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유창성 특성 비교

        고영옥,전희숙,권도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再活科學硏究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tutter children on the speech task. The speech task was automatic speech, reading, and monologue. we collect speech sampling during of task. In the study participated seven stuttering children of 7 to 12years old(4 males, 3 females) and seven nonstuttering children(5 males, 2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nonstuttering in the articulation rate. On the automatic speech task, 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71.60(SPM) and non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68.34(SPM). On the reading task, 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225.82(SPM) and non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218.09(SPM). On the monologue task, 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95.58(SPM) and non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91.95(SPM). Second, In the stutter children, dysfluency syllable number varied on the speech task. Also, stutter children, dysfluency syllable rate varied on the speech task. On the automatic, monologue task, dysfluency syllable number was mean 8.57syllable (SD=9.71), 20.71syllable (SD=13.47). On the automatic, monologue task, dysfluency syllable rate was mean 15.85%(SD=32.98), 29.00%(SD=19.74).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아동이 각기 다른 구어 과업에서 유창하게 말할 때의 구어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7~12세의 말더듬 아동 7명(남자 4명, 여자 3명)과 일반 아동7명(남자 5명, 여자 2명)이었다. 자동구어와 독백 과업을 실시하는 동안 구어샘플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유창한 구어의 속도에는 차이는 없었다. 자동구어 및 독백 과업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업별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한 음절수는 구어과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유창한 음절 비율도 구어과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동구어, 읽기, 독백과업에서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한 음절수는 평균 8.57음절(SD=9.71), 27.57음절(SD=23.47), 20.71음절(SD=13.47)이었다. 비유창한 음절비율은 자동구어, 독백과업에서 평균 15.85%(SD=32.98), 61.35%(SD=106.08), 29.00%(SD=19.74)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