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유물론, 해러웨이, 퇴비주의

        주기화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2 비교문화연구 Vol.65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Donna Haraway's 'we are compost' manifesto was conceived, how it changed ou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why we need it now. First, I examine Haraway's concept of 'naturecultures', which deconstructs the dualism of René Descartes, in the context of New Material Feminism. Second, to scientifically and intuitively understand Haraway's ethics-onto-epistem-ology of 'we are compost' in ecological 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 (EcoEvoDevo), by borrowing the concept of Lynn Margulis’s symbiogenesis, microbiome, and Vicki Hearne's animal rights, I examine the sympoietic companionship between gut microbes and humans. Third, I propose to call her new ethics-onto-epistem-ology, which criticizes posthumanism as human exceptionalism and abstract futurism, as 'compostism'. 이 글은 다나 해러웨이의 ‘우리는 퇴비다’라는 선언이 어떤 맥락에서 나왔고,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을 어떻게 바꾸었으며, 그리고 왜 지금 이것이 필요한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첫째, 데카르트의 이원론을 해체하는 해러웨이의 ‘자연문화’ 개념을 신유물론 페미니즘 맥락에서 살펴본다. 둘째, ‘우리는 퇴비다’라는 해러웨이의 윤리-존재-인식-론을 생태진화발생생물학 차원에서 과학적ㆍ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린 마굴리스의 공생발생 이론, 마이크로바이옴 개념, 비키 헌의 동물권 인식을 차용하여, 장내 미생물과 인간의 공동생성적 반려 관계를 살펴본다. 셋째, 기존의 포스트휴머니즘을 인간 예외주의와 추상적 미래주의로 비판하면서, 포스트휴머니즘과 결별하는 그의 새로운 윤리-존재-인식-론을 ‘퇴비주의’로 부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사이보그 앨리스를 성구분하기

        김소연(Kim, Sohyou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성차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의 근본적 한계는 이원론에 입각해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자연/문화, 인간/기계, 감성/이성, 동성애/이성애 등으로 증식해가는 이항대립은 성차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역효과를 낳는다. 이글은 젠더 이후 세계를 상상했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론이 이러한 이원론을 극복하려는 노력임에, 또 라캉의 여성성 이론과 논리적으로 상동적임에 주목한다. 라캉에게 여자는 보편성과 예외의 이항대립적 구조를 넘어서는 비전체적 존재였다. 이 글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와 라캉의 여성성에 대한 사유를 교차시켜 〈그녀〉와 〈루시〉를 비평한다. 그리하여 여주인공들의 사라짐은 상징계 밖으로 벗어나는 게 아니라 상징계를 무한히 탈구시킬 실재의 위상을 띠게 되는 것이라고, 위협적이고 불길한 존재가 되는 것이라고 독해한다. Most disputes about sexual difference appear to be based on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binarism. However, the series of binary oppositions such as nature/culture, human/machine, sensibility/rationality, heterosexuality/homosexuality etc. tend to produce the ultimate side effect of reinforcing existent ideologies about sex and gender. This paper focuses not only on Donna Haraway’s attempt to conceptualize cyborg femininity while overcoming the binarisms, but also on Jacques Lacan’s theory of sexuation, since both concepts have an analogous logical structure. For Lacan, women refer to the sexual difference itself, rather than the man/woman binarism. Therefore, the femininity functions as ‘not-all’, bringing fissures into universality. In contrast, masculinity occupyies the position of exception, opposing universality. Women have the similar topological status with the cyborg, which pursues the after world of gender, or non-gender. The posthumanity in Her and Lucy can be read properly through Haraway’s cyborg ontology and Lacan’s feminine subjectivity. The disappearance of the heroines in those films does not mean escaping from the symbolic but discovering the topological position of the real, thus becoming threatening beings.

      • KCI등재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혼종적 주체 :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중심으로

        하수정(Sujeong Ha) 한국영미어문학회 2015 영미어문학 Vol.- No.118

        This paper examines a ‘hybrid’ identity through Donna Haraway’s cyborg theory and rethinks about the monster which is created by Victor Frankenstein. The purpose is to find a theoretically useful feminist identity beyond ‘gender-based’ one which has taken little account of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women’s experiences. As a feminist standpoint theorist, Haraway tries to theorize various material relations between women and complicated reality on the point of the oppressed. Cyborg is a conceptual metaphor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discourse as well as the analysis of real life. It represents multi-layered women’s lives under globalized capitalism. The monster in Frankenstein resembles a cyborg in that it has hybridity and ambiguity beyond gender. It originates in Symbolic order, but cannot be admitted to the order. Without any origin or blood, it has to grow and develop on its own. That alienation makes a cyborg/monster question the dominant ideology and destabilize it. Now, it is time for contemporary feminist theory to think over how to make the monster/cyborg a real modern Prometheus.

      • KCI등재

        상대주의를 넘어서는 ‘상황적 지식들’의 재구성을 위하여: 파편화된 부분성에서 연대의 부분성으로

        정연보 한국여성철학회 2013 한국여성철학 Vol.19 No.-

        이 논문에서는 다나 해러웨이의 “상황적 지식들”에서 제시하는 ‘부분성(partiality)'의 의미가 상대주의의 부분성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보편주의는 부분성을 포용하지 않지만 상대주의와 상황적 지식은 모두 모든 지식과 관점의 부분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상대주의에서 보여지는 무관심에 기반한 파편화된 ‘부분성’의 개념보다는 상황적 지식들에서 제시하는 상호의존성, 변화가능성을가진 ‘부분성’의 개념이 중요함을 검토하였다. 즉, 대화를 위해서는 단지 각자의 관점의 부분성을 인정하는 것에 그치는 것은 부족하며 다른 관점들의 부분성과의 연결성을 인식하고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해러웨이의 '상황적 지식들’은다른 입장들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기는 하였으나 어떻게 무관심에도 불구하고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떻게 다른 이의 경험을 그들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지에 관해서는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루고네스의 “‘세계’-여행”의 개념은 부분성의 감각을 잃지 않으면서 다른 이들의 시각을 그들 자신의 맥락에서 상상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상황적 지식들”의 논의를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세기말의 인간학과 이종(異種)들 - 프랑크 베데켄트의 ‘룰루-비극’과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에 나타난 동물성과 기계성 -

        정현규 ( Jung¸ Hyun-kyu ) 한국헤세학회 2020 헤세연구 Vol.44 No.-

        해러웨이는 자신의 페미니즘적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금 독특한 방식을 취한다. ‘유인원’과 ‘사이보그’를 ‘여성’과 같은 맥락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차별적 이원론을 해체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베데킨트의 ‘룰루-비극’과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는, 해러웨이적 시각의 단초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 한계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로 기능한다. 베데킨트의 룰루는 기존의 서구의 다양한 이원론, 특히 남과 여의 이원론을 흔드는 경계적 존재로 기능하며, 프리츠 랑의 사이보그 마리아는 자본주의적 이원론, 즉 머리와 손의 이원론을 흔든다. 이들 경계적 피조물들은 ‘괴물 monsters’로서 현존하는 차별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de-monstrate’ 존재, 아니 ‘비존재’로 기능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미덕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 모두 이 비존재를 창녀로 파멸시킴으로써 옛 질서로 회귀하는 듯한 결말을 보여주는 한계를 가진다. Haraway verfolgt einen einzigartigen Ansatz, um ihre feministische Theorie zu unterstützen. Indem sie ‘Simians’ und ‘Cyborgs’ in den gleichen Kontext wie ‘Frauen’ stellt, baut sie den bestehenden diskriminierenden Dualismus ab. Wedekinds ‘Lulu-Tragödie’ und Fritz Langs Metropolis sind hervorragende Beispiele für Haraways Perspektiven, die sie bietet. Wedekinds Lulu fungiert als Grenzeinheit, die verschiedene Dualismen der westlichen Geistesgeschichte erschüttert, insbesondere den Dualismus von Mann und Frau. Der Cyborg Maria erschüttert zudem den kapitalistischen Dualismus, also die Trennung von Kopf und Hand. Diese Kreaturen sind also ‘monsters’, die als ‘Non-Wesen’ fungieren, die die bestehenden diskriminierenden Weltanschauungen zeigen, nähmlich ‘de-monstrate’. Trotz dieser Tugenden weisen beide Werke jedoch Einschränkungen auf. Am Ende wird diese Grenzexistenz jeweils zerstört (bzw. zur Prostituierten), was einer Rückkehr zur alten Ordnung gleichkommt.

      • KCI등재

        울프의 『플러쉬』: 여성과 반려동물의 “의미심장한 타자성”

        박형신 한국영미어문학회 2017 영미어문학 Vol.- No.127

        This paper focuses on what political and ethical issues Virginia Woolf and Donna Haraway raise with significant otherness in Flush and The Companion Species Manifesto: Dogs, People, and Significant Otherness. At first, this paper examines what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s woman and nonhuman protagonists as companion species share in British Victorian society analyz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Elizabeth Barrett Browning, a middle class invalid and her dog, pure bred Coker Spaniel in Woolf’s Flush.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stinctions between Flush as the anthropomorphized dog in Woolf’s modernist narrative and the dog as a companion species that Haraway insists on. Lastly this paper aims at appreciating the significance of Woolf’s Flush in solving serious problems from Cartesian dualism and reconsidering women and animal rights.

      • KCI등재
      • KCI등재

        『등대로』의 정원과 에코페미니즘

        박형신(Hyung shin Park) 한국영미어문학회 2016 영미어문학 Vol.- No.123

        In this paper, I explore the garden as “an elegiac garden,” a site where Virginia Woolf both commemorates and feels sensuously towards the presence of her mother. In this respect, I analyze To the Lighthouse by focusing on the garden noting that ecofeminists have cited Woolf as a proto-ecofeminist. Before examining the possibilities of interpreting Woolf’s modernist narrative strategies from ecofeminist perspectives, though, I would like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ether Woolf’s feminism can embrace the agendas of ecofeminism. First, I investigate what motifs Woolf drives from the connection with the gardens and how she represents them in her writings. Next, I reevaluate Woolf’s defiance of the dualism that is enshrined in the terms of “naturecultures” which Donna Haraway has provided for new directions in ecofeminism. Further, I attempt to find a potential alliance with ecofeminist concepts in Woolf’s “organic perception”. Lastly, I inquire into how Woolf’s usage of natural images revise the myth of Demeter and Persephone.

      • KCI등재

        팬데믹 행성에서의 삶의 기예: 마가렛 애트우드의『매드아담』에 나타난 해러웨이의 퇴비주의

        주기화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22 영미문학교육 Vol.26 No.1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orm of life, or the arts of living that humans and nonhumans make together on the verge of extinction after the pandemic in Margaret Atwood’s MaddAddam through the lens of Donna Haraway’s ‘Compostism’. It focuses on the new form of life, or the five arts of living dedicated to the multispecies flourishing. The first is to recognize that humans are not modern humans, but are composts. The second is not to succumb to despair and the politics of indifference, but to stay with the troubles and devote ourselves to the possible recovery. The third is to jump into the compost heap to encounter unexpected companion species, and train tirelessly to ‘becoming-with’ them. The fourth is to wage a ‘Gaia War’ against modern humans who cannot negotiate. The fifth is to attempt at odd practices related to reproduction. This novel urges us to recognize that we are compost and relentless try to ‘worlding-with’ nonhumans for a worldly flourishing on a damaged ‘pandemic planet’.

      • KCI등재후보

        인터넷 스타(網紅) 3.0 시대 중국 사이버 페미니즘 담론 - Papi장(醬)의 경우를 중심으로

        최재용 ( Choi Jae Yong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7 중국지식네트워크 Vol.9 No.-

        이 글은 중국의 유명한 `왕홍`, 즉 인터넷 스타인 Papi醬을 중국의 사이버 페미니즘의 맥락 하에 두고 분석하려 한다. 인터넷과 사이버 스페이스의 등장으로 인해, 여성들은 예전의 젠더 억압을 어느 정도 벗어나 자유롭게 활약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였다. 다나 해러웨이나 새디 플랜트 등의 여러 학자들이 이런 가상공간 속의 페미니즘, 즉 사이버 페미니즘에 대해 주목할 만한 이론들을 내놓았다. Papi醬은 이런 사이버 페미니즘이 중국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Papi醬이 발표한 수많은 동영상들에서 그녀는 사회적, 성적 억압에 노출되어 있는 여성들의 입장을 유쾌한 방식으로 드러내었다. 그러나 때때로 그녀는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는 발언을 하기도 하였으며, 심지어는 `진화된 성차별`(enlightened sexism)의 혐의에서도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이런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중국 사이버 페미니즘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눈에 띄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가 자신의 사이버 페미니즘 활동을 계속해 나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정부와 시장의 가부장적 권력은 그녀의 `위반`을 자꾸만 `봉합`하고 길들이려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그녀의 활동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will analyse a famous Chinese internet celebrity, `PapiJiang`, arguing that she could be placed in the history of Chinese cyber feminism. The internet provided women a whole new space where they could conduct various experiences, and many cyber feminists like D. Haraway or S. Plant articulated some theories about feminism in this cyberspace. PapiJiang can be regarded a significant example of these theories, although not a perfect one. In many short videos she created, she spoke out for many women suffering social, sexual, gender pressure, in a humorous way. But in some others, she also fixated gender role by showing various stereotypes of women, and sometimes even showed signs of `enlightened sexism`. Nevertheless, she is certainly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history of Chinese cyber feminism. Bu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she could be able to keep up with her cyber feminist activity, as the suppression from the patriarchal forces like government and market grows stro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