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아카이브와 큐레이션에 기초한 디지털 역사학, 공공역사, 트랜스내셔널 역사 : 다양성 속의 통일 원리에 기초한 세계의 평화·상생을 향하여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역사문화연구 Vol.79 No.-

        필자는 본고에서 디지털 큐레이션에 의거하여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기록의 사료들을 확보하고 활용하는 디지털 역사학을 수행하자는 제안을 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와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해 기록의 4대 속성인,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 이용가능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역사학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디지털 역사학은 역사학의 한 분야가 아니라, 사료가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시대에서의 일반적인 역사학의 방법이고 현상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그렇다고 물리적 실체의 사료에 기반한 역사학이 약화되는 것도 아니고 두 형태의 역사학 사이에 상보관계가 형성되어 역사학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역사학이 갖는 시·공을 초월하는 새로운 차원에 주목하고 이를 실현해야 함을 이야기 했다. 이와 함께 저자는 연계·융합의 특징 속에서 시·공을 초월하여 공공역사와 트랜스내셔널 역사를 실현하고 세계의 평화·상생의 길을 찾아 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proposes to develop digital history based on digital archive and curation that secures and utilizes reliable sources of digital records. In other words, it suggests to develop digital history based on the 4 principle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for authenticity, integrity, reliability, availability. It was also emphasized that digital history is not a certain field of history, but a general method and phenomenon of history in the era when historical materials exist in digital form. The author of this article explained that this would not weaken the history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 of physical entities. He emphasized that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rms of historiography would be formed, which would further enrich the history. He also talked about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new dimension of digital histor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At the same time, he hopes that we will be abl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public history and the transnational history based on it. Thus, he thinks that we would find a way to world peace and coexistence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n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 and convergence.

      • KCI우수등재

        독일의 디지털 역사학 현황

        문수현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If the digital humanities in North America are demonstrating a centrifugal force, the digital humanities in Europe are evaluated to be centripetal. In Europe, which is a relative latecomer when compared to the US, digitization is continuing mainly through government support. DARIAH, CLARIN, and a number of large-scale platforms such as EUROPEANA, a European digital culture platform with 3,500 institutions across Europe, and www-digitale-bibliothek, a German version of EUROPEANA, as well as many “International archives” were representative. Beyond such digitiza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search in the field of “digital history”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The “Digital History” was created as a separate research group under the German Historians’ Association in the 2012. Although there is criticism that the digital history just resembles the existing quantitative approach or did not suggest a new historical methodology, it is undeniable that the Digital History already showed a number of meaningful research results. Ultimately, future historical researches should not be “either digital or analog” but rather “how much digital”. 북미의 디지털인문학이 원심력을 보이고 있다면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은 구심력을 보인다고 평가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유럽의 경우 주로 정부지원을 통해서 디지털화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DARIAH, CLARIN 등을 필두로 하여 유럽전역에서 3,500개의 기관이 참여한 유럽의 디지털문화 플랫폼인 EUROPEANA, 유로피아나의 독일판인 www-digitale-bibliothek 등 대규모 플랫폼들이 다수 개발되었고, “Intentional archive” 혹은 “thematic research archive” 등도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역사학 자료의 디지털화를 넘어서 “디지털 역사학” 분야의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고 있다. 디지털 역사학이 독일역사학계에서 얼마나 받아들여졌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는 독일역사학대회 발표문이라 할 것이다. 2012년 독일역사학대회에서 독일역사가협회 산하 연구그룹으로 “디지털 역사학”이 만들어졌고, 아직 경험적인 연구성과들이 많이 보이기보다는 여전히 방법론적인 모색과 논의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2012년부터 각각 4~6개 섹션을 확보해오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인 디지털인문학 연구 성과들은 Semantic web, Digitale Edition, GIS-Visualization,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매핑 연구인 “1800년 이래 유럽 역사학의 디지털 지도”,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마이닝 파트에서 “아동의 세계”, 네트워크 분석 관련해서는 베를린에 생존한 유대인 조력자 네트워크 분석에 대해 소개했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존의 양적인 접근과 유사한 방법론이라거나 새로운 역사학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선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지만, 의미있는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결국, 향후 역사가들의 연구는 “디지털이냐 아날로그냐”가 아니라 “얼마나 디지털이냐”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영국 디지털 역사학의 발전과 현황

        박은재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This article seek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digital history in the UK, through looking at online databases for British history. In the 1960s a small number of British historians started to utilise computing technologies for their studies, mainly for cliometric and statistic analysis. After the mid-1990s, the advance of the world wide web brought a considerable turn towards making historical databases. Based upon the resources transcribed to early databases historical projects using digital methods such as mapping, visualisation and data mining appeared. A recent database built on the presence of aliens and immigrants in the late medieval England illuminated the hitherto unnoticed group of people and the English society’s hostilities towards them. Medical history is one of the areas that is developing fast, thanks to active digitisation of historical sources. 본 논문은 영국 디지털 역사학의 동향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960년대 이래로 영국의 역사학은 양적 분석과 통계적 분석에 컴퓨터 기술을 활용해왔고,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데이터베이스가 대거 출현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기존 사료를 온라인 공간으로 옮기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후에는 그렇게 형성된 토대 위에서 좀 더 구체적인 프로젝트들이 디지털 인문학 기술을 활용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이민사와 의학사는 디지털 역사학의 발달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민사는 영국인의 정체성이라는 현재적 문제의식을 통해 중세 잉글랜드 사회에서의 이방인과 원주민 사이의 관계를 다시 밝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의학사는 어느 분야보다 활발한 디지털 자료의 생성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 KCI등재

        독일 디지털 역사학에서 바라본 컴퓨터 알고리즘의 활용과 역사 시뮬레이션의 가능성

        황기우 한국독일사학회 2022 독일연구 Vol.- No.50

        In relation to history simul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chnical principle of operating it and the actual use is very large at the current stage of digital history. However, the reason for such a difference is that while the technology of programs with complex and massive capacities such as human perception is already beyond our expectations, there is no history-optimized program yet to grasp historical events as a whole. Although the aforementioned text mining or network analysis methods have a device that can process high-dimensional areas such as human perception as data, it can only identify one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a kind of historical simul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them into one program is at an early stage, even abroad.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is theory and reality stems from the need for knowledge other than histor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imulation rather than a technical problem. For example,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constitute the actor's attributes, there are many cases that require special knowledge of the psychological part or the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Of course,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attribute can be limited to the scope covered by the historian, but in order to precisely construct the simulation model, the contents other than the history of the attribute must be very detailed, and for this, the help of the specialized area must be obtained. Historical simulations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or a new leap forward in digital history. In particular, the various expertise required in history simulation will expand the scope of history, thereby reaffirming the achievements of existing history and reducing unnecessary arguments, as well as triggering new and productive debates as the extension of expanded history. To do so, we first need to recognize two facts. The first is the fact that detailed technical environments for historical simulation are already in place, and the other is that research on simulation models optimized for historical studies by integrating these detailed results is insufficient. Fortunately, an integrated model for historical simulation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such as German digital historian Shoeermann. Although the programs for building integrated historical simulation models are in the early stages, their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is at least significant, given that there is a device in place to identify the results produced by existing historical studies. 역사 시뮬레이션과 관련하여 그것을 운용하는 기술적 원리와 실제 활용 간의 차이는 디지털 역사학의 현 단계에서 매우 크다. 그런데 그러한 차이 를 만들어내는 원인은 인간의 인식과 같은 복잡하고 엄청난 용량을 담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술력이 이미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에 있으면 서도, 역사적 사건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역사에 최적화된 프로그램 은아직없다는데있다. 텍스트마이닝 또는 네트워크 분석 방식 등은 비록 인간의 인식과 같은 고차원의 영역을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였지만, 이는 행위자들이 갖는 관계의 한 단면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이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한 일종의 역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 발 수준은 국외에서조차 초기 단계에 있다. 이러한 이론과 현실의 큰 차이 는 기술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시뮬레이션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역사 이외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데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행위자의 속성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심리적인 부분이나 외부 자연환경의 특별한 지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물론 속성을 구성하는 내용을 역사가가 다루는 범위에서 한정할 수 있지만, 시뮬레이션 모델을 정교하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속성의 역사 외적인 내용이 매우 세부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그만큼 전문 영역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디지털 역사학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최근 역 사 시뮬레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역사 시뮬레이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전문 지식은 역사학의 범위를 확장하고, 이를 통해 기존 역사학의 성과 를 재확인하고 불필요한 논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된 역사학 의 외연만큼 새로우면서도 생산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그 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선 모순된 두가지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첫 째는 역사 시뮬레이션을 위한 세부적인 기술적 환경이 이미 마련되어있다 는 사실이고, 나머지 하나는 이러한 세부적인 결과물들을 통합하여 역사학 에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다는 사실이다. 다행히 도 독일의 디지털 역사가 쇼이어만과 같이 최근 역사 시뮬레이션을 위한 통합형 모델이 소개되고 있다. 통합형 역사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비록 초기 단계에 있지만, 기존 역사학에서 생산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적어도 “역사 교육” 분야에서 의 활용 가능성은 매우 크다.

      • KCI우수등재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양적분석을 중심으로-

        이상국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역사학계는 디지털시대 한국사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인해 그에 걸맞은 연구방법론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것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 변화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와 디지털시대에 한국사 연구가 직면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필자는 한국사 연구에서 기존의 질적연구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그것을 '디지털역사학'으로 명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양적 데이터로의 전환과 한국사 데이터에 최적화된 분석방법론의 모색이 디지털역사학의 핵심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Since around 2000 years, plenty of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digitized in various format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Due to the structural transition from the era with limited access to an era of infinite information acces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challenges in many w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in the big data and the digital era.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research paradigm that converges digital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history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digital history that the AIRG(Ajou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 has tried so far as called it ‘digital history'.

      • KCI등재

        From Data to Agents: 한국 디지털 역사학의 현주소와 AI 시대의 역사학

        이상동,박충식 이주사학회 2020 Homo Migrans Vol.22 No.-

        This article purpose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Digital History conducted by Korean historians, point out its limitation and suggest an alternative.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Digital History, which uses digital technologies for research, among Korean historians. However, they focus on mostly database and visualization, while a few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with data. This methodology has limitation, which use just data for research. The drawback could overcome a new methodology, Computational History, in particular, ABM(Agent-Based Modeling) simulation. Historical events or facts have very complicated connections between various factors, which is not possible to explain with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just a few elements. ABM simulation can assume several factors as conditions and manipulate them, which demonstrates many different processes of the historical event and its results, depending on combinations of conditions. This makes it possible to explain and understand historical events or facts in a wider range of aspects. 본 논문은 한국 디지털 역사학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그 방법론을 더 활성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계산 역사학을 소개한다. 근래 들어 역사학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와 시각화에 중점을 두고 있고 있으며, 소수만이 데이터를 이용한 계량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이와 같은 연구는 행위자 기반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더 심화되고 확대될 수 있다. 역사적 사건과 사실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작용 속에서 생성되었다. 따라서 역사 연구에서 단지 몇 가지의 인자를 통한 단선적 해석으로는 규명하기 어렵다. 행위자 기반 모델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변수들을 상정하고, 연구자가 그것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사건(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곧 단선적 역사 해석이 아니라 다층적으로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 KCI우수등재

        [한국사] 문화콘텐츠의 핵심 원천으로서의 역사학

        김기덕(Kim, Ki-Duk),이병민(Lee, Byung-Min) 역사학회 2014 역사학보 Vol.0 No.224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resultant informatization, its core source can be said to be history or historical studi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clear that history is the core source in a field of cultural contents newly presented in the 21th-centur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from such a perspective. It attempted to make an intensiv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under the above basic premise. First of all,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much used in foreign countries and presented its relationship to cultural contents. In addition, it attempted to make a structural explanation of how fields such as orthodox history, digital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t the level of the general theory of history. Next, it attempted to present diverse modes of combination between fields such as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as four fields including storytelling, heritage, Korean wave and visual history in a broad sense. Digital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can be said to an attempt to implement universality through specificity, speciality through popularization. It lies in the original objective of history that aims to tell the truth through facts. Therefore, history cannot encompass all fields of cultural contents but can clearly be said to the core source of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기반 한국사 연구의 현황과 가능성: 디지털 역사학의 시작

        이상국,Lee, Sangkuk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6

        본 글은 역사학, 그 중에서 한국사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모색하고, 이를 활용한 '디지털 역사학'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대한 '한국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사 연구를 위해서는 기존의 질적분석 방법론뿐만 아니라 양적분석 방법론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학제 간 융합연구가 요청된다. 본 글에서는 '한국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연구의 출현을 고대하면서, 학제 간 융합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연구의 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즉,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는 텍스트 분석방법으로 '한국사 빅데이터'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한다면, 양적분석 방법론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행간의 의미읽기의 부재'를 점차 보완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준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사료가 충분하지 않은 전근대 한국사의 역사적 인물과 사건들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시각화를 통해서도 평면적 연구에서 찾아내지 못한 역사적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디지털 역사학'의 서막이 오른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ditions and potential of newly designed and tried methodology of big data analysis that apply to Korean history subject matter. In order to advance them,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ies over pre-existing qualitative analysis. To obtain our new challenge, I propose 'digital history' methods along with associated disciplines such as linguistics and computer science, data science and statistics,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As one example, I apply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pproaches to the principle and mechanism of elite reproduction during the Korean medieval age. I propose how to compensate for a lack of historical material by applying a semi-supervised learning method, how to create a database that utilizes text-mining techniques, how to analyze quantitative data with statistical methods, and how to indicate analytical outcomes with intuitive visualization.

      • KCI우수등재

        [사상사-역사이론] “슈뢰딩거의 클레오파트라?” 디지털과 아날로그 사이 경계에 선 한국서양사학 - 2019~2020년 역사이론과 사상사 분야 회고와 전망 -

        구자정(Koo, Ja-Jeong) 역사학회 2021 역사학보 Vol.- No.251

        This article purports to be an interpretative survey to articulate the issues and trends dominating the historiography of history of ideas and historical theories between 2019 and 2020, in the fields of European and American history in Korea. I argue that during the last two years the Korean scholarship paradoxically faces a promising present and an uncertain future at the same time. On the one hand, it achieves remarkable success featuring incessant innovativeness in terms of theory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output that it has produced in the Korean context reaches to the level comparable to that of the disciplinary peers in the international scholarship, even though most of its contributions still lack visibility and global contextualiz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historians. On the other hand, I also argue that the scholarship faces challenges of “Schrödingers Kleopatra ” as well, in that the ongoing “digital turn” in the relevant fields makes its traditional theory and methodology based on causality and chronology increasingly outdated. Finally, I conclude that while the recent move to “Simulation History” certainly seems to promise a rosy future with new methodological innovations, its expected outcome, “Schrödingers Kleopatra” still remains controversial, in that it might completely shake up the established rule of causality in the historians’ craft.

      • KCI우수등재

        한국 근·현대사를 바라보는 세밀한 시선과 담론의 좌표

        왕현종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255

        In this issue of Journal of History,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2020-2021 were reviewed. During this period, researches on Korean history cove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increased quantitatively by 11.5% of papers and 24.8% of books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years. The keywords of the research trends for each period focused on Complex space-time, colonial society, and resisting subjects of modern society. Among them, I pointed out the mass-production of personal biographies of the King Gojong period, criticism on the March 1 Revolution theory, the origins of modern social science, and the current state of oral research on the victims of the Korean War. Regarding historiographic discourses, criticism of the modern long-term continuity theory in Korea and new issues on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ere reviewed. Here, I pointed out that the conflict between landlords and farm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task of modern land reform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I argued that the provision of an alternative system for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understanding of the separation of the Korean people should be regarded as “today’s problems.” In the conclusion, I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historian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digital history concerning the outlook of history and to set the coordinates of discourse in adva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ignificant discourse in human history. 이번 역사학보 회고와 전망에서는 2020~2021년도에 발간된 한국 근·현대사의 연구경향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시기에 근대와 현대의 시기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사 연구는 2년 전에 비해 논문 11.5%, 저서 24.8% 등 양적 확대가 이루어졌다. 각 시기별 연구동향의 핵심어는 복합의 시·공간, 식민지 사회, 현대사회의 저항하는 주체들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그 중에서 고종시기 인물 평전의 양산, 3·1 혁명론의 비판, 현대사회과학의 기원, 한국전쟁 피해 구술 연구의 현황 등을 지적하였다. 한편 역사 담론의 분야에서는 한국 근대의 장기지속론 비판과 남·북 분단 체제의 새로운 논점에 대해 검토하면서, 조선말기 지주와 농민의 갈등과 근대 토지개혁 과제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남북 분단의 대안 체제 마련과 한반도 주민의 이산 문제 이해를 ‘오늘’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역사학의 전망과 관련하여 디지털 역사학의 문제점을 인식해야 하며, 휴먼 역사의 거대 담론 설정을 위해 담론의 좌표를 미리 제기하여야 한다는 역사가의 책무를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