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김욱(Wook Kim)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측정하고, 관련 변인들이 그 지식 및 태도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양국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10개 대학 학생 1129명(한국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840명, 미국은 뉴욕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289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를 SPSS 15.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노인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Palmore(1998)의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Sanders 등(1984)의 의미분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그리고 몇 가지 인구사회적 및 노인관련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을 비교한 결과 25점 만점에 한국대학생은 12.51점, 미국대학생은 11.57점으로 한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은 9개 문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여 준 반면 미국은 4개 문항에서만 높은 정답률을 보여주어 역시 한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 학생에 비해 높음을 뒷받침했다. 둘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20점-140점 구간에서 한국대학생은 77.54점, 미국대학생은 70.07점으로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점수가 낮아 한국대학생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대학생은 오직 한 문항에서 미국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답변한 반면 미국대학생은 14문항에서 한국학생들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역시 미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학생에 비해 긍정적임을 뒷받침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 모두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양국 학생 간 그 강도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노인에 대한 심리적 지식과 가족/사회적 지식은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정책과 실천 및 후속연구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amine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about the elderly by selec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ging related facto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29 college students attending 10 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840 Kore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Gyeonggi-Do, Chungcheong-Do in Korea and 289 Americ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the State of New York of the United States). They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for Windows.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developed by Palmore(1998),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ment by Sanders et al., and several socio-demographic and aging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12.51/25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11.57/25, resulting that the knowledge level of the elderly in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students' knowledg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9 questions while Americ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only 4 questions, resulting that Korean students have higher knowledge than American students. Second,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77.54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70.07 in 20-140 points, resulting that the attitude level of the elderly among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e results of students' attitudes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y in only one question while Americ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ies in 14 questions, resulting that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 both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원격대학 장년기 대학생을 중심으로

        전혜성,권금주 한국노인복지학회 2009 노인복지연구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bout the elderly,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08 to June, 2008 and 245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ean score of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about 14. It is higher relatively than other groups that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the standard rate. Second,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sex, age.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was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The practical guidances were recommen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bout the elderly, and change the students, the public's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복지 정책 방향과 서비스 내용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사회구성원들이 갖는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주요 영향요인임을 주시하여, 원격대학 장년기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측정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1개의 원격대학에서 2008년 3월에서 6월까지 장년기에 해당되는 대학생들에게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총 245부이며 SPSS 1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은 평균 14점(정답률 56%)이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평균수준의 점수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노인에 대한 지식(p<0.01), 연령(p<0.01), 성별(p<0.05)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에 대한 지식 중 심리적 영역의 지식은 노인에 대한 태도 중 행동특성과 일상생활 관련 소외경향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p<0.01). 마지막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제언과 이러한 태도개선이 노인복지정책과 서비스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고하였다.

      • KCI등재

        노인생애체험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옥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Life Experience Program, which is a direct experienti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part of the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 on the impact and relationship on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05 college students who applied for senior citizen experience at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center were selected and 205 people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faithful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experience. For data analysis, the average difference in attitudes and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before and after the elderly life experience was analyzed using a paired-sample t test, and the relationship with image change was deriv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o deriv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was analyzed. Relationships and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across pre- and post-senior life experiences (t=-5.876***, p<.00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positivity by subtype. did not appear, but in negative and neutr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items that changed from negative to neutral or negative to positive, and in items that changed from neutral to positive. Second, college students' knowledge about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overall mean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elderly life experience (t=-7.773***, p<.000), and the subtypes of knowledge: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y area. Third, the average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very yes’ was 74% on whether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helped them understand aging and change their positive image, indicating that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image of the elderly.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descriptive statistics by characteristic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other variables that influence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by college students' person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no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Fif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major vari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type variables of attitude and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and the subtype variables of image change toward the elderly was partially significant. showed results.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at the life experience of the elderly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aging, positively influences changes in attitude,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physiolog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image and the resul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It is believed to be significant as a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that leads to understand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노인에 대한 직접 체험 교육인 노인생애체험 프로그램이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대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노인생애체험센터에 노인생애체험을 신청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취지에 동의하고 설문지에 성실히 답한 205명을 선정하여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의 평균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고, 이미지 변화와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와 영향은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 전반에 걸쳐 유의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으며(t=-5.876***, p<.000) 하위 유형별로 긍정에서는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정과 중립에서는 부정에서 중립 혹은 긍정으로 변화하는 항목들과 중립에서 긍정으로 변화한 항목들에서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에 유의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고(t=-7.773***, p<.000) 지식의 하위 유형인 신체적/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에 대하여 영역별로도 유의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셋째, 노인생애체험 이후 노화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이미지 변화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고 답한 대학생들의 분포가 평균 74%의 빈도를 보여 노인생애체험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과 일반적인 특성에 의해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이 있는지 찾고자 특성별 기술통계 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 결과 차이를 보이는 특성을 찾지 못하였다. 다섯째,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의 하위 유형 변인들과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의 하위 유형 변인들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생애체험이 노인과 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미지의 신체적・생리적, 사회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심리 및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 영향으로 노인에 대한 이해, 공감, 소통으로 이어지는 세대통합증진 프로그램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노인유사체험교육이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미치는 영향

        안병운(ByoungWoon An),이주일(JuIl Rie)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0 창조와 혁신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유사체험이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내의 고령사회교육센터에 설치된 생애체험실의 체험을 신청한 총 179명을 대상으로 노인유사체험이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노인유사체험을 실시하기 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대한 사전조사를 하였고, 노인유사체험 후 체험자가 밝힌 의견에 대한 질적 분석과 주관적으로 느끼는 노화관련 태도, 지식, 노후 생각에 대한 변화량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유사체험 후 노인에 대한 태도변화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체험 전 82.13점에서 78.94점으로 노화관련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노인유사체험 후 개인차 변인으로 측정한 통제소재에 따른 지식 및 태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태도에서 내적 통제 집단이 외적 통제집단 보다 더 긍정적으로 태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화관련 지식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는 현재 노인과의 동거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노인에 대한 지식에서는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재 노인과 동거하는 사람보다 동거하지 않는 사람이 더 긍정적으로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노화과정을 체험하는 교육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지만, 이러한 노인에 대한 체험적 교육이 노인에 대한 지식적 교육과 함께 이루어져야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ges, locus of control and senior simulation programs affect people's knowledges and attitudes toward elderly people. In study, the author examined how senior simulation program affected people's knowledges and attitudes toward elderlies by surveying 179 people who applied for the senior simulation center program at the Education Center for Aging of University. In Study, the author also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n how the participants think of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 and their later life. Results of study show that participation in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SSP)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changes toward elderly people - from 82.13 points to 78.94. Especially attitude of internal control groups were more positively increased by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 compared to external control groups. But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groups. And attitudes were affected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nts live with elderly people or not. Participants not living with elderly family members were more positively affecte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derly experience education help people develop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lderly people.

      • KCI등재

        노인과의 긍정적 교류경험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통합적 노인유사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김혜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 affect on their attitudes and knowledge towards the elderly. To fulfill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a new program, ‘Generation-integrated aging experience simulation program’, stimulating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first generation (educators). Three groups--control group, group with the basic program, and the group with the new program--were compared to see if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to the program. As a result, adolescents' attitude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had changed positive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to the new program showed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s well as the greater change width than the other. The adolescents with the new program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to the program, specifically describing their inter-generational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as impressive and joyous. Therefore, to the adolescents,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enhancing mutual understanding and positive attitude between the generations to experience some kind of positive relationship and contact with the elderly, especially the respectable ones. Some educational programs composed of diverse and effective inter-generational activities were to be developed in order to make generation-integrated society in coming ‘aged society’.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노인들과 경험하는 상호긍정적인 교류가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3세대의 긍정적 접촉기회를 부가한 세대통합적 노인유사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참여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교육만족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통제집단(90명)과 실험집단1(85명/기존의 프로그램 참여), 실험집단2(89명/세대통합적 프로그램 참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의 사전-사후점수의 차이를 다중분석하고 사전사후검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 1, 2는 모두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 노인유사체험교육 프로그램은 교육방법여부와 상관없이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입증하였다. 둘째, 교육방식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보면 노인에 대한 지식변화는 실험집단 1과 2에 차이가 없었으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로써 노인과의 긍정적 교류경험은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세대통합적 노인유사체험교육 참여자들은 기존교육 참여자들에 비하여 교육만족도가 더 높고, 특히 교육자 관련 영역의 만족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핵가족화가 가속화되어 세대 간 교류기회가 절대적으로 축소되는 현 사회에서 세대 간의 이해와 조화로운 공존을 위하여 다양한 세대통합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하며, 특히 상호 긍정적인 접촉과 질적인 교류기회가 확대될 수 있는 교육 내용과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사회적 상호작용이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강북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박성희,전병덕,김향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4 No.2

        연구목적: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미래 고령화사회의 부양 의무자가 될 청소년들과 노인 간의 상호 긍정적 인식이 필요하며, 이에 두 세대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중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신뢰도검사,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연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노인에 대한 유의한 부정적인 인식(17.7%)이 있고 노인과의 교류 경험과 공감력은 성별, 종교, 주 성장지, 경제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p>.05) 노인 세대를 좋아하는지로는 교류경험(F=23.603, p<.001)과 공감(F=20.753, p<.001)에서 차이를 보이고 거주지 1km 노인시설은 교류경험에 차이(F=3.110, p<.05)가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종교, 주 성장지, 경제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고(p>.05) 노인 세대를 좋아하는지로는 지식(F=47.186, p<.001)과 태도(F=9.115, p<.001)에 차이가 있으며, 지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t=-2.578, p<.05) 노인에 대한 태도는 교류 경험과 공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노인 지식과 태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교류 경험과 공감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높아지므로 청소년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청소년들이 교육이나 자원봉사활동 등 상호적 작용을 통하여 노인 세대가 같은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협력적 관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도 마련과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인권보호 실천과의 관계: 노인인권의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

        남현주,이현지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 인권보호실천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노인에 대한 지식과 인권보호실천과의 관계에서 노인인권의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 인권보호실천의 수준은 평균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 인권보호실천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은 인권보호실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인인권의식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셋째, 시설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인인권의식과 인권보호실천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노인인권의식은 노인에 대한 지식과 인권보호실천과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 및 인권보호실천의 강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of the old, awareness of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mong care provid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elder’s human rights. For the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are providers in residential care for the elderly located in K province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e providers showed high level of knowledge of the old,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nd those three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In addition, knowledge of the old was a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while elder’s human rights was not significantly moderating. Finally, elder’s human rights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the old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mong care provide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improving knowledge of the old,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mong care providers in residential care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경찰관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은정 ( Choi Eun Jeung ),양정남 ( Yang Jeoung Nam ),김화선 ( Kim Hwa Sun ),정경채 ( Jeong Gyung Cha ),선윤홍 ( Sun Yun Hong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4

        우리 사회는 이미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하여 노인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최근 들어 노인이 범죄의 대상이 되는 것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가 범죄자로 밝혀지는 각종 사건ㆍ사고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범죄자, 요주의 노인, 일반 노인 대상 경찰관 업무가 점차 증가하는 현실에서 경찰관들이 노인을 대하는 태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경찰관들이 노인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에 관한 지식의 중요성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G광역시에 근무하는 현직 경찰관 299명을 대상으로 노인접촉 경험과 노화지식을 독립변수로, 노인에 대한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조사ㆍ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구에 참여한 경찰관들의 노화지식은 다소 낮고,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립적이었다. 경찰관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은 노인을 대하는 태도에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는 경찰관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을 대하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고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경찰관들이 노인과 긍정적 접촉을 많이 하고, 노화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노인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갖게 된다는 의미이다. 이런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 및 노화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노인 대상 업무 수행에서의 긍정적 접촉 강화 방안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Korea has already entered into the aged society and elderly problems have become one of the important social problem. All kinds of accidents and incidents are on the rise where the elderly themselves are found to be perpetrators as well as the victims of crime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police officers'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are highly important amid a reality where police officers' tasks which deal with the elderly criminals, the elderly on the blacklist, and common elderly are gradually increasing.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police officers' contact with elderly and knowledge on aging as the influential factors of police officers'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This study investigated 299 police officers working at G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the results by setting their contact with elderly and knowledge on aging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as a dependent variable.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the participants' knowledge on aging was rather low an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were neutral. Both police officers' contact with elderly and knowledge on ag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contact with elderly and knowledge on aging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police officers' contact with elderly and their knowledge on ag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In other words, the more positive contact with elderly and the more knowledge on aging police officers had,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hey had towards the elder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elderly and aging-rel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police offic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increase police officers' positive contact with elderly in performing tasks related with the elderly.

      • KCI등재

        젊은 세대의 문화성향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에 대한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영,문경주,장수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8 No.-

        본 연구는 젊은 세대의 문화성향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문화성향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노인의 지식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후, 분석결과를 근거로 젊은 세대와 노인세대 간의 연령통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20·30대 412명이며, 분석방법은 계층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립적 수준이며,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문화성향을 보면 수직적 집단주의는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평적 개인주의 문화성향은 조절변수인 노인에 대한 지식과의 상호작용효과에 의해서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젊은 세대가 노인세대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문화성향별로 제안하였다. 수평적 개인주의의 경우는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를 강화하는 교육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고, 수평적 집단주의에 대해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ultural disposition on the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levels about the elderly in the process that cultural dispositions a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Using data from 412 participants(aged 20-39) in Busan and Gimha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was t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proposed alternatives of age integration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ere medium level,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low,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as positive as the age was low. Second, Vertical collectivism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in the four cultural dispositions. Third, Horizontal individualism has no major effect on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but Horizontal individualism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when interacting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that can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ccording to younger generation's cultural dispositions. In the horizontal individualism, we have proposed education program that enhance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In the horizontal collectivism, Programs were suggested that expand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between young and older generations

      • KCI등재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매개로 하여

        김근영,황미구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이 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연구해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지역의 노인 585명을 최종분석에 사용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노화관련 지식수준은 노인에 대한 태도와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노화관련 지식수준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화관련 지식수준은 우울에, 노인에 대한 태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앞으로 노인교육을 통해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노인 스스로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노인 자살을 예방하기위한 노력이 매우 절실하다. This study addresses a number of issue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s various aspects of elderly`s suicide ideation, and how this level of knowledge on aging impacts on their suicide ideation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elderly,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subject for this research were 585 community dwelling elderly 65 years and over in Kyonggi-do, Kwangwon-do, and Chungbu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vel of knowledge on ag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on the mediating effect negative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depression. Second, level of knowledge on aging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on the mediating effect self-esteem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ly association between level of aging facts and depression, or attitude toward elderly and self-esteem. Finally, we should improve the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and level of aging knowledge to reduce ageism and suicide id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