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스텔리옹의 평화윤리 사상에 관한 연구

        박종균 ( Park Jong-kyu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1 No.-

        본 연구는 급진 종교개혁운동에서 칼뱅의 독단에 맞섰던 카스텔리옹의 평화윤리 사상에 대한 연구이며, 그것은 종교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진 자들에 대한 종교적 관용을 옹호한 그의 평화주의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연구자는 당대의 권력자 칼뱅과 그의 추종자들에게 숨을 거두는 그 순간까지 공격을 받았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평화적인 방식으로 맞섰으며 그 시대의 종교인들에게 신앙적으로 다른 의견을 가진 자들에게 관용을 호소했던 카스텔리옹의 사상을 그의 저술들을 통해 고찰한다. 먼저, 리옹의 삼위일체 대학에서 학문적 능력을 인정받은 인문주의자 카스텔리옹이 종교개혁운동에 뛰어들어 칼뱅의 추종자가 되는 과정과 칼뱅과 갈등의 씨앗이 싹트는 계기를 검토한다. 둘째, 칼뱅과 카스텔리옹의 본격적인 대결은 세르베투스가 제네바에서 화형당하는 사건이 크나큰 계기로 자리하는 바, 세르베투스의 처형을 둘러싼 칼뱅과 카스텔리옹의 논쟁이 검토된다. 셋째, 세르베투스의 처형 사건으로 촉발된 종교적 관용에 대한 논쟁을 카스텔리옹과 칼뱅과 칼뱅의 추종자 베즈의 저술을 통해 검토한다. 칼뱅의 『정통신앙의 옹호』, 카스텔리옹의 『이단에 관하여』, 카스텔리옹의 글을 반박한 베즈의 『反벨리우스론』, 칼뱅과 베즈에 대해 반박한 카스텔리옹의 『칼뱅의 글 논박』과 『위정자의 처벌 불가론』이 고찰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카스텔리옹의 이단 개념과 세상의 혼란에 대한 책임이 이단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종교적 광신과 불관용에 있음을 주목한다. 넷째, 본 연구는 카스텔리옹의 『의심과 신뢰의 기술에 관하여』를 통해 종교개혁시대의 정통주의 신학에 어떻게 도전했는지를 해명하고, 프랑스에서 위그노 전쟁이 발발하자 즉각 발표한 『황폐해진 프랑스에 대한 충고』를 통해 그의 평화에 대한 열망을 규명한다. This study aims to study Castellion’s thought of peace ethic which confronted that of a violently assertive Calvin in Geneva in the radical Reformation movement. And this study focuses on his advocacy of religious tolerance and pacifism. Even though Castellion had been attacked by Calvin and his followers until his death, he confronted his antagonists in a peaceful way, and urged religionists who have power in the Reformation movement to tolerate people with different views of faith. Firstly, this research examines the aspect as a humanist Castellion, who had been recognized for his scholastic ability at the Trinity University in Lyon, became a follower of Calvin and the seeds of conflict with Calvin was germinated. Secondly, a decisive moment of the full-fledged confrontation between Calvin and Castellion is considered to be a tragic history for Servetus to be burned to death in Geneva, in which their debates on the execution of Servetus is reviewed. Thirdly, the debate over religious tolerance triggered by the execution of Servetus is examined through the writings of Castellion, Calvin and Calvin’s follower Beze. Lastly, this study deals with Castellion’s pacifist ethic idea, explaining how he challenged orthodox theology in the era of Reformation, and exploring how much he desires and calls for world peace through his advice on a desolate France when the Huguenot war broke out.

      • KCI등재후보

        도시의 문화적 기억 매체로서의 벽화: 리옹과 토니 가르니에의 경우

        노시훈 (재) 인천연구원 2017 도시연구 Vol.- No.12

        The conservation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s has been enabled by the human memory, and this memory is both a ‘collective’ and a ‘cultural’ memory which relies on its media such as letters, images, bodies and places. The mural paintings are very effective in the preservation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s and in the strengthening or the recovery of cultural identities, because they are not only direct but also popular memory media. The public mural paintings of Lyon are exemplary cases. The works of the cooperative ‘Cité Création’ like the ‘Fresque des Lyonnais’ are filled with cultural heritages of the city, and this leads us to know that their purpose is to conserve cultural identities. The works are also ecological both in natural and in cultural environments. The case of the ‘Musée urbain Tony Garnier’ shows may implications in the aspect of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city: constant and repetitive recordings are necessary for the conservation and the stabilization of memorie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s cruciall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memory keeping; continuous cares, additional works and adaptations are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mural paintings; they can contribute greatly to the regional revitalization. 지역 문화유산의 보존이 가능한 것은 인류가 가진 기억 능력 덕분인데, 이러한 기억은 집단적 기억임과 동시에 문자, 그림, 몸, 장소 등의 기억 매체에 크게 의존하는 문화적 기억이다. 벽화는 직접적이고 대중성이 높은기억 매체여서 지역 문화유산의 보존과 이를 통한 문화적 정체성 강화나회복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리옹(Lyon)의 공공 벽화들은 그 모범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리옹인들의 프레스코’(Fresque des Lyonnais) 등 협동조합 시테 크레아시옹(Cité Création)의 작품들을분석해보면 리옹 공공 벽화의 내용이 온통 지역 문화유산들로 가득 차 있어서 그 목적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보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작품들이 자연적 환경뿐만이 아니라 문화적 환경에까지 친화적이어서 리옹 공공 벽화의 기억 보존 방식은 한마디로 ‘생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토니 가르니에 도시박물관(Musée urbain Tony Garnier)의 사례는 도시의문화적 기억이라는 측면에서 여러 시사점을 보여준다. 그것은 기억의 보존과 안정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기록 작업이 필요하고, 성공적 기억 보존에 있어 주민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고, 벽화가 계속 유지되기위해서는 지속적 관리, 추가 작업, 개작이 필요하며, 벽화가 지역 활성화에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프랑스 문화정책의 분권화와 시장화

        오창룡(Oh, Changrhyo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문화와 정치 Vol.4 No.1

        본 연구는 프랑스 제5공화국의 정부 주도 문화정책이 분권화 및 시장화 경향을 띠게 된 맥락을 분석한다. 프랑스 정부는 문화 민주화를 목표로 문화와 예술을 대중적으로 보급하는 중앙집권적인 정책을 추진했으나, 1990년대 이후 문화부문 재정과 행정권한이 지방자치단체로 위임됐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들은 거시적 측면에서 프랑스 문화정책의 연속성에 주목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리옹의 창조도시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1990년대 문화정책 분권화가 갖는 단절적인 특징에 주목한다. 리옹 사례는 문화정책을 통한 사회통합과 지역 산업 육성이 어떠한 맥락에서 결합할 수 있었는가를 잘 드러냈다. 리옹이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육성한 댄스 비엔날레와 문화협력헌장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소수자의 발언권을 확대하는 취지로 기획되었으며, 동시에 창조산업 육성과 투자에 필수적인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 기여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의 도구화 및 시장화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문화기구참여연맹(UFISC)은 사회연대를 추구하는 문화정책이 국가와 시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ext in which the government-led cultural politics of French Fifth Republic has shown a general tendency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marketization. The French government has promoted centralized policies to extend public cultural arts, which aim at cultural democracy, but since 1990s the cultural finance and administrative authority were delegated to local government. In this regard, the study focuses o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olitics in 1990s through the Creative City politics of Lyon, whereas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examining about continuity of French cultural policies with a macroscopic view. Lyon’s case clearly reflects how social cohesion by cultural policies conjoins local industry promotion: Dance Biennial and Cultural Cooperation Charter supported by Lyon as a local government were basically designed to extend a voice of social minorities, and furthermore contributed to build up essential cultural infrastructure for development and success of the creative industry. In this context, despite of criticisms) on instrumentalization and marketization of culture, The Union for Intervention of Cultural Structures (UFISC) expects that cultural policies seeking for social solidarity are a sustainable alternative to go beyond 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intervention.

      • KCI등재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프랑스 리옹(Lyon) 사례를 중심으로

        전형연,차지영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2 No.1

        Cette étude porte sur le projet "Mural Village" similaire à de nombreux autres projets du même genre faits par le passé en Corée, qui se développe rapidement, et le rôle de la communication avec les résidents locaux, ainsi que le problème de ne pas être d’une grande aide pour revitaliser l’économie locale en attirant des spectateurs. Nous avons donc tenté de comprendre le problème d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en Corée comme étant un problème de manque d’intertextualité des peintures murales urbaines, plutôt que de le considérer uniquement comme un problème d’insuffisance politique en matière de planification et de gestion des peintures murales. Comment les fresques urbaines peuvent-elles avoir une intertextualité ? Notre étude a essayé de suggérer une direction pour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de “Mural Village” en Corée, en analysant l’intertextualité du "projet de peinture murale" à Lyon, en France, en tenant compte de l’identité spatiale et de l’interaction constante des résidents locaux. Ainsi, en matière de marque régionale, nous avons analysé autour de quatre interactions concernant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des fresques murales à Lyon tenant compte de l’intertextualité : ① l’interaction avec des représentants de la région, ② l’interaction avec des industries représentatives de la région, ③ l’interaction avec les habitants du quartier et ④ l’interaction avec le milieu naturel. Cette recherche a confirmé qu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urbaine de Lyon offre la possibilité de construire une identité arbitraire au-delà de l’identité culturelle collective définie comme l’espace premier par les limites naturellement données aux résidents locaux et aux spectateurs. Nous avons enfin trouvé que l’intertextualité d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urbaine de Lyon est le résultat d’une réflexion sur l’interaction qui s’est développée sans frontières entre les signes textuels, visuels, tactiles et olfactifs à travers l’histoire, la culture et la vie de la région.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dans régions coréennes doit également être conçue dans la dimension d’une stratégie de marque régionale à long terme considérant l’interactivité des textes basée sur une analyse approfondie de l’identité de chaque région. 본 연구는 우후죽순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 지역의 ‘벽화마을’ 프로젝트의 유사한 진행 현황과 지역민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물론, 관람자들의 흡인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황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국 지역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문제를 벽화의 기획 및 관리 차원의 정책 미비 문제만으로 간주하기보다는 도시벽화의 상호텍스트성의 부족 문제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도시벽화는 어떻게 상호텍스트성을 가질 수 있을까? 본 연구는 공간의 정체성과 지역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도시벽화를 브랜드화시켜온 프랑스 리옹(Lyon)시의 ‘벽화프로젝트’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여 한국의 ‘벽화마을’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브랜딩 차원에서 ① 지역의 대표적 인물과의 상호작용, ② 지역의 대표적 산업과의 상호작용, ③ 지역민과의 상호작용, ④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 등에 기반한 상호텍스트성을 고려한 리옹시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옹시의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지역민 및 관람자에게 자연적으로 주어진 경계에 의한 일차적 공간으로 규정된 집단적 정체성을 벗어나 자의적 도시 정체성 구축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리옹시의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상호텍스트성이 지역의 역사, 문화, 삶 전반에서 텍스트적, 시각적, 촉각적, 더 나아가 후각적 기호들 사이에 경계 없이 전개되는 거시 텍스트와 미시 텍스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성찰의 결과임을 발견하였다. 한국 지역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 역시 각 지역의 정체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에 기반한 텍스트들의 상호작용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지역브랜딩 전략 차원에서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드윈의 『상 리옹』과 보편적 자비심의 한계

        오세인(Sein Oh)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19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23 No.2

        This essay argues that William Godwin’s second novel, St. Leon: A Tale of the Sixteenth Century, reveals an irony in the author’s pursuit of the ideal of universal benevolence. Published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and a yea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third edition of Political Justice, the novel introduces Godwin’s revised political agenda that puts more emphasis on the personal than before. Its argument for the significance of domestic love as expressed in the preface, however, is betrayed and undermined by its narrative. The novel’s protagonist, Reginald, can seek to benefit the whole humanity only after he abandons his family while he acquires supernatural powers of limitless wealth and eternal life from a stranger; but even then, his project of universal benevolence faces utter failure as his idea of helping the poor is strictly founded upon classist elitism and his own sense of alienation from others. On the other hand, however, I argue that the novel is also an emblem of Godwin’s constant search for a proper form of Justice that departs from his initial, rigid version of it, by way of seeking potentialities in peripheral characters such as Hector (a Black slave) and Charon (a dog). While these characters’ unfortunate deaths may represent the symbolic death of the ideal form of universal benevolence, Godwin’s pursuit of utopian state finds its legacy in his daughter’s novel, Frankenstein, which repeats both St. Leon’s idealism (in the preface) and skepticism (in the narrative).

      • KCI등재
      • KCI등재

        썩지 않는 몸(caro incorruptibilis): 리옹의 이레나이우스의 저작에서 나타나는 불멸(ἀφθαρσία)의 의미에 관한 연구

        김근호 한국교회사학회 202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7 No.-

        본 연구는 리옹의 이레나이우스(Irenaeus of Lyons)의 저작에 나타나는 불멸(ἀφθαρσία)의 의미를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레나이우스는 2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교부로서, 신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특히 그가 사용한 불멸은 그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나타나며 교의사적으로도 주요한 주제로 평가되지만, 중의적으로 사용되어 모호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레나이우스가 사용한 불멸의 의미를 구체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그의 생애와 사상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그의 집필활동의 이유가 된 영지주의의 사상을 발렌티노스파(Valentinianism)를 중심으로 논한다. 그리고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부터 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이레나이우스의 이전 시대의 교부들까지의 불멸의 용례를 논함으로써, 그가 불멸을 어떠한 의미로 이해하였을지 추론한다. 그리하여 그가 불멸을 핵심 논제로 사용한 세 가지 주제, 즉 성서 해석, 영지주의 논박, 경륜(οἰκονομία)을 중심으로 불멸의 구체적인 의미를 각각 하나님의 모상과 닮음의 회복, 몸의 부활, 신화(deification)로 규명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meaning of incorruptibility (ἀϕθαρσία) as it appears in the works of Irenaeus of Lyons. Irenaeus, a prominent Church Father in the late second century,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ology. Notably, I analyze the term ἀϕθαρσία, which emerges as a central concept in his works and is considered a major theme doctrinally, yet its use is often ambiguous and the meaning vague. Therefore,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incorruptibility used by Irenaeu s, I f irst examine h is life and thou ghts a s a part o f this s tu dy, a long with the Gnosticism that motivated his writing, focusing on Valentinianism. Then, by discussing the usage of incorruptibility as seen b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and the Church Fathers of the previous era, I infer what incorruptibility might have meant to Irenaeus. Thus, I identify the specific meanings of incorruptibility around the three main themes used by Irenaeus as central arguments: the biblical interpretation, the refutation of Gnosticism, and the economy of God, respectively, as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deification.

      • KCI등재

        앙리 2세의 입성식과 근대 초의 왕권 표현 ; 리옹(1548), 파리(1549), 루앙(1550)

        윤선자 ( Sun Ja Yu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2 No.-

        앙리 2세의 3 입성식(리옹과 파리, 루앙)은 차이점도 있지만 공통점도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의 다양한 인문주의 상징물을 분석함으로써 그것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의 테마를 정리하고, 그것을 통해 입성식이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소통체계로서 입성식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 마지막으로 인문주의의 성격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세 입성식은 그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공통의 테마를 중심으로 동일한 서사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즉 왕은 천상의 미덕을 구현하고 지상에 황금시대를 실현하는 존재이며, 그 황금시대는 유럽과 세계를 아우르는 보편제국이라는 점, 왕은 이 황금시대와 보편제국의 섭리적인 임무를 완성하면 천상의 영원불멸한 신의 반열에 오른다는 것이 바로 3 입성식의 공통된 서사 구조이다. 따라서 위의 공통의 테마는 곧 군주의 신격화로 이어지는데, 이것은 중세 입성식과 인문주의 입성식의 가장 다른 점이다. 중세 입성식에서 표현된 왕은 신적인 후광을 드리운 어린 왕이었다. 그 어린 왕은 평화와 선정(善政)의 상징이지만 신민의 조언을 경청할 줄 아는 미성년이었다. 그러나 르네상스시기에 이르러 ‘지상에 내려온 신의 대리자는 자신의 영광과 위대함으로 스스로 하늘에 오른 신 자체’가 되었다. 왕은 티피스와 헤라클레스, 헥토르 같은 고대의 영웅이었고, 더 나아가 주피터와 마르스 같은 신 자체에 비유되었다. 이때부터 위대함(Grand) 이야 말로 왕이 갖추어야 할 최고의 미덕이 되었다. 하지만 인문주의는 왕권을 고양하는 데만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다른 한편으로 도시 부르주아들의 정치사상이나 세계관도 표현하였다. 한편으로는 힘과 전쟁, 제국주의를 지향하는 절대주의 이념을, 다른 한편으로 평화와 설득, 학문과 문예를 강조하는 인문주의 가치를 표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3 입성식은 모순된 가치 속에서 갈팡질팡하는 모호하고 불명확한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런 모호함은 이후 소통 시스템으로서의 입성식의 의미를 쇠퇴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당시 인문주의는 부르주아들이 자신들을 일반 민중이나 구세력(귀족과 교회)로부터 자신들을 차별화시키기 위한 계급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앙리 2세의 입성식에 사용된 인문주의를 통해 기존의 생각과 달리 인문주의에는 절대주의적이고 보수적 가치를 지향하는 성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three entries of Henri II(Lyon, Paris, Rouen) had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By analysing various humanistic symbols of these entries, we will ask what the similarities of these was , what these ultimately expressed, which meaning these had as communication system, and what the character of humanism was. The three entries had the common themes and the common narrative structure in spite of differences. That is, the king incarnated celestial virtues and realizd a earthly golden age, that golden age was the universal empire including Europe and the World, and the king took his place among celestial and eternal gods when the king fulfilled his providential callings. Therefore these common narrative structure resulted in the apotheosis of the king. That is what distinguished it from medieval entries. the king of medieval entries was the child with his head surrounded by a halo. He was a symbol of Good Government, but also was a minority who needed any help. But during the time of Renaissance the king became god itself, namely Hercules, Jupiter, Mars etc. the very ‘Grand’ became the superb virtue of the King. But Humanism was not only used to enhance the kingship. It was used to express political thoughts and a world-view of bourgeoisie. On the one hand humanistic entries expressed force, war and absolutist ideas, but on the other they expressed peace, eloquence and humanistic virtue. therefore they was ambiguous and vague. This ambiguity was the cause of the decline of entries as a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humanism of entries had classism, because bourgeoisie differenciated them from people through the humanistic entries. Finally, contrary to popular belief, the Humanism in the 16th was conservative and absolutistic.

      • KCI등재

        잊힌 시인, 조제팽 술라리 연구 : 재발견을 위한 시론

        송홍진(Hongjin SONG) 프랑스학회 2020 프랑스학연구 Vol.0 No.94

        본 논문은 잊힌 시인 조제팽 술라리(1815-1891)의 작품 세계를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세기 중반 프랑스 리옹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시인 조제팽 술라리는 전통적인 소네트 창작에 집중하여, 활동 당시에 주요 시인들 중 한 명으로 손꼽혔다. 그는 「두 행렬」을 비롯한 몇몇 대표작들을 통해서 대중에 널리 알려진 시인이었으며, 시어의 조탁과 형식미에 대한 집요한 추구에 있어서 테오필 고티에나 르콩트 드 릴에 자주 비교되곤 했다. 그러나 쥘 르메트르의 신랄한 비판에 상심하여 급속도로 창작력을 잃는다. 결국 그는 파리를 중심으로 한 당시 주류 문단에 안착하는데 성공하지 못 하고, 사후 빠른 속도로 잊힌다. 보들레르는 그의 진가를 알아보았던 동시대 시인들 중 하나였다. 『악의 꽃』의 시인은 술라리의 소네트 모음집인 『유머러스한 소네트』 속에서 자신의 시학과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시에 있어서 형식적 엄격성과 제약이 가진 중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두 시인의 시세계가 공유하는 폭넓은 유사성을 통해서, 우리는 보들레르가 술라리에게 느낀 동류의식이 단지 형식미에 대한 공통적 관심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한다. 술라리가 “노동”, 즉 시적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몽상”과 관념을 소네트를 통해 예술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소네트 형식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려는 시 형식에 대한 술라리의 탐구와 더불어, 특유의 재치 있는 블랙유머 속에 그가 담아낸 인간과 세계의 아이러니를 읽을 때, 우리는 19세기 프랑스 시 역사에서 술라리의 자리를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redécouvrir le poète lyonnais Joséphin Soulary (1815-1891). Il est un des grands sonnettistes du XIXe siècle, très connu du public comme auteur du poème « Les deux cortèges ». Soulary était si méticuleux et minutieux dans son travail qu’on le surnomma « le plus habile ciseleur de vers » ou le « Benvenuto de la rime ». Il était souvent comparé à Théophile Gautier ou à Leconte de Lisle dans sa quête acharnée de la perfection et de la beauté de la forme plastique. Mais la critique cinglante, qui lui fut adressée par Jules Lemaître porta un coup décisif à Soulary. Ce dernier fut si fortement traumatisé par cette attaque qu’il renonça presque à écrire la poésie. Cette étoile, la plus brillante de la Pléiade lyonnaise moderne, n’est malheureusement pas entrée dans le monde littéraire parisien et est tombée dans l’oubli. Charles Baudelaire, auteur des Fleurs du Mal, est un des ceux qui ont reconnu la valeur des Sonnets humouristiques de son contemporain. Il a trouvé là « la beauté pythagorique » et le goût de la perfection artistique. Or, c’est pour mieux transformer la « Rêverie », l’idée ou la passion en poésie ferme et étincelante que Soulary soulignait tant le « Travail » dans sa composition du sonnet. On pourrait enfin juger Joséphin Soulary à sa juste valeur, en tenant compte de son humour noir et de son ironie dans sa recherche assidue du sonnet, considéré comme forme désuète, pour exploiter pleinement son potentiel poétique.

      • KCI등재

        16세기 프랑스의 제노포비아 -에티엔 돌레와 리옹의 산업을 중심으로-

        박효근 ( Pahk Hyoge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외국인 배제와 혐오를 특징으로 하는 제노포비아는 주로 20세기에 발현된 현상이라 여겨져 왔다. 그러나 ‘우리’와 다른 ‘그들’을 배척하고 이를 통해 공동체의 정체성을 공고화하는 작업은 오랜 역사적 연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16세기 프랑스에서 발생한 반 이탈리아 정서를 분석 함으로써 제노포비아 현상을 역사적 차원에서 조망해보려는 목적 아래 작성되었다. 16세기 프랑스에서 반 이탈리아 정서는 먼저 지적 차원에서 발생했고 이후 사회경제적 차원으로 확산되었다. 리옹에서 인쇄업에 종사했던 휴머니스트 에티엔 돌레는 16세기 프랑스의 제노포비아가 지닌 두 차원을 종합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이다. 돌레의 저술과 출판물 분석을 통해 제노포비아가 16세기 프랑스에서 초기적 형태의 내셔널 리즘이 발생하는 동기로 작용했음을 고찰하였다. Xenophobia,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exclusion and hatred of foreigners, has been regarded as a phenomenon that was mainly expressed in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otherizing process to consolidate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has a long historical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xenophobia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anti-Italian sentiment in France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anti-Italian sentiment in France was first germinated among the intellectual circles and then spread to the socioeconomic dimension. The humanist Etienne Dolet (1509-1546), also an editor-cum-printer in Lyon, is a proper example from whose activities we can comprehensively examine the two dimensions of French xenophobia in the sixteen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his writings and publications, it was considered that xenophobia functioned as an incentive for the early formation of nationalism in France in the sixtee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