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용수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 개발 -가뭄에 대한 적응을 중심으로-

        유가영,김진택,김정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4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취약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은 취약성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관리 시스템의 적응능력에 관한 지표를 전라도 지역 벼 생산에 관련된 농업용수 수요량과 공급량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농업용수 공급량은 한국농촌공사가 관리하는 주요 댐 및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고, 벼 생산을 위한 농업용수 수요량은 한국농촌공사의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시스템의 모형 구동결과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시·군·구이며, 시간적 범위는 월별 평균량을 1991년-2003년까지 정리한 것이다. 가뭄 스트레스에 대한 농업용수의 적응능력 지표(Adaptive Capacity for Drought Stress index: ACDS index)는 농업용수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큰 시점의 자료가 전체 자료 중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즉, 농업용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큰 경우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가뭄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능력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개발된 ACDS 지표는 이미 제안된 대형 댐의 물 공급 가능량을 표시하는 지표인 Standard Water Storage Capacity Index(SWSCI)와 비교되었는데, ACDS 지표와 SWSCI는 높은 상관관계(R2 = 0.84)를 보였으며, 이는 개발된 ACDS 지표가 농업용수의 수요와 공급 간의 균형관계를 잘 표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ACDS 지표는 SWSCI에 비하여 규모가 작은 농업용 저수지의 상태를 보다 잘 표현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시스템이 향후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과 같은 극한상황에 보다 더 자주 노출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론적 틀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향후에는 벼 이외의 작물에 대한 농업용수 수요량을 고려한 연구 및 개발된 ACDS 지표의 미래 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농업수자원 분야가 미리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연구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the first step to take when setting up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Adaptive capacity to climate change is the important factor comprising vulnerability. An adaptive capac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considering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for rice production in Jeolla-do, Korea.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was assumed to be equal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major agricultural reservoirs, while data on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was obtained from the dynamic simulation results by Korea Agriculture Corporation (KAC).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county (Si, Gun, Gu) level and temporal scale was based on every month from 1991~2003. Adaptive capacity for drought stress index (ACDS index)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data points where the irrigated water supply was greater than the crop water demand. The ACDS index was compared with SWSCI (Standard Water Storage Capacity Index) and the relationship showed high degree of fit (R2 = 0.84) using the exponential function, indicating that the developed ACDS index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status of the balance between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especially for the small sized agricultural reservoirs. This study provided the methodological basis for develop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system which is projected to be more frequently exposed to drought condition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Further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the study on the water demand of the crops other than rice and to the projection of the change in ACDS index in the future.

      •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활용한 농업용수 회귀율 추정

        신지현 ( Ji-hyeon Shin ),남원호 ( Won-ho Nam ),양미혜 ( Mi-hye Yang ),문영식 ( Young-sik Mun ),정인균 ( In-kyun Ju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통합물관리에 따른 농업용수의 농업적, 환경적,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 및 보전과 물 관련 재해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농업유역 단위 물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농업용수의 공급을 담당하는 수리시설물에서 공급된 용수는 전량 작물에 의해 소비되는 것이 아니며, 포장으로 공급되지 않고 용배수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수되기도 한다. 포장으로 공급된 수량은 물꼬를 넘어 배수되기도 하고, 일부는 침투되어 지하수를 통해 흘러나가기도 한다. 농업용수 공급량 중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관개회귀수량(irrigation return flow)이라고 한다. 농업용수에서 발생하는 회귀수는 유역의 용수공급 계획, 하천 유황의 예측, 관개용수 사용량의 결정과 하천 건천화 방지 등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농업용수 공급량의 약 35 %가 하천으로 회귀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선행연구 조사결과에 의하면 국내 농업용수 회귀율은 기상현황, 작물 재배방식, 용수공급 현황 및 물관리 방안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지역별로 약 32~86 %의 범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며 합리적인 수자원 이용 및 관리를 위해 수계별로 정확한 농업용수 회귀율 산정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흐름 모의가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델을 활용하여 농업용수 회귀수량 산정을 위한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고, 관개 회귀수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전국 4대강 권역을 중심으로 15개 대상지구를 선정하였으며, 공급량 산정을 위하여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RIMS)의 저수율 및 시점부 수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시점부 수로 수위-유량 및 수원공 공급량, 간선 배수량, 필지별 침투량을 분석하여 신속회귀수량(quick return flow)과 지연회귀수량(delay return flow)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이용 계획 수립을 위한 정량적 농업용수 사용량의 기초자료 및 논 관개지구 관리방안 수립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농업수리 주체의 기능적 분화와 농업수리권의 구조 서설

        배성호 법조협회 2012 法曹 Vol.61 No.11

        현재 우리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물과 관련된 환경과 인간의 기본적 생존의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한적인 자원인 물의 사용과 관련된 법과 제도, 정책 등의 문제들에 대한 면밀하고 구체적인 검토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희소재화인 수자원은 한편으로 수자원의 계획적 배분에 대한 요청이 높기 때문에 관행수리권의 허가수리권으로의 교체가 촉진되고, 더욱이 관리수리권자의 개입으로 인하여, 수자원의 공권적 측면의 강화 내지 확대로 이어진다. 한편으로 물의 상품적 가치가 顯在化되기 때문에 수리권의 전용 내지 양도의 가부가 논의되는 등, 수리권의 재산권적 측면의 강조 내지 확대로 이어지는 계기도 마련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래의 다양한 수자원의 확보와 그 배분이 문제될 경우, 전체 가용 수자원의 절반에 육박할 정도의 사용비중을 갖는 농업용수 내지 농업수리권과 관련되는 체계적인 연구와 검토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최근 농업용수와 관련하여 농지 전용 등에 따른 농지감소와 수리시설의 현대화 등 으로 농업용수에 대한 본래의 수요는 감소하는 경향에 있지만, 환경개선용수, 생·공용수 등 농업 목적의 용수에 대한 대체용수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어 향후 농업용수의 바람직한 기능은 무엇이며, 물관리의 거시적 틀안에서 어떻게 농업용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추진하고자 하는 물산업육성과 건전한 물순환 촉진 방안이 직접적으로 농업용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광의의 물 산업과 다른 용도의 물사용을 대상으로 하면서 결과적으로 농업용수 이용체계 재편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국가가 수자원에 대한 보다 강화된 물관리를 통하여 향후 물의 효율적 이용과 합리적 물 배분 등을 위한 법체계 정비를 통한 규범의 체계화가 필요하고, 본 연구는 이 체계화를 위한 기초단계의 연구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농업주체의 기능적 분화와 농업수리권의 구조를 법해석학적, 법사회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체계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특히 수리권의 본질과 관련하여 허가수리권의 확립과정에서 관행수리권의 처리 및 범위획정을 위해 일본의 경우를 비교법적으로 참조하여, 민법상의 공유하천용수권의 의의, 그 성립요건과 법적 성질 등을 고찰하고, 관행수리권의 주된 대상인 농업용수에 관하여 농업수리주체의 기능적 분화를 중심으로 농업수리권의 구조와 그 변용 등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 농업용수 및 작물재배환경 중 환경호르몬 Bisphenol A의 잔류특성 연구

        전용배 ( Yongbae Jeon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Bisphenol A의 작물재배환경 중 오염도를 조사하고자 농업용저수지의 농업용수, 저니토 중에서 미량 수준의 Bisphenol A를 검출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전국단위의 Bisphenol A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중 오염도가 심한 농업용수를 이용하여 재배한 작물에 대해서도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물을 많이 이용하는 작물인 상추에 대해 흡수이행 가능성을 연구하여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농업용수와 저니토, 현미와 볏짚 및 상추와 재배토양에 대해 각각 LC-MS/MS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한 결과 검출한계는 농업용수와 저니토에 대해서는 0.05 μg/L, 0.1 μg/kg, 현미와 볏짚에 대해서는 각각 3 μg/kg, 상추와 재배토양에 대해서는 5 μg/kg, 0.5 μg/kg을 확보하여 미량의 오염수준까지 조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회수율은 농업용수 87.0 ~ 107.3%, 저니토 80.0 ~ 104.6%, 현미 83.7 ~ 97.3%, 볏짚 97.4 ~ 112.3%, 상추에서 106.5 ~ 117.6%, 사양토에서 101.2 ~ 116.6%, 양토에서는 99.6 ~ 110.0%의 범위로 분석법의 적합성을 확보하였다. 2015년 6월 ~ 8월까지 전국 128개 지점의 농업용 저수지를 선정하여 농업용수와 저니토 중 Bisphenol A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Bisphenol A의 검출빈도 및 최대검출량은 경기지역에서 농업용수는 85% 빈도로 최대 1.00 μg/L 검출, 저니토는 85% 빈도로 최대 16.0 μg/kg 검출되었다. 충남 지역은 농업용수 87%, 최대 0.13 μg/L, 저니토 100%, 최대 34.0 μg/kg, 충북지역은 농업용수 54%, 최대 0.13 μg/L, 저니토 92%, 최대 14.4 μg/kg, 전남지역은 농업용수 80%, 최대 0.17 μg/L, 저니토 60%, 최대 12.1 μg/kg, 경남지역은 농업용수 60%, 최대 0.15 μg/L, 저니토 80%, 최대 12.4 μg/Kg의 빈도와 검출량을 보였다. Bisphenol A의 생산, 사용량 그리고 폐기량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로 검출된 것은 반감기가 3일 이내로 짧은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오염원이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고도 볼 수 있다. 저니토에서 Bisphenol A가 10 μg/kg 이상 검출된 13개 농업용저수지 인근에서 농업용수를 이용하여 재배한 벼를 시료 채취하여 현미와 볏짚 중 Bisphenol A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현미 10개 시료, 볏짚 12개 시료 모두 검출한계(3 μg/kg)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서 언급한대로 Bisphenol A의 분해가 쉽게 일어나고, 이동성이 낮으며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이 낮은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벼 생육기 5월 ~ 10월 중 일반적으로 논에 물이 채워진 시기는 5 ~ 6월과 8 ~ 9월이지만 수확 1개월 전부터는 농업용수를 공급하지 않으므로 만약 생물체 내로 이행하였다 하더라도 벼 생체내에서 충분히 분해 대사 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을 것이다. Bisphenol A로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된 상추를 이용해서 Bisphenol A의 흡수이행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염된 사양토와 양토에서 재배된 상추에서 Bisphenol A와 대사산물 4-Hydroxyacetophenone는 모두 검출한계(0.005 μg/g)미만으로 조사되었고, 단지 4-Hydroxybenzoic acid만이 0.007~0.011 μg/g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그리고 상추를 재배한 토양을 분석한 결과 사양토에서는 Bisphenol A가 0.0008~0.0112 μg/g 검출되었고, 양토에서는 0.0014 ~ 0.0044 μg/g 검출되었다. 4-Hydroxyacetophenone이 사양토에서는 0.0008 ~ 0.0015 μg/g, 양토에서는 검출한계(0.0005 μg/g) 미만 ~ 0.0008 μg/g 검출되었다. 이에 반해, 상추와는 반대로 4-Hydroxybenzoic acid가 사양토에서는 검출한계(0.0005 μg/g) 미만 ~ 0.0008 μg/g, 양토에서는 검출한계(0.0005 μg/g) 미만 ~0.0006 μg/g 검출되었다. 이런 결과 볼 때 상추재배 토양에서의 잔류분 대부분이 Bisphenol A이었으므로 토양에 잔류하고 있는 Bisphenol A가 상추 뿌리를 통해 흡수 이행되어 상추 내에서 Bisphenol A의 산화분해대사산물인 4-hydroxybenzoic acid로 대사되어 잔류한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와 이전의 연구에 비추어 볼 때 Bisphenol A로 오염된 토양에서, 또는 오염된 농업용수로 작물을 재배할 경우 충분히 작물에 흡수이행이 될 수 있고, 인간이 섭취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좀 더 광범위한 농업환경에 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근채류와 같이 가식부위가 토양내에서 생육하는 경우 Bisphenol A가 더 많이 축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근채류에 대한 흡수이행 연구가 향후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유역단위 관개회귀수량 추정

        남원호 ( Won-ho Nam ),문영식 ( Young-sik Mun ),신용철 ( Yongchul Shin ),김종건 ( Jonggun Kim ),이광야 ( Kwang-ya Lee ),( Ha-young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수리시설물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는 4월부터 10월 관개기에 집중적으로 공급되고 있지만, 전량 작물에 의해 소비되는 것이 아니며, 포장으로 공급되지 않고 용수로를 통해 배수되기도 한다. 포장으로 공급된 수량은 작물소비수량을 제외한 상당부분의 용수는 물꼬를 넘어 배수 되기도 하고, 일부는 침투되어 지하수를 통해 하천으로 회귀하게 된다. 이처럼 농업용수 공급량 중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어 재이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수량을 관개회귀수량 (irrigation return flow)으로 정의하고 있다. 농업유역의 하천 유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관개회귀수량을 조사하고 추정하는 것은 용수공급계획 수립 및 취수시설의 설계와 관개조직의 운영, 용수수급계획, 하천 건전화 방지, 환경용수 방류량의 결정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농업용수 공급량의 약 35 %가 하천으로 회귀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회귀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다방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농업용수 회귀율은 지역별로 용수 공급 현황과 물관리 방식에 따라 약 32∼85 %의 범위로 다양하게 조사되고 있다. 이는 농업용수 회귀수량의 장기간 모니터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인력을 필요로 하며, 개별 수리시설물 단위의 유역 및 수혜지역, 하천의 특성, 용수계통도, 용수공급계획이 다양하여 표준화된 정량화된 값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회귀수량 및 회귀율 추정을 위한 모니터링 자료 및 모델링 등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시범지역으로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로 선정하였으며, 공급량 산정을 위한 저수율 및 저수량은 한국농어촌공사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의 저수지 수위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였다. 시점부 수로부의 수위-유량 및 배수로 배수량, 무효방류량, 취입보 취수량, 외부 지류하천의 유입량 등을 모니터링 하고, 관개기 농업용수의 공급량과 배수량을 분석하여 신속회귀수량, 지연회귀수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통합물관리 측면에서 농업용수 이용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며, 하천의 환경생태유지의 필요유량을 확보하고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사용에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농업용수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 개발 -가뭄에 대한 적응을 중심으로-

        유가영 ( Ga Young Yoo ),김진택 ( Jin Teak Kim ),김정은 ( Jung Eun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4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취약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은 취약성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관리 시스템의 적응능력에 관한 지표를 전라도 지역벼 생산에 관련된 농업용수 수요량과 공급량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농업용수 공급량은 한국농촌공사가 관리하는 주요 댐 및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고, 벼 생산을 위한 농업용수 수요량은 한국농촌공사의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시스템의 모형 구동결과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시·군·구이며, 시간적 범위는 월별 평균량을 1991년-2003년까지 정리한 것이다. 가뭄 스트레스에 대한 농업용수의 적응능력 지표(Adaptive Capacity for Drought Stress index: ACDS index)는 농업용수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큰 시점의 자료가 전체 자료 중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즉, 농업용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큰 경우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가뭄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능력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개발된 ACDS 지표는 이미 제안된 대형 댐의 물 공급 가능량을 표시하는 지표인 Standard Water Storage Capacity Index(SWSCI)와 비교되었는데, ACDS 지표와 SWSCI는 높은 상관관계(R2 = 0.84)를 보였으며, 이는 개발된 ACDS 지표가 농업용수의 수요와 공급 간의 균형관계를 잘 표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ACDS 지표는 SWSCI에 비하여 규모가 작은 농업용 저수지의 상태를 보다 잘 표현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시스템이 향후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과 같은 극한상황에 보다 더 자주 노출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론적 틀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향후에는 벼 이외의 작물에 대한 농업용수 수요량을 고려한 연구 및 개발된 ACDS 지표의 미래 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농업수자원 분야가 미리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연구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the first step to take when setting up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Adaptive capacity to climate change is the important factor comprising vulnerability. An adaptive capac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considering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for rice production in Jeolla-do, Korea.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was assumed to be equal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major agricultural reservoirs, while data on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was obtained from the dynamic simulation results by Korea Agriculture Corporation (KAC).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county (Si, Gun, Gu) level and temporal scale was based on every month from 1991~2003. Adaptive capacity for drought stress index (ACDS index)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data points where the irrigated water supply was greater than the crop water demand. The ACDS index was compared with SWSCI (Standard Water Storage Capacity Index) and the relationship showed high degree of fit (R2 = 0.84) using the exponential function, indicating that the developed ACDS index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status of the balance between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especially for the small sized agricultural reservoirs. This study provided the methodological basis for develop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system which is projected to be more frequently exposed to drought condition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Further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the study on the water demand of the crops other than rice and to the projection of the change in ACDS index in the future.

      • 농업용수 물순환 분석을 위한 디지털트윈 기반 용배수계통 구축

        남원호 ( Won-ho Nam ),신지현 ( Ji-hyeon Shin ),조정호 ( Jung-ho Cho ),민상필 ( Sang-pil Min ),김상우 ( Sang-woo Kim ),박진현 ( Jin-hy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증가, 농지면적의 감소, 농업인의 고령화 등 농업용수 내외부 환경이 바뀌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자 중심의 농업용수 물관리는 간선, 지선 및 지거 말단까지 영농 현장에서 실제 물흐름 파악을 통한 정확한 물공급 현황을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수원공 중심의 물관리체계로 인하여 현장에서는 정확한 용수계통 파악, 정량적인 용수공급량 계측에 많은 시간과 예산, 인력 투입이 발생하기 때문에 평야부 용수공급량 및 물 부족지역 파악 등 과학적인 수자원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인한 영농 변화 환경에서 다양한 농업 및 용수 수요의 효율적 대응과 농업용수관리 분야에 4차산업 스마트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 농업용수 공간정보 구축 및 데이터 기반 농업용수 관리의 전환이 필요하고,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추진 및 혁신 전략에 따라 전국단위 디지털 데이터 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농어촌공사관리 농업용수리시설물 관리 수혜면적 476,000 ha를 대상으로 디지털 기반의 용배수계통도 제작 및 수리시설물별 용배수로 및 수혜면적 조사, 정량적인 용수공급량 모의 분석을 목표로 한다. 한국농어촌공사의 통합 DB 자료인 수원공, 용배수로, 수혜면적 자료를 기반으로 농업생산기반정비통계연보, 국토지리정보원의 연속수치지형도와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 항공사진, 환경부의 세분류 토지피복도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의 스마트 팜맵과 직접측량방법(VRS, Virtual Reference Station)을 활용하여 디지털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수집된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용배수로 현황, 용배수로 노선 확인, 수리구조물, 수원공 유역 구분, 토지이용현황, 농지이용현황 등을 현장 조사하고, 관할지사 청문을 통해 용배수계통도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수혜지역 및 용배수로에 대한 체계적인 디지털 용배수계통 구축은 향후 농촌용수 물순환 실태 파악, 농업용수 수요 및 공급량 산정의 정확성 확보, 체계적인 수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율적인 농업용수 활용, 농업용수 공급 모의 분석 결과로부터 필지단위 농업용수 과잉공급지역 및 용수 부족지역 파악 등 효과적인 농업용수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농업용수의 체계적인 관리방향

        강석만,박지성,이재남 한국수자원공사 2016 저널 물 정책·경제 Vol.27 No.-

        농업용수는 국가의 식량 확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우리나라는 벼농사 중심의 농업생산기반시설 구축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왔다. 저수지 등 다양한 수리시설물 기반의 물 관리는 농업생산량의 증대를 가져와 주곡인 쌀의 자급자족을 달성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고, 이는 농업용수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한국농어촌공사의 물 관리 기술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 및 농업환경 변화 등의 시대적 흐름은 기존 농업용수 관리방법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며,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용수 관리를 위한 다방면의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농업용수 관리현황으로 농업용수 및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과거와 달라진 현재의 농업환경 변화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농업용수 관리방향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농업용수 관리의 정보화 및 과학화, 농업생산기반시설의 현대화, 농업용수 관리기술 개발 및 관리체계의 일원화, 농업인 참여형 농업용수 관리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농업용수 효율화를 위한 표준유역단위 관리체계 구축 방안 연구

        권형중 ( Hyungjoong Kwon ),김필식 ( Philshik Kim ),김상현 ( Sanghyun Kim ),신용철 ( Yongchul Shin ),변용훈 ( Yonghoon Byun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통합물관리 시행에 따라 낙동강 유역단위 농업용수 물관리 체계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물관리기본법 시행에 따른 통합물관리 정책의 본격 추진으로 유역단위 물관리 체제에 부합한 낙동강 유역의 농업용수 관리체계 개선이 필요하며, 통합물관리 정책에 부응하고 안정적인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농업용수관리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관리 체계화 및 농업용수 이용효율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국가물관리 체제에 부합된 낙동강 유역의 농업용수 표준유역단위 물관리체계 구축과 농업용수 이용효율 개선을 위한 표준유역 단위 농업용수 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유역 내 166개의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용수구역 내 편입되어있는 272개 표준단위유역의 현황과 공사관할 및 시군관할 저수지 9,288개소, 관정 10,958개, 양수장 2,734개에 대한 농업용 수리시설물 DB를 구축하였으며, 유역 내 농업용수 관리기관별 관리대상 시설물, 관리체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낙동강 유역 내 용수구역의 표준유역단위 변환 시 문제점에 대한 CASE 분석을 수행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임은진 ( Eunjin Im ),김종건 ( Jonggun Kim ),신용철 ( Yongchul Shin ),남원호 ( Won Ho Nam ),임경재 ( Kyoung Jae Lim ),이광야 ( Kwangya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우리나라에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작물생육에 필요한 관개용수로만 인식되던 농업용수의 개념이 농촌생활환경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역용수로의 포괄적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농업용수는 식량생산 이외의 효용을 위한 다원적 기능을 가지며 농촌지역의 각종 생산활동과 생활조건의 유지개선을 위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업용수에서 발생하는 회귀수는 유역의 용수공급계획, 하천 유황의 예측,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하천 건전화 방지, 수생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농업용수의 효율적 사용 및 환경생태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농업용수 중 하천으로 회귀하는 수량을 의미한다. 본류의 생태 유량 확보에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기여하고 있으며 본류 하천의 환경 보전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수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환경 생태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 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하류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수량은 관개용수량, 배수량, 침투량, 담수심 등 물수지 항목을 논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하류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대사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생물측정망 자료를 통해 대표 어종을 선정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해 모의 대상지역 특성 자료 및 인근 소하천 생물측정망 자료를 바탕으로 HSI 기반 대표 어종 서식처 환경에서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추정된 농업용수 회귀 수량에 따른 필요 유량이 어류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사저수지 하류 하천에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차지하고 있는 기여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적 생태유량과 비교한 결과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수생태(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하류 하천의 하천유지수량뿐만 아니라 하천 환경생태유지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