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탈린, 마오쩌둥(毛澤東)의 지정학적 관점이 중국의 6·25전쟁 참전에 미친 영향 연구

        최윤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중소연구 Vol.44 No.4

        In this study,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the Chinese force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in the Korean War were deviated from the state-centered composition of the'Soviet-China relations', and to the state leaders in the'Relationship between Stalin and Mao Zedong' from a geopolitical perspective Focusing. It examines how Stalin and Mao Zedong's geopolitical views on the Korean peninsula influenced China and the Soviet Union as a driving force behind the Korean War. The geopolitical view of Stalin and Mao Zedong put geopolitical interests ahead of the communist duty of proletarian internationalist solidarity, and there is a side in which “mutual distrust” is more internalized in such an extension. Like the monarchs who ruled Russia, Stalin considered the Korean peninsula as a forward base as a non-stop port to advance into the Pacific and as a tool to check maritime forc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completed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Kim Il-sung (When the U.S. forces intervened in this war, Mao Zedong was transferred to the war so that Chinese forces could be drawn into the war. In addition to maintaining its influence, he attempted to maintain control over Mao Zedong. Mao Zedong viewed the Korean peninsula from relations with China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was excluded from interven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Korean War. Based on the attempted SunMangChiHanRon (脣亡齒寒論: Losing lips makes teeth cold), the Chinese troops will be engaged in the war. In conclusion, Mao Zedong expected to suffer severe personal and material damage if he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nd knowing that Stalin's tendency to pursue geopolitical interests would lead to a geopolitical view of the Korean Peninsula. Depending on your point of view, you will participate in the Korean War.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leaders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 Stalin and Mao Zedong, each intervened in the Korean War in accordance with the geopolitical views that sought to control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6·25전쟁에 있어서 중공군의 참전과정과 배경을 ‘소련-중국 관계’에서의 국가 중심의 구도에서 벗어나 ‘스탈린-마오쩌둥(毛澤東) 간의 관계’에서의 국가지도자에 지정학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과 소련이 6·25전쟁에 개입하게 된 동인으로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한반도에 대한 지정학적 관점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지정학적 관점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연대라는 공산주의자로서의 의무보다는 지정학적 이익을 앞세웠고, 그러한 연장선 상에서 ‘상호불신’이 보다 내재화된 측면이 있다. 스탈린은 제정(帝政) 러시아를 통치한 군주들처럼 한반도를 태평양 진출을 위한 부동항(不凍港)으로서의 전진기지 역할과 미국과 일본 등의 해양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도구로써 생각하고 김일성을 통해 한반도를 완정(完征)하고자 했으며, 미군이 이 전쟁에 개입 시에는 중국군을 전쟁에 끌어들일 수 있도록 마오쩌둥을 인계철선화(引繼鐵線化) 하여 미군이 개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영향력을 상쇄시킴으로써 극동에서의 소련의 영향력을 유지시킴은 물론, 마오쩌둥에 대한 통제력도 유지하고자 하였다. 마오쩌둥은 한반도를 중국과의 관계에서 순망치한(脣亡齒寒)의 관계에서 바라보았고, 6·25전쟁 초기에는 개입에서 배제되었으나, 미군의 참전으로 인해 미국과 일본 등의 해양세력으로부터 중국대륙을 보호하고자 하는 순망치한론(脣亡齒寒論)에 기초하여 주도하여 중국군을 참전시키게 된다. 결론적으로 마오쩌둥은 6·25전쟁에 참전하게 되면 심대한 인적·물적 피해를 받게 될 것을 예상하였음은 물론, 스탈린의 지정학적 이익 추구 성향으로 인해 통제를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한반도를 바라보는 지정학적 관점에 따라 6·25전쟁에 참전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스탈린과 마오쩌둥이라는 소련과 중국의 지도자가 각각 한반도를 통제하고자 했던 지정학적 관점에 따라 6·25전쟁에 개입하였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마오쩌둥 시기 중국의 주권정책: 중·소 동맹과 중·영, 중·일 수교과정을 중심으로

        김애경(Aekyung Kim)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3

        이 글은 마오쩌둥 시기 중국의 주권정책을 고찰한다. 마오쩌둥 시기 중국은 강경한 주권원칙을 고수했다.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통치에서 벗어나는 과정, 내전을 통해 정권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마오쩌둥은 어떤 국가도 중국의 내정에 간섭할 수 없고 중국 국경 내(內)의 일은 스스로 해결할 것이라며 주권원칙 제시했다. 마오쩌둥시기 중국은 ‘새롭게 시작한다(另起爐灶)’, ‘과거를 청산한다(打掃房子再請客)’와 ‘평화공존5원칙(和平共處五原則)’을 제시하며 주권수호 의지를 표명했다. 그런데 마오쩌둥 시기 중국은 새로운 인센티브나 명확한 물질적 보상에 직면했을 때 주권의 일부를 양보하는 유연한 정책으로 활용했다. 이는 중소 동맹 체결과 중영 수교과정에서 홍콩문제에 취한 중국의 태도, 중일 수교과정에서 주권관련 이슈에 대한 중국의 태도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이 세 가지 사례는 마오쩌둥 시기 수교협상 과정에서 중국이 주권이슈에 타협적인 모습을 보였던 대표적인 예이다. 마오쩌둥 공산당 정부는 국민당 정부를 부정하고 공산당 정권의 대내외적 합법성을 표명하며, 경제발전을 통한 국가부흥에 도움이 되는 명확한 물질적 보상과 이익을 만족시킬 수 있多(다)면 핵심 이익인 영토주권의 문제에서도 타협의 태도를 보였다. 절대적 주권개념을 주장하던 마오쩌둥 정부가 주권을 원칙이 아닌 정책으로 활용했다는 점은 향후 중국이 국가 간 관계 및 정책에서 취할 수 있는 행태를 전망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G2 국가로 부상한 현재에도 중국은 여전히 주권수호에 대해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어, 주권문제에 대한 중국의 레토릭과 행태의 일치여부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This article examines China’s sovereignty policy during the Mao Zedong period. China adhered to the strict principle of sovereignty during the Mao period, In the process of being out of colonial rule by imperialist countries and getting into power through civil war, Mao Zedong presented the principle of sovereignty, stating that no state can interfere in China’s internal affairs and that the affairs within China’s borders will be resolved by itself. China expressed its will to protect its sovereignty by proposing ‘LingQiLuZao(另起爐灶)’, ‘DaSaoFangZiZaiQingKe(打掃房子再請客)’, and ‘the five principles for peaceful coexistence(和平共處五原則)’ during the Mao period. However when China faced new incentives or clear material rewards, the sovereignty principle was used flexibly as a policy during the Mao era. This is well reflected in the process of signing an alliance between China and the Soviet Union, China’s attitude toward Hong Kong issu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ino-British diplomatic relations and China’s position toward sovereignty issues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between China and Japan. These three case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that China has shown compromising attitute on sovereignty issues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on diplomatic relations The Communist government of Mao Zedong also showed a compromise attitude in the issue of territorial sovereignty, which is a core interests, if they deny the the Kuomintang’s government, expres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legitimacy of the Communist Party regime and can satisfy clear material rewards and benefits that help revitalize the nation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The fact that the Mao’s government, which had insisted on absolute sovereignty, used sovereignty as a policy rather than a principle would be useful for predicting what actions China could take in future inter-state relations and policies. Even now, as a G2 country, China still expresses a strong will to safeguard its sovereignty, so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analyze whether China’s rhetoric and behavior on the issue of sovereignty are consistent.

      •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 현대 중국 정치와 리더십

        조광수(Cho kwang-soo)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7

        이 논문은 현대 중국의 두 거인 마오쩌둥(毛澤東)과 덩샤오핑(鄧小平)의 리더십을 분석한 글이다. 마오쩌둥은 열형의 인물로 압도적인 카리스마를 가졌다. 그는 호랑이 기운과 원숭이 기운을 아울러 가진 아주 복잡한 성격의 인물이었다. 혁명가로, 사상가로, 스승으로 그리고 뛰어난 전략가로 그는 당대 최고의 지도자였다. 그는 혁명적 이상주의와 대중노선에 기초하여 중국을 통일했고 자립적인 강국으로 만들려 했다. 하지만 그는 천하통일이라는 공과 천하대란이라는 과가 다 있다. 자신의 당대에 창업도 하고 파괴도 하는 놀라운 에너지와 반동성을 보여 주었다. 한편 덩샤오핑은 조정가적인 리더십을 가진 지도자다. 그는 마오쩌둥만큼 창의적이거나 폭발적이지는 못하지만 극단을 싫어하는 온건한 조정자였다. 그리고 마오쩌둥이 평생 정치투쟁과 이데올로기를 중시하고 살아온 데 반하여, 그는 경제현대화라는 아주 실용적인 목표를 일찍부터 추구해 왔다. 결국 1978년 이후, 그는 중국을 개혁하고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끌고 갔다. 지금 이 두 거인은 이미 고인이 되었지만, 아직도 중국인들의 마음과 중국이란 실체에 실존하고 있다. 중국은 날로 격차가 심해지는 만큼 평등을 추구했던 마오쩌둥에 대한 향수가 깊어지고 있고, 사회주의시장경제의 성과와 그림자가 커질수록 그 총설계사로서의 덩샤오핑의 지침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leadership of two Chinese political giants, Mao Zedong and Deng xiaoping. Mao Zedong was a fiery man with overwhelming charisma. He was a man of complex character who possessed both prudence of Monkey and determination of Tiger. He was the best leader in modern history as a revolutionist, a thinker, a mentor and an outstanding strategist. He unified China on the bases of revolutionary idealism and popular lines, and tried to create a strong, independent nation. But he earned both merits of nationwide unification and demerits of nationwide commotion. He showed us his great energy in action and reaction as demonstrated in the construction and the destruction during his lifetime. On the other hand, Deng xiaoping was an arbitrator-like leader. He is not as creative and explosive as Mao Zedong, but he is a moderate arbitrator who hated extremity. Unlike Mao who lived his lifetime in political strife and valued the ideology, Deng had pursued since long a very practical goal so called economic reform. Eventually in 1978 he led the China in the direction of reform and opening-up. Now two giants have passed away, but they still exit in the hearts of Chinese people and Chinese reality. As much as the social gap in China is getting wider day by day, Chinese people’s nostalgia toward Mao, who pursued the social equality, grows deeper, and as the fruit and the shade of socialistic market economy get bigger, Deng’s guide, as he was the overall planner, will still be effective.

      • KCI등재후보

        마오쩌둥과 당치(黨治)없는 건국 : 1930년 12월 [부전사변(富田事變)]을 중심으로

        김판수 ( Kim Pansu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9 중국사회과학논총 Vol.1 No.2

        이 논문은 1930년 12월 [푸톈사변(富田事變)]을 중심으로, 마오쩌둥이 어떻게 ‘군권’에 기반하여 ‘지역 패자’로 등장했고 또 중화소비에트공화국 건국을 주도했는지 설명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코민테른, 마오쩌둥, 중공중앙이 ‘당치 및 당군 관계의 확립’ 문제를 둘러싸고 어떻게 경쟁·타협했는지 분석하고, 특히 당시 중공 내 권력 문제를 밝히기 위해 중공중앙이 아닌 ‘모스크바의 코민테른과 지역의 마오쩌둥’에 초점을 두고 설명한다. 마오쩌둥의 집권은 1935년 1월 [쭌이회의(遵義會議)]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 이전 마오쩌둥은 천두슈, 취추바이, 리리싼, 왕밍(王明), 보구(博古) 등 역대 모든 ‘실패한 실권자들’에 의한 모욕·위협 등을 견뎌내야만 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 담론은 재고되어야만 한다. 첫째, 1934년 이전까지 당치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공중앙의 지역 관리 역량은 미약했던 반면, ‘지역 군대’를 장악한 마오쩌둥의 권력은 중앙도 쉽게 제어할 수 없었다. 둘째, [쭌이회의] 이전 중공 지도자들의 권력 기반은 코민테른, 중공중앙, 지역 군대 등 여러 차원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1931년 11월 중화소비에트공화국 건국 당시에도 중공의 실질적 권력은 여전히 ‘당’보다 ‘군’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코민테른에 의해 당 중앙의 자율성이 약화되었다. 2. 당군 통합 이전이었기 때문에, 중공중앙은 중국 각지의 홍군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역량이 없었다. 3. 1931년 11월 중화소비에트공화국 건국에도 불구하고, 1933년 초 비로소 중공중앙이 루이진으로 이전한 것은 국가 운영 주도권을 사실상 마오쩌둥의 ‘군권’에 빼앗긴 것과 같았다. This article explains how Mao Zedong emerged as a local overlord based on the military power, from the [8·7 Conference] in 1927 to the founding of Chinese Soviet Republic in November 1931.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Comintern, Mao Zedong, and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CCCPC) had competed and compromised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the Party Rule and Party-Military relations. It is known that Mao Zedong’s rule have begun at the Zunyi Conference in January 1935, firstly. Before that, it was reported that he had to endure the insults and threats of all the ‘failed strong men’ such as Chen Duxiu, Qu Qiubai, Li lisan, Wang Ming, and Bo Gu. But this discourses must be reconsidered. First, since the Party Rule was not established until 1934, the power of the CCCPC was not strong enough, while the power of Mao Zedong, who ruled the local area with military power, could not be easily controlled by them. Second, the power of the CCP was divided into several levels, such as the Comintern, the CCCPC, and the local military.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viet Republic China in November 1931, the real power of the CCP was still concentrated on the military rather than the party.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is. 1. the CCCPC’s autonomy have been violated by the Comintern. 2. Since the relationship of the Party-Military relations was not established, the CCCPC could not directly control the local Military. 3.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Soviet Republic in November 1931, the CCCPC relocated to Rui-jin in early 1933 means that the Military has taken away the authority to operate the state.

      • KCI등재

        국공내전과 마오쩌둥의 경영혁신: Drucker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통한 재해석

        손정훈,신민석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8 창조와 혁신 Vol.11 No.4

        Mao Zedong and the Chinese Communist Army, having won the Chinese Civil War immediately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successfully establishe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Chiang Kai-shek’s defeat in the Chinese Civil War was surprising, because Chiang and his Kuomintang forces had enjoyed dominant advantages over Mao in all aspects of military resources. This study intends to (1) present Mao’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s a critical factor in the outcome of the conflict, and (2) analyze the success, employing Drucker’s innovation framework. Mao successfully introduced guerilla warfare, a self-directing practice exploiting rapid and flexible changes in battlefields. This transformed Mao’s weaknesses into strengths, incapacitating the enemy’s advantages in military resources, which is the core of Mao’s innovation. Drucker emphasizes that the basis of innovation is to create the future, in which value would be proactively created. In this sense, Mao’s innovation in strategy precisely reflects Drucker. Simple changes in strategies or tactics does not mean successful innovation. Drucker suggests realignment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development of managerial and human competencies as a critical condit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To proliferate guerilla warfare effectiveness, Mao instigated a number of meaningful initiatives to strengthen combatant capabilities. Mao has introduced extensive training and knowledge sharing practices to transform individual soldiers to knowledge workers with independent decision making abilities, a classic case of Drucker innovation model. This study is a first to study Mao’s strategic transformation and implementation from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management models may be effectively employed to analyze political organizations at a national level.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발발한 중국의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게 되었다. 장제스와 중국 국민당은 미국 등 해외우호세력의 지원으로 중국 공산당에 비해 압도적인 전력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제스의 패퇴는 대단히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본 연구는 마오쩌둥이 추진한 경영 및 조직혁신이 중국 공산당 승리의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고, 피터 Drucker의 혁신 모델을 활용하여 그 성공을 분석한다. 마오쩌둥은 대규모 전력을 투입하는 제대합동전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선 중심의 전투방식을 신속하고 유연한 공수전환을 기본으로 하는 자기 주도적인 게릴라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이를 통해 상대방의 강점을 무력화하고 자신의 약점을 오히려 강점으로 활용하는 계기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마오쩌둥 혁신의 핵심이다. Drucker는 혁신의 기본은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를 주도적으로 창조하는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는데, 마오쩌둥의 전술 전환은 이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전략이나 전술의 단순한 전환이 곧 혁신의 성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Drucker는 성공적인 혁신추진의 절대조건으로 조직역량의 재편과 적절한 인적자원과 경영역량의 양성을 제시하고 있다. 마오쩌둥은 게릴라 전술의 실천과정에서 전투원의 역량과 전투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혁신적인 조치를 실천하였다. 특히, 모든 전투원을 독자적인 판단능력을 갖춘 지식노동자로 전환하기 위한 교육과 지식공유체계의 도입은 Drucker 혁신 모델의 훌륭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오쩌둥의 전략 전환과 실천 과정을 혁신과 조직관점에서 분석하는 첫 시도이며, 경영학의 분석틀이 기업 단위만이 아니라 정치조직이나 국가 단위에서도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끊임없는 반향’과 마오쩌둥 평가의 문제 피경훈의 서평에 대한 답변

        임춘성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1

        이 글은 본인의 저서에 대한 피경훈의 서평에 대한 답변이다. 서평자는 본서에 대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했고 그 가운데 유익한 코멘트도 많았고 그것을 통해 저자의공부와 본서의 문제점도 인지했다. 서평자가 제기한 비판에 대해 저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 답변과 비판을 해보았다. 본서가 서평자의 평가를 뛰어넘을 만한 수준과 내용을 담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서평자와 본서 사이에는포스트사회주의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리쩌허우에 대한 평가까지 상당한 거리가 있고, 그 심층에는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에 대한 평가의 문제가 놓여 있다. 서평자는본서를 꼼꼼하게 읽고 마오쩌둥 및 문화대혁명에 관한 재해석에 근거해 ‘가차 없는비판’을 진행했다. 저자도 그에 부응해 대등한 입장에서 최대한 충실하게 답변하고자 한다. 1) 연구 대상의 자의적 축소. 본서는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지식인들’의 비판을다루고 있지만, 그 지식인들이 모두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을 치열하게 사유한 것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서평자는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을 비판적으로 고민한사상가들’의 사유를 일별하는 것”(피경훈, 2021: 114, 이하 연도 생략)이라고 이해하고 본서에서 다룬 7인의 지식인 가운데 3인을 서평 대상으로 다루고 나머지는 자의적으로 배제했다. 2) 리쩌허우 평가. 저자는 리쩌허우를 “자신의 사상 체계를 구축한 몇 안 되는 사상가”로 평가하고 “그 사상 체계의 핵심은 ‘인류학 역사본체론(a theory of anthropo-historical ontology)”(임춘성, 2021: 50)으로 요약했다. 그리고 리쩌허우를 ‘포스트사회주의 중국 비판 사상의 시원’으로 설정하고는 그의 사상을 두괄식으로 요약(임춘성, 2021: 53)했다. 그러나 서평자는 리쩌허우가 “어떠한 사상가로정의되어야 하는가”(피경훈, 103)에 대해 저자가 답변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서평자는 적전과 계몽이 “원리적으로는 서로 충돌하는 것”(피경훈, 102)으로 이해하면서, 리쩌허우가 “한편으로는 ‘전승과 축적’을 강조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계몽과 각성’을 강조”하는데, “이 두 가지가 어떻게 어우러질 수 있는지를 리쩌허우는 자신의 사상 체계 안에서 분명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피경훈, 102)라고비판하고 있다. 저자가 보기에 리쩌허우는 ‘유학 4기설’과 ‘서학의 중국적 응용’을 통해 전통으로부터 근현대로의 전환적 창조, 서평자의 표현에 따르면 적전과 계몽의관계를 훌륭하게 해명했다. 저서의 해당 부분(임춘성, 2021: 1장 4절과 5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3) 왕후이와 첸리췬 평가. 서평자는 왕후이와 저자의 마오쩌둥 인식을 비판한다. 하지만 서평자의 마오쩌둥 사상과 실천에 대한 평가는 마오쩌둥 시기 교과서로 환원하고 있다. 4)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 평가. 저자는 마오쩌둥의 3대 이형동질(異形同質, allomorphism)의 오류–반봉건을 유보한 반제 혁명, 제고를 유보한 보급을 선택하며, 사회주의 목표를 공업화에 종속시킨 것–를 지적했다. 그러나 서평자는 이 가운데 ‘반봉건을 유보한 반제’ 혁명이라는 저자의 주장을 “‘구망에 의한 계몽의 압도’라는 공식으로부터 그대로 도출되는 것”(피경훈, 101)으로 치부하고, “사회주의 시대를 중국 당대사의 외부로 배제시켰다”(피경훈, 101)라는 허구이메이의 논의에 기대“계몽과 구망을 이분법적으로 설정하고, 나 ... This article is in response to Kyunghoon Pi’s review of my book. The book reviewer talked about this book in many ways, and among them there were many useful comments, and through it, I recognized the problems of the author's study and this book.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raised by the book reviewer, I tried to answer and criticize the things that the author considers important. This book does not guarantee the level and contents that exceed the evaluation of the reviewers. However, there is a considerable distance between the book reviewer and this book, from the understanding of post-socialism to the evaluation of Li Zehou, and in the depths lies the problem of evaluation of Mao Zedong and the Cultural Revolution. The book reviewer read this book and proceeded with ‘relentless criticism’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Mao Zedong and the Cultural Revolution. In response, the author tries to answer as faithfully as possible on an equal footing. 1)Arbitrary reduction of research objects. Although this book deals with the criticism of ‘intellectuals’ of ‘post-socialist China’, it does not set all of those intellectuals as intensely thinking about ‘post-socialist China’. However, the book reviewer understood that it was “a glimpse into the thoughts of ‘thinkers who were critically concerned with post-socialist China’” (피경훈 2021, p.114), and treated three of the seven intellectuals covered in this book as the object of book review and arbitrarily excluded the rest. 2) evaluation of Li Zehou. The author evaluated Li Zehou as “one of the few thinkers who built his own ideological system,” and summarized “the core of his ideological system is ‘a theory of anthropoᐨhistorical ontology’ (임춘성 2021, p.50). And I set Li Zehou as the 'origin of post-socialist Chinese critique' and summarized his thoughts in deductive method(임, p.53). However, the book reviewer points out that the author did not answer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thinker should Li Zehou be defined as" (피, 103). In addition, the book reviewer understands that sedimentation and enlightenment “clash with each other in principle” (피, 102), while Li Zehou “emphasizes ‘transmission and accumulation’ on the one hand, and ‘enlightenment and awakening’ on the other hand. However, he criticizes that “Li Zehou has not been able to clearly resolve how these two can coexist within his ideological system” (피, 102). In the author's opinion, Li Zehou brilliantly elucid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dimentation and enlightenment, as a transitional creation from tradition to modern times through the 'Forth Confucianism Theory' and 'Chinese Application of Western Studies'. It is replaced by the explanation of the relevant part of the book (임, Chapter 1:4 and 5). 3) Evaluation of Wang Hui and Qian Liqun. The book reviewer criticizes Wang Hui and the author's perception of Mao Zedong. However, the reviewer's evaluation of Mao Zedong's thought and practice is reduced to a textbook of the Mao Zedong period. 4) Evaluation of Mao Zedong and the Cultural Revolution. The author pointed out the fallacy of Mao Zedong's three major allomorphisms: the anti-imperialist revolution that deferred anti-feudalism, the propagation with reservation of enhancement, and subordinated socialist goals to industrialization. However, the book reviewer dismissed the author's claim of the 'anti-imperialism with reservations of anti-feudalism' revolution as "derived as it is from the formula of 'overwhelming enlightenment by national salvation'" (피, 101), he concluded that “the claim ... the enlightenment has been overpowered by the national salvation is in fact a non-historical point of view” (피, 101). Li Zehou did not otherize the so-called 'socialist period', and the author does not intend to do so.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is is not a concept or discourse, but the verification of the historical process emphasi...

      • KCI등재

        6·25전쟁기 마오쩌둥(毛澤東)의 군사분계선 설정 전략

        최윤철 ( Choi Yooncheol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9 No.1

        본 연구는 정전협상 논의 초기 시기(1951. 6.∼10.)에 정전협정을 조기에 마무리 짓고자 했던 마오쩌둥이 왜 군사분계선 설정을 조기에 마무리 지을 수 없었는지를 시계열적으로 살펴서 그 함의를 찾는 데 있다. 연구는 6·25전쟁 기 중국, 소련 내부에서 정전협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던 1951년 6월 이후로부터, 마오쩌둥의 ‘분사분계선 설정’에 대한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상회관계동학을 다루고 있다. 6·25전쟁 기 전쟁후원국으로서의 소련과 전쟁지원국으로서의 중국의 정치지도자들은 스탈린-마오쩌둥 간에 서열적 관계가 형성되었고, 정전협상 초기 군사분계선 설정 논의 시기에 이르러서 보다 전략적인 형태로 나타난 면이 있다. 마오쩌둥은 ‘정전협상 의제’를 결정하고, ‘군사분계선 설정’ 논의를 시작하면 빠른시일 내에 정전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그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마오쩌둥은 순망치한(脣亡齒寒)이라는 지정학적 관점의 대(對)한반도관에 기초해서 최적의 군사분계선을 설정하고자 하는 한편, 미군 폭격에 의한 군사적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조기에 38도선을 중심으로 군사분계선을 설정하여 정전협정을 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스탈린의 세계전략이 맞물려 정전협상 타결이 지연되는 상황 속에서 ‘미군과의 접촉선을 중심으로 군사분계선을 설정하되 서부지역에서의 전략적 지역 등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우회하여, 스탈린의 의도를 따르되 지정학적 이점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적으로 조기정전 여건을 형성시키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Mao Zedong, who tried to close the armistice agreement early in the early period of discussions on the armistice negotiations (June-10, 1951), and why it was impossible to conclude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early. Have. Since June 1951, when discussions on armistice negotiations were held within North Korea, China,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Korean War,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Mao Zedong agreed to’debate on establishing a divisional demarcation line’ and the dynamics of Mao Zedong and Stalin. Dealing with. During the Korean War, the Soviet Union as a supporter of the war, China as a supporter of the war, and North Korea’s political leaders, which were parties to the war, formed a hierarchical relationship ranging from Stalin-Mao Zedong-Kim Il-sung, and this was the result of the five times of the Chinese campaign. Unlike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ampaign was performed (1950.10.~1951.5), there is a new aspect that emerg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armistice negotiations when the demarcation line was established. Mao Zedong thought that if the ‘Agenda for Armistice Negotiation’ was decided and the discussion on ‘Establish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started, an armistice agreement could be concluded as soon as possible. However, the process was not smooth. On the other side, Mao Zedong’s China-centered military demarcation line overlooking the Korean Peninsula aims to establish an optimal military demarcation line from a geopolitical point of view o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n armistice agreement. In a situation where the time to conclude the armistice negotiations is delayed due to the integration of Stalin’s global strategy,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is established around the contact line with the U.S. forces, but the strategy is to secure strategic areas in the western region. It follows Stalin’s intentions, but tries to create conditions for an early blackout internally.

      • KCI등재

        인민해방군에 대한 권력 분점과 마오쩌둥의 불안, 1949-1976년

        김판수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2 중국지식네트워크 Vol.20 No.-

        이 글은 혁명의 유산인 ‘분점된 군권 구조’가 1949년부터 1976년까지 마오쩌둥 체제와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시론적으로 분석했다. 즉 1954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까지 전국은 어떻게 ‘군구 체제’로 분할되었고, 1950년대 발생한 심각한 정치적 사건으로서 ‘반당집단 사건들’이 왜 가오강·라오수스 및 펑더화이 3인의 ‘군구사령관’에 대한 숙청이었는지, 나아가 문화대혁명의 중요한 변곡점 중 하나인 1971년에 왜 또 한 명의 군구사령관 린뱌오가 ‘쿠데타 시도’로 사망했는지, 마지막으로 마오쩌둥 사후 왜 마지막 생존한 군구사령관 덩샤오핑이 최고지도자로 등장했는지 설명한다. 이는 당-군관계에서 ‘당-국체제’로의 이행에 관한 문제로서, 결과적으로 마오쩌둥은 분점된 군권에 따른 오랜 정치적 불안을 해소한 후 사망했다. 그의 ‘군권 독점 노력’은 그의 사망 이후 의도치 않게 당-국체제 하의 군권 통제 기반을 정초했고, 또 집단지도체제 등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즉 이러한 역사적 조건 하에서, 유일한 ‘생존 군구 사령관’ 덩샤오핑은 마오쩌둥의 후계자인 화궈펑을 실각시킨 후 3대 국방부장 예젠잉과 함께 집단지도체제의 ‘한시적 제도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 마오쩌둥 시대의 엘리트 정치: ‘일인지배’의 사례

        조영남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중소연구 Vol.43 No.2

        This article analyzes elite politics in the Mao Zedong era China in terms of one-man-rule. First of all, it investigates three criteria with which we divide the types of elite politics in China: the resources of power and degree of power concentration, the way of exercising power, and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op politicians. The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ao’s one-man-rule based on above-mentioned three criteria. First, Mao, as a charismatic leader, monopolized political power and exercised it arbitrarily. Second, Mao was a socialist emperor who reigned the CCP and state without any constraints. Finally, Mao maintained a master and servants relationship with other political leaders. Viewed in Mao’s one-man-rule mode, elite politics in the Xi Jinping era can not be categorized as a sort of one-man-rule. 이 논문은 중국 마오쩌둥 시대의 엘리트 정치를 일인지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중국의 엘리트 정치를 분류하는 세 가지의 기준에 대해 살펴본다. 첫째, 권력원과 권력의 집중도, 둘째, 권력의 운영 방식, 셋째, 지도자 간의 권력관계가 그것이다. 다음으로 이 세 가지의 기준에 입각하여 마오의 일인지배를 분석한다. 마오의 일인지배는 세 가지의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마오는 카리스마적 권위에 입각하여 권력을 독점하고 자의적으로 행사했다. 또한 마오쩌둥은 공산당과 국가 위에 군림하는 황제였다. 마지막으로, 마오쩌둥과 다른 정치 지도자 간에는 주종관계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마오쩌둥의 일인지배를 기준으로 할 때, 시진핑 시기의 엘리트 정치는 결코 일인지배라고 할 수 없다.

      • KCI등재

        1957년 중국에서의 인상주의 논쟁

        정하윤(Hayoon Jung) 현대미술사학회 2017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1

        본 논문은 마오쩌둥 시대의 미술을 보다 입체적으로 살피기 위한 목적 아래 1957년 전후에 있었던 인상주의 논쟁을 면밀히 들여다보았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잡지 『미술(美术)』과 『미술연구(美術硏究)』에 실린 인상주의에 대한 글들과 인상주의 토론회에 대한 보고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세기 초 중국에 유입되었으나 마오쩌둥의 집권 후 사라졌던 인상주의가 갑자기 미술계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한 것은 정치 캠페인이었던 쌍백운동과 1956년 소련에서 있었던 프랑스 미술전시회의 여파로 인한 인상주의 토론이었다. 국내외의 이러한 영향 아래 중국의 미술계 인사들은 인상주의를 과연 중국에서도 허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토론했다. 그들은 특히 인상주의가 현실주의인가 아닌가에 대해서, 인상주의의 성취에 관해서, 그리고 개별 작가와 작품들에 대해 정확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각자의 주장을 강하게 펼쳤다. 본 논문의 의의는 “붉은 미술”로만 점철되는 마오쩌둥 시대의 미술에 대한 통념과는 달리, 마오쩌둥 통치 전반부, 특히 1950년대 중반 무렵 중국미술계에 조금은 열려 있는 공간이 있었다는 것을 제시하며, 보다 다각화되고 세밀화된 마오쩌둥 시기 미술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 그리고 현재까지 논의되어 오지 않았던 자료를 고찰할 것을 촉구하는 것에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articles on Impressionism and reports of Impressionism seminars published in Meishu and Meishuyanjiu before and after 1957 in China. Such analysis is expected to refine our understanding of Chinese art during the Mao Zedong era often viewed one-dimensionally. Impressionism suddenly rose to a heated discussion in the Chinese art scene partly due to Mao’s “Hundred Flowers Campaign” and the exhibition of French art in the Soviet Union in 1956. While fundamentally asking if China ought to allow Impressionism, the leaders of Chinese art mainly focused on three questions: Is Impressionism realism? What are the achievements of Impressionism? How can one evaluate each artist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This paper ultimately suggests that it was possible, though limited, for Chinese people in the mid-1950s to think, discuss, and even create art other than “Red arts” by which the Chinese art during the Mao era is often defined as. The revelation of such possibilities calls for more comprehensive study on the art of this period and reexamin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previously understudied or negl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