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학(東學)’ 개념 탄생의 사상사적 의미 – 창도(創道)에서 창학(創學)으로-

        조성환,이우진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8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wo problems. First, while existing studies acknowledge that the two-year period from the spring of 1860 to the first half of 1862 is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Eastern Learning [東學, Tonghak], there has been no concrete study on how Choi Je-woo's thoughts changed during that period.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Choi Je-woo’s ‘creating a new Learning [創學].’ First, We divided the two years into ① the period of creating a new way in Gyeongju (1860.04~1861.02) ➡ ② the period of propagation of virtue in Gyeongju (1861.03~1861.11) ➡ ③ the period of creating a new learning in Namwon (1861.11~1862.03), and then compared and examined the writings of each period. First of all, in the writings of the period of creating a way in Gyeonju, the Yongdamga [龍潭歌] and the Ansimga [安心歌], the core terms that represent Eastern Learning did not appear, and Choi Jae-woo’s experiences and revelations from Hanulnim (Lord of Heaven) were the main narratives. Next, the Podeokmun [布德文] and the Kyohunga [敎訓歌]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propagation of virtue in Gyeongju showed more developed characteristics than before, but especially in the Kyohunga, there was a growing interest in learning [學] as a concrete way to realize the Way. Lastly, the writings during the period of creating a new learning in Namwon, Dosusa [道修詞], Kwonhakga [勸學歌] and Nonhakmun [論學文]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Kyohunga. In particular, in the Nonhakmun, for the first time, the expression ‘cultivate one’s heart and correct one’s life force [守心正氣]’, which represents the theory of cultivation of the Eastern Learning, appeared along with the word ‘Heavenly way [天道]’, another name for the Eastern Learning. Second, We examined the historical meaning of Choi Je-woo’s creating a new learning, focusing on the concepts of ‘Eastern [東]’ and ‘Learning [學].’ The Learning proposed by Choi Jae-woo was a shift from the oral to the literature as the shift from fragmentary expressions to an abstract and metaphysical system of knowledge. In addition, for the ‘East’ in the the Eastern Learning, he advocated broadly referred to ‘East Asia’ but narrowly to ‘here in Korea’ as distinguished from China. The knowledge system was the Eastern Learning as Korean Learning.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제우의 사상과 행적을 다룬기존의 연구들이 1860년에서 1862년에 이르는 2년의 시기가 동학의 초기 역사에서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최제우의 사상 형성에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문헌학적 분석이 소홀했고, 그로 인해 남원에서의 최제우의 활동에 담긴 동학사적 의미와 사상사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론에서는 최제우의 활동 양상을 크게 ‘창도(創道)’와 ‘창학(創學)’으로 구분하고, 활동 공간과 내용에 따라 ‘경주창도기➡경주포덕기➡남원창학기’로 나눈 뒤에, 각 시기별로 저술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경주창도기의 저술인 「용담가」와 「안심가」에는 아직 동학을 대표하는 개념들이 등장하지 않고, 하늘님(님) 체험이 중심 내용을 이루고 있다. 이어서 경주포덕기에 저술된 「포덕문」과 「교훈가」에는 도(道)를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의 학(學)에 대한 관심이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원창학기의 저술인 「도수사」․ 「권학가」․「논학문」은 「교훈가」에 나타난 관심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논학문」에는 동학의 별칭인 ‘천도(天道)’라는 말과 함께, 동학의 수양론을 대변하는 ‘수심정기’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최제우가 경주에서 하늘님과의 대화를 통해 받은 계시와 그에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道)를 ‘창도(創道)’하여 포교(布敎)했다면, 남원에서는 그 도(道)를 철학적으로 성찰하고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여 글로 정리함으로써새로운 학(學)을 ‘창학(創學)’한 것이다. 한편 최제우의 창학(創學)이 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는 ‘동(東)’과 ‘학(學)’ 개념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는데, ‘학(學)’은 ‘주문동학’에서 ‘문헌동학’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고, 단편적인 표현과 실천적인 수련에서추상적인 이론과 형이상학적인 ‘지식체계’로 발전되어 갔음을 시사한다. ‘동(東)’은넓게는 ‘동아시아’를, 좁게는 중국과 구별되는 ‘조선’을 지칭하기 때문에, 결국 ‘동학’ 이라는 지식 체계는 지금으로 말하면 한국의 자생적 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 또는‘한국철학’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동학사상과 호남 동학도의 보국안민적 공의론(公義論) 고찰

        이형성 ( Lee Hyung-s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조선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건국한 이후, 사상과 사회경제의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사상적으로는 양명학(陽明學)과 서학(西學)의 유입으로 지식인의 세계관이 넓어지는가 하면, 정치적으로는 임금 서거에 따른 복상(服喪) 문제로 대립된 예송이 붕당을 격화시키기도 하였다. 하지만 영·정조 때에는 탕평책을 실시하여 국가와 사회가 안정되어 문화적으로 발전하였다. 18세기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인하여 조선은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상황에 처하면서 사회적 부조리가 많이 노정되기에 이르렀다. 조선말기 시대적 `난국(難局)`에 등장한 종교적 사상이 바로 동학(東學)이었다. 동학은 시대를 목도한 자주적 저항 의식의 표출이었다. 또한 그 이면에는 서양과 일본에 대한 `척양왜(斥洋倭)`의 의지도 깃들어 있었다. 특히 동학도는 구법(舊法)을 따르기보다는 새로운 이상세계와 사회질서를 도모하였다. 즉 내적으로 학정에 시달리는 농민 대중을 구하고, 외적으로는 날로 심화되는 제국주의 열강의 침탈을 물리치고, 궁극적으로 포덕천하에 의한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동학과 호남 동학도의 연계성을 통해 동학도의 보국안민적(輔國安民的) 공의(公義)를 고찰한 것이다. 먼저 최제우(崔濟愚)와 최시형(崔時亨)이 지향한 동학사상의 종교적 색채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당시 호남 위정자의 학정과 아전들의 횡포를 타개하고자 한 전봉준(全琫準)·손화중(孫華仲)·김개남(金開男) 등이 동학의 이념을 지향하면서도 당시 사회적으로 문란한 시폐를 타개하여 사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고, 나아가 양왜(洋倭)의 부당한 침략을 저지하여 국권수호를 목표로 한 측면을 다루었다. 더욱이 호남의 동학 농민 운동을 시기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여, 동학사상을 계승한 호남의 동학도가 `보국안민이라는 공의`를 통해 현실의 폐단을 주체적으로 개혁하고자 한 측면을 고찰하였다.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ungjo and King Jeongjo, Tangpyeongchaek(蕩平策: non-partisan, meritocratic recruitment of government officials) was pursued to stabilize the nation and society and facilitate cultural development. However, during the 18th century, Suhsedongjeom(西勢東漸: The powerful western countries are occupying the Asian countries.) put Chosen to crisis both at home and internationally, exacerbating its social ills. As the end of Chosen dynasty ran into a chaos, Donghak rose as a religious ideology. It was an expression of autonomous resistance against the age; it was also a resolution of `cheokyangwoe`: being against the West and Japan. In particular, rather than following old customs, Donghak sought to promote ideal world and social order. Internally, it sought to relieve peasants and the mass from the ills of the governing regime; externally, it aimed to repel the encroaching forces of imperialist power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and the followers of Donghak in Honam region in order to assess the public ideals of Donghak: Bogukanmin(輔國安民: to protect the nation and to comfort the people). First, the Donghak ideologies of Choi Je-woo(崔濟愚) and Choi Shi-hyung(崔時亨) are studied for their religious colors. Then the author turns to how the likes of Jeon Bong-jun(全琫準), Son Hwa-jung(孫華仲) and Kim Gae-nam(金開男) pursued Donghak ideologies and built a new social order against the corrupt tides of the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atrocious governance and the tyranny of civil servants in Honam region at the time; the study also addresses how they tried to fight against unjust invasions by the West and the Japanese in order to protect national sovereignty. Also,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Honam has been divided into 4 phases so as to assess how Donghak peasant movement of Honam, succeeding Donghak ideology, pursued the public ideals of Bogukanmin in order to autonomously overcome the ills of their reality.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 설화와 소설화 양상 연구-내포 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채길순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9

        이 글은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한 설화 양상을 고찰하여 동학농민혁명 시대 민중들의 현실 인식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사 설화 문학이 각각 그 시대의 민중 의식을 담아내고 있다고 본다면, 선운사 미륵바위의 배꼽 비결 설화와 전주성 싸움에 나타나 승전으로 인도하는 홍의소년 설화가 중요한 예다. 두 설화는 신비감으로 포장되어 새로운 세상이나 동학농민들의 승전을 예고하고 있다. 홍의소년 설화는 예산 신례원 싸움에도 나타나는데, 실제로 동학지도부는 홍의소년을 앞세워 지배계급에 대한 저항의 두려움을 극복하게 하거나, 승전이 시대적 대세라는 예언적 전망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선운사 미륵바위의 배꼽 비결 설화와 홍의소년 설화는 송기숙의 『녹두장군』, 박태원의 『갑오농민전쟁』에서 동학농민혁명 당시 민중들의 총체적인 삶을 형상화하는 소설의 중심 소재로 활용되었다. 이는 오랜 동안 억눌린 삶을 살아왔던 민중들이 평소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지배계급, 혹은 관 일본군 세력에 대적할 수 있다는 용기와 당위성, 나아가 승전 공식으로 제시되었다. 내포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한 예산 역말 전투 설화는 노파가 관군에게 술을 먹이고 한밤중에 관군 진영에 잠입하여 대포에 물을 부어서 동학농민군이 싸움에서 이기게 하는 월하노인이 등장한다. 이는 당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민중들의 인식을 보여주는 설화의 예가 된다. 또 신례원 전투를 선도하는 홍의소년은 동학지도부의 전략이었을 개연성이 크다. 동학소설 「동학군의 아내」,는 태안 지방에 떠도는 설화를 소재로 쓴 실화소설이다. 이는 지아비의 죽음을 애통해하다가 갈라진 무덤에 들어갔다가 나비로 변신했다는 설화의 변형으로 보이며, 동학농민혁명 실패에 대한 체념이 반영된 비극성이 함축된 설화이다. 그러나 내포 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역사 혹은 설화는 다른 지역 설화에 비해 문학작품으로 다양화되지 못했다. This thesis studies the transmission ways of folk tales from the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also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people during the revolution period through this study. Although Donghak Peasant Revolution ended in failure, the people who didn’t accomplish their goals for social reform during the revolution period were passed down orally with folk tales until the present time. Historical folk tales in literature capture the common knowledge of each area’s people. The folk tales from the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e as follows : Folk Tale of the Mysterious Book in the Navel of Seonumsan’s Stone Statue of Buddha and Folk Tale of the Boy in Red Clothes who led the charge in a successful battle at Jeonju Fortress Battle. Another similar folk tale was in the Sinryewon Battle, Yesan, in Chungcheongnam-do. At that time Donghak leaders placed the boy at the head of a procession and then the people dispelled their fears of the battle. Therefore they overcame the fear of the governing classes. Also, their victory in the Donghak Peasant battle would be assured according to the calling of their god. These folk tales used as the main theme which showed the lives of the people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ovels such as 『Nokdu General』 written by Song, Gi-Sook, 『Gabo Peasantry War』 written by Bak, Tae-Won, and 『Dongteuneunsanmaek』 written by Chae, Gil-Soon. These revealed that the people could be released from the governing classes by whom they had been kept down for years. These also showed that they could struggle against the Choson government army and the Japanese army. Especially, in the folk tales of Yesan in Chungcheongnam-do, people in the area at that time increased their confidence to win the battle. The story is as in the following: Wolha Grandmother (the god of the moon) forced the Choson government soldiers to drink, and he stole in the camp, and then he poured water on their cannons. Therefore the Donghak won the war. Also, the Boy in Red Clothes burst through the battle and emerged triumphant in the war. These folk tales could be a planned strategy of the Donghak leaders. In short, the folk tales of Yesan, in Chungcheongnam-do, showed the wishes and deep resentment of the people during the revolution period. However, the folk tale on the Boy in Red Clothes, Yesan, in Chungcheongnam-do didn’t use as material for writing a novel.

      • KCI등재

        춘암 박인호의 동학 이해와 근대성- 천도교 개편과 민족문화운동을 중심으로 -

        조극훈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9

        In this paper I will try to investigate the present meaning of the Park, In-Ho’s Thought of Donghak through his Cheondogyo Reorganization and the National and Cultural Movement. Park, In-Ho(1855-1940) was born 1855 in Deoksan, Chungnam and entered Donghak 1883 and he was become the 4th highest priest of Cheondo Religion and National Leader acting the moder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 has participated in a recourse for Donghak’s truthful Meaning in Gwanghwamun and in Revenge of the founder of a religion movement in Jangaeri, Boeun and after win a victory in Seungungok Combat and Shilaewon Combat as a leader of Deoksan during Donghak Revolution. After the Cheondogyo Reorganization he has reorganized the System of Cheondogyo through setting the Church Law, reestablishing of the 5 ritual of the Church, and unfolding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Movement. In particular, he has participated in Samil Independence Movement, 6.10 Hurrah Movement and Shinganwhae through the monetary support. This movement remains open-minded character of him in present day. Because he had embrace all the differential political ideology and partisan Also he launched Prayer Movement to ruin Japan. This movement has a spiritual value that it is the religious resistance movement in the inner religious society. In this study we know that his Donghak Understanding is so colourful as revolutionist, religious leader, educator, and cultural and political leader. In particular he lived simultaneously with period of Donghak and Cheondogyo that he practiced the Donghak meeting Choi, Shi-Hyung of Donghak and learned modernity from Son, Byeong-Hee of Cheondogyo. The spectrum of his thought and mind is so deep and colourful that the dichotomy between old party and new party, Donghak and Cheondogyo, Shi Chun Ju and In Nae Chun, I and You has all but collapsed in it. This broad-mindedness is present meaning of him. 본 연구는 동학의 천도교 개편 과정과 민족 문화운동을 중심으로 박인호의 동학이해와 근대성의 의미를 반성함으로써 박인호 사상의 현재적 가치를 밝혀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춘암 박인호(1855-1940)는 충남 내포 출신 동학 천도교의 제4대 교주이며 자주독립운동을 주도한 민족지도자였다. 1883년 동학에 입도하여 광화문 복합상소와 보은 장내리의 교조신원운동에 참여하면서 교단의 지도자로 부상하였다. 동학농민혁명 당시에는 덕산의 대접주로서 면천의 승전곡 전투와 예산의 신례원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동학농민혁명 이후에는 동학 재건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갑진개화운동을 주도하면서 동학교도의 민족의식을 고취하려고 노력하였다. 1908년 천도교 제4대 교주가 된 박인호는 천도교대헌을 제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교단의 정비를 시작하여 교당이전이나 교구의 증편, 주문, 기념가, 법문, 오관종규 등의 의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교리강습소를 설립하여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하는 한편, 보성학교와 동덕여학교 등을 인수하여 체계적으로 교육문화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박인호는 3.1운동에 경제적 지원을 했으며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에 대해서도 재정적 지원을 하면서 참가하였다. 다양한 정치 이념과 분파를 넘어서 하나의 단일 정당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박인호 사상의 포용성을 보여준다. 또한 멸왜기도운동도 교단 내 종교적 저항운동으로서 높은 정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상의 논의에서 박인호의 동학이해는 그 스펙트럼이 다채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혁명가로서, 종교지도자로서, 교육자로서, 또는 문화인으로서 다양한 모습을 통해 천도교의 근대화에 앞장섰다. 더욱이 박인호는 해월 최시형을 만나 동학 입도 및 수련을 하였고, 의암 손병희로부터는 도통을 이어받음으로써 동학 시대와 천도교 시대를 함께 살았던 것이다. 그만큼 그의 생각과 사상은 그 스펙트럼이 다채로울 뿐만 아니라 깊이도 깊다. 구파 신파, 시천주 인내천, 동학 천도교, 교정쌍전 교정일치와 같은 이분법은 박인호의 폭넓은 동학의 스펙트럼에서는 해소되고 만다. 이것이 바로 박인호의 인품이며 인문정신이다. 동시에 오늘날 천도교가 처해있는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정신이다.

      • KCI등재

        구전설화 동학란(東學亂) 이야기에 나타나는 작폐(作弊)의 문제

        박상란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2

        I attempted to study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eller and audience ofDonghak revolution through the aspects of exerting an evil in Donghak Riots asoral folk tales in this essay. Donghak Riots is the type of tales that narrate the outbreak, development,and end of Donghak revolution and see the cause of failure as the exerting anevil Donhak peasant army to non-combatan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Donghak Riots tales reflect the negative awareness about Donghak revolution. I believe that the negative awareness results in the distortion of Donghakrevolution. And the main medium is the mainstream discourse of aboutDonghak revolution that was espoused and spread by ruling power. Lastly, itcan be said that Donghak Riots continue to exist, because the awareness hasbeen handed down among people through education. 본 논문은 동학란이야기에 나타나는 작폐 양상을 통해 동학혁명에 대한 향유층의 역사의식 문제를 논구한 것이다. 논의 대상은 현전하는 동학란이야기9편이다. 동학란이야기는 동학혁명의 발발 및 전개, 종결을 중심 소재 혹은 배경으로삼은 이야기인데 서사의 초점에 따라 ‘학정으로 인한 발발’과 ‘작폐로 인한 종결’ 등 두 가지 서사로 나뉜다. 이 중 후자는 민간에 대한 동학군의 작폐를 강조함으로써 동학혁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작폐 양상은 두 가지 서사에, 그리고 다양한 텍스트 층위에 걸쳐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동학란이야기는 동학혁명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학혁명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혁명 당시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동학혁명의 실상에 대한 은폐 및 왜곡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주요 매개체는 지배 권력에 의해 조장되고 유포되어온 동학혁명에 대한 주류 담론이다. 이러한 것이 공사 간의 교육에 의해 전승됨으로써 현전하는 동학란이야기가 존재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경상북도 지역의 동학 활동 연구- 사적지를 중심으로

        채길순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This paper, the area of Gyeongsangbuk-Do Dong-Hak and the traces of the Dong-Hak Revolution history was studied by region. 1. Founders of religions Je-Woo Choe Dong-Hak Religion was founded Gyeongju(Yongdam-Jeong) traces the history. Yangsan Naewonam(Temple) who Eulmyocheonseo(神書) Jeokmyeolgul(cave), the first Dong-Hak organization conducted Heunghae-UpMaegok-dong, Ulsan-City yugok-dong Yshivawitgol Original issue discount(左道亂政律,countries subversive death was planned sins) to Daegu Gwandeokjeong(authorities sahyeongjang) level. 2. Second religious leader Si-Hyeong Choe's capital and propagation of refuge areas and important. Granularity when visited Gyeongju's Je-Woo Choe Dong-Hak lived in Pohang city(Geomdeung-Gol) There are traces of history. Kicked around in a Bundle of Si-Hyeong Choe missionary who Yeongyang-gun(Jukhyeon-Ri), Uljin-Gun(Jukbyeon-Ri), Yecheon(Susan-Ri), Gimcheon-City(Bokho-Dong) Subtlety missionary history trail exist. 3. Pil-Je Lee, were investigated. Dogma for identity movement caused Yeonghe's War Yeonghe local private 4. Dong-Hak Revolution perio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Yecheon-gun Gumi(Seonsan), Gimcheon-City, Sangju-City Si-Hyeong Choe Dong-Hak Mormon missionary area, thus common. So, Dong-Hak Revolution at the time, a fierce battle was fought. Specially, when the Second World War(18.09.1894), Japanese forces in the region logistical targets were. Yecheon, Sangju,Seonsan, Gimcheon Anei Geocang, Uihung Seongju In a fierce war broke out. 이 경상북도 지역의 주요 동학 및 동학사적은 다음과 같다. 1. 창도주 최제우(崔濟愚)의 동학 창도 및 포교 활동과 순도 사적으로는 창도와포교의 발상지인 경주 용담정을 비롯하여, 을묘천서를 받은 울산시 유곡동 여시바윗골, 최초로 접주제를 실시했던 흥해읍 매곡동, 좌도난정률로 최후를 맞은 대구 관덕정이 대표적인 사적이다. 2. 최시형의 수도 및 잠행 포교와 도피처로, 동학에 입도할 당시 수련 장소였던 포항시 마북리와 검등골이 있다. 최시형은 관에 쫒기면서도 포교에 힘쓰고, 교단을정비했다. 최시형의 초기 주요 잠행 포덕지로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상죽현, 울진군죽변리, 예천시 풍양면 고산리 수산리가 있다. 3. 이필제의 영해작변 사적을 고찰했다. 영해 관아를 친 뒤에 영양 일월산으로 도피했다가 관군에 포위당해 엄청난 희생을 남긴 채 가까스로 탈출했고, 문경 새재에서 작변을 획책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최후를 맞는다. 4. 동학농민혁명 시기 경북 북서부지역 상주 예천 선산 김산은 최시형의 주요 도피처인 동시에 포교 지역이었다. 이런 동학 조직을 바탕으로 경상도의 동학농민들은 전라도의 봉기 소문에 크게 고무되어 1894년 3월부터 상주 김산 등지를 중심으로움직이기 시작했고, 6월부터 동학교도의 투쟁활동이 전개되었다. 특히 2차 봉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일본군 병참부가 있던 예천 상주 선산 김산 안의 거창 의흥 성주 지역에서 투쟁활동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경상북도 동학은 초기 창도 시기에는 집단화 되지 못한 점조직 상태였고, 그나마교도가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교세가 미약했다. 이필제의 영해민란은 이런 허약한 동학 조직의 한계를 드러낸 사건으로 볼 수 있다. 동학 교세가 강원 충청 경기 전라 지역으로 확장되어 보은 옥천 영동을 넘어 1880년대 상주 김산으로 다시 전파된 동학조직이 비로소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최시형은 상주를 거점으로 여러 취회운동을 수행했고, 동학농민혁명 초기부터 집강소 활동을 펼쳤고, 후기에는 극심한 투쟁지역이 되었다.

      • KCI등재

        동학의 고유사상에 관한 고찰

        배문규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Donghak which was initiated by Je-Woo Choi whose style name is Su-Woon(1824-1864) is generally considered as being deeply related with Confucianism,Buddhism and Taoism. Such idea after all led to a negative perspective that Donghak is merely a combin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Donghak cannot be considered as a thought formed through simple combination of foreign thought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f the origin of Donghak cannot be found from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 question may arise on where its ideological relevance can be found. This study is intended search for the indigenous thought system of Korea for answer to this question. Therefore, the originality of Donghak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context:First, the nation of Korea maintained a heaven-worshipping thought from long ago. As for the god for Donghak, the Lord(天主), Kings(上帝), or Hanool are another expression of such heaven-worshipping thought. The Lord(天主), since it is a term appearing also in the ancient texts of Korean nation like『Hwandangogi(桓檀古記)』or『Samgukyusa(三國遺事)』, is a concept different from the Lord(天主)a term interpreted as God in Roman Catholic. Kings(上帝) also is another name of heaven originally of Korean nation different from Okhwang sangje(玉皇上帝) of Taoism. And the term Hanool also is deeply related to heaven that Korean ancestors worshipped from long before. Second, the Creation thought appearing in the mythology of Dangun(檀君神話) the initiator of Korean nation some 5 millennia ago and the Creation by Je-Woo Choi the initiator of Donghak are very similar in contents and structure. Also, the 21 letters spells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three by seven(3×7=21) the number for turnover of a new leaf. And this three by seven concept is the indigenous thought system handed down from long before to the ancestors of Korea a northern nomadic people. Third is the relevant of Donghak with Seon-do(仙道) that is Pungnyu-do(風流道) artistic appreciation uniquely of Korea. Pungnyu-do can be analyzed in two aspects: It includes Mu-gyo(巫敎, shamanism), Mu-do(武道, martial arts) and Seon-do(仙道), and it also comprehend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atever aspect it is analyzed in, the ideological systems of Donghak and Pungnyudo are very similar. When the originality of Donghak is examined in the above three aspects, it is shown that Donghak is a the crystal of the ideological system that Korean nation has inherited from long before. Researching on Donghak in association with Confucianism,Buddhism and Taoism may enrich the contents of Donghak, but it may places the prejudice that Donghak was formed by being affect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overcome such prejudice and limitation, more thorough historical verification and studies should be done on the relevance of Donghak with the indigenous thoughts of Korea rather tha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수운 최제우(水雲 崔濟愚, 1824~1864)에 의해 창되된 동학(東學)은 사상적으로유교, 불교, 도가 혹은 도교와 많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러한 생각은 동학을 유학(儒學), 불교(佛敎), 도가(道家) 혹은 도교(道敎)의 단순한 조합(組合)이나 결합(結合)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하였다. 하지만 동학을 단순하게 유학, 불교, 도가 혹은 도교와 같은 외래사상의 종합으로형성된 사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동학의 사상성(思想性)을 유·불·도에서 찾을수 없다면, 그 사상적 관련성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본연구에서는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한국의 고유한 사유체계에서 찾고자 한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동학의 고유성을 개진하였다. 첫째,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하늘을 숭배하는 경천사상(敬天思想)을 가지고 있었다. 동학의 신(神)인 천주(天主), 상제(上帝) 혹은 한울님이 바로 이러한 경천사상의 또 다른 표현이다. 천주는『 환단고기』,『 삼국유사』와 같은 우리 민족의 고서적에도 나타나는 용어이기 때문에, 서양의 천주와는 다른 개념이다. 상제도 도교의 옥황상제(玉皇上帝)와는 다른 우리 민족의 고유한 하늘의 또 다른 명칭이다. 그리고한울님이라는 용어도 우리 조상들이 오래전부터 숭상한 하늘[天]과 깊은 관련이 있다. 둘째,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타나는 개벽사상과 최제우의 다시 개벽사상은 내용 및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또한 동학의 21자 주문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환골탈태(換骨奪胎) 수(數)인 삼칠(三七:21)관념과 관련성이 있다. 그리고 이 삼칠관념은 북방 유목민인 우리 조상들에게 오래전부터 전래되어온 고유한 사유체계이다. 셋째, 한국 고유의 선교(仙敎) 즉 풍류도(風流道)와 동학의 관련성이다. 풍류도는고대에 있었던 한국 고유사상이다. 풍류도는 무교(巫敎), 무도(武道), 선도(仙道)를포함하고 있는 측면과 유교, 불교, 도가를 포함하고 있는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할수 있다. 어떤 측면에서 분석하더라도, 동학과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매우 흡사하다. 이상 세 가지 측면에서 동학의 고유성을 고찰해 볼 때, 동학은 우리 민족이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사유체계의 결정체임을 알 수 있다. 동학을 유·불·도와 연관하여 연구하는 것은 동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동학이 유·불·도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었다는 선입견을 탈피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선입견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동학이 유·불·도가 아닌 한국의 고유한사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에 대한 철저한 고증과 연구가 더 필요하다.

      • KCI등재

        동학 문화 콘텐츠와 글로컬라이제이션

        조극훈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5

        For the development of Donghak’s Culture, it needs to make a realization of it fitting to sense and emotion of the moderns. In this paper I will propose development of Contents and Glocalization of Donghak’s Culture to get realizing Donghak’s Culture, This methods make not only possible to memory and heritage of Donghak’s Culture, but to develop glocal culture contents of i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find possibility of Glocalization of Donghak’s Culture to getting fusion of local culture and global culture. In chapter 2, I suggested concept and features of Glocalization, elements of glocalization of Donghak’s Culture and its possibility. In particular, I’d suggest the role and influence of Donghak’s Culture in the cultural capital times of coexisting diversity of the local and uniform networking of the global. As a result, I insisted that thought and culture of Donghak play a role a new civilizations as alternative of modern civilizations. In chapter 3, I argued what are elements of Donghak’s Culture for the memory and heritage of it through the naming change of Donghak in curriculum and textbook, heritage and monuments of Donghak, and what are the cultural meaning of Donghak’s monuments and the righteous direction to create monuments. In chapter 4, I discussed what are the elements of Donghak’s Culture as agenda to understand and solve the problems for humankind. Its elements are as follows: “Sicheonju’s sense of values”, “caring and communication culture”, “democracy, equality, and citizenship”, “Seong-Gyeong-Shin’s Human Nature Theory”, “Mind Healing Program”, etc. 동학문화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동학문화를 현대인의 감각과 정서에 맞게 현재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동학문화를 현재화하는 방법으로 동학 문화 콘텐츠 개발과 글로컬라이제이션화를 들 수 있다. 이는 한국 근대사상의 요체인 동학문화를 기억하고 전승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글로컬 문화콘텐츠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지역문화와 세계문화의 융합을 통한 동학문화의 발전을 위해 동학문화의 글로컬 문화콘텐츠로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제2장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개념과 그 특징을 살펴보면서 동학문화의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위한 필요조건 그리고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역적인 것의 다양성과 세계적인 것의 상호 네트워크화가 공존하는 문화자본의 시대에서 동학문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동학의 사상과 문화는 현대문명의 대안으로서 신문명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제3장에서는 동학문화의 기억과 전승을 위해서 필요한 동학문화의 요소가 무엇인지를 동학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나타난 동학 명칭 변화와 동학 유적지와 기념물 등을 통해서 논의하였다. 아울러 동학 기념물의 문화적 의미와 기념물 제작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오늘날 인류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아젠다로 동학사상의 어떤 요소가 적절한지 논의하였다. 그 요소로 현대인의 보편적인 규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시천주적 가치관’, 인간, 자연, 우주의 평등을 강조하는 ‘인내천 사상’, 그리고 ‘생명평화사상’의 가능성, 인간성 상실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동학의 ‘성경신 인성론’, ‘배려 소통의 문화’, 그리고 현대인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동학의 ‘힐링문화로서의 동학의 수련법’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동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접근 경로에 대한 연구-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교과서 6종에 나타난동학의 내용과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경진,임상욱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동학을 접하고 인식하는 계기가 무엇인지에 대한경로를 살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동학이 처한 위치와 그 의미는 무엇이고, 동학사상 발전을 위해 제안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한 단초를 발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대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이들이 동학을 접하는 주요 인식 경로와 동학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둘째, 대다수 대학생이 학교 교과를 통해 해당 내용을 배웠다고 인식하고 있는 고등학교 한국사 6종 교과서의 동학 관련 단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결과 및 교과서 단원의 내용 검토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동학의 성격과 교과서 내용의 관계를 구명한다. 이로부터 도출 가능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대학생들은 학교 교과를 통해 동학을 접하게 되었으며, 대중 매체나 주변의 지인을 통해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동학을 접할 기회는 거의 없어 교과 내용의 일부로 이들의 기억에 남아 있는 지식이 동학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거의 유일한 접근 경로라는 점이다. 대학생들은 동학 관련 내용을 배우는 교과목으로 한국사, 윤리와 사상, 그리고 사회 과목을 꼽았으며, 이중 한국사에서 가장 많은 내용을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이로부터, 둘째,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동학 관련 내용은 한국사 교과의 지식 형태로학습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들은 동학의 성격을 종교보다는 민족 운동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이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 관련 내용이 종교로서의 동학에 대한 서술보다는 동학농민운동이 지니는 사회·정치적 의의와 역사적 평가가 서술 내용의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19세기 열강의 침략이 강화되던 시대적 상황에서 전개된 동학도의 전국적 움직임은 특정 종교가 아닌 민족적 차원에서기술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사 교과서에 실린 내용은 오늘의 대학생들이 동학에 대해 갖는 인식 형성에 결정적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는 동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알아보기 위한 개방형 설문의 응답 내용이 한국사 검정 6종 교과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표현과 상당히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응답의 대부분은 동학농민운동과 지도자 전봉준, 그리고 이와 관련된 명칭과 성격에 대한 평가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 시점에서 제안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바로그동안 교과서에 실린 동학 관련 내용의 오류 수정을 주장해온 여러 선행 연구들의결과물들이 실제 우리의 초·중등 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 연구자들 간 서로 다른 입장과 견해로 해석의 차이를 보이는 내용들에대해서는 충분한 논의와 숙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교과 지식의일부에 불과한 동학, 과거 역사의 한 사건으로 기억될 뿐인 동학은 가장 반(反) 동학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opportunities that university students approached and recognized Donghak is and how they recognized the character of Donghak. To achieve this, first,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113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route of the awareness of Donghak, the study analyzes the main route that they approached Donghak and the image of Donghak. Second,this study reviews Donghak-related units of 6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learned a lot about Dongha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at most of them approached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Third, this study discusses a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 of Donhak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and textbook cont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outcomes of the titles and contents of Donghak-related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university students approached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and had few opportunities of approaching Donghak through media and their surroundings. Accordingly, learning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is the only way of approaching Donghak. Second, Korean history, Ethics and thoughts and Society are chosen by university students as subjects to learn about Donghak and they responded that Korean history is the subject that contains the most contents about Donghak among these. Third, the percentage of university students who thought that the character of Donghak is not religion but national movement is high. In this regard, the study reviewed Donghak-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consequently,the narrativ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mainly featured the narrative of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and historical evaluation of Donghak peasant movement rather than the narrative of Donghak as religion. Fourth, the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naire to know about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Donghak considerably corresponded with expressions to emphasize in 6 Korean history authorized textbooks. Most of the responses usually featured the assessments of Donghak peasant movement, leader Jeon bong-jun and the appellation and character related to these, therefore this study can comment that the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strong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awareness of Donghak.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results of many preceding research that pointed out the revision of errors of Donhak-related contents on textbooks have to be reflected in real curriculum. Furthermore, expressions and contents of textbooks that have discrepancies in interpretation because of different positions and views need sufficient discussion and consideration.

      • KCI등재

        동학의 선후천관 연구

        이정희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Donghak(東學)’s Gaebyuk thought systematically from the Sunhucheon(先後天)’s point of view. Therefore, Hucheon(後天) world will be enlightened, which is ideal of Donghak(東學). There are four individual themes outlined below. First, the Sunhucheongwan(先後天觀) of China and Korea before Donghak was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with Sunhucheongwan(先後天觀) of Donghak(東學). The result of study prove that there was no effect among their philosophical ideology and their Sunhucheongwan(先天觀)’s contents were unrelated. Second, this study describes how Suncheon(先天) was before Donghak(東學) appeared. Suncheon(先天)’s philosophy is characterized as God-centered, which means human beings and societies belong to God. The God of Suncheon(先天) is considered to observe and punish humans. The followers of Suncheon(先天) were regarded as creatures of God. In addition, the ultimate value was for humans to return to the future life after death. Suncheon(先天)’s society was sickened due to the spreading selfishness. The chaos of the society reached its limit. Third, the contents of Hucheon(後天) was analyzed. Hucheongawan(後天觀) which is the ideal of Donghak(東學), originated from the conversion based on the cultural society of Shingwan(神觀). The point of view (Shingwan) of Hucheon(後天) is featured in Sichunju(侍天主) which states that each individual serves God in their body. The disciples of Hucheon(後天) become holy through Naeyusinryung(內有神靈), Oeyugihwa(外有氣化) and Gakjiburi(各知不移). Hucheon(後天)’s society is Jisangcheonguk(地上天國) where everybody respects each other resulting in a horizontal society. Forth, Hucheon(後天)’s spiritual meditation is discussed. For this aspect, Jumungongbu(呪文工夫), Susimcheonggi(守心正氣) and SeongGyeongSin(誠敬信) was explored. In conclusion, the realization of Donghak(東學)’s ideal is to individually become a partisan of Sicheonju(侍天主) and socially to construct Jisangcheonguk(地上天國) in Hucheon(後天). 본 연구의 목적은 선후천의 관점에서 동학의 개벽사상을 체계적으로 논증함으로써 동학의 이상인 후천세계를 조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위주제를 설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중국과 우리나라에서의 선후천관에 대하여 고찰하고 동학과의 교섭여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기존의 선후천관과 동학의 선후천과는 교섭이 없었으며 그 내용 또한 전혀 다르다는 점을 구명하였다. 둘째, 동학이 출현하기 이전의 선천에 대하여 동학은 어떻게 바라보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신관, 인간관, 사회관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선천의 신관은 인간과 사회가 신에 예속되는 신중심주의가 특징이다. 선천의 신은 천상의 옥경대에 좌정하여 인간을 감시하고 벌을 주는 절대자로 보았다. 선천의 인간은 신의 피조물로 보았으며 내세의 피안으로 돌아가는 것을 궁극적인 가치로 보았다. 선천의 사회는 각자위심의 이기주의로 가득 찬 질병의 사회였으며 수직적 불평등구조로 차별화되어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극에 달하였다. 이것이 동학이 본 선천관이다. 셋째, 동학의 이상인 후천의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동학의 이상인 후천개벽이란 문명사회의 근간이 되는 신관(천관)의 전환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밝혔다. 후천의 신관은 한울님이 사람의 몸에 모셔진 시천주 적 신관이 특징이다. 후천의 인간은 내유신령, 외유기화, 각지불이의 한울사람으로 거룩한 존재가 된다고 보았다. 후천의 사회는 지상천국 즉,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한울을 모신 한울사람으로서 서로 존중하는 사인여천의 수평적 사회를 건설하는데 있다. 넷째, 동학의 이상인 후천을 향한 수행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여기서는 주문수행, 수심정기, 성경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주문수행은 후천마음의 수행이며 수심정기는 각지불이의 수행이며 성경신은 천인합일의 수행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 동학의 이상은 개인적으로는 후천시대 시천주 인내천의 인간이 되고 사회적으로는 후천의 지상천국을 건설하는데 있다는 것을 논증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