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디지털 아카이브와 큐레이션에 기초한 디지털 역사학, 공공역사, 트랜스내셔널 역사 : 다양성 속의 통일 원리에 기초한 세계의 평화·상생을 향하여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역사문화연구 Vol.79 No.-
필자는 본고에서 디지털 큐레이션에 의거하여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기록의 사료들을 확보하고 활용하는 디지털 역사학을 수행하자는 제안을 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와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해 기록의 4대 속성인,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 이용가능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역사학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디지털 역사학은 역사학의 한 분야가 아니라, 사료가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시대에서의 일반적인 역사학의 방법이고 현상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그렇다고 물리적 실체의 사료에 기반한 역사학이 약화되는 것도 아니고 두 형태의 역사학 사이에 상보관계가 형성되어 역사학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역사학이 갖는 시·공을 초월하는 새로운 차원에 주목하고 이를 실현해야 함을 이야기 했다. 이와 함께 저자는 연계·융합의 특징 속에서 시·공을 초월하여 공공역사와 트랜스내셔널 역사를 실현하고 세계의 평화·상생의 길을 찾아 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proposes to develop digital history based on digital archive and curation that secures and utilizes reliable sources of digital records. In other words, it suggests to develop digital history based on the 4 principle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for authenticity, integrity, reliability, availability. It was also emphasized that digital history is not a certain field of history, but a general method and phenomenon of history in the era when historical materials exist in digital form. The author of this article explained that this would not weaken the history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 of physical entities. He emphasized that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rms of historiography would be formed, which would further enrich the history. He also talked about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new dimension of digital histor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At the same time, he hopes that we will be abl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public history and the transnational history based on it. Thus, he thinks that we would find a way to world peace and coexistence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n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 and convergence.
문수현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If the digital humanities in North America are demonstrating a centrifugal force, the digital humanities in Europe are evaluated to be centripetal. In Europe, which is a relative latecomer when compared to the US, digitization is continuing mainly through government support. DARIAH, CLARIN, and a number of large-scale platforms such as EUROPEANA, a European digital culture platform with 3,500 institutions across Europe, and www-digitale-bibliothek, a German version of EUROPEANA, as well as many “International archives” were representative. Beyond such digitiza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search in the field of “digital history”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The “Digital History” was created as a separate research group under the German Historians’ Association in the 2012. Although there is criticism that the digital history just resembles the existing quantitative approach or did not suggest a new historical methodology, it is undeniable that the Digital History already showed a number of meaningful research results. Ultimately, future historical researches should not be “either digital or analog” but rather “how much digital”. 북미의 디지털인문학이 원심력을 보이고 있다면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은 구심력을 보인다고 평가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유럽의 경우 주로 정부지원을 통해서 디지털화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DARIAH, CLARIN 등을 필두로 하여 유럽전역에서 3,500개의 기관이 참여한 유럽의 디지털문화 플랫폼인 EUROPEANA, 유로피아나의 독일판인 www-digitale-bibliothek 등 대규모 플랫폼들이 다수 개발되었고, “Intentional archive” 혹은 “thematic research archive” 등도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역사학 자료의 디지털화를 넘어서 “디지털 역사학” 분야의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고 있다. 디지털 역사학이 독일역사학계에서 얼마나 받아들여졌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는 독일역사학대회 발표문이라 할 것이다. 2012년 독일역사학대회에서 독일역사가협회 산하 연구그룹으로 “디지털 역사학”이 만들어졌고, 아직 경험적인 연구성과들이 많이 보이기보다는 여전히 방법론적인 모색과 논의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2012년부터 각각 4~6개 섹션을 확보해오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인 디지털인문학 연구 성과들은 Semantic web, Digitale Edition, GIS-Visualization,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매핑 연구인 “1800년 이래 유럽 역사학의 디지털 지도”,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마이닝 파트에서 “아동의 세계”, 네트워크 분석 관련해서는 베를린에 생존한 유대인 조력자 네트워크 분석에 대해 소개했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존의 양적인 접근과 유사한 방법론이라거나 새로운 역사학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선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지만, 의미있는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결국, 향후 역사가들의 연구는 “디지털이냐 아날로그냐”가 아니라 “얼마나 디지털이냐”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현재를 위한 디지털 역사학:사라지는 것들과 주목받지 못한 것들의 기록
이은수 역사학회 2024 역사학보 Vol.- No.264
본 연구는 디지털 역사학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기존의 디지털 역사학이 과거 사료의 디지털화와 접근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제는 현재와 미래를 위한 역사학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핵심 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사라지는 것들'과 '주목받지 못한 것들'을 미래의 사료로 재정의하고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문화공간의 아카이빙, 어린이 기록물과 같은 디지털 에페메라의 수집과 보존 노력을 소개한다. 둘째, 독자의 역할을 역사 연구의수동적 소비자에서 미래 사료의 능동적 생산자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는 소셜 리딩을 통한 역사 해석의 공유와 라이프로깅을 통한 일상의 기록화로 구체화된다. 특히 본 연구는학전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와 여행 경험의 디지털 아카이빙 등 실제 사례를 통해 이러한방법론의 실천 가능성을 검증한다. AI 시대의 디지털 역사학은 온라인 데이터 수집을 넘어, 현장 조사와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현재의 복잡한 현실을 포착하고 기록하는'일상의 고고학'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는 역사학의 연구 대상을 확장하고, 역사적 기록의 생산과 해석 과정을 민주화하며, 디지털 기술과 전통적 현장 연구의 창조적 융합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더욱 풍부한 역사적 자료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digital history, shifting from traditional digitization of historical sources toward becoming a historical practice for the present and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two key tasks: first, redefining and systematically preserving ‘the vanishing’ and ‘the overlooked’ as future historical sources (as demonstrated through cultural space archiving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and the preservation of digital ephemera such as children’s records); second, transforming readers from passive consumers to active producers of historical sources through social reading and life-logging. The study verifies these methodologies through actual cases including the Hakjeon digital twin project and digital archiving of travel experiences. Digital history in the AI era must evolve into an ‘archaeology of the everyday’ that captures present reality through field research and systematic data collection. This will expand the scope of historical research, democratize historical record-keeping and interpretation, and build richer historical materials for future generations through the creativ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traditional field research.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위한 언어자료 구축의 개선 방안과 확장 범위
이성우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5 시민인문학 Vol.48 No.-
이 글은 최근 주요 연구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디지털인문학을 조망하였다. 그리고 디지털인문학의 발전에 국어학이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이 글에서는 디지털인문학에서 언어자료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검토하 였다. 디지털역사학과 디지털한국문학으로 나누고, 언어자료의 활용 방안과 주요 연구 성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성과가 학계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인문학에서 언어자료를 어떻게 확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림과학원의 성과를 제시하고, 해방 이후의 언어 자료 구축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 시기의 자료란 1945년 이후 1970년대 까 지의 자료를 말하는 것으로, 잘 구축된 자료가 학계에 공급되면 역사학 연구뿐만 아니라 문학 연구, 국어학 연구(특히 어휘사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한 언어자료 구축에 있어서 명사와 고유명사 태깅을 보다 세밀하게 할 것을 제안 하였다. 명사와 고유명사에 대한 세밀한 추적은 그 당대 사회상을 엿보는 것에 기 여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major research trend, and examines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Korean linguistics to its development. First, the study reviews the utilization of language data in digital humanities. It categorizes the field into digital history and digital Korean literature, discussing methods of language data application and key research achievements. The paper also highlights how these achievements can contribute to academic progress. Next, it addresses strategies for expanding language data in digital humanities. It introduces the accomplishments of the Hallym Academy of Science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building language data from the post-liberation period. Specifically, this refers to data spanning from 1945 to the 1970s. Properly developed resources from this era are expected to advance not only historical research but also literary studies and linguistic studies, particularly in lexical history. Furthermore, the paper proposes more detailed tagging of nouns and proper nouns in language data development. Such meticulous tracking of nouns and proper nouns is crucial for gaining insights into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박은재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This article seek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digital history in the UK, through looking at online databases for British history. In the 1960s a small number of British historians started to utilise computing technologies for their studies, mainly for cliometric and statistic analysis. After the mid-1990s, the advance of the world wide web brought a considerable turn towards making historical databases. Based upon the resources transcribed to early databases historical projects using digital methods such as mapping, visualisation and data mining appeared. A recent database built on the presence of aliens and immigrants in the late medieval England illuminated the hitherto unnoticed group of people and the English society’s hostilities towards them. Medical history is one of the areas that is developing fast, thanks to active digitisation of historical sources. 본 논문은 영국 디지털 역사학의 동향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960년대 이래로 영국의 역사학은 양적 분석과 통계적 분석에 컴퓨터 기술을 활용해왔고,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데이터베이스가 대거 출현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기존 사료를 온라인 공간으로 옮기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후에는 그렇게 형성된 토대 위에서 좀 더 구체적인 프로젝트들이 디지털 인문학 기술을 활용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이민사와 의학사는 디지털 역사학의 발달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민사는 영국인의 정체성이라는 현재적 문제의식을 통해 중세 잉글랜드 사회에서의 이방인과 원주민 사이의 관계를 다시 밝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의학사는 어느 분야보다 활발한 디지털 자료의 생성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 디지털 역사학과 공공역사의 적용과 전망
윤혜민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통일인문학 Vol.100 No.-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전이 한국사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화된 역사자료를 대규모로 양산해 냄으로써, 이제는 이를 어떻게 처리하고 활용할 것인지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것이 ‘디지털 역사학(Digital History)’이다. 아울러 방대하게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가 대중적 확산을 이루면서,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발전을 가져왔다. 디지털 역사학은 디지털 역사자료가 한 개인이나 소수의 집단이 처리할 수 있는 양을 넘어서자, 서로 다른 영역의 학자들이 협력하고 새로운 대화 공간을 탐색한 결과로써 나타난 것이다. 공공역사는 디지털 역사자료가 접근성의 제한 없이 개방되어 역사의 대중적 확산에 기여함으로써, 광범위한 대중이 능동적으로 역사를 소비·생산하는 주체로서 변화하며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추세에 따라 디지털 역사학과 공공역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그 연구의 흐름을 진단한 후, 이를 토대로 디지털 역사자료의 다양한 활용을 위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이는 한국사를 더욱 풍요롭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인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Korea has become a world-class ICT powerhouse,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history. With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questions regarding their processing and utilization have emerged. In this context, Digital History has emerged. Furthermore, the widespread availability of digital historical materials has fostered the development of Public History. Digital History emerged as scholars from various fields collaborated and explored new spaces for dialog, as the volume of digital historical data surpassed the capacity of an individual or small group to manage. Public History has emerged as digital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made accessible without restrictions, facilitating the dissemination of history and transforming the broader public into active consumers and producers of history.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s of digital and public history, examines research trends, and highlights the need to explore new methodologies for the diverse utilization of digital historical materials in line with evolving trends in Korean history research.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efforts will not only enrich Korean history but als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new humanities.
독일 디지털 역사학에서 바라본 컴퓨터 알고리즘의 활용과 역사 시뮬레이션의 가능성
황기우 한국독일사학회 2022 독일연구 Vol.- No.50
In relation to history simul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chnical principle of operating it and the actual use is very large at the current stage of digital history. However, the reason for such a difference is that while the technology of programs with complex and massive capacities such as human perception is already beyond our expectations, there is no history-optimized program yet to grasp historical events as a whole. Although the aforementioned text mining or network analysis methods have a device that can process high-dimensional areas such as human perception as data, it can only identify one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a kind of historical simul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them into one program is at an early stage, even abroad.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is theory and reality stems from the need for knowledge other than histor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imulation rather than a technical problem. For example,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constitute the actor's attributes, there are many cases that require special knowledge of the psychological part or the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Of course,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attribute can be limited to the scope covered by the historian, but in order to precisely construct the simulation model, the contents other than the history of the attribute must be very detailed, and for this, the help of the specialized area must be obtained. Historical simulations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or a new leap forward in digital history. In particular, the various expertise required in history simulation will expand the scope of history, thereby reaffirming the achievements of existing history and reducing unnecessary arguments, as well as triggering new and productive debates as the extension of expanded history. To do so, we first need to recognize two facts. The first is the fact that detailed technical environments for historical simulation are already in place, and the other is that research on simulation models optimized for historical studies by integrating these detailed results is insufficient. Fortunately, an integrated model for historical simulation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such as German digital historian Shoeermann. Although the programs for building integrated historical simulation models are in the early stages, their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is at least significant, given that there is a device in place to identify the results produced by existing historical studies. 역사 시뮬레이션과 관련하여 그것을 운용하는 기술적 원리와 실제 활용 간의 차이는 디지털 역사학의 현 단계에서 매우 크다. 그런데 그러한 차이 를 만들어내는 원인은 인간의 인식과 같은 복잡하고 엄청난 용량을 담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술력이 이미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에 있으면 서도, 역사적 사건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역사에 최적화된 프로그램 은아직없다는데있다. 텍스트마이닝 또는 네트워크 분석 방식 등은 비록 인간의 인식과 같은 고차원의 영역을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였지만, 이는 행위자들이 갖는 관계의 한 단면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이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한 일종의 역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 발 수준은 국외에서조차 초기 단계에 있다. 이러한 이론과 현실의 큰 차이 는 기술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시뮬레이션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역사 이외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데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행위자의 속성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심리적인 부분이나 외부 자연환경의 특별한 지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물론 속성을 구성하는 내용을 역사가가 다루는 범위에서 한정할 수 있지만, 시뮬레이션 모델을 정교하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속성의 역사 외적인 내용이 매우 세부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그만큼 전문 영역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디지털 역사학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최근 역 사 시뮬레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역사 시뮬레이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전문 지식은 역사학의 범위를 확장하고, 이를 통해 기존 역사학의 성과 를 재확인하고 불필요한 논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된 역사학 의 외연만큼 새로우면서도 생산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그 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선 모순된 두가지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첫 째는 역사 시뮬레이션을 위한 세부적인 기술적 환경이 이미 마련되어있다 는 사실이고, 나머지 하나는 이러한 세부적인 결과물들을 통합하여 역사학 에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다는 사실이다. 다행히 도 독일의 디지털 역사가 쇼이어만과 같이 최근 역사 시뮬레이션을 위한 통합형 모델이 소개되고 있다. 통합형 역사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비록 초기 단계에 있지만, 기존 역사학에서 생산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적어도 “역사 교육” 분야에서 의 활용 가능성은 매우 크다.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양적분석을 중심으로-
이상국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역사학계는 디지털시대 한국사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인해 그에 걸맞은 연구방법론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것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 변화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와 디지털시대에 한국사 연구가 직면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필자는 한국사 연구에서 기존의 질적연구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그것을 '디지털역사학'으로 명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양적 데이터로의 전환과 한국사 데이터에 최적화된 분석방법론의 모색이 디지털역사학의 핵심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Since around 2000 years, plenty of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digitized in various format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Due to the structural transition from the era with limited access to an era of infinite information acces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challenges in many w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in the big data and the digital era.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research paradigm that converges digital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history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digital history that the AIRG(Ajou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 has tried so far as called it ‘digital history'.
디지털 시대, GIS 기반 역사학 연구방법론 모색: 경성 토지시장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유슬기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50
서구학계에서 GIS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인문지리학을 거쳐 역사학으로 활용 영역을 넓혀가며 분석도구로서 유용성을 인정받았다. 국내에서도 2010년대 이후 GIS 기반 역사지도 구축과 공간분석 시도가 이어져오며 역사학에서의 GIS 접목 가능성을 보여왔다. 이 글은 GIS 기반의 연구가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역사학 연구방법의 한 파트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경성 토지시장 연구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사례들은 필지 단위로 경계선이 그려진 지도와 각 필지 별 토지정보가 기록된 사료를 토대로 GIS 데이터를 구축하여 진행되었다. 토지 가격 결정 요인을 다룬 연구에서는 GIS 기능을 이용해 거리와 면적을 측정하여 통계분석의 변수로 사용하였고, 공간분석 기법을 통해 공간효과 존재를 확인하여 보다 적합한 통계모형을 설계함으로써 토지가격에 영향을 준 요인을 분석하였다. 원남동 연구에서는 시기별 토지정보를 비교하여 토지에 대한 수요와 일본인의 투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토지의 위치를 각각 레이어로 생성하고 원남동 주변을 둘러싼 주요 시설과 도로 등을 각각의 레이어로 하여 이를 중첩해 원남동에 나타난 일본인의 토지 투기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GIS는 사료의 공간정보를 재구성하는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지속적인 공간데이터 구축과 함께 여러 공간에 대하여 그리고 다양한 공간분석 기법으로 연구 지평을 확장해 나가며 GIS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역사학 연구방법론으로 정립되길 기대한다. In Western academia, GIS has been recognized as a useful analytical tool, expanding its application from the social sciences through human geography to history. In South Korea, the integration of GIS into historical studies has been showcased through ongoing efforts to construct GIS-based historical maps and perform spatial analyses since the 2010’s.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study of the Gyeongseong(京 城) land market to explain how GIS-based historical research can be a suitable part of historical research methodologies in the digital age. The research cases involved constructing GIS data based on maps with drawn parcel boundaries and records of land information for each parcel. In studies focused on the determinants of land prices, GIS functions were used to measure distance and area, which served as variables in statistical analyses. And spatial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identify spatial effects, which helped in designing more accurate statistical model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In the Wonnam-dong(苑南洞) study, land information over different periods was compared to assess the demand for land and the involvement of Japanese investments, creating separate layers for each. Layers representing major facilities and roads around Wonnam-dong were overlaid to investigate the fervor of Japanese land speculation in the area. As these examples show, GIS can serve as an analytical tool that supplements historical sources. With ongoing development of spatial data and the application of variou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GIS is poised to become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in historical research for the digital age.
From Data to Agents: 한국 디지털 역사학의 현주소와 AI 시대의 역사학
이상동,박충식 이주사학회 2020 Homo Migrans Vol.22 No.-
This article purpose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Digital History conducted by Korean historians, point out its limitation and suggest an alternative.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Digital History, which uses digital technologies for research, among Korean historians. However, they focus on mostly database and visualization, while a few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with data. This methodology has limitation, which use just data for research. The drawback could overcome a new methodology, Computational History, in particular, ABM(Agent-Based Modeling) simulation. Historical events or facts have very complicated connections between various factors, which is not possible to explain with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just a few elements. ABM simulation can assume several factors as conditions and manipulate them, which demonstrates many different processes of the historical event and its results, depending on combinations of conditions. This makes it possible to explain and understand historical events or facts in a wider range of aspects. 본 논문은 한국 디지털 역사학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그 방법론을 더 활성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계산 역사학을 소개한다. 근래 들어 역사학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와 시각화에 중점을 두고 있고 있으며, 소수만이 데이터를 이용한 계량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이와 같은 연구는 행위자 기반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더 심화되고 확대될 수 있다. 역사적 사건과 사실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작용 속에서 생성되었다. 따라서 역사 연구에서 단지 몇 가지의 인자를 통한 단선적 해석으로는 규명하기 어렵다. 행위자 기반 모델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변수들을 상정하고, 연구자가 그것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사건(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곧 단선적 역사 해석이 아니라 다층적으로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