen Gebieten des Heiligen Romischen Reiches das Luthertum mehr oder weniger auf die Entstehung eines solchen Gemutszustands. Die barocke Kultur kann man ohne Melancholie-Konzept nicht recht verstehen. Sie wurde nicht nur durch hofisch-weltliche Prachtigkeit und religiose Entzuckung gepragt, sondern auch durch deren Schattenseite, Eitelkeit und Trauer. Die Melancholiediskurse des 17. Jahrhunderts weichen im Großen und Ganzen nicht vom tradierten Melancholieverstandnis ab und stehen noch unter dem Einfluss des Christentums. Jedoch besitzen sie auch, wie es die Falle von Robert Burton und Blaise Pascal zeigen, ihre besonderen Merkmale. Merkwurdig ist in Robert Burtons ≪Anatomyof Melancholy≫, dass der Autor seinen melancholischen Blick auf den Gegenstand projiziert, so dass die anatomisch analysierende Darstellung der Melancholie durch die Melancholie des Autos durchdrungen wird. Einerseits spielt Burton unter der Maske des "Democritus Junior" das Spiel der doppelten Perspektive, andererseits leidet er darunter. In ≪Pensees≫ wird der Mensch als ein elendes Wesen aufgefasst. Er will zwar in der Zerstreuung(divertissement) sein Elend vergessen, aber gerade in diesem Wunsch bestatigt sich nach Pascal das großte Elend des Menschen. Pascal fasst den Menschen zweiseitig: Der Mensch ist nicht nur elend, sondern groß, solange er sein Elend erkennt. Erst wenn er die Grenze der Vernunft und damit seine Grenze erkennt, entsteht der Ansatzpunkt fur einen transzendenten Schwung zum Religiosen. In Aegidius Albertinus` Lasterspiegel ≪Lucifers Konigreich und Seelengejaidt≫ wird die Acedia (Tragheit) als eine der Haupt- oder Todsunden zwar implizit aber unverkennbar im engen Zusammenhang mit der Melancholie behandelt. Da dieses Werk die katholische Position vertritt, ist die eigene Ansicht des Autors darin nicht zu finden. Dieses Werk kann man als ein Beispiel dafur verstehen, dass die Melancholie auch im 17. Jahrhundert von der Kirche ausschließlich negativ bewertet wurde.

      • 하이데거 철학의 멜랑콜리: 『껸재와 시간』에 등장하는 실존론적 유아론의 멜랑콜리

        김동규 ( Kim Dong-gyu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존재론 연구 Vol.19 No.-

        이 글에서는 궁극적으로 하이데거 철학의 핵심부에 멜랑콜리가 자리 잡고 있음을 보이려 한다. 하이데거는 “철학과 정치, 시 또는 예술 방면 의 비범한 사람들이 모두 멜랑콜리커”였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잘 알고 있었고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했다. 탁월한 기분 분석을 통해서 하이데거는 멜랑콜리를 통한 철학 이해의 발판을 제공해 주었으며, 동시에 ‘불안’ 분석을 통해서 멜랑콜리가 철학의 근본개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쿠라와 사투르누스 신화를 통해 하이데거는 자신의 철학의 선존재론적 선취를 말하고 있는데, 쿠라와 사투르누스는 모두 멜랑콜리와 깊은 관련이 있는 신화이다 이 밖에도 ‘죽음을 향한 존재’, ‘양심’과 같은 모티브 역시 ‘메멘토 모리’와 ‘자기비난’을 특징으로 하는 멜랑콜리와 연관된다. 멜랑콜리의 비정상성은 역설적으로 현존재의 본래성과 연관된다. 하이데거에게 멜랑콜리는 본래적인 현존재의 고독에서 발원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고독은 한갓 심리적인 감정 상태를 기술하는 말이 아니라 하이데거가 규정한대로 (자기)철학의 근본개념을 뜻한다. 하이데거는 타인 현존재와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적 모델을 제시한다. 현존재의 함께-있음 때문에 다른 현존재를 만날 수 있다거나, 본래적인 결속성을 통해 타인의 본래성을 배려하지만 그것도 결국 자기의 본래성을 확보한 다음에야 가능한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하이데거는 자기-중심의 존재론을 확립한다. 현존재는 고립된 주체내지 실체가 아니라 세계-내-존재이지만, 그 세계는 다시 자기-내-존재로 회귀한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유아론”을 이해할 수 있다. 비교(문화)철학적 관점에서 하이데거의 철학적 유아론은 김상봉이 언급한 바 있는 서양철학의 나르시스적 본질에서 유래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하이데거는 누구보다도 인상적으로 서양전통철학을 비판한 장본인이지만, 멜랑콜리 정조를 통해 규정되는 서양 전통철학의 흐름에서는 한 걸음도 벗어나지 못했다. This paper will reveal that there is the melancholy in the essential core of Heidegger’s philosophy.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demonstrate which relation have melancholy and Heidegger’s existential solipsism in Sein und Zeit.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Heidegger’s texts, in which melancholic motif are there, specially his opus magnum, Sein und Zeit. There are many motifs, for example anxiety, death, time, care, conscience, solitude ect. I will relate these motifs to melancholy-discussion, specially to discussion of Freud’ psychoanalysis. Thus we can find the intrinsic relations between the melancholy and the existential solipsism, that Heidegger called his own philosophy. Finally, we can confirm that Heidegger’s philosophy belongs to the traditional melancholy-discussion and western philosophy, which is logo-centric and self-centric, though he tried to overcome the traditional western philosophy during his whole life.

      • 엘리자베스 왕조 시대의 영국적 ‘멜랑콜리’ 고찰

        김미옥(Mi-Ock Kim) 낭만음악사 2009 낭만음악 Vol.21 No.4

        엘리자베스 1세의 50년에 걸친 통치 기간은 엄청난 종교적ㆍ정치적ㆍ외교적 소용돌이를 극복하고 근대 영국으로 거듭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문화사적 측면에서도 강력한 국가적 힘을 상징하고자 왕궁을 중심으로 한 화려한 예술이 꽃피고, 다른 한편으로는 거대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사상도 움텄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서, 아직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제3의 문화적 흐름도 있다. 규모나 형식면에서는 소박하지만, 종교적 박해 등에 의한 고통, 우울함과 불안, 평화에 대한 갈구 등 진솔한 심정을 표현한 시와 음악이 그것이다. 음악 분야에서는 존 다울란드의 노래 〈흘러라 내 눈물이여〉 등이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의 감성, 즉 ‘멜랑콜리’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언급되어 온 정도이다. 본고에서는 엘리자베스 1세의 치세가 종식된 직후에 시인 레이튼의 개인적인 고통이 종교적 분위기로 승화된 시 54편에 21명의 작곡가들이 음악을 붙인 악보집 『눈물 또는 슬픈 영혼의 애가』를 중심으로 ‘영국적 멜랑콜리’에 대해 좀 더 폭넓게 고찰해 보았다. The Teares or Lamentacions of a Sorrowfull Soule is the title for two kinds of anthology, both edited and published by Sir William Leighton. He, a poet and amateur musician, was outlawed by letters patent in 1608 for debt. Although he failed to comply for some time, he was finally in prison by 1612. In this year, Leighton wrote a collection of semi-religious poems to show the true repentance, and published under the title The Teares or Lamentations of a Sorrowfull Soule. And the next year, he published a collection of 55 music set to those poems by 21 English composers under the same title. Leighton wrote the first eight of the 18 consort songs, which are all for four voices with broken consort, and there follow 12 unaccompanied four-part and 25 five-part settings of full anthem. The quality varies from the just competent to the considerably expressive. In this paper, those 21 composer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cting fields(Royal chapel, court, amateur/freelancer) to examine their works comparatively in terms of style and expressiveness.

      • KCI등재

        전후 손창섭 문학의 애도와 멜랑콜리-1950년대 초기 단편을 중심으로

        이다온 춘원연구학회 2018 춘원연구학보 Vol.0 No.13

        손창섭 문학의 본령은 전쟁을 다룬 1950년대 작품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후 현실의 비극을 다룬 그의 작품은 어둡고 음울한 분위기, 병리적 인간상, 인간에대한 모멸감, 극단적 허무주의 등으로 대변되는 파괴된 세계와 인간성의 상실을 보여준다. 애도와 멜랑콜리가 손창섭 작품 독해에서 중요한 이유는 바로 그의 소설이 전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매우 근원적인 사실에서 비롯된다. 손창섭은 상실한 대상또는 상실된 내면을 응시하지 못하는 멜랑콜리 주체의 우울한 감성을 통하여 전쟁으로인한 당대의 상처를 성찰한다. 1950년대 한국 사회는 해방 이후 식민지와 전쟁의 상흔을 망각해야만 했던 시기였다. 당시 남한은 반공주의와 더불어 획일화된 국가주의의 환상을 급속도로 양산해냈다. 모든 것이자 초과의 형식으로 나타난 국가는 절대화 되었으며 신성시 되었다. 이 과정에서 국가는 국민이라는 동일성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국민의 신체로 포섭될 수 없는 ‘불온한 타자’들을 배제했다. 요컨대 전후 한국은 전쟁과반공, 국가주의 등으로 인해 ‘타자성’을 상실해버린 시대였다. 그런데 손창섭 소설의주인공들은 타자성을 박탈당하는 사회에서 생겨난 멜랑콜리를 통해 상실된 타자에대한 향수를 드러낸다. 한마디로 손창섭 소설은 타자와 쉽게 결별할 수 없는 멜랑콜리 주체를 통해 애도의 정치가 불가능한 시대적 상황에 맞서 진정한 애도의 정치를모색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1950년대 손창섭의 초기 단편(「비 오는 날」, 「생활적」, 「혈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이 보여주는 애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한다.

      • KCI등재

        음악적 멜랑콜리: 바로크 시대 기악음악의 영감과 기법을 중심으로

        박윤경 ( Park Yoon-kyung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21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멜랑콜리’ 소재를 통해 음악 창작의 주제에 접근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멜랑콜리는 영감이나 천재성과 연관되었고, 르네상스 시대 동안 음악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쳐 특정 악기나 장르와 연관되기 시작했다. 특히 오르페우스 신화의 유행으로 천부의 음악적 재능이 당시의 대표적인 현악기인 류트와 연관되었고, 류트는 멜랑콜리를 상징하는 악기로도 통용되게 된다. 이후로 비범하고 강력한 느낌으로서의 멜랑콜리는 음악 창작에 영감을 주었고 구체적인 작곡기법과 연계되었다. 멜랑콜리를 소재로 사용한 음악가는 테크닉과 자유를 구사하며 청중의 상상력에 멜랑콜리를 생생히 전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음악 창작에서의 멜랑콜리의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기악음악에 국한하여 문헌상 발견되는 멜랑콜리의 의미를 살펴보았고, 판타지아와 소나타 장르를 중심으로 멜랑콜리와의 연계를 추적하고 작곡기법을 분석하였다. Cet article est consacré au sujet de la création musicale basée sur la « mélancolie » de la Renaissance à l’âge baroque. Depuis Aristote, cette notion « mélancolie », d’où résultent, prétend-on, l’inspiration créatrice et le génie artistique, n’est point inconnue dans le domaine musical. Cette idée de mélacolie, d’après la mythologie occidentale, surtout, celle d’Orphée, se représente souvent dans une image de luth ; celui-ci est donc regardé longtemps comme un symbol de mélancolie. La représentation d’une mélancolie, sentiment extraordinaire et puissant, confie aux musiciens de cette époque une grande inspiration et leur exige de grandes techniques. Les musiciens pratiquent de façon autonome et libre à l’aide de leurs propres moyens de faire incarner la poésie mélancolique dans l’imagination des auditeurs. Notre étude consiste à analyser de certains morceaux musicaux extraits d’ouvrages de cette époque et à éclaircir leurs techniques spéciales et propres à représenter l’idée et le sentiment de mélancolie dans les deux genres : fantasia et son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