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학파(南冥學派)에 관한 연구(硏究)』의 성과(成果) 및 그에 대한 회고와 전망- 남명학파(南冥學派)의 거시적(巨視的) 동향(動向)에 관한 연구(硏究)를 중심(中心)으로-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본고는 지난 20여 년간 진행되어온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를 종합, 검토하는 논문이다. 지금까지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는 아주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는데 본고는 그 중에서도 특히 남명학파의 거시적 동향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논문을 모아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대상 논문은 우선 통시적 연구와 시대별 연구로 나누었으며, 시대별 연구는 다시 남명학파의 형성 및 전성기에 관한 연구, 남명학파의 몰락 및 쇠퇴기에 관한 연구, 남명학파의 부흥기에 관한 연구 등 세 시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사실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통시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남명학파의 동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인조반정의 가해자와 피해자 가운데 피해자에 해당하는 북인만 연구해온 것이라 볼 수 있다. 그 결과 남명학파의 공(共)보다는 과(過)가 부각되었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가해자인 서인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입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시대별 연구도 자료의 한계성 때문에 더 이상 크게 진보할 가능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료 발굴은 물론 자료 해석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article, I put together several studies related to the Nam-myoung school which have been progressing for last twenty years. So far, the studies on the Nam-myoung school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I particularly collected data containing macroscopic movements of the Nam-myoung school and carried out an analysis of those papers. They were divided into diachronic study and periodic one, and the periodic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formation and golden age of the Nam-myoung school, collapse and decadence of the Nam-myoung school and rehabilitation of the Nam-myoung school. Actually, the macroscopic studies have been proceeded mainly with the movements of the Nam-myoung school. They were focused on only the North-party(北人) which was the victim of ‘The coup of Injo’ between the victim and the assailant. As a result, it is hard to deny that the fault of the Nam-myoung school was magnified rather than the contribution of theirs. If we study the West-party(西人), the offender in parallel with the North-party(北人), multilateral study will be made. It is hard to find the possibility of progress in the periodic study because of its limitation of data. To overcome this problem, we need not only to excavate materials but also to engage in the interpretation of data actively.

      • 기획논문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南冥學派) ;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정치적 동향과 인조반정(仁祖反正)

        신병주 ( Byung Ju Shin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남명학파는 선조 후반부터 시작하여 광해군대를 정점으로 중앙 정계의 권력을 장악했다. 임진왜란이라는 국가 위기적 상황과 광해군의 즉위라는 시대적 상황이 소수파의 집권을 가능하게 했다. 남명학파는 광해군이라는 국왕의 신임을 철저히 바탕으로 한 정권이었기에 광해군에 대한 충성 또한 현저하였다. 광해군 초기에 벌어진 임해군의 옥사나 김직재의 옥사를 거쳐 영창대군의 蒸殺에 이르는 과정에서 남명학파의 영수 정인홍은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왕통에 조금이라도 어긋나는 요인에 대해서는 철저히 뿌리를 뽑겠다는 정치 철학이 반영된 것이었다. 그러나 왕통에 대한 지나친 집착은 ‘廢母殺弟’라는 의리 명분상의 반발에 부닥쳤고, 결국 남인과 서인들이 타도 남명학파를 외치는 빌미를 제공해 주었다. 남명학파의 학문적 뿌리에 대한 취약성은 영수 조식에 대한 文廟從祀 운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정인홍은 스승을 존숭하는 과정에서 이언적과 이황을 폄훼하는 논의를 주도했고, 이미 문묘에 종사된 이들을 黜享하려고 까지 하였다. 이러한 독선적인 성향은 많은 사류들이 등을 돌리는 단서를 제공하였고, 정인홍은 성균관 유생 명부인 『청금록』에서 삭제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결국 광해군대 중반 이후 북인은 서인과 남인의 지지기반을 상실한 채 고립무원의 처지가 되었고, 1623년 인조반정으로 정인홍은 처형을 당하였다. 이후 남명학파는 정치적으로 재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몰락하였다. 남명학파는 퇴계학파, 율곡학파 등과 더불어 조선중기 정치, 사상계를 이끌어간 대표적인 학파였다.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북인이 몰락하면서, 북인의 원류가 되는 남명학파의 정치적, 사상적 위치에 대한 평가는 축소되었다. Members of the Nam`myeong school have already seized control of the government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king Seonjo`s reign, and also throughout king Gwang`hae-gun`s reign. Admittedly they had been the minority faction inside the government, yet the national crisis caused by the wars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and the emergency nature of king Gwang`hae-gun`s enthronement, made possible for them to become a dominant faction over the others. The regime they formed was primarily based upon king Gwang`hae-gun`s explicit trust, so their loyalty to the king was quite severe as well. Punishing the king`s brother Im`hae-gun, or eliminating the Kim Jik-jae faction, or even killing off the king`s half brother Yeongchang Daegun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s reign, were all led by the Nam`myeong members, and the leader Jeong In-h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 of those incidents. His actions were based upon a belief -a political philosophy- that any disruptive element which could turn out to be harmful to the legitimacy of the king`s heritage should be destroyed. Yet such obsession eventually invited a criticism and resistance, which called the king a ``murderer`` of his brother, and a person who abandoned his duty to his mother(step mother actually). And it also created a cause for the Nam`in(the "Southerners") and Seo`in(the "Westerners") party members, to fight and expel the Nam`myeong regime. The inherent weakness of the Nam`myeong school members` academic achievements drove them to promote a movement which claimed that their master Jo Shik should be enshrined at the National Literary shrine("文廟從祀"). Yet in the process Jeong In-hong chose to ``degrade`` and criticise the achievements of Yi Eon-jeok and Yi Hwang, and even tried to remove the tablets of some of the honoraries who were already enshrined there. This turned out to be a very unpopular choice of action, and the Nam`myeong regime lost support from many Confucian scholars. Also in retaliation, the name of Jeong In-hong himself was scratched from the 『Cheong`geum-rok』 Manifest, which was a list of Confucian students of the Seong`gyun-gwan university. As a result, in the latter half of Gwang`hae-gun`s reign, the Buk`in(the "Northerners") lost support from the other parties(``south`` and ``west``), therefore was placed in a very lonely and precarious situation inside the government, and after Jeong In-hong was executed by the new regime that installed Injo as the replacement king in 1623, the Nam`myeong school itself was politically demolished beyond recovery. Nam`myeong school was one of the leading academic groups that engaged in politic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Twe`gye school and Yulgok school. Yet after the political party that was called the Northerners was politically defeated in 1623, people`s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Nam`myeong school in general, which was the mother group of that political faction, came to exhibit a considerable and harsh downfall.

      • 기획논문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南冥學派)의 문학(文學) -몇몇 남명학파(南冥學派) 문인(門人)을 中心으로-

        강구율 ( Koo Youl Kang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논문은 인조반정이라는 정치적 사건이 남명학파의 문학, 특히 한시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남명학파 문인이란 시기적으로 볼 때 남명의 직접 제자가 아니라 재전 혹은 삼전제자이거나 사숙문인들을 통칭한 것이다. 이제 이들 남명학파 문인들을 그들의 현실적 성격에 따라 재조문인, 귀향문인, 재야문인 등 세 부류로 나누고 문인들 중에 문집도 남아 있으며 비교적 문학사적으로 비중이 있는 몇몇 문인들의 문학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남명학파 문인들 가운데 조정에 남아서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현실정치에 반영한 그룹을 재조문인이라 한다. 재조문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동계와 한사이다. 이들이 反正 이후에 보이는 문학적인 경향은 대체로 정치적 입지가 곤란한 상황에서도 出仕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귀향방식을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동계는 임금의 허락을 기다리는 면모를 보인다. 이에 반해 한사는 동계와는 다르지만 자발적인 귀향이기보다는 약간의 여운을 남기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재조문인들의 한 특징이라고 하겠다. 둘째 인조반정이라는 정치적 사변이 일어났을 때 곧바로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거나 일정한 시차를 두고 귀향한 일군의 문인들을 귀전문인이라고 명명한다. 이들은 대체로 반정이 일어났을 때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렇지만 모정 배대유는 반정에 대한 강한 불만과 함께 자신이 받은 은혜를 저버리지 않으려는 의지를 보이면서 곧바로 사직하고 귀향한다. 이에 비해 오계 조정립은 곧바로 사직하지 않고 한참 뒤에 타의에 의해 부처되고 그 후에 귀향한다. 그렇지만 귀향한 이후의 작품 세계에서는 선계지향과 안분자족을 노래하고 있다. 이로써 모정보다 오계는 현실참여에 대해 강한 집착을 보이기는 하지만 귀향 이후에는 선계지향과 안분지족의 경향을 보인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남명학파 문인들 가운데 아예 출사하지 않고 재야에 묻혀 살면서 제자를 양성하거나 유자 본연의 자세를 견지한 일군의 문인들을 재야문인라고 명명한다. 이들 재야문인들의 시세계는 앞에서 살펴본 재조문인이나 귀전문인과는 그 경향을 달리하고 있다. 이들은 대체로 자기 당대의 현실문제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때로는 갈등과 고민을 겪고 또 때로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은거의 삶을 살면서 자연과의 합일을 지향하기도 하고 구도에의 지향을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들의 교조(敎祖)인 남명과는 달리 신선 세계를 지향하면서 유가적 범위를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히려 남명과 일부 제자들의 개방적 태도와는 경향을 달리하는 듯하다. 그리고 선비 본연의 자세를 강조하는 것도 이들 문학의 하나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This paper is prepared so that the political event named Injobanjeong(仁祖反正) investigates effect getting to Nammyeonghakpa`s(南冥學派) literature, especially Hansi(漢詩). Nammyeonghakpa literary man, who say from here, says disciple`s disciple or grandchild disciple. And disciples, who admire Nammyeong, are included. Now, divide these Nammyeonghakpa disciples into three classes that it is Jaeyamunin(在野門人) is Gwihyangmunin(歸田門人) is Jaejomunin(在朝門人) according to their realistic personality. And Collection of works among disciples remains and wish to examine literary characteristic of disciples who importance is as Bachelor of Arts. First, group which remains in government among Nammyeonghakpa disciple and reflects oneself political belief in practical politics says that it is Jaejomunin. Jaejomunin`s representative person is Donggye(桐溪) and Hansa.(寒沙) Despite political situation is difficult situation after that Injobanjeong if see their literary tendency, it shows excessive fondness that is strong about that station. And if see their going home mode, there is some difference. Donggye shows characteristic to return to hometown because take king`s permission. On the other hand, Hansa is showing bearing which leave some emotional resonance rather than return to hometown voluntarily differed from Donggye. it can be called that these inclinations are characteristic of Jaejomunin. Second, When the political event called Injobanjeong happened, there is disciple, who abandons government post immediately and returns to hometown. And disciple, who return to hometown after considerable hour passes. It is known that these are Gwijeonmunin. These show characteristic that abandons government post and returns to hometown generally when Injobanjeong got up. However, Mojeong(慕亭) Baedaeyou(裵大維) shows will which oneself with strong complaint about Injobanjeong does not go back on favor that receive. And retire immediately and returns to hometown. While, Ogye(梧溪) Jojeongrip(曺挺立) is exiled by other people`s will without retiring immediately for a time behind and returns to hometown thereafter. However, he is displaying Sinseonsegye(神仙世界) and Anbunjijok(安分自足) in work after return to hometown. Finally, there is a person, who foster disciple living under Jaeya(在野) without taking office from the first among Nammyeonghakpa disciple. And it is known that group`s disciples are Jaeyamunin(在野門人) as long as keep firm confucianist natural poise. As examine in front, these Jaeyamunins` world of art is showing other characteristics with Jaejomunin and Gwijeonmunin. Generally, these people have extensive consideration about real problem in age that own live. And these people suffer discord and agony and criticize this to real problem. These people show characteristic that desire Jayeanhapil(自然合一) and pursue Tao(道) as people live life of retirement. However, unlike Nammyeong, there were not many people, who escape confucianist extent. Preferably, it shows other characteristics with open stance of Nammyeong and some disciples. And I will say that to emphasize Confucianism scholar natural position is one characteristic of these literature.

      • KCI등재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잠(箴) 작품에 나타난 수양론

        전병철 ( Byeong Cheol Je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5 No.-

        16-17세기 초반은 南冥曺植(1501-1572)이 학파를 형성하고 그의 제자 및 재전제자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시기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인해 남명학파가 심각한 타격을 입고 학문적·정치적 활동에서 전면에 나서기 어려웠던 점을 생각할 때, 이 시기는 남명학파의 전성기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16-17세기 초반에 창작된 남명학파 학자들의 箴작품을 대상으로 그 속에 담긴 수양론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했다. 箴의 효용성에 주목해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수양의 실천 양상을 분류한 결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는 수양론의 핵심사상을 제기하여 그것에 따른 실천 의지를 촉구한 작품군이다. 이것은 보다 근원적·본질적 측면에서 자신이나 타인을 규계하는 것이므로, 치료 방법중에서 原因治療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특정한 병폐나 구체적인 실천 덕목을 적시하여 그것에 따른 수양 방법을 모색한 것으로, 어떤 증상에 대해 직접적인 처방을 하는 對症治療의 명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는 어느 시기나 어떤 사건이 계기가 되어 새롭게 전환하려는 시도를 할 때 지어진 작품으로, 이것은 주위 환경이나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병을 호전시키는 改善治療와 같다고 말할 수 있다. 3가지 유형 가운데 편수가 가장 많은 것은 對症治療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총 10편이 여기에 속한다. 原因治療는 5편이 있으며, 改善治療는 4편이다. 곽재우의 「調息箴」은 호흡법에 관한 내용으로 다른 箴작품의 일반적인 성향과 구별되어 기타로 분류했다.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 학자들이 창작한 箴작품은 총 20편인데, 비슷한 시기에 지리산권의 서부인 호남지역에서는 箴작품의 수량이 6편 정도에 불과하며, 그 내용도 2편이 임금을 위해 지은 官箴이고 나머지 4편은 경전을 해석하거나 전대의 작품에 차운한 것이다. 이처럼 호남지역의 箴창작 양상과 대비해 보자면, 남명학파 학자들의 箴작품은 수양의 내용 및 방법을 서술한 것이 매우 구체적이며 실질적이다. 따라서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의 箴작품은 수양 방법을 제시하고 실천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is the period that Nammyeong (南冥) Cho Sik (曺植, 1501-1572) formed a school and his disciples developed their activities aggressively. Considering the fact that Nammyeong School was seriously affected by Injobanjeong(仁祖反正) in 1623 and it could hardly take any initiative in academic·political activities, we can see that this period was the prime time of Nammyeong School. Accordingly, this article is intended to understand Suyangron(修養論) contained in Nammyeong scholars’ Jam(箴) works created during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opics and contents of those works focusing on Jam(箴)’s utility and classifying the aspects of practicing cultivation, it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the works’ group that presents the nuclear idea of Suyangron and enhances the will of practice for it. Since this is to regulate oneself or others in more fundamental and essential aspects, it corresponds to causal treatment among many kinds of treatment. The second one is to point out particular ills or detailed virtue items of practice and figure out a way of cultivation for them, so this can be classified as symptom treatment that gives a direct prescription for a certain symptom. The third one is the works’ group written when there was a particular period or event and it formed a chance for a transition, and this can be regarded as improving treatment to better surrounding environment or habits and cure the disease. Among the three types, the one including the highest number of works is that of symptom treatment, and there are total 10 works corresponding to this. Causal treatment has five works, and improving treatment includes four. Gwak Jaewoo(郭再祐)’s 「Josikjam(調息箴)」is about respiration methods and its general tendency is different from other Jam works’, so it is classified into others. There were total 20 Jam works created by Nammyeong scholars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and in the similar period, there were only six pieces of Jam in Honam(湖南) area, the west of Jiri Mountain sphere, and about the contents, two were Gwanjam(官箴) written for the king, and the rest four were the ones to interpret scriptures or quote previous works. Comparing it with the creation of Jam in Honam area, we can see that Nammyeong scholars’ Jam works are very concrete and practical in terms of describing the contents or directions of cultivation. Therefore, Nammyeong School’s Jam works in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is, in brief, characterized by their strong tendency to suggest methods of cultivation and enhance the will of practice.

      • KCI등재

        일반논문 : 인조반정 직후의 남명학파(南冥學派) 동향: 남명 선양 사업에 드러난 논의를 중심으로

        구진성 ( Jin Seong Gu ) 연민학회 2013 연민학지 Vol.19 No.-

        인조반정(仁祖反正)이라는 격변을 겪은 남명학파(南冥學派)는, 자신들의 학문적·정치적 정체성을 어느 방향으로 설정해 나갈 지에 대한 의견을 신중히 개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당시 남명학파의 영수였던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이반정 세력에 의해 적신(賊臣)으로 처형된 상황에서, 정인홍에 대한 입장 정리는 필수적인 것이었지만 정인홍이 자신들에게 끼친 학문적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학파 내의 학자들 간에 적잖은 의견 교환이 있었던것으로 보이며, 특히 남명 관련 자료에 대한 정인홍의 편집 방침을 고수하는 세력과 수정을 요구하는 세력 간의 논의가 분분하였다. 반정 직후 남명 관련 자료에 대한 대대적인 수집이 정인홍의 문인 무민당(无悶堂) 박인(朴絪)의 주도로 이루어진다. 박인은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여 남명 관련 자료의 수집에 임한다. 그러나 정인홍과 깊이 관련된 인물의 후손들은 자신들의 집안 인물과 정인홍의 관계가 드러나지 않기를 바랐기 때문에, 자료 수집이 그리 용이한 일만은 아니었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편집하는 과정에서의 논의 또한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연보 편찬 과정에서 두드러진다. 연보의 사실 기록에 대한 세세한 시비에서부터 연보 편찬에 대한 근원적인 회의가 있었으며, 남명과 귀암(龜巖) 이정(李楨)이 절교한 사건을 삭제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편집을 주도한 박인은 입증 가능한 사실만을 연보에 적시하여 남명의 본래 면모를 있는 그대로 드러낼것을 주장하였다. 이것은 남명 출처에 대한 옹호의 입장을 강하게 드러내는 것이지만, 타 학파와의 화해를 위해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 방침이었기 때문에 학파 내에서 다른 의견 또한 있었던 것이다. 박인이 가진 남명 전기 자료에 대한 편집 방침은 당시 남명학파의 공론을 반영한것이면서 동시에 정인홍의 『남명집』 편집 방침과 일치한다. 여러 비난을 감수하면서 남명의 학문과 출처에 대한 변호를 지속하던 정인홍이 처형되어 남명의 위상 또한 저하된 반정 직후의 상황에서, 박인은 정인홍의 방침을 고수하며 남명 학문을 선양하였던 것이며, 이는 당시 남명학파의 대체적인 의식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Immediately after coup of the king In-Jo, Nammyung-School scholar`s gingerly express their opinion about academic and political positions. Because, at that time Nammyung-School`s leader Jung In-hong was executed by the coup government. For the existence of the school, they had a lot of exchange of ideas, and they had differed about methodology. At that time, Pak In was collected biographies base about Nammyung. He did all he could, however it was not an easy task. Because, they didn`t want to surface relationship with Jung In-hong. About biography edit, they discus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Pak In insisted that the biography must included accurate facts. It is also insist that Nammyung acts`s zero defect. Pak In`s biography edit course was reflected the Nammyung-School`s public opinion, at the same time, it was consistent with Jung In-hong`s think.

      • KCI등재후보

        海州鄭氏 家門의 晉州 定着과 學問 性向 : 南冥學派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李相弼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7 No.-

        진주의 해주정씨는 17세기 이후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 가운데 하나로 일컬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晉州의 海州鄭氏는 農圃 鄭文孚(1565-1624)의 후손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1568-1639)의 후손을 말한다. 농포의 두 아들 鄭大榮(1586-1658)과 鄭大隆(1599-1661)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 등 三叔姪이 어떻게 해서 진주에 정착하여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이 되었으며, 남명학파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진주 지역에서 이들이 가진 학문의 성향은 어떠한가 하는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진주의 해주정씨는 농포의 아우와두 아들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들이 처음 진주로 온 것은 避兵이 그 주된 목적이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전대의 혼인관계로 인해 상속받았던 田莊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음도 또한 분명하다. 인조반정 이후에는 다시 서울 생활을 하려고 했었던 것 또한 확인되는 바였다. 그러나 농포가 李适의 난 이후 昌原府使 시절에 지은 詠史詩로 인해 逆謀로 처형당하고, 遺言에 의해 그 아우와 아들들이 진주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부분은 좀더 생각하게 하는 점이 없지 않다. 광해군 시대 창원부사 시절의 詠史詩로 인해 반정 이후 인조 시대에 역모로 처형당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지금으로서는 자료가 부족하여 증빙하기 곤란하지만, 이는 당시의 집권층이 농포가 광해군 시적 북인으로서 내암 정인홍과의 관련이 적지 않았다고 보았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물론 농포로서는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환멸을 느끼고 자손들에게 정치적 은둔을 유언한 것이 아닌가 판단되는 것이다. 해주정씨가 진주에 정착한 초기에는 南冥學派를 영도하는 위치에 있던 謙齋 河弘度의 지우를 입어 남인으로 입지를 굳히는 듯하였으나, 1665년을 전후하여 농포의 신원에 앞 섰던 澤堂 李植의 아들 畏齋 李端夏에게 집지하는 인물이 나타나면서 서서히 노론화한 것이다. 그러나 노론으로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것은 경종 때 남인으로부터 심각한 핍박을 받은 뒤 영조가 즉위한 이후 이에 대한 보복성 핍박을 남인에게 가함으로부터였다. 이 일이 일어난 지 20여 년 후에 일어난 宗川書院 禍變의 주동자가 이 가문에서 나옴으로써 남명학파를 주도하던 남인과의 관계가 극히 악화되었고, 근기 지역의 노론 학자들로부터 학업을 전수함으로써 이 지역의 남명학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진주의 해주정씨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남인과의 관계도 대체로 나빴다고 할 수 있고, 남명학파에 대한 관심의 정도 또한 보잘것없다고 할 수 있지만, 문집이나 유고 등을 남겼다는 이가 58인이나 있다는 것은 학문에 대한 관심만큼 여타 가문에 뒤지지 않으려 하였던 결과로 보인다. 남명학파라는 범위를 벗어나서 생각해 보면, 이와 같은 사실로 인해 해주정씨가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 경남 지역의 학문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aeju Jeongs is called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since 17th century. This report is about the decendant of Haeju Jeong of Jeong Mun-bu and the younger brother Jeong Mun-ik. Jeong Dae-young, Jeong Dae-ryoung are the sons of Jeong Mun-bu. This shows how they reached in Jinju, how they became the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and how is their scholarship character. Haeju Jeong in Jinju is orginated from two sons of Jeong Mun-bu. The fist purpose that they came in Jinju is for avoid dodging. But they had some fields inherited for their wife's ancestors because of marriage in Jinju. After In-jo(The one of Chosun kings) war happened, they tried to live in Seoul life. But Jeong Mun-bu was sentenced to death because of his poems included conspiracy during Gwang-hae's generation. At that time his position is the chief Changwon near Jinju. His will included many parts of the reason why they fixed in Jinju. Owing to lack of materials, we can't prove why he is sentenced to death. He is North part person(1t is the party in power), that is continuous with Jeong In-hong. He felt disillusion concerning of political situation. So he began to retire of the world. In the beginning of political changing, they fixed their willing as a South part person(the party in Chosun) because of Ha Hong-do, the leader of Nammyoung School. Before and after 1665, his party was changing slowly. Noron(the party in Chosun) concerning the son of Yi Sik. After he occupied a position as a Noron person, he was got stringent since Yong-jo(one of Chosun Kings) hold a coronation ceremony. Twenty had passed since this event happened, the leader in Jongcheon auditorium was born in this family tree. So this party became worse with South part person, it took the initiation of Nammyoung School. Lately they were handed down a Noron scholar. Their concerning was alienated from Nammyoung School. Like this, except a few person in Haeju Jeong family tree, most people were bad with South Part Person's relationship and they had little concerning. However 58 people in Haeju family tree left many collection of works and manuscripts. On the point of this fact,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fo scholarship development with a center of Jinju in west kyoungnam.

      • 투고논문 : 임진왜란기(壬辰倭亂期) 진주지역(晉州地域)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의병활동(義兵活動)

        박용국 ( Yong Guk Park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글은 임진왜란기 진주지역 남명학파의 의병활동을 연대기적 방법으로 정리한 것이다. 임진왜란기 진주지역의 의병활동은 주로 진주 동부지역 남명학파 인물들이 주도하였다. 그들은 金大鳴, 孫承善, 許國柱, 鄭惟敬, 河天瑞, 姜起龍, 鄭承勳 등이며, 주로 學脈이나 婚脈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진주지역 남명학파의 의병활동은 1592년 5월 중순 무렵 진주성 방어체제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이후 진주 인근의 왜적을 방어하여 6월 중순까지 안정을 가져왔다. 그리고 왜군이 6월 중순 이후 1천여 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하여 진주를 공격하자, 김대명ㆍ정유경 등의 의병은 金時敏의 官軍과 연대적인 방어체제 구축하여 고성과 진해의 적을 격퇴하여 물리쳤다. 1592년 제1차 진주성 전투 때 外援한 의병장은 곽재우를 비롯하여 尹鐸과 鄭彦忠, 崔堈과 李達, 趙凝道와 鄭惟敬 등이었다. 특히 정유경은 5월 중순 의병을 일으킨 이후 진주성 전투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응원을 하였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곽재우ㆍ최강 등은 수성과 외원이 불가능하다고 하여 의병을 보존하는 실리를 택하였다. 반면에 정유경과 강기룡 등과 같이 진주지역 남명학파 의병장들은 수성을 택하여 장렬히 순절했다. 成汝孝와 같은 진주지역 유생도 입성하여 희생되었으며, 韓誡, 김대명, 정승훈 등은 입성하지 않고 피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chronicles the Euibyeong(義兵) militia activities of Namyeong Hakpa(南冥學派) based in Jinju region during the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Euibyeong militia activities during that period were mostly led by soldiers of Nammyeong Hakpa in eastern Jinju region including Kim Dae-myeong, Son Seung-seon, Heo Gook-ju, Jeong You-kyeong, Ha Cheon-seo and Kang Ki-ryong. They created the network based upon their school(學脈) and marriage ties(婚脈). Euibyeong activities of Nammyeong Hakpa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defense system in Jinjuseong(晋州城) in the middle of May 1592, and the soldiers defended the attack of Waegoon(倭軍) near Jinju region until the middle of June. In addition, in mid-June when Weagoon mounted an attack on Jinju with a force of more than a thousand soldiers, soldiers including Kim Dae-myeong, Jeong You-kyeong fought off the enemy in Goseong and Jinhae by building a joint defense system with Gwangoon(官軍), represented by Kim Si-min. Kwak Jae-woo, Yoon Tak, Jeong Un-choong, Choi Gang, Lee Dal, Joe Eung-do and Jeong You-kyeong were among Euibyeongjang, the leaders of Euibyeong troops, who provided assistance for the first Jinjuseong Battle in 1592. In particular, Jeong You-kyeong was the one who gave most active and continuous support to the second Jinjuseong Battle in 1593 after raising Euibyeong by himself in mid-May. In the second Jinjuseong Battle in 1593, leaders including Kwak Jae-woo and Choi Gang made a practical decision to preserve their own Euibyeong troops as they found it impossible to provide help for the battle and protect the fortress, Jinjuseong. On the other hand, Nammyeong Hakpa Euibyeongjang based in Jinju such as Jeong You-kyeong and Kang Ki-ryong chose to protect Jinjuseong and died gloriously in defense of the fortress. Yousaeng(儒生) in Jinju region including Seong Yeo-hyo made an entry into the fortress and were killed by the enemy. It is assumed that Han Gye and Kim Dae-myeong fled, not making an entry into the fortress.

      • 관물(觀物)과 성찰(省察)의 공부(工夫) - 남명학파를 중심으로

        이종묵 ( Lee Jong-mook ) 南冥學硏究院 2017 南冥學 Vol.22 No.-

        조선시대 문인들은 사물과의 맞닥뜨림을 통해 삶의 지혜를 성찰하고 수양의 계기로 삼았다. 산수를 유람하면서 선한 품성을 함양하고 올바른 처세를 생각하는 것은 조식(曹植)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서 매우 강하게 나타나며, 정구(鄭逑)와 김효원(金孝元)등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산수유기(山水遊記)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꽃과 나무, 바위 등 일상에서 마주치는 사물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인간의 문제를 성찰하는 글 역시 성여신(成汝信), 이제신(李濟臣), 하수일(河受一) 둥 남명학파의 글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난다. 물론 이러한 글쓰기는 `설(說)`이라는 양식의 기본적인 성격이기는 하지만 특히 남명학파는 이를 적극 활용하여, 인간의 성정 자체에 대한 탐색 대신, 올바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인성을 함양하는 실천적인 공부를 지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reflected on the wisdom of life through encounters with objects and used them as instruments for discipline. The cultivation of a good nature and contemplation of the proper conduct of life while cruising the landscape is very strongly seen in Yudur-ryok遊頭流錄 by Jo-sik曹植and a similar pattern can be seen in the travel writings of writers from th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such as Jeong-gu鄭遂 and Kim-Hyowon金孝元. In addition to this, reflection on human problems through observations of objects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such as flowers, trees and rocks, is also characteristic of the writings of the Nam-Myeong school,including the writings of Seong-Yeosin成汝信, Yi-Jesin李濟臣, Ha-Suil河受一. Of course, these qualities ar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Seol說`, but it could be said that the Nam-Myeong school in particular actively utilizedthem for the practical study of cultivating a character capable of livinga right life, rather than for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 itself.

      • KCI등재

        남명학 연구성과의 회고와 전망(4)-교육연구

        송준식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이 글은 지금까지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그 동향을 밝혀 앞으로의 남명학 연구의 방향을 정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여기서 남명학은 남명 조식(1501-1572)과 그의 문인 집단인 남명학파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는 1947년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1990년 이후부터 시작된다. 2000년까지의 연구는 거의 대부분 교육사상 일반에 집중되어 있다. 그것도 남명에 편중되어 연구되었다. 2000년 이후는 남명학의 교육부분에 관한 연구가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2000년 이후에는 기존의 연구자가 새로운 방법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였고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가 남명학의 교육부분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명의 문인에 대한 개개인에 대한 연구가 남명학파라는 문인집단을 중심으로 연구의 방향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인접 학문의 연구방법이나 결과를 적극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연구는 첫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교육에 관한 다각도의 연구와 남명학의 계승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역사 속에서 남명학파의 정체성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향촌사회에서의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영향이 향촌사회에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 향촌사회 변화와 발전에 기여해 왔는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세 번째로 남명과 비교될 수 있는 사람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교육사에 있어서 남명과 남명학파의 위상을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넷째로 남명과 남명학에 대한 연구에 현대 서양교육학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지속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지금까지의 남명학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찾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교육영역에 있어서의 남명과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교육문제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고 나가가 미래 교육발전의 방향을 제공할 때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for making clear the trend and deciding on the direction of Nammyong Studies as far as cleaning up the research achievement of Nammyong Studies in educational parts to the present day. In this article, Nammyong Studies includes Cho Sik(1501-1572), his pen name "Nammyong", and the researches for the School of Nammyong, the group of his followers. The research of Nammyong Studies in educational parts was started from 1947, but the authentic research started from since 1990. The researches until 2,000 have concentrated on almost all the general educational thought, and that was slanted in favor of Cho Sik. Since 2000,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art of the Nammyong Studies has showed the diversified trends. After that time, the existing researchers expanded the area of research with a new method. The researchers of various majors involved in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art of the Nammyong Studies.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ho Sik was changed from the research on some famous men to the focus of the School of Nammyong. This change seems to be positively reflected in the research methods or research works. The future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to find out the identity the School of Nammyong in history through the multidirectional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as well as the research about the succession of the School of Nammyong are needed. Second, a research to find out how the effects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are applied to the countryside community and in consequence, how they have devoted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yside community is needed. Third, a research to formulate the phases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in educational history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about a scholar to be compared with Cho Sik is needed. Fourth,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ory and research method of modern western education to the research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continuously, we can find out the theoretical problems and its limitations in the research of Nammyong Studies and should go forward to overcome them. In fields of education, the research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will be meaningful when it provided clues to solve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study about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 KCI등재

        인조반정 이후 경상우도 남명학파의 결집 양상 - 鄭蘊·朴絪을 중심으로 -

        박소희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In the late Chosun era, the Namyeong School hold the perspective of the Bukin(北人) as a political party based on the academic relations. However,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by the Daebuk(大北) during King Gwanghaegun’s reign lost the justification of the party’s power and then, Hoetoe Byeoncheok(晦退辨斥) by Jeong In-hong caused the extreme result of the King Injo’s restoration(仁祖反正). Jeong In-hong was executed as a principal traitor just after the restoration, and the literary men who followed him were seriously ostracized. The remaining members of the Namyeong School had to seek their own survival, because of the inseparable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and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in Habcheon region, Jeong On who appealed to the king with Gabinbongsaso(甲寅封事疏) in the King Gwanghaegun’s reign, and Park In who had agreed with him became the center figures of the party’s re-gathering. Jeong On was the center of the Namyeong School after the restoration, and his literary men were usually related to Jungbuk group. Park In became a core figure of the Namyeong School as he published Sanhaesauyeunwonrok(山海師友淵源錄) according to Cho Cha-ma’s request after the restoration. He made the Sugu group(修舊契) for enhancing the gathering among the literati class in southern Habcheon region, and engaged teaching in Yongyeonjae for raising literary men. His literary men usually belonged to the Jungbuk group including the descendants of Namyeong. It means the Jungbuk group made their gathering through Jeong On and Park In in the Namyeong School since the restoration. However, as Park In died in 1640(the 18th year of King Injo) and Jeong On also deceased in the following year, the Jungbuk group became weakened, and the Confucian scholars in Uhdo including their descendants had to seek changes in the academic and political perspectives. 조선후기 경상우도 남명학파는 학문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정파상 북인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광해군 대 대북이 일으킨 폐모살제(廢母殺弟)는 유교 성리학 사회에서 집권명분을 잃었고 나아가 정인홍의 회퇴변척까지 더해지며 인조반정이라는 극단적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정인홍은 역당의 주범으로 반정 직후 처형당했고 향촌 내 정인홍을 따랐던 문인들은 심각한 배척을 받았다. 학파·정파의 불가분 관계로 인해 잔존한 남명학파는 생존을 모색해야만 했다. 특히 합천권은 광해군 대 「갑인봉사소」를 올리며 대북에 반대했던 정온과 그의 의견에 동조했던 박인을 중심으로 재결집해 갔다. 정온은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의 중심에 있었고, 그 문인들은 대체로 중북계와 연관된 이들이 많았다. 박인 역시 반정 이후 조차마의 부탁으로 산해사우연원록(山海師友淵源錄) 과 「남명 연보」를 편찬하는 등 남명학파의 핵심인물로 부상했다. 그는 수구계(修舊契)를 결성하여 합천 남부권 사족들의 결속을 강화시키고, 용연재에서 강학활동을 전개하며 문인을 양성했다. 박인의 문인들도 남명 후손을 비롯하여 대체로 중북계열에서 많이 확인된다. 이는 반정 이후 정온·박인을 통해 중북계가 결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1640년(인조 18) 박인이, 이듬해 정온까지 사망하면서 합천권 일대 남명학파의 구심력은 약화되어 갔고, 이들의 후손을 비롯한 우도 유림들은 학문·당색적으로 변화를 도모할 수밖에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