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래스호퍼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초 입체조형 교육 설계

        이재호 ( Lee Jae 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특정한 형태의 구성 단위(Unit)가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구현되고 구성 단위들 간의 유기적인 변화를 통해 특정한 규칙성을 보여주는 자기 생성적 디자인(Generative Design)의 특징이 반영된 입체조형작업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성격의 조형작업을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과정들이 운영되고 있지만, 주어진 일정한 사례를 재현하며 디지털 프로그램 툴의 기능과 역할을 학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3차원 모델링의 그래픽 알고리즘 편집기인 그래스호퍼(Grasshopper)의 매개 변수(Parametric)에 기반 한 ‘컴퓨터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 제작과정’과 조형언어에 기반 한 ‘기초 입체조형 과정‘을 접목한 주당 4시간씩 총 15주 과정의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과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수학적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Component)의 기본적인 성격과 조형언어들의 관계를 밝히고 2)기초 입체조형 교육의 과정이 추구하는 목표와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3)15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4)이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여 작업 대상의 선정과 기본 단위가 되는 형태의 추출, 조형요소의 발견과 컨셉의 설정, 알고리즘의 구축, 초안의 수정과 응용, 최종결과물 제작까지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했다. 과정별로 작업내용을 정리하고 그 효과를 기술하였으며, 디지털 알고리즘 구축과정에 대한 학습과 기초 입체 조형 학습과정의 접목을 시도한 이 작업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의 학습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보다 생산적이며 새로운 조형작업에 대한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re is a growing demand and interest in stereomorphic work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self-generated design(Gernerative Design), in which certain types of compositional units are implemented consistently and repeatedly and show specific regularity through organic changes among compositional units. This paper aims to design a total of 15 weeks of classes, 4 hours per week, incorporating parameters into computer processing algorithmic tasks and basic stereomorphic tasks based on formative languages, using Grasshopper, a graphical algorithm editor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Identify the basic nature of the components to build mathematical algorith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languages. 3)A 15-week education program is designed based on 2)an understanding of the goals and processes pursued by the basic three-dimensional education process. 4)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lass to select work objects and extract basic units, to discover and set concepts for formative elements, to build algorithms, to modify and apply drafts, to produce final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will be able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programs and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more productive and new formations through learning digital algorithms and applying basic stereoscopic learning processes.

      • KCI등재

        종이를 활용한 입체조형에 관한 연구 - 시각디자인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이정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4

        Mass media in the digital era of the 21 century had changed from print media to communication media such as internet. Print media had no choice but to be shrunk due to such a change of this age. Alternative and effort were needed to overcome limitations that print media had. As an alternative, the plane shape was done away with and the three-dimensional method that was able to expand expression scope was able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give interest and fun to people. Basic education of three dimensional modeling design that was a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depth of three-dimensional space and principles of three dimension had to be supported as students who currently majored in visual design had got accustomed to composition of a plane screen rather tha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for education of three dimensional modeling design, most of data had common connectivity with several fields of a design major. Therefore, there were some parts far away considering connectivity with a visual design major because scope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design was very wide and its expression methods and materials were very various. This study aimed to prepare basic foundations for education of a three-dimensional design for connectivity with subjects of a visual design major and attempted systematic educational methods. 21세기 디지털시대의 대중전달매체는 활자매체에서 인터넷과 같은 통신매체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의해 인쇄매체는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으며, 인쇄매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 대안으로 사람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평면적인 형태를 탈피하고 표현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입체적인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은 입체보다는 평면적인 화면구성에 더 익숙하여, 입체적인 공간의 깊이와 3차원의 원리를 이해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입체조형디자인의 기초교육이 밑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입체조형디자인의 교육을 위해서 관련된 문헌과 자료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자료들의 대부분이 여러 분야의 디자인전공과 공통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입체조형디자인 교육의 범위가 매우 넓고 표현방법과 재료 또한 매우 다양하여 시각디자인 전공과의 연계성을 생각할 때 동떨어진 부분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디자인 전공 교과목과의 연계성을 위한 입체조형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 토대를 마련하고 체계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한다.

      • KCI등재

        모듈러를 응용한 플렉서블 입체조형물의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하봉수 ( Ha Bong S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3D프린터를 이용한 모듈러(Modulor) 기반의 플렉서블 입체조형물(F모형)을 개발하고 이의 시각적 특징 및 디자인 적응성을 밝힌 바 있다. 본 연구는 이의 후속연구로서 F모형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는 F모형의 개발 및 구성과정이 교육적 의미를 가지는지 이론적으로 고찰한 다음 시각적인 연속성을 강화시킨 개선안(F모델)을 제작했다. 그리고 실제 F모델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기술하고 그 효과를 밝혔다. 결과적으로 F모델은 비례에 의한 미적 질서와 함께 통일감과 변화를 겸비한 이른바 플렉서블 디자인(Flexible Design)의 성질과 함께 주기적 패턴에서 볼 수 있는 연속성과 중첩형태를 생성해 내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 구조는 모듈러 그리드를 대체한 자연수 기반의 피보나치 그리드로서 이는 연속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연결 포인트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수에서도 선택지가 늘어났기 때문에 조작의 편리성은 물론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까지도 꾀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처럼 F모델은 제작 및 구성과정에 있어 다양한 바리에이션 기능이 제공된다. 때문에 조형 활동과정에서 단순한 규칙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렇다고 복잡함만을 추구하는 것도 아닌 그 양자가 함께 공존하는 이른바 복잡한 변화를 내포한 명쾌한 질서를 연출하는 창작 방법론으로 또한 그러한 조형사고를 육성할 수 있는 교재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Through preceding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Flexible 3D Form (F Form) based on modulor for which 3D printer was used and clarified their visual feature and design applicability. As its subsequent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utilization method of F Form. After theoretically investigating whether the development and composition process of F Form has educational meaning or not, this study produced the improvement program (F Model) whose visual continuity was reinforced. Then, curriculum was described and its effect was clarified based on real F Model. As a result, the feature of F Model is that it has structure which forms continuity and redundant form that can be seen in the periodic pattern with so-called Flexible Design which has both uniformity and change with aesthetic order by proportion. Especially, this structure has merits such as convenient operation, diverse visual effect, because it as Fibonacci grid based on natural number which substitutes Modulor grid can easily set connection point that may reinforce the continuity and increase the number of selectable points. Like this, F Model provides diverse variation function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mposition. Thus, it is thought that this is meaningful as creative methodology which produces clear order that includes so-called complex change, e.g., the co-existence of simple regularity and complexity, without being limited to simple regularity in the model activity process and without merely pursuing complexity or teaching aid which can cultivate such model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