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LCC공정 슬러지로부터 니켈회수 및 양극재 원료용 고순도황산니켈 제조

        박건용 ( Geon-yong Park ),서장현 ( Jang-hyun Seo ),김민찬 ( Min-chan Kim ),박지윤 ( Ji-yoon Park ),류태공 ( Tae-gong Ryu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적층형세라믹콘덴서(Multi-Layer Ceramic Capacitor, MLCC)는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사용되며 콘덴서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반도체 기술의 고도화, 5G 도입 등 전자 장비의 미세화로 인해 MLCC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MLCC제조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발생되는 공정슬러지의 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MLCC 공정슬러지는 대부분 매립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리튬이차전지 시장의 성장과 니켈자원의 공급부족 심화현상으로 인해 MLCC 공정슬러지 내 니켈의 재자원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LCC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니켈 저함량 슬러지로부터 니켈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고 이를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재 원료용 고순도 황산니켈로 재자원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외 MLCC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니켈슬러지는 평균 Ni 25%, Sn 8.8% 등의 성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친환경적이며 경제적 공정인 습식 화학반응법으로 니켈 회수를 수행하였다. 또한 회수된 니켈을 고순도의 황산니켈 소재로 제조하기 위해 3단계의 화학적 정제공정을 거쳐 99.5% 이상의 고순도 황산니켈을 생산하는 공정기술을 개발하였다. MLCC제조 공정 슬러지의 발생원 별 성상이 다소 상이함에 따라 습식화학반응 공정 운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료 성상 균일화를 위한 2 step 파/분쇄 전처리를 수행하였고, 황산,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을 사용하여 니켈을 경제적으로 회수하는 공정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정제공정은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원료에서 필요로 하는 황산니켈 순도 및 불순물 품질관리 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로 참고하였으며, 회수된 니켈 및 불순물 함량은 ICP-OES로 정량분석하여 회수율 및 순도를 계산하였다. 니켈 회수를 위한 침출산으로는 황산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pH 적정을 통한 수산화반응으로 Fe, Al, Cu 등의 주요 불순물의 정제, 당량비의 불화화합물 투입을 통한 Ca, Mg 정제, 수산화니켈로 전환하여 수세하는 정제 등 3단계의 정제반응을 통해 99.5% 이상의 고순도 황산니켈 제조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득한 고순도 황산니켈의 주요 불순물은 Fe ≤ 5ppm, Mg ≤ 25ppm, Na ≤ 3,500 등으로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원료 적용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수준으로 평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MLCC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니켈슬러지로부터 니켈을 분리 회수하여 소재화하는 저비용의 친환경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수입자원의 해외 의존도를 최소화하여 친환경 자원 선순환 기술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성금관 수복어린이에서의 니켈내성균에 관한 연구

        정샛별,이긍호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소아의 유구치 수복에 흔히 사용하는 stainless steel crown은 주성분으로 70~90%의 니켈과 5~15%의 크롬을 함유하고 있다. 이 중 니켈 자체가 일으킬 수 있는 allergy반응이나 발암성등의 부작용이 성인에서는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니켈이 포함된 합금을 이용한 보철물 주변에 병원성이 있는 니켈내성 Enterococci가 존재한다는 보고가 있어 성인과는 구강환경이 다른 소아에서도 stainless steel crown 주변에 니켈내성균주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유구치에 stainless steel crown(Anatom primary crown, Sankin)을 6개월 이상 장착한 환자 15명과 유구치 협면에 치아우식증이 없는 환자15명의 치은열구액에서 채취한 시료를 BHI 한천배지, 니켈배지 및 Bile-esculin azide(BEA) 한천 배지에 도말하였다. BEA 한천배지에서 자란 enterococci를 니켈내성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3, 5, 10, 30, 50mM 니켈배지에 접종한 후 성장상태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에서는 BHI 한천배지에서 507,350개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 중 니켈내성세균(3mM)은 53,864 균주였다. 대조군에서는 BHI 한천배지에서 414,590 균주가, 니켈내성세균(3mM)은 37,523 균주가 분리되었다. BEA 한천배지에서는 실험군의 경우 95개가 분리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20개의 균주만이 분리되었다. BHI 한천배지에서 분리된 총 균주 수를 100으로 놓았을 때 3mM 니켈배지에서 분리된 균주는 실험군에서는 10.62%, 대조군에서는 9.05%를 차지하여 두 군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며, 3mM 니켈배지에서 자란 총 균주 수와 BEA 한천배지에서 배양된 enterococci를 3mM 니켈배지로 옳겨 배양했을 때와 비교하면, 실험군에서 0.13%, 대조군에서 0.03%로 모두 1%이하의 분포를 차지하였다. 주요어 : 기성금관, 니켈내성, enterococci

      • KCI등재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특성과 광화 규제 요인

        최영기(Younggi Choi),김병한(Byounghan Ki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3

        인도네시아 술라웨시는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세계적인 산출지로 인도네시아 니켈산업의 급속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활성경계부 지구조환경과 열대우림기후 그리고, 세계적 규모의 동부 술라웨시 오피오라이트(ESO)로부터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이 형성되었다. 술라웨시에 부존하는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특성을 이해하는 일은 니켈자원 탐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술라웨시 5개 지역에서 수행된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 탐사사례들을 보고한다. 지표지질조사, 트렌치 및 채굴적 단면조사, 암석기재, 전암화학 분석 및 시추탐사자료 해석 등 다양한 탐사활동들을 토대로 술라웨시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에 대한 지역별 특성들을 보고한다. 인도네시아 니켈산업의 요충지인 ‘남동부-암’(Southeast-Arm) 북동부에 위치하는 모롬보와 모로왈리 지역에서는 오피오라이트가 광역적으로 분포하고, 전형적인 사프로라이트형 광상이 고품위로 부존한다. 지형기복이 니켈 품위와 광체 기하를 제어하며, 절리와 가니어라이트맥이 조밀한 곳에서 고품위로 산출되는 경향이 있다. 남동부-암 남부 티낭게아와 남팔랑가 지역에서는 신생대 퇴적층으로 구성되는 오버버든(overburden)이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 상위로 놓이므로 탐사 시에 파악해야 할 주요 인자이다. 오버버든에도 불구하고, 가니어라이트맥과 함께 함니켈-사문석류로 구성되는 고품위 사프로라이트형 광체가 10 m 내외 두께로 발달하여 경제성을 확보한다. 이와 달리, ‘동부-암(East-Arm)’ 북부 암파나 지역은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이 저품위로 부존하며, 라테라이트 프로파일이 미성숙하다. 이는 지구조 융기에 따른 삭박률이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형성 속도를 앞지른 결과로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 다루어진 탐사사례들은 니켈 라테라이트 광상의 부존특성과 광화 규제요인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Sulawesi island, as a global producer of nickel resources, is leading the rapid growth of nickel industry of Indonesia. Nickel laterite deposits in Sulawesi was formed by lateritization of the world-scale East Sulawesi Ophiolite (ESO) under the active tectonic setting and tropical rainforest climate. In this paper, exploration cases for nickel laterite deposits in five regions of Sulawesi are reporte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nickel laterite deposits in Sulawesi are understood based on various exploration activities such as outcrop, trench and pit survey, petrological observation, geochem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rilling data, et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Southeast-Arm’, which is a strategic location for nickel industry of Indonesia, ESO is extensively exposed to the surface. In the Morombo and Morowali regions, typical high-grade saprolite-type orebodies with a thickness of 10 to 20 m occur. The cases showed that topographic relief tends to regulate Ni-grade distribution and orebody thickness, and that high grade intervals tend to occur in places where joints and garnierite veins are dense. In the Tinanggea and South Palangga regio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outheast-Arm, overburden composed of Neogene to Quaternary deposits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preservation and profitability of nickel laterite deposits. Despite the overburden, high-grade saprolite-type orebodies composed of Ni-bearing serpentine with garnierite veins occur in a thickness of around 10 m to secure economic feasibility. In contrast, in the Ampana region in the northern part of ‘East-Arm’, low-grade nickel laterite deposits with immature laterite profile was identified, which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active denudation due to tectonic uplift. Exploration cases in this paper will help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controlling factors on nickel laterite deposits in Sulawesi, Indonesia.

      • KCI등재

        조선후기 백동의 재료 구성과 변화

        공상희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flow of baekdong alloy’s usage according to the alloying materials mentioned in document records. For this purpose, we first overviewed the use of copper as a base material for white copper alloys and other types of copper alloys. Baekdong is an alloy of copper and other metals and is currently defined as an alloy of copper and nickel. However,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s and time of the scholars, baekdong may be defined as a metal with over a certain percentage of tin added to copper, or as an alloy of tin, zinc, and lead with copper. There is disagreemen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is term. Baekdong , which started to appear in the literatu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s been steadily seen through the Goryeo and Chosun Dynasties to the modern period. I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ach age and culture, from the symbol of the office to trading goods, daily life goods, and money. In the literature, baekdong's alloying material is not only copper and nickel, which are currently defined as alloys, but it is the same in that copper is used as the base metal of the alloy, although it varies slight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ddition to copper, tin, zeolite, and emerald, zinc and lead also appeared. It was found that baekdong, which means alloy, and baekdong, which means white metal, were mixed. Nickel, which is the alloy material of baekdong as it is currently defined, is a metal with a relatively high discovery time and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modern industrial fields. Nickel was introduced into Kore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ut its use is not known in detai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ceptance and use of nickelbased baekdong in articles of modern newspapers and in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experience of craftsmen, we estimated the period when nickel-based alloys were used in crafts. Material is a direct factor in the development and deterioration of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he basis for the changing of civilizations and cultur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aekdong with the material of alloys as a starting point. 백동(白銅)은 구리에 다른 금속을 섞어 녹여 만든 합금으로, 현재 구리와 니켈의 합금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러나 학자 들의 연구 대상과 시기에 따라 백동은 구리에 일정 비율 이상의 주석을 더한 금속으로 정의되기도 하고, 구리에 주석과 아 연과 납을 합금한 것으로 말하기도 한다. 이렇듯 백동은 그 정의에 차이가 있어 용어의 해석과 표기에 혼란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문헌 기록을 토대로 시론적으로나마 백동의 구성 재료를 정리하고 그 흐름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백동 합금의 바탕 재료가 되는 구리의 이용과 구리 합금의 종류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문헌의 백동 기 록을 통해 그 사용과 인식을 정리해 보았다. 삼국시대 문헌에서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백동은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근대기까지 꾸준히 보이는데 관직의 상 징물부터 교역품, 생활기물, 화폐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쓰였다. 문헌 기록을 살펴보면 백동의 합금 재료는 현재 합금의 재료로 정의되고 있는 구리와 니켈뿐이 아닌데,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구리를 합 금의 바탕 금속으로 이용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구리 외의 합금 재료로는 주석, 비석 및 비상, 아연, 납 등이 등장하며, 그 과정에서 합금을 의미하는 백동과, 백색의 금속을 의미하는 백동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정의되고 있는 백동의 합금 재료인 니켈은 비교적 발견 시기가 정확한 금속으로 현대 공업과 산업 분야의 소재 로 폭넓게 쓰이고 있다. 니켈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조선 말기에서 근대기로 추정되고 있으나 그 이용과 사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신문기사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니켈의 수용과 그 이용을 함께 살피고, 장인들의 증험을 토대로 니켈을 이용한 백동 합금이 공예품에 사용된 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재료는 기술의 발전과 퇴보에 직접적인 요인이 되며, 기술의 발달은 문명과 문화를 변화시키는 토대가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시론적으로나마 합금의 재료를 중심으로 백동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니켈이라는 재료의 이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백동(白銅)은 구리에 다른 금속을 섞어 녹여 만든 합금으로, 현재 구리와 니켈의 합금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러나 학자 들의 연구 대상과 시기에 따라 백동은 구리에 일정 비율 이상의 주석을 더한 금속으로 정의되기도 하고, 구리에 주석과 아 연과 납을 합금한 것으로 말하기도 한다. 이렇듯 백동은 그 정의에 차이가 있어 용어의 해석과 표기에 혼란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문헌 기록을 토대로 시론적으로나마 백동의 구성 재료를 정리하고 그 흐름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백동 합금의 바탕 재료가 되는 구리의 이용과 구리 합금의 종류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문헌의 백동 기 록을 통해 그 사용과 인식을 정리해 보았다. 삼국시대 문헌에서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백동은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근대기까지 꾸준히 보이는데 관직의 상 징물부터 교역품, 생활기물, 화폐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쓰였다. 문헌 기록을 살펴보면 백동의 합금 재료는 현재 합금의 재료로 정의되고 있는 구리와 니켈뿐이 아닌데,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구리를 합 금의 바탕 금속으로 이용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구리 외의 합금 재료로는 주석, 비석 및 비상, 아연, 납 등이 등장하며, 그 과정에서 합금을 의미하는 백동과, 백색의 금속을 의미하는 백동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정의되고 있는 백동의 합금 재료인 니켈은 비교적 발견 시기가 정확한 금속으로 현대 공업과 산업 분야의 소재 로 폭넓게 쓰이고 있다. 니켈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조선 말기에서 근대기로 추정되고 있으나 그 이용과 사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신문기사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니켈의 수용과 그 이용을 함께 살피고, 장인들의 증험을 토대로 니켈을 이용한 백동 합금이 공예품에 사용된 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재료는 기술의 발전과 퇴보에 직접적인 요인이 되며, 기술의 발달은 문명과 문화를 변화시키는 토대가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시론적으로나마 합금의 재료를 중심으로 백동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니켈이라는 재료의 이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니켈 전주공공정을 이용한 평판형 액체엔진 연소기의 재생냉각채널제작과 채널 접합강도 평가

        김인곤,최환석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재생냉각방식의 액체엔진 연소기의 냉각채널을 니켈전주공정으로 제작하여, 냉각채널 내벽(동)과 외벽(니켈)의 접합강도를 평가하였다. 니켈전주공정의 주요단계는 다음과 같다. (1) 평판 크롬동소재에 냉각 채널가공 (2) 채널의 골(groove)에 왁스 채우기 (3) 왁스표면 전도성막 코팅 (4) 두께 2㎜ 니켈도금 (5) 왁스제거하여 냉각채널 형성 (6) 채널 접합강도시험 및 평가. 냉각채널 연소기의 동합금내벽에 결합될 니켈 외벽의 인장물성 목표치는, 최대인장강도 483㎫, 항복강도 276㎫, 연신률 최소 12%였으며, 이 물성을 만족시키는 니켈도금은 설파민산 니켈도금욕에서 도금온도 50℃, 전류밀도 30㎃/㎠에서 얻어졌다. 100×100㎜크기의 크롬동에 냉각채널 3종류를 제작하고, 니켈전주공정으로 제작된 니켈외벽과 동채널간의 접합강도를 시험하였다. 접합강도 시험은 채널내에 고압의 물을 가하여 채널 파손시의 파손압력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채널 1과 3은 각각 170bar와 580bar에서 파손되었고, 채널3은 내압시험장치의 최대압력인 600bar에서도 파손되지 않아 목표값인 175bar를 달성할 수 있었다. Liquid engine combustion chamber, regeneratively-cooled channels was fabricated by nickel electroforming process and the joint strength between inner (copper) and outer (nickel) jackets was evaluated. Important electroforming steps are as follows: (1) machining the cooling channels in the copper alloy (2) filling the wax within the channel groove (3) coating the conductive film on the wax surface (4) 2㎜ thick nickel plating (5) cooling channel formed by removing the wax (6) channel joint strength test and its evaluation. Target tensile properties of nickel electrodeposit were set at UTS 483㎫, YS 276㎫ and minimum 12% elongation. They could be achieved in sulfamate nickel plating solution deposited at 50℃ and 30㎃/㎠. 3 sets of flat type cooling channel, 100×100㎜ in size were fabricated using nickel electroforming process. Joint strength was evaluated as a fracture pressure caused by applying water pressure within the channel. Fracture pressures of 170bar and 580bar were recorded in #1 and #3. And 3# channel was not fractured even at the maximum pressure of 600bar. Therefore all channels accomplished the target joint strength value of 175bar.

      • KCI등재

        수소화 반응용 니켈 폐촉매의 재생

        전종기,박영권,김주식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4 資源 리싸이클링 Vol.13 No.3

        수소화 반응용 니켈 폐촉매를 배소하여 산화니켈을 회수한 다음, 회수한 산화니켈을 산처리하고 침전법으로 Kieselguhr에 담지 된 니켈 촉매로 재생시켰다. 폐촉매의 배소 조건이 니켈산화물의 회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니켈 폐촉매의 재생 과정에서 $1,000^{\circ}C$의 온도에서 배소 하였을 경우에 대부분 니켈산화물로 회수할 수 있었다. 산화니켈을 산처리하여 얻은 질산니켈을 사용하여 Kieselguhr에 담지 된 니켈 촉매를 제조하였다. 이때 조촉매의 첨가, 침전 조건 및 환원 조건 등이 재생된 촉매의 식물성 오일의 수소화 반응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카리 금속인 CaO와 희토류 금속인 $Ce_2$$O_3$를 조촉매로 첨가했을 때 수소화 반응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Nickel oxide was recovered through roasting of a spent catalyst for hydrogenation reaction. Nickel on Kieselguhr catalysts were prepared by a precipitation method after a treatment of the recovered-nickel oxide with an acid.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f the spent catalyst on recovery of nickel oxide was investigated. Most of nickel oxide could be recovered through roasting of the spent catalyst at $1000^{\circ}C$. In regeneration of catalysts by the precipitation method after the treatment of nickel oxide with an acid, the effect of promoter, precipitation condition and reduction condition on catalytic performance in vegetable oil hydrogenation were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CaO or $Ce_2$$O_3$ resulted in an increase of catalytic activity.

      • KCI등재

        수열합성된 나노구조 니켈/니켈 수산화물의 상과 형태 및 슈퍼커패시터 적용

        엄승용,정진주,김도형 한국물리학회 2021 새물리 Vol.71 No.6

        Urchin-like nanostructured nickel/nickel hydroxides (NNHO)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using the hydrothermal method, and the phase and the morphology of the nanostructured nickel/nickel hydroxide were controlled by using different synthesis temperatures. The diameter of the nanostructured NNHO synthesized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wes bigger than that of the samples synthesized at low temperature, which could be explained by using Ostwald ripening. The phase of the as-synthesized nanostructure was composed of crystalline metallic nickel on the inside and amorphous nickel hydroxide on the surface. To compar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the as-synthesized samples are converted to nickel oxide (NO) by anneal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as-synthesized NNHO showed the highest specific capacitance, as well as easy electrolyte accessibility, because NNHO had not only an easily accessible nanostructure but also the synergistic effect of crystalline nickel and amorphous nickel hydroxide. The present work can contribute to the synthesis of nanostructured NNHO and to the applications of supercapacitors using heterostructure materials. 성게 모양의 나노구조 니켈/니켈 수산화물(NNHO)을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였다. 나노구조 NNHO의상과 형태는 합성 온도와 합성 후 열처리 온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합성된 나노구조NNHO의 직경은 저온에서 합성된 샘플보다 직경이 크고, 이는 오스트발트 숙성 (Ostwald ripening)에의해 설명된다. 합성된 나노구조 NNHO의 상은 내부의 결정성 금속 니켈과 표면의 비정질 니켈 수산화물로구성된다.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합성된 NNHO를 열처리하여 니켈 산화물(NO)로 상전이시켰다. 순환전압전류법 및 정전류 충방전 측정 결과, 합성된 NNHO가 NO에 비해서 더 높은 전기용량과쉬운 전해질 접근성을 보였으며, 이것은 NNHO가 쉽게 접근 가능한 나노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결정질니켈과 비결정질 니켈 수산화물의 시너지 효과 (synergistic effect) 에 의한 것이다. 이 연구는 나노구조 NNHO의 합성과 이종 구조 물질을 활용한 슈퍼커패시터 응용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용성 및 불용성전극을 이용한 무전해 니켈 도금 산세 폐액 처리

        김영신(Young Shin Kim),전병한(Byeong Han Jeon),구태완(Tai Wan Koo),김영훈(Young Hun Kim),조순행(Soon Haing Cho) 大韓環境工學會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1

        무전해 니켈 도금 산세 폐액을 강화된 니켈의 배출허용기준 3.0 mg/L 이하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기존 처리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처리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용성전극 및 불용성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처리방법은 공통적으로 무전해 니켈 도금 산세 폐액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용성전극은 전극으로부터 금속이 잘 용출되는 특징을 갖는 반면불용성전극은 금속이 용출되지 않는 차이점을 갖고 있어 니켈 제거 효율 및 니켈 슬러지 순도에서 서로 다른 장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용성전극 및 불용성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방법으로 무전해 니켈 도금 산세 폐액을 처리하기위한 최적조건을 도출하고, 두 전극을 이용한 방법의 장단점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불용성전극을 사용하였을 때 처리수의 효율적인 니켈 제거를 위한 최적조건은 전류밀도 15 mA/cm2 이상, pH 9 이상으로 도출되었고 이 조건에서 니켈 슬러지의 순도는 95.3%로 나타났으며, 슬러지 내 철 함량은 2.9%로 조사되었다. 용성전극을 사용하였을 때의 최적 조건은 전류밀도 10 mA/cm2 이상, pH 9 이상으로 도출되었으며 최적조건에서 니켈 슬러지 순도는 77.3%, 슬러지 내 철 함량은 21.0%로 조사되었다. 처리비용을 기존의 처리비용과 비교하여 용성전극 사용시 50.7%, 불용성전극 사용시 24.2% 저감시킬 수 있는것으로 조사되었다. In order to treat electrolysis nickel plating pickling wastewater to meet the effluent limit less than 3.0 mg/L, the electrolysis process by using soluble and insoluble electrode were studied. Electrolysis using soluble electrodes has a characteristic of easy elution from the electrode which the insoluble electrodes close not release metal from the electrode. For these reasons, there exist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nickel removal efficiency, purity of nickel sludge. With this connection, the feasibility test were concluded to develop optimal conditions for the treatment of pickling wastewater electrolysis by using soluble electrodes, insoluble electrodes. Optimal condition of current density, pH were derived from the pickling wastewater using insoluble electrodes. It was conclud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of nickel at the operation condition of at pH 9, current density of 15 mA/cm2. At these conditions, 95.3% purity of nickel sludge was achieved, iron content was 2.9%. Optimal condition when using soluble electrodes was derived current density of 10 mA/cm2, pH 9. Purity of nickel sludge was 77.3%, iron content was 21.0%. 50.7% and 24.2% of operating cost can be saved by the use of soluble electrodes and the use of insoluble electrodes, respectively.

      • KCI등재

        상설영화극장 니켈로디언의 관객 연구

        홍종규 강원사학회 2020 江原史學 Vol.0 No.34

        Nickelodeon Theater w as f irst o pen ed i n 1 905 by H arry D avis a nd John Harris in Pittsburgh, Pennsylvania. Nickelodeon, which converted the storefront into a movie theater, generally had seats that could accommodate a small number of people. Nickelodeon theaters, which were able to watch movies at a low cost of 5 cents or 10 cents, grew rapidly, and by 1910, about 10,000 Nickelodeon theaters were operated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nd it became an important part of American leisure life at this time. Therefore, analyzing the audience of Nickelodeon theaters at this time can be an important part of understanding American leis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So far, the study of the audience at the Nickelodeon Theater has been centered on the social class. However, so far, research has also limited the analysis of audiences centering on the social class and not fully analyzing various actors of history. In particular, research on women and children whose were major actors since the beginning of Nickelodeon has not been studied. This view will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search so far and analyze the reactions of these audiences, and women and children, one of the major actors of Nickelodeon, to examine a section of American leisure life at this time 니켈로디언은 1905년 피츠버그에서 해리 베이비스와 존 해리스에 의해 처음 문을열었다. 거리에 상점입구를 면한 점포를 영화 극장으로 개조한 니켈로디언은 대체로적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좌석을 보유하였다. 5센트나 10센트라는 적은 비용으로영화를 감상할 수 있었던 니켈로디언은 이후 빠르게 성장하여, 1910년에 이르면미국 전역에 약 1만여 곳이 운영되었고, 이 시기 미국인의 여가 생활에 중요한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니켈로디언의 관객을 분석하는 것은 20세기 초 미국인의 여가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니켈로디언의 관객에 대한 연구는 사회 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니켈로디언의 관객은 노동계층, 이민자들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는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사회계층을 중심으로 관객을 분석하여, 다양한 역사의 행위자를 충분히 분석하지못한 한계 또한 가진다. 특히 니켈로디언이 등장한 초기부터 주요 행위자였던 여성과 아동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다. 본 연구은 지금까지 연구의 한계를극복하고 니켈로디언의 주요한 행위자 중 하나였던 영화관객을 분석하여 이 시기미국인의 여가 생활의 한 단면을 살펴볼 것이다.

      •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무전해 니켈 도금폐액의 유기물 분해특성 평가

        서민혜,이수영,조성수,신기웅,강용호,김진호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무전해 니켈 도금은 반도체, PCB, 자동차 부품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표면처리를 위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무전해니켈 도금액은 환원제로 첨가되는 차아인산염과 착화제, 촉진제 및 안정제 등의 각종 유·무기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COD는 20,000mg/L 이상, 총인은 약 40,000 mg/L에 이를 정도로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도금사업장으로부터 발생된 무전해니켈 도금폐액은 현재 전량 폐기되고 있는데, 그 내에 포함되어 있는 희소금속 중 하나인 고가의 니켈 금속 또한 회수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전해니켈 도금폐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니켈을 회수함과 동시에 폐액 내 유기물 및 인을 제거하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산화공정 중 하나인 단파장의 UV를 적용하여 OH라디칼 생성을 통한 유기물 및 인산염의 산화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조건별 실험을 통해 최적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COD 및 T-P를 99%이상 저감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