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튜링의 업적이 지닌 철학적 함의 -'멈춤정리'를 중심으로-

        박창균,Park, Chang-Kyun 한국수학사학회 2012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5 No.3

        This paper aims to examine Alan Turing's life at the centenary of his birth and to discuss a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his work by concentrating on halting theorem particularly. Turing negatively solved Hilbert's decision problem by proving impossibility of solving halting problem. In this paper I claim that the impossibility implies limits of reason, and accordingly that the marginality in cognition and/or in action should be recognized. 이 글의 목적은 튜링이 태어난 지 100주년을 맞이하여 튜링의 삶을 살펴보고 그의 업적 중 특히 '멈춤정리' 에 주목하여 철학적 함의를 궁구하는 것이다. 튜링은 멈춤문제가 해결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힐베르트의 결정문제를 부정적으로 해결했다. 본고에서는 멈춤문제의 해결불가능성이 이성의 한계를 함축한다고 파악하고 인식이나 행위에 있어서 여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 멈춤신호놀이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유현정,김기홍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8 특수체육연구 Vol.5 No.-

        본 연구는 멈춤신호놀이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복지관에서 주의산만, 충동성, 과잉행동성향을 보인 ADHD판정을 받은 아동 3명이며, 단일대상연구 중 대상자간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여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멈춤신호놀이프로그램은 ADHD아동의 충동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멈춤신호놀이프로그램은 ADHD아동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effects of the Stopping-signal Play Program on the impulse and self-control of the child diagnosed as ADH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 boys who Showed the Severs degree of the distraction, impulse personality and hyperactivity by the judgment of diagnosis.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examined by using the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in single subject study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s : First, Stopping-signal Play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the impulsive behavior of the child diagnosed as ADHD. Second, Stopping-signal Play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control of the child diagnosed as ADHD.

      • KCI등재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멈춤 규칙과 SM3 디자인을 이용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

        김병찬,김동재,Kim, Byoungchan,Kim, Dongjae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1

        제 1상 임상시험의 목적은 피험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용량인 최대허용용량(Maimum Tolerated Dose; MTD)을 추정하는 것이다. 최대허용용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SM방법, ATD방법, CRM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멈춤규칙을 이용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은 연속재평가방법(Continual Reassessment Method; CRM)과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Phase I Clinical Trials estimate a Maximum Tolerated Dose(MTD). In this paper, an MTD estimation method applied stopping rule is proposed for Phase I Clinical Trials. The suggested MTD estimation method is compared to the Continual Reassessment Method(CRM) method us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 KCI등재

        부정정서 상황에서 자살의도 없는 자해시도자의 억제조절 결함

        이서정,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at the non-suicidal self-injury (NSSI) group had deficits of inhibitory control in negative emotional situations, unlike the health control group. To this end, the social exclusion paradigm, effective for emotional manipulation, was applied to randomly assign to th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conditions, and the effective stop signal task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bility to manifest inhibitory control. We applied an effective stop signal task to identify the inhibitory control, and random assignments to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conditions applying the social exclusion paradigm. As a result, the NSSI group showed lower accuracy in no signal and stop signal trials and a faster response in the no signal trial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NSSI group was less accurate in no signal and stop signal trials than the control group assigned to the negative emotional conditions, and showed relatively short stop signal delay in the stop signal trials. This supports previous studies and reflects deficits in the inhibitory control of non-suicidal self-injurer in negative emotional situations. This finding complementary supports the findings of self-reported psychological measurements or neurophysiological imaging studies on inhibitory control of the NSSI, and has therapeutic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자해 경험을 보고하는 집단은 건강대조 집단과 달리, 부정정서 상황에서 행동 억제조절 능력의 결함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서 조작에 효과적인 사회적 배제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부정정서와 중립 정서조건에 무선 할당하고, 멈춤신호 과제를 실시하여 행동 억제조절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해보고 집단은 건강대조 집단에 비해 No Signal 시행과 Stop Signal 시행 모두에서 정확률이 낮았고, No Signal 시행에서의 반응 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자해보고 집단은 부정정서 조건에 할당된 경우 같은 조건에 할당된 건강대조 집단에 비해 No Signal 시행과 Stop Signal 시행 모두에서 정확률이 저조하며, Stop Signal 시행의 멈춤신호 지연시간도 상대적으로 짧았다. 이는 자해 경험자가 부정정서 상황에서 행동 억제조절 능력의 결함이 있음을 반영한다. 이 결과는 자살의도 없는 자해경험자의 억제조절 능력에 대한 자기보고식 측정 연구나 신경생리학적 이미징 연구의 결과를 보완적으로 지지해주며 치료적 함의를 갖는다.

      • 수동변속기 변속조작력 해석 및 최적화 방법 고찰

        장성식(Seongsik Jang),신남선(Namsun Shin),배동영(Dongyoung Ba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1 No.5

        In this paper, main factors of manual transmission internal shift control part about shift force and how can we analysis and optimize the shift force by mathematical approach are presented. 3 kinds of detent device on Shift Tower and Fork-shift and Sleeve ASM are considered as main control factors and its contribution for shift force are analyzed. Shift force optimization is based on driver’s requirement for comfortable shifting in the view of shift stroke and force variation characteristics that can recognized as driver feeling. To make close correlation of real driver shift feeling and analytical force value, frictionless component and minimized free play of each component are recommended.

      • KCI등재

        멈춤 신호 과제의 타당화 연구

        원주영,김은정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1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Stop-Signal Task and to investig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top-Signal Task provides a measure of the efficiency of response inhibition deficit. Adults with ADHD tendencies and the control group completed ADHD scales(current symptoms scales, childhood symptoms scale), and impulsivity scales. Then the two groups performed the Stop-Signal Task and the Continuous Performanc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SRT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ult ADHD scores, Barratt impulsivity scores, and Dickman impulsivity scores. Second, in the case of the Stop-Signal Task, Delay and GORT of the ADHD group were shorter than delay and GORT of the control one, and SSRT of the ADHD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e. In other words, adults with ADHD tendencies have response inhibition defici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trast, on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DHD group and the control one. Third, alternate-form reliability of the Stop-Signal Task was significantly moderate. In conclusions, Stop-Signal Task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assess the efficiency of response inhibition. Finally,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반응 억제 결함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멈춤 신호 과제를 개발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성인 ADHD 고경향 집단과 저경향 통제 집단에게 ADHD 질문지와 충동성 질문지를 작성하게 한 후, 멈춤 신호 과제와 연속 수행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멈춤 신호 과제의 SSRT는 성인 ADHD 점수, 바랫 충동성 점수 및 딕만 충동성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멈춤 신호 과제에서 성인 ADHD 고경향 집단의 SSRT는 저경향 통제 집단의 SSRT보다 더 길었다. 즉 ADHD 고경향 집단이 저경향 통제 집단보다 반응 억제를 잘 하지 못하였다. 한편 연속 수행 과제에서는 성인 ADHD 고경향 집단과 저경향 통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멈춤 신호 과제의 동형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유의한 신뢰도 계수를 보였다. 이 결과는 멈춤 신호 과제가 반응 억제 결함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 도구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분자선에피택시에 의해 성장한 GaAs/AlGaAs 양자우물의 성장 멈춤 효과

        김민수,임재영,Kim, Min-Su,Leem, Jae-Young 한국진공학회 201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9 No.5

        The growth interruption effects on growth mode of the GaAs and AlGaAs epitaxial layers grown on GaAs substrate by molecular beam epitaxy were investigated. Growth process of the epitaxial layers as a function of the growth interruption time was observed by 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 (RHEED). The growth interruption time was 0, 15, 30, 60 s. The GaAs/$Al_{0.3}Ga_{0.7}As$ multi quantum wells (MQWs) with different growth interruption time were grown and its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RHEED intensity oscillation and optical property of the MQWs were dependent on the growth interruption time. When the growth interruption time was 30 s, interface between the well and barrier layers became sharper. 분자선 에피택시 방법을 이용하여 GaAs 기판 위에 GaAs 및 AlGaAs 에피층을 성장하면서 성장 멈춤 효과를 연구하였다. 성장 멈춤 시간에 따른 에피층 성장 과정은 반사 고에너지 전자회절로 측정하였다. 성장 멈춤 시간은 0, 15, 30, 60초로 하였다. 그리고 성장 멈춤 시간을 달리하여 GaAs/$Al_{0.3}Ga_{0.7}As$ 다양자우물을 성장한 후 양자우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사 고에너지 전자회절의 강도 진동은 성장 멈춤 시간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양자우물의 광특성도 성장 멈춤 시간에 의존하고 있었다. 성장 멈춤 시간이 30초일 때 우물과 장벽층 사이에 급준한 계면을 가지는 에피층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HadGEM2-AO RCP8.5 모의에서 나타난 지구온난화 멈춤

        위지은,문병권,김기영,이조한 한국지구과학회 201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5 No.4

        Despite the greenhouse gases like carbon dioxide have steadily increased in atmosphere, the overall trend of theglobal average surface air temperature has stalled during the last decade (2002-present). This phenomenon is often calledhiatus or warming pause, which is challenging the prevailing view that anthropogenic forcing causes warmingenvironment. Our study characterized the hiatus by analyzing the HadGEM2-AO (95 yrs) simulation data based onRCP8.5 scenario. The PC2 time series from the EOF of the zonal mean vertical ocean temperature has been defined asthe index that represents the warming p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atus, ENSO and the changes in climatesystem are identified by utilizing the newly defined PC2. Since the La Niña index (defined as the negative of NINO3index) leads PC2 by about 11 months, it may be possible that the La Niña causes the warming to be interrupted. We alsoshow that the cooling of the climate system closed tied to the heat penetration into the deep ocean, indicating theweakening the warming rate is due to the oceanic heat uptake. Finally, the global warming hiatus is characterized by theanomalous warming in Arctic region as well as the intensification of the trade wind in the equatorial Pacific. 대기 중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최근 10여 년 동안(2002-현재) 전지구 지표 온도는 거의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처럼 온실기체 강제력에도 불구하고, 지구 온난화 경향이 사라진 듯 보이는 현상을 지구 온난화 멈춤(hiatus)이라 한다. 이 연구는 HadGEM2-AO가 모의한 RCP8.5 시나리오 실험(95년간) 자료를 분석하여, 온난화 멈춤 시기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온난화 멈춤 기간을 나타내는 시계열은 동서 평균한 연직 해수 온도 분포를 EOF 분석하여 구한 두 번째 PC (PC2)로 정의하였다. PC2를 이용하여 온난화 멈춤과 엔소와의 관련성, 기후시스템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라니냐 지수(NINO3지수에 −1을 곱하여 정의)가 PC2를 약 11개월 앞서는 것으로 보아 라니냐 발생이 온난화 멈춤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기후시스템의 냉각은 해수 표층의 열이 해양 내부로침강으로 나타남을 보였다. 이는 해양의 열흡수에 의해 전지구 온도 상승률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온난화 멈춤 시기에 북태평양과 북반구 극지는 양의 온도 편차가 나타났으며, 열대 해양에서는 무역풍이 강화되었다.

      • KCI등재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다양한 멈춤 규칙을 이용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

        전소영,김동재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2

        제1상 임상시험은 `투약 용량 발견 시험(dose finding study)’라고도 불리는데 동물 실험 또는 시험관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신약 물질을 사람에게 시험하는 첫 단계이다. 제 1상 임상시험의 목적 중 하나는 환자에게 허용할 수 있으면서 최대의 효능을 가진 복용량인 최대허용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을 결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멈춤 규칙을 이용한 MTD 추정법들을 소개한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SM3, NM, Rim, J3, BSM 방법을 비교하고 효율적인 MTD 추정법에 대해 고찰한다. 모의실험 결과 BSM방법이 목표독성확률에 가장 가깝게 MTD를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J3방법의 피험자 수가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방법의 멈춤 규칙의 특성 때문이라고 판단되는데 BSM방법은 독성 반응이 있을 때 같은 용량에 피험자를 2명 또는 1명을 추가한다. 또한 J3방법은 동일한 용량에 할당되는 최대 피험자 수가 다른 방법에 비해 적다. 이러한 특성들을 결합하여 추정법을 개선한다면 더 효율적으로 MTD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BSM방법의 멈춤 규칙을 이용하면서 총 피험자 수를 줄일 수 있다면 적은 수의 피험자로 정확한 추정이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