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産俗) 문화 비교 연구

        투라예바 딜푸자(Turaeva Dilfuza),이수진(Lee Su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산속은 오래전부터 각 민족의 삶의 방식과 믿음을 통해서 조상들로부터 전해 내려온 습속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호하는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연구를 통해서 양국의 민족성이나 사회성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산속이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유교주의 영향을 받아 특히 16세기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실크로드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오랜 시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략으로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보내며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해졌다. 양국 모두 전통적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형성해 왔으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사회적 구조 안에서 남아의 잉태를 기원하는 산속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양국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해 보았다. 양국 모두 아이를 갖고자 희망하는 여인들은 일정한 대상물을 향해 기도 기자속이 있는데, 그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잉태를 위하여 수목, 산신, 부처, 암석 등에 기도를 하며, 아들을 이미 출산한 집안의 삼신상이나 속옷, 금줄에 끼인 고추 등을 훔쳐 잉태를 기원하는 습속이 있는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산한 임산부의 다리 밑을 지나가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방식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출산한 부녀자에게 의지하여 아이 낳기를 기원하는 행위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기자속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산전속에서도 한국은 오리고기ㆍ닭고기ㆍ자라고기ㆍ토끼고기ㆍ생강ㆍ마늘ㆍ문어 등의 섭취를 금지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낙타고기ㆍ토끼고기 등을 금기시 하여 금기 음식의 종류에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산모가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것이 태아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음식이나 행위에 금기를 가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후속도 한국이나 우즈베키스탄 모두 출산 직후 산모를 외부의 침입이나 악의 기운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고추나 청솔가지, 숯 등을 달아 외부와 차단하는 금줄을 달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대문 앞에 칼을 매단 금줄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를 비교하여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화를 점검해 보았다. 향후 양국의 문화이해 및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ildbirth customs in traditional Korean and Uzbekistan culture. Even though Korea and Uzbekistan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they remain a part of Asian civilization.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se two distinct cultures retain some cultural similarities, such as in childbirth. Childbirth customs ar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via learned lifestyles and beliefs. Childbirth customs in Korea and Uzbekistan favor patriarchal family systems, displaying a typical preference for sons over daughters. By comparing the childbirth custom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we can appreciate the n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from which the childbirth customs of these two countries have emerged. In Korean culture, where Confucianism was highly influential, a preference for boys emerged conspicuously in the 16th century. Uzbekistan as well, because of its unique location at the crossroads of an ancient trade route, the Silk Road, coupled with an extensive history of invasion from foreign forces, developed a cultural preference for boys. Thus, both countries have form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with boy preference customs. Given this social structure, both societies have formed various traditions that emphasize a desire to bear sons.

      • KCI등재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이은희(Lee, Eun-hee)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본고는 고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 텍스트로서 <바리공주> 서사의 효용과 가치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바리공주> 서사의 문화교육적 효용성은 장르적, 구조적, 내용적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 바리공주가 학습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서사무가 즉 샤먼의 노래라는 점, 둘째 보편적 구조인 영웅의 모험담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 셋째 <바리공주> 서사는 한국의 다양한 문화요소뿐만 아니라 현재적으로도 유의미한 영웅상,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한 교육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바리공주> 서사에 주목하고 전통사회 가부장제의 폐단이 빚어 낸 남아선호 및 남존여비사상, 인륜의 차원을 넘어 의무와 규범으로 인식되는 효사상, 서사무가에서 묘사하고 있는 저승의 모습을 통해 알 수 있는 한국문화 속 죽음에 대한 인식이라는 문화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서사무가라는 장르적 배경 속에서 탄생한 바리공주 이야기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사상, 가치관, 세계에 대한 사유방식 등은 설명이 쉽지 않은 추상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야기 속 상황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자들은 각각의 문화요소를 쉽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로써 남아선호 및 남존여비사상에 대한 원인 분석과 비판, 진정한 효의 의미, 사후 세계에 대한 문화적 차이 등으로까지 논의를 확대할 수 있었다. 한편 바리공주 이야기에 자기서사를 대응해 보는 쓰기 과제를 통해서 바리공주 서사를 내면화하여 자아 성찰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포착되기도 하였다. 실제 수업사례를 통해 볼 때 한국문화의 다양한 요소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문화교육 텍스트로, 학습자의 삶을 돌아보고 미래를 기획하여 자기 성장을 도모하는 교육 자료로 <바리공주> 서사는 상당한 가치를 지니는 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보다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 수업의 결과를 축적하여 <바리공주> 서사가 가진 교육적 효과를 검증해야 할 것이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육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ltural education value of the Princess Bari narration, which is a song that shamans used to sing. The characteristic of such genre can generate interest among learners. In addition, it has the following elements: a plot structure of adventure, which is familiar to learners, and Korean traditional thinking, ethics, and worldviews. Furthermore, the method illustrating how princess Bari becomes a heroine or solves a conflict is different from that of a typical hero we see in movies or games, amongst others. These elements can be helpful for learners to establish a positive image of a hero/heroine or a human being. The cultural factors in Princess Bari are the cognition of a boy’s preference, male-dominated ideas, filial duties, and death. Such cultural factors are helpful in building an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ulture and for learners to identity with the culture of their homeland. For the aforementioned reasons, this study applied the use of the narr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using Princess Bari in a class, the learn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Since abstract concepts could be learned through the use of a concrete story,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interest and attention; therefore, the educational effect was high. However, the educational effect should be further verified on more learners, henceforth,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use of the Princess Bari narration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self-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의료법상 태아 성감별 및 고지 금지 규정에 대한 검토

        이백휴 한국의료법학회 2010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8 No.2

        태아성별고지를 금지하는 의료법 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의료법이 개정되었지만, 의료현실에서는 여전히 헌법재판소에서 인정한 의료인의 직업의 자유와 태아 부모의 태아성별 정보에 대한 접근을 방해받지 않을 권리가 침해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태아 성감별 및 고지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 형벌 및 행정처분을 부과하는 현행 규정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여 추가적인 의료법 개정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이 규정의 입법목적으로 ‘태아의 생명 보호’와 ‘적정한 남녀성비 유도’를 인정하고 있으나 이는 부당하다. 현실적으로 태아의 성별 확인을 통하여 낙태의 결과를 초래하는 사례가 거의 없으며, 오히려 태아의 성별에 따라 유전질환이 달라 의학적인 차원에서 태아의 성별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정상성비 수준에 이르렀다. 비록 셋째아 이상에서 정상성비를 초과하는 것은 사실이나 전체 출생의 10%도 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정상성비에 가까워지고 있다. 설문조사에서도 원하는 태아의 성별이 아니라는 이유로 낙태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이 입법당시와 달리 태아의 생명에 대한 인식과 남아선호사상이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한편 태아 성감별 행위는 낙태죄의 예비․사전행위에 해당하나 낙태행위에 비하여 더 엄격하게 규정․해석되고 있다. 그리고 낙태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낙태죄 규정 외에 별도의 규정을 두는 것은 입법자 스스로 낙태죄 규정의 실효성을 부정하는 처사이다. 즉 낙태행위에 대해서는 낙태죄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점에서 태아 성감별 및 고지행위로 인한 문제는 의료윤리에 의한 자율적 규제의 대상이지 행정처분이나 형벌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부당하다. 만약 반드시 형벌의 필요성이 있다면 낙태의 결과가 발생하거나 낙태를 위한 사전행위로 밝혀진 경우에 한하여야 한다.

      • KCI등재

        조선 개화기 여성 기독교 선교를 통한 파키스탄 여성 선교 전략

        K.Myria,소윤정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2 복음과 선교 Vol.58 No.-

        This study investigated missionary strategies for Muslim women through the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were active for Chosu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t was like fabrics were moving on the road since they were wrapping their bodies with the fabrics, exposing their eyes only.” This was not a confession of missionaries who came to the Islamic world but what the women of Joseon looked in the eye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stepped onto the land of Chosun. Social phenomena based on the patriarchal system, such as hetaerism, early marriage, the separation of space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carried out in Chosu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share many similarities with society in the modern Islamic world.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times, the looks of the lives of the women of Chosun created by patriarchal society can also be found in the modern Muslim women’s lives. These sociocultural limitations have made missions in the Islamic world centered around men. There were changes in perceptions as time flowed; however, still, the centrality of mission for Muslim men in Islamic missions pointed out by Miriam Adeney has continued. On the other hand, the mission for Muslim women, half of the population, is sometimes considered not the main missionary work.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efforts and methods for preaching the Gospel to the women of Chosun of difficult access for the missionaries who were active in Chosun to meet through the missionaries’ records and examine missionary strategies for Muslim women in the 21st century. Despite the difference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the missions for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carried out in women’s lives in the patriarchal social environment and the closed social environment for women.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Pakistani Muslim women since it would be impossible to unify Islamic countries. Later,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positions and social activities of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Pakistani women,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propose missionary strategies for Pakistani women through the methods and results of mission for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본 연구에서는 개화기 조선에서 여성들을 대상으로 활동했던 서양 선교사들의 활동을 통해 무슬림 여성 선교 전략을 살펴보았다.“눈만 드러낸 채 천으로 몸을 감싸고 있어서, 길에는 천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다.”이슬람권 선교사의 고백이 아니라 조선 땅을 밟았던 서양 선교사 눈에 비추어진 조선 여성들의 모습이었다. 개화기 조선에서 행해졌던 축첩과 조혼, 여성과 남성의 공간 분리와 남아선호사상과 같이 가부장 제도의 기초를 둔 사회 현상은 현대의 이슬람권 사회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시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사회가 만들어낸 조선 여성의 삶의 모습은 현대 무슬림 여성의 삶의 모습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한계는 이슬람권에서의 선교를 남성 중심으로 진행되게 만들어왔다. 시대가 흐르며 많은 인식의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미리암 애드니(Miriam Adeney)가 지적했던 이슬람 선교에 있어서 무슬림 남성 선교의 중심성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반면, 인구의 절반인 무슬림 여성 선교는 중심 사역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에서 활동했던 선교사들이 만나기 어려웠던 조선 여성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했던 노력과 방법들을 선교사들의 기록물을 통해서 연구하고, 21세기 무슬림 여성 선교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대적 차이가 존재함에도 개화기 여성 선교가 가부장적인 사회 환경에서 나타나는 여성들의 삶과 여성에게 폐쇄적인 사회 환경 가운데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 국가를 획일화할 수 없기에 파키스탄 무슬림 여성들로 그 연구 범위를 제한하였다. 이어서, 개화기 여성과 파키스탄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사회적 활동 비교를 통하여 유사점을 연구하고, 개화기 여성 선교 방법과 결과들을 통하여 파키스탄 여성 선교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한국 여성의 성 의식에 관한 계층별 비교 연구

        김상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경기교육논총 Vol.7 No.-

        The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to settle desirable sexuality culture in our society.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Korean women's sexuality value and consciousness by way of analyzing them by stratum of ages, schooling, and income, respectively. 2,500 women were selected for research subjects throughout the country by means of random sampling method, and sent them questionaires (including 27 question items) by mail, and 1,886 women sent back answer sheets. Among the women who sent back answering sheets, teen agers are 385(20.4%). twenty agers 403(21.4%), thirty agers 392(20.8%). forty agers 380(20.1%) and over the fifty agers are 326(17.3%). A1so, high school graduates are 568(30.1%). college graduates 1,188(63.0%)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are 130(7.0%), and classifying them by income per month, low income earners (lower than 2 million won per month) are 754(40.4%), middle income earners (2 million won to lower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965(51.3%), and higher income earners(over 3 million won per month) are 163(8.6%). All of the data are analyzed by means of SPSS/PC program and the study is performed from the 1st of September, 1997 to the end of November, 1998.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1) 57.4% of the subjects are satisfied with "born female", only 14.0% unsatisfied. And teen agers, graduate school graduates, and higher income earners are more proud of their gender of female. 2) The women subjects of the study still prefer son(39.2%) to daughter(22.6%), and older agers. low educated and low income earners favor son more than others. 3)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56.3%) want one son and one daughter, and 14.5% want two son and one daughter. Older generations, higher schoolers and higher income earners more want one son and one daughter than others. 4) As for the reason of favoring son, 42.9% of the woman subjects chose "succeeding family name", and 34.6% agreed that social structures are made conveniently for male rather than female" Older generations, college graduates and lower income earners prefer the former reason. 5) 93.9% of the subjects have positive attitudes for sex. For example, they think sexual drive is basic desire of man and woman, and sexual relation is a very important part of marriage life. and so on. Particularly, age of forties, college graduates and higher incomer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for sexual relation. 6) Most of the subjects(76.5%) agree that our society is full of open sex atmosphere. And older generation, high school graduates and middle income earners agree that there are many distorted sex informations in Korean society. 7) Most of subjects(77.0%) have objection to the permission of sexshop and adult movie theatre, etc. in our society. Over fifty agers, high school graduates and low income earners have more objection to sexshop and something like that than others. 8) As for sexuality knowledge, the subjects have low degree of sexuality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ir mean score is 56.2(σ=20.16) out of 100. Forty agers, college graduates and middle income earners get comparatively higher score 9) Many women acknowledge the need of sexuality education in and out of school and campaigning through mass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mote healthy sexuality culture in our society Consequently, the study confirmed that in order to dissolve the still existing son preference view, formal schooling level and income level should be upgraded, and sexuality education in and out of school is necessary to strengthen healthy sexuality culture in our country.

      • KCI등재후보

        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떠르지 재벤(Dorj, tse-veen),구사회(Koo, sa-wh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이 논문은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구분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출산의례라고도 하는 산속은 오래 전부터 민족마다 자신들의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온 출산과 관련된 의례를 담고 있는 습속이다. 각 나라 전통 사회는 그 사회의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 구조, 사상 등을 반영하게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산속에 나타나는 특징은 차이를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의 출생의례는 절 ,지성과 같은 기자속은 물론이고, 산전속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태몽에 대한 내용이 많다. 반면에 몽골의 출생의례는 산전속에서는 임산부들이 가지는 음식과 행위와 관련된 금기어가 많으며 태어난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한국과 몽골은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비슷하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여 표시했는데 몽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표시했다는 점이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가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육아속은 백일날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식과 출생 후 일주년을 기념하는 돌날 까지를 말한다. 이에 비해 몽골의 육아속은 출생 후 3년 후에 비로소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례를 행하기 때문에 한국에 비해 길다. 한국의 출생의례를 보면 역신을 속이기 위하여 천한 이름으로 아명을 지어주는데, 몽골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역신을 기만하고 속여서 역신으로부터 어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이름이나 혐오스럽고 이상한 이름을 지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어린 아이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거쳐야만 하는 통과의례의 전이 단계인데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에서 공통적인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비교하면서 양국의 전통문화를 점검하고 한국과 몽골의 민속 문화만이 지닐 수 있는 상호간의 문화적 친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by classifying it into Gijasok, Sanjeonsok and Sanhusok. From the past, Sansok is a tradition that contains ancestral ritual on the lifestyle and belief of each nation. It is confirmed that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reflected national characteristics, national identity, social structure and idea. The birth ritual in Korea has many contents on dream of the forthcoming conception of a baby as a key of Sanjeonsok as well as Gijasok like Chiseong. To the contrary, it was Sanjeonsok in Mongolia that has many taboos related to foods and behaviors of pregnant women. Both Korea and Mongolia are Gijasok having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As Sanhusok, in Korea the symbols of boy and girl were separated, but in Mongolia, it was not identified. Yukasok focuses on various event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and the presents for event were different. In the birth ritual in Korea, child name was used to be devised in a humble name to protect child from Yeoksin. It was similar at Mongolia and they used to name the child in the name of animal or plant in a bizarre or horrible term. This study could find the affinity of both cultures by comparing culture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 KCI등재

        구술생애담을 통해 본 남·북·중 코리언 여성들의 아들 낳기 문제와 젠더의식

        김종군(Kim, Jong Kun),박재인(Park, Jai In),이미화(Lee, Mei Hua)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3

        이 연구는 산아제한정책이 강화되던 시기 남·북·중 코리언 여성들의 출산경험담을 통하여, 아들 낳기 강요에 대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순종과 저항의 복합적 행위성을 발휘했던 생생한 모습들을 살펴보았다. 아들 낳기 과제에 대한 억압을 내면화하며 순종했던 모습은 다양한 행위로 표출되었고, 또 재생산권이 침해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남한 여성의 경우는 ‘의료과잉화’의 문제로, 중국 조선족의 경우는 ‘위법’과 ‘다산 강요’의 문제로 드러났는데, 아들 낳기 문제에 있어서 코리언 여성에게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지킬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지 못한 ‘문화지체 현상(cultural lag)’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는 결국 가부장제적 억압을 내면화하면서 자신이라는 본래적 주체를 소외시켜버린 삶이었다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은 산아제한정책이 강화되었던 시대에 코리언 여성문제의 취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여성들의 생애담에서는 아들 낳기 과제에 대하여 남성과 사회에 책임을 분유하고자 하는 의식 변화가 보였는데, 이는 전근대적인 여성들 보다는 저항적인 모습으로 해석되었다. 게다가 자녀의 성별에 대한 가치판단이 변화한 지점이 확인되었는데, 그 이면에는 자기 욕망을 투사하거나, 딸의 희생을 강요하는 등 또 다른 폭력으로 작용한 한계가 있었다. 남한여성들의 경우는 딸의 사회적 진출에 관한 교육 열망으로, 북한과 조선족여성의 경우는 딸들을 통한 경제적 위기 해결이라는 문제로 드러났던 것이다. 그럼에도 이 여성들은 딸에게는 출산과 양육이 본능이자 의무라는 전통적 모성 관념을 그대로 적용하지 않았고, 가부장제 모순에 문제를 제기하는 등 ‘탈(脫) 가부장제적 주체’로의 변화지점도 발견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변화가 2020년 현재 출산과 양육문제에 있어서 여성주의적 자각을 이뤄내고 있는 3-40대 여성들의 어머니들에게서 시작되었다는 점이 중요하고, ‘어머니와 딸의 연대의식’이 강화되면서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의지도 점차 강화되고 있는 것 또한 현재 코리언 여성들의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womens problems forced to have a son because of the countrys ‘Planned Birth Policies’. Through the childrenbirth stories of Korean women expressed in oral, I have found vivid figures. That is obedience or resistance to the oppression that forces to have a son. Form of obedience is revealed in the form of shamanistic practices or reproductive rights violations. Reckless medical practices, illegality & Continuing childbirth Problem etc, Korean women had a “cultural lag” in which the right to protect their body and mind was not guaranteed. So women were internalized patriarchal oppression, and alienated their own original subject. It was the seriousness of the Korean womens problem at the time. And in these womens stories, there was also a form of resistance. It turned out t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childbirth with the husband or society. In addition, the value judgment of the childs gender has changed. It also revealed the limitations of erupting ones own desires or forcing her daughter to sacrifice. South Korean women expressed their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North Korean and Korean-Chinese women seemed to rely on their daughters to overcome economic problems. Nevertheless, these women did not impose oppressed lives on their daughters and showed a change in consciousness that criticized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y. It can be said to be a change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to an active subject.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feminist historical change in which ‘Bonding of mother and daughter’ is strengthened and Resistance to Patriarchal Ideology from mother to daughter is strength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