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효문화예술 콘텐츠의 전개와 미래의 전망

        박희원 한국예술융합학회 2023 예술융합연구 Vol.6 No.-

        ‘효’라는 글자는 생기 전부터‘효행위’가 있었다는 180만 년 전의 화석에서 그 증거를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인류 발전 풍습에 따라,‘부모를 잘 섬기는 일’이라거나, ‘입신양명’,‘계지술사’의 의미 등으로 인류 문명의 발전에 따라 효행의 의미가 변천되어 오는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 근대를 깃점으로 전근대와 탈근대의 시대적 패러다임에 따라 효의 궤적을 문화예술 작품을 통하여 살펴본다. ‘문화예술’이라 함은‘문화’보다는 좁고,‘예술’보다는 큰 의미로 받아들이기로 하고, 고고학 자들이 발견한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의 일부는 심각한 신체적 장애를 지니고도 오래 생존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친척이 돌보았다는 증거로부터 효의 의미를 추적한다. 먼저, 농업혁명의 단초가 된 청동기 및 철기의 발명은 농업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혈연 중심 의 기초적 집단의 협업에 수월한 규율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규율은 가족 과 집단을 결속할 수 있는 가공의 접착제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며, 이 가공의 접착제가‘효’이 었을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농업 위주의 정주사회이었기에 가족의 협동과 조상을 숭배하는 사상이‘효’라는 실천 적 삶으로 나타난 것과 인간을 홀론으로 설명하는 사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전근대의 효 문화예술은 주로 그림과 설명의 방식으로 전수되었으며, 24효와 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등 으로 집약되어 전해 온다. 이는 유교의 정신이 집중적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불교와 다른 종 교에서의 효행위 등도 문화예술의 작품으로 전해진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영화 등의 미디어 발달에 따른 문화예술 작품으로 확장되었으며, 탈근대에 이르러서는 과거의 문화예술 작품 을 수용하면서 확장 발전시키는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각 시대에 부합하는 효문화예술작품을 통하여 효의 발전을 살펴 정리함에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The word hyo can infer the evidence from fossils from 1.8 million years ago that there was a hyo-practice even before its birt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stoms of human development, the meaning of filial piety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With modernity as the focal point, the trajectory of filial piety is examined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the pre-modern and post-modern times. Culture and art is narrower than culture and will be accepted in a greater sense than art, and some of the Neanderthal remains discovered by archaeologists have been found to have survived for a long time despite serious physical disabilities, tracing the meaning of filial piety from evidence that relatives cared for. First of all,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vention of the Bronze Age and Iron Age, which we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agricultural revolution, formed a rule that was easy for collaboration between basic groups centered on blood ties as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d. The rule was due to the need for a processed adhesive that could bind families and groups, and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processed adhesive would have been 'hyo'. On the other hand, since it was an agricultural-oriented settlement society,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fact that the idea of family cooperation and worshiping ancestors appeared as a practical life of hyo and the case of explaining humans as holons. Pre-modern filial piety, culture, and art were mainly transmitted in a way of painting and explanation, and 24 filial piety are concentrated and handed down. The spirit of Confucianism is intensively transmitted, and filial piety i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is also transmitted as a work of culture and art. In the modern era, it was expanded to cultural and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such as movies, and in the post-modern era, it developed into an expansion and development pattern while accepting cultural and artistic works of the pa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and organizes the development of filial piety through filial piety culture and art works suitable for each era.

      • KCI등재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과 그 의미

        이선이(Lee, Sun-Yi)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이 연구는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어떤 논리화 방식을 통해 제출되었는가를 살피고, 이들 예술담론 속에 투영된 예술인식의 내용과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근대문학 초창기에 우리 문학이 도달해야 할 하나의 이상으로 상정했던 예술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는 작업과 결부된다. 우리의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은 근대적 예술인식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대적 예술인식을 활발하게 담론화한 문학담론, 미술담론, 종교담론을 중심으로 개별 담론에서 예술에 대한 인식을 수용하고 배치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이광수 · 김동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문학담론을, 최남선 · 김환 · 김찬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미술담론을, 신태악 · 오상순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교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다양한 세부담론과 결합되면서 다양하고 복수적인 인식으로 제출되었다는 점, 예술의 타율성에서 벗어나 자율성의 획득이라는 단선적 발전 경로를 밟지 않았다는 점, 우리의 인문적 전통과 대화적 관계를 견지하며 심미적 인문성의 토대 위에서 예술을 재인식해 나갔다는 점을 새롭게 포착하였다. This essay is to explore what organizational process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has gone through and how it is formed, and to find contents and meaning of arts awareness that is reflected on such a discourse. This is also colligated with a task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arts that was designated as a ideology of which Korean literature should arrive, at the beginning of modern literature. It is because that the awareness on Korea’s modern literatur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wareness of modern art Thus, the paper focused on the way which individual discourse including discourses on literature, arts and religion that are most actively discussed, are combined with the arts discourses as well as analyzing logical organization method of modern awareness on arts of those discourses. For example, the paper focused on arguments of Lee Kwang-su and Kim Dong-in for literature discourse, those of Choi Nam-seon, Kim Hwan, Kim Chan-yeong for art discourse, and those of Shin Tae-ak and Oh Sang-soon for religion discourse.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has found detailed aspects of complex and multiple awareness of Korea’s awareness on arts in modern times. Also, it has newly found that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did not follow the linear footstep of just getting autonomy only escaping from heteronomy and, also that it tried to recognize the arts on foundation of aesthetic humanities while adhering to conversational relationship with Korea’s humanistic tradition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arts awareness.

      • KCI등재

        근대적 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에 관한 연구

        金熙政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본 논문을 ‘근대적 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를 정의해 보고자하는 글이다. 근대성의 지표로서의 ‘자율성’에 근거하여 ‘순수예술로서의 서예성’과 배치되는 요소들을 제거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시대의 서예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반추해보자는 의미이다. 근대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를 ‘글자를 쓰는 예술’로 정의하고, 이를 성격과 형식, 내용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성격적 측면에서 서예는 마땅히 공간예술이어야 하지만, 시간의 추이와 함께 창작되고 감상되는 시간예술적 속성도 또한 지닌다. 따라서 공간예술 가운데 2차원적 공간예술인 회화와 가장 유사하며, 시간예술 가운데 리듬성(운동성)과 추이성을 내재한 음악과 유사하여 시공간예술로서의 무용과 유사함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서예는 ‘회화와 같이 눈에 보이는 글자를 음악과 같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평면)공간에 써가는 사이에 살아있는 작가의 생명감이 표현되는’ 무용과 같은 ‘시공간 예술’이라 하였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서예를 전각·서각·문자디자인과의 비교를 통해 동이점을 도출함으로써 ‘순수예술’로서의 서예 개념을 도출하였다. 서예의 내용적 측면은 문학과의 비교를 통해서 동이점을 논설하였다. 근대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 즉 서예의 자율성 문제는 순수예술이냐 응용예술(실용예술)이냐의 문제와 어울려 서예의 소재인 문자의 可讀性과 文意 문제를 들었다. 문자의 가독성과 문의는 서예를 존재케 하는 요소임과 동시에 서예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일종의 파라독스다. 즉 문자의 가독성과 문의의 수용 여부는 서예를 응용예술 혹은 문학예술의 부용으로서의 서예인가, 순수조형예술인가의 가름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연관하여 서예의 창작과 감상 부분에서는 2차원적 공간예술인 회화와 시간적 예술인 음악과 대비시킴으로서 문의로부터 자유로운 ‘순수조형예술로서의 서예’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aligraphy as a modern concept of art. For this purpose, it was necessary to exclude the elements betraying ‘the caligraphy as a pure art’ in reference to ‘autonomy’ as an indicator of modernity in order to reflect on the current topology of the caligraphy in our age. Checking the current conditions facing the caligraphy from the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perspectives will clarify the current topology of the caligraphy and further exploring ‘the caligraphy as a post-modern art concept.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s the caligraphy ‘as a pure formative art’ and thereby discusses it in terms of nature and form. In terms of nature, the caligraphy should be subsumed into a spacial art, but it has a nature of a temporal art created and appreciated over time. Hence, among the spacial arts, the painting is most similar to the caligraphy, while among the temporal arts, the caligraphy is most similar to such rhythmic (of high mobility) or performing arts as music and dance. Merely, the painting does not reveal the flow of time on the canvas, while music and dance leave no residual in terms of audibility and visuality. All in all, the caligraphy is sort of ‘temporal-spacial art’ like dance in that the visible letters express the artist’s sense of life on the plane over time like music. In terms of form, this study compares the caligraphy with engraving, wood print and character design to define the caligraphy as a pure art concept. The caligraphy as a modern art concept, namely, the autonomy of the caligraphy is associated with legibility and meaning in addition to the question whether it is an applied or a pure art. The legibility and meaning of the characters are not only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aligraphy but also are the factors limiting its autonomy, which must be a paradox. All in all, the legibility and meaning of the characters must be the key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aligraphy as a practical art or literary art or as a pure figurative art. In this context, this study discusses the caligraphy as a pure art by comparing it with the spatial art ‘painting’ and the temporal art ‘music.’ It might be impossible to define the caligraphy or a genre of art as an autonomous art of self-perfection and categorical identity. Moreover, any attempt to define the caligraphy would fail to interpret the caligraphy appropriately. Merely, we are obliged to position the caligraphy in the process of localizing ‘their modernity’ and thereby, discuss how to respond to their scheme.

      • KCI등재

        일반논문 :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인식과 그 의미

        김재석 ( Jae Suk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이 글은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인식의 확립과 실천 과정을 검토하고, 그 결과가 지닌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극예술연구회 제1기는 1932년 5월부터 1934년 12월까지이며, 11편의 번역극과 2편의 창작극을 공연하였다. 극예술연구회의 창립 배경에는 홍해성의 ‘틀 짓기 전략(framing strategy)’이 있다. 1930년 6월에 일본에서 귀국한 홍해성은 기존 극단을 통해 식민지조선의 연극계에 안착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했다. 그는 식민지조선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근대극운동을 ‘타락한 근대극운동’으로 규정하고, ‘새로운 근대극운동’을 추진할 적임자로 자신을 부각시키는 ‘틀 짓기 전략’을 구사하여 지지 기반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극영화전시회의 성공이 계기가 되어 설립된 극예술연구회는 번역극 공연을 통한 식민지조선의 근대극 창작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식민지조선의 근대극운동을 부정했던 홍해성의 틀 짓기 전략을 동인들이 수용한 것이다. 번역극 공연에 치중한 극예술연구회 제1기는 ‘구심적 번역극 공연’의 시기였다. 구심적 번역극 공연 활동의 핵심은 근대극의 정전(canon) 제시이며, 이를 통해 식민지조선 연극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겠다는 입장이었다.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은 그들의 목표와 어긋나는 결과를 낳았다. 근대극 형성기의 고전적 번역극의 경우에는 새로운 해석이 부재하였고, 근대극 발전에 기여가 큰 작가를 선택하고도 주변적인 작품을 공연하였으므로 정전의 제시라는 목적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창립 당시에 내세웠던 ‘연구와 실험’ 정신은 점점 퇴색하였고, 그들이 경계하고자 했던 대중추수적 태도는 조금씩 강화되어갔다. 극예술연구회 제1기는 서양 근대극 성립기의 중요한 작품이나 작가를 소개한 성과를 거두기는 하였으나,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변화를 만들어 낼만큼의 큰 성과는 거두지 못하였다. 그것은 그들의 번역극 공연 인식이 일본이 선별하여 번역한 근대희곡의 틀 속에 갇혀 있었기 때문이다. 외국어문학을 전공한 동인들이 많았으나, 식민지근대극운동의 주체적 입장에서 적절한 작품을 골라 현재적 의미가 강한 공연물로 만들어내는 단계로 나아가지 못한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perception of translated drama on the theatrical company,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The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was from the May in 1932 to December in 1934 and they performed 11 translated dramas and 2 creative works. The Geugyesulyeonguhoe was founded by Hong, Haeseong`s strategy of framing. He quitted the movement of Chukiji little theatre in Japan and came back home on June in 1930, only to fail in settling down in the theatrical world of colonized Choson. He defined the movement of modern drama which had been done till that time as ``wrong movement`` and made himself stand out as the suitable person who promoted ``new movement of modern drama``. The Geugyesulyeonguhoe centering Hong Haeseong established the aim of creating modern drama of colonized Korea by means of performing translated dramas. The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was the time of ``performing centripetal translated dramas``. In other words they claimed that the theatrical world of colonized Korea should try to perform creative drama modeling the translated dramas which they had performed. However their performance produced the results contrary to the aim they had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Its because their performance had little new interpretation when they chose the classic works, and they often performed other works than the representatives of the dramatist whom they selected, which made themselves fail to come up with the models. Eventually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ozed Korea were disappointed at the performances of Geugyesulyeonguhoe and became critical with them, so their strategy of framing came to lose its effect. Hong Haeseong representing the Geugyesulyeonguhoe of first stage left it and the other people of Geugyesulyeonguhoe began to find new direction.

      • KCI등재

        제들마이어의 근대예술 비판론

        최병길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0 No.3

        제들마이어는 근대 예술작품의 본질 규정에 있어서 경험주의나 유미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조연구나 구조분석을 통하여 예술의 근원을 파악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후기 저서인 『위기의 예술: 상실된 중심』에서 근대문명의 특성을 파악하면서 쇠퇴해진 근대문명이 슈펭글러의 유기체론에 따르면 재생 가능하겠지만, 기계문명의 여파로 실현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니체의 언급을 빌려 근대문명과 근대예술이 공히 병적인 상태에 처해 있다고 비관했던 그는 잃어버린 중심, 상실된 빛, 인간과 자연 등과 같은 근대예술의 본질 명제들을 제기하면서 정신성 부재를 강하게 비판, 대안제시에 나섰다. 근대예술의 재생 가능한 원천으로 인간의 이상을 내세웠다. 고대문명과 고대예술에서 인간 이상이 쇠퇴기에도 상실되지 않았던 증거를 찾아냈던 그는 근대예술의 지고한 가치로서 그러한 인간 이상의 비유를 제시했다. 그것은 신인조화론적 가치관이나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신플라톤적 미학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근대예술의 또 다른 문제점은 예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이었다. 거기서는 인간의 통일된 중심이 상실되고 신과 분리됨으로써 이성적, 지적 수준이 사라졌으므로 그것을 병적이면서 죽은 비유를 가진 것으로 변질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근대예술 전반을 부정하거나 거부했던 것은 아니며, 인간화의 경향을 벗어난 것만을 선별적으로 거부했다. 그는 최종적으로 근대예술의 재생 가능성을 제시했는데, 그것은 유머와 아동스러움이 있는 예술이었다. 그것은 기계공학에 편중된 근대예술의 경향에서 벗어나 인간이 주체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예술형식의 제안으로서 특별한 새로운 예술운동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성의 회복운동이요, 일종의 도덕재무장 운동을 지칭한다고도 볼 수 있다. Hans Sedlmayr suggested a methodology to grasp at the origin of art through the research or analysis of its structure in defining the essence of artworks in modern times. Its outcome was in disclosing the Zeitgeist and origin of art by overcoming the limit of Empiricism or Aestheticism. His initial art criticism being formed in this manner, was later transformed into an attempt to research in terms of civilizations. He, in the structure of thought, terms, etc. of his later book, Art in Crisis: The Lost Center, paid a keen attention to grasp 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ivilization, influenced by Spengler's book, The Decline of the West. In particular, he foresaw that modern civilization regarded as being in a state of senility from the standpoint of civilization's history can be apparently revived if accepting Spengler's theory of organism, but saw that it was not accomplished by the aftermath of mechanical civilization. Thus he, borrowing a French Existentialist Nietzsche’s remark, expressed a pessimistic opinion that both modern civilization and modern art are in the state of disease. He, raising the essential theses of modern art such as lost center, dead light, man and nature, etc. on the basis of methodology of artwork's structure analysis and intuitional interpretation, attempted to strongly criticize the absence of spirituality in modern art and to suggest its alternative. He stated a highest value of man's ideal as the origin that modern art can be revived. What he, in comparison of ancient civilization with modern civilization, ancient art with modern art, wished to get from the antiquity was in that man's ideal was never lost even in the state of decline of ancient civilization. But modern civilization of 19th and 20th century lost man's ideal and adulterated amidst a whirl of mechanic civilization. He thought that its cause was in a loss of analogy between man and nature that was survived from the ancient civilization. Analogy, by his definition, was a phenomenon appearing in the art arousing the intimacy between man with adequate measure and God. Thus it was nothing but an expression of the theory of harmony between man and God, or a Neo-platonic aesthetics in pursuit of the harmony of reason with emotion. Another problem of modern art that he raised was autonomy and purity in art. He saw that the unified center of man was lost and was separated from God in modern art, from the result of which the rational, intellectual level of art was disappeared. Autonomous art created autonomous man, which led to a separation of man from God, and deteriorated modern art as having a morbid, dead analogy. However, he negated or denied not the whole modern art, but only one escaped from the tendency of humanization. He finally suggested a possibility of revival of modern art, which was an art with humor and childishness. It was a suggestion of art form that man can lead subjectively beyond the trend of modern art leaned upon technology. In a sense it can be called a movement of recovery of humanity as well as moral rearmament, not a simply new art movement.

      • KCI등재

        한국근현대연극사의 전통 담론과 근대성

        백현미 한국극예술학회 200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0

        A study on tradition discourses in Korean modern drama focuses on the way the individual subjects in the dramatic community have translated and defined tradition, examining the connection among the elements that consist of tradition discourses. And the study leads to exploring the way how the tradition discourses have been connected with modernity in Korean drama.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 discourses and modernity in Korean modern drama history. It focuses particularly on the modernity in two aspects. First, the nationalistic/oriental modernity were presented through the tradition discourses. The nationalistic/oriental discourses have continued as a way to overcome the west-oriented modernity during the colonialized period and post-colonialized period. Second, the artistic modernity was presented through the tradition discourses. The variation of the western modern drama style such as realism, modernism, post-modernism in Korean modern drama history can be seen. Those styles on Korean drama history have not been the same as the styles in western drama history because the performance tradition has been different, dependant on the nation, the region, and the economic/cultural situation. 한국근현대연극사에서 전통연희를 활용한 연극의 창작과 그 창작 작업에 대한 논의들로 구성된 전통 담론은, 서양 발 근현대 연극 및 그에 대한 논의들로 구성된 연극론과 구별되며 공존했다. 본고에서는 전통 담론을 통해 드러나는 근대성을, 민족적/동양적 근대성과 예술적 근대성으로 나눠 살폈다. 근대계몽기 이후 1980년대까지 민족(주의) 근대성의 문제는 전통 담론의 중요한 인식 고리였다. 민족에 대한 자각과 민족의 미래에 대한 전망 모색은 한국근현대연극사의 중요한 근대적 주제였고, 이 근대적 주제의 연극적 실현은 전통연희의 재창조를 매개로 이뤄졌다. 민족적 근대성은, 서구적 근대성과 구별되는 동양적 근대성이라는 맥락과도 연계되었다. 전통연희가 근현대 서양의 연극 양식과 결합되면서 드러나는 예술적 근대성의 양상은 온전하고 직선적이라기보다 불안전하고 불연속적이다. 리얼리즘적 극 형식과 전근대적 세계관이 결합하고, 포스트모더니즘적 극 형식과 리얼리즘적 비판의식이 충돌하며, 전통연희의 충실한 재현이 모더니즘적 자의식을 드러내는 유효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 KCI등재후보

        근대 충남 여성 예술인의 탄생

        오연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2

        본고는 근대 충남지역의 로컬리티를 기반으로 여성 예술인 세 사람의 삶과 예술을 살펴 보았다. 여기서 충남지역은 여성 예술인이 태어나거나 성장한 출신지만이 아니라 인생의 어느 한 순간이라도 자기 삶의 근거지로 삼아 예술활동을 펼쳤던 공간을 의미한다. 이렇 게 해서 선별된 근대 충남의 여성 문학/예술인은 영화배우 복혜숙, 화가이자 작가인 나혜 석, 작가이자 여권운동가이며 승려였던 김일엽 세 사람이다. 먼저 충남 밀령군 대천면에서 출생한 복혜숙은 한국 근대 영화계와 방송계를 대표하는 충남지역 최초의 여성 ‘연예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그녀는 새로운 여배우 상을 보여 준 선구자로 평가받아야 마땅하다. 다음으로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수덕사와 수덕여관을 중심으로 나혜석과 김일엽의 삶과 예술세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 근대 초창기 신여성이라 불리던 일군의 지식인들 의 몸은 그 자체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이었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시간이 봉인된 몸, 그 몸은 폭력적인 현실을 피해 숨어들 틈새 공간이 필요했고, 그곳이 곧 현실 속의 헤테로 토피아적 공간으로 기능한 충남 예산의 유서 깊은 사찰 수덕사였다. 수덕사와 수덕여관은 여성화가이자 작가인 나혜석과 대표적인 모던 걸 김일엽에게 있어서 예술가의 영혼이 깃든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 공간은 남성 중심의 세계에서 자신들의 입지를 만들고 싶었던 그 녀들이 마지막으로 쫓겨 들어온 곳으로, 근대적이지도 전근대적이지도 않은 공간이며, 서 로 다른 이질적인 것들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따라서 수덕사와 수덕여관은 1세대 여성 예술인인 나혜석과 김일엽에게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ife and art of three female artists based on the locality of modern Chungnam area. In Chungcheongnam-do, this means not only a female artist born or grown up but also a space where he made artistic activities based on his own life at any moment in his life. The female literature / artist of modern Chungnam that was selected in this way is three actresses such as movie actor Bok Hye-sook, painter and writer Na Hye-suk, writer, feminist activist and monk Kim Il-yeop. Born in Daecheon-myeon, Millyeong-gun, Chungnam Province, she is the first woman in Chungnam to represent Korea's modern film and broadcasting industries. Therefore, she should be regarded as a pioneer who showed the image of a new actress. Next, this article studied about the life and art world of Na Hye-seok and Kim Il-yeop, focusing on Sudeogsa and Sudeog Inn located in Chungcheongnam-do. The body of a group of intellectuals, called the early modern Korean early novels, was itself a heterotopia spac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ime sealed body, the body needed to hide from the violent reality, and it was a historical temple of Chungnam budget that functioned as a heterotopia space in reality. Sudeogsa and Sudeog Inn are space where the soul of an artist lies in Nae Hye-seok, a feminine writer, and Kim Il-yeop, a representative modern girl. This space was the last place where they wanted to make their place in a male-centered world, a space that was neither modern nor pre-modern, and was a space where different and disparate things could co-exist. Therefore, Sudeogsa and Sudeog Inn are functioning as a heterotopia space for the first generation female artists Na Hye-seok and Kim Il-yeop.

      • KCI등재

        근대기의 한국연극과 한국 근대극운동의 특징

        장원재(Wonjae Jang),백로라(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4 No.-

        본 연구는 근대 한국연극의 구체적인 전개 양상과 한국 근대극 운동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한국 근대극 운동은 유럽과 미국의 근대극을 국내에 도입하려는 시도였는데, 3.1운동의 실패 이후 근대화에 대한 열망이 거세지던 1920년대에 시작되어 1930년대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1920년 김우진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극예술협회’는 연극에 대한 사회적 관념을 변화시키고, 근대극 운동의 실천방법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신극’의 초석을 다지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박승희를 중심으로 조직된 학생 단체 ‘토월회(1922)’는 근대극을 정기적으로 상연함으로써 근대극의 저변을 넓히고, 유럽의 근대적인 무대장치를 재현함으로써 관객에게 새롭고도 사실적인 연극을 경험시켜주었다. 이후로 일본 유학파 출신의 소장학자들에 의해 ‘극예술연구회(1931)’ 가 조직되었는데, 이들은 1930년대 내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근대극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정기적인 연극 강좌와 강연회를 개최하여 유럽 근대극에 대한 관객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유치진, 이무영, 이서향, 이광래, 김진수, 함세덕 등과 같은 극작가들을 발굴하여, 창작극의 공연 풍토를 활성화하였다. 당대 한국 근대극 운동을 주도한 지도자들은 근대 유럽의 ‘사실주의’ 연극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는데, 이것은 사실주의가 ‘연극을 통한 사회교화’라는 과업을 수행하는 데 적절한 양식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즉 사실주의 연극 양식을 수용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된 서구 근대의 과학주의와 합리주의를 관객에게 경험시켜주고, 이를 통해 관객의 의식을 근대적으로 계몽 혹은 교화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한국 근대극 운동은 전통극의 유산을 계승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일본의 근대극 운동과는 또 다르게, 정치 사회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었던 것이다. This research explored aspects of Korean theater’s development in modern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theater movement. The movement of Korean modern theater began in the 1920s and underwent vigorous development in the 1930s. This movement was led by three theater associations: the Theater Arts Association (1920), the Earth-Moon Society (1922), and the Theater Arts Research Association (1931). These associations took the lead in establishing, staging, and popularizing Korean modern theater. In particular, the Theater Arts Research Association made diverse efforts to improve public understanding of modern theater: offering regular lectures on modern theater; discovering outstanding playwrights such as Chijin Yu, Mooyoung Lee, Seohyang Lee, Kwanglae Lee, Jinsoo Kim, and Seduk Ham; and revitalizing the staging and performance of Korean plays. The leaders of the Korean modern theater movement attempted to import the Realism Theater of modern Europe because they considered it pertinent to the task of “social enlightenment through theater.” In other words, they wanted spectators to learn the scientific thought and rationalism that were internalized in the Realism style. For these reasons, Korean modern theater broke away from Korean traditional theater, and it manifested socio-political characteristics that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modern theater.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그 개념적 관련성 고찰 : 예술에 대한 탈근대적 이해 및 그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곽덕주(Duck-Joo, Kwak),서정은(Jeong-Eun, Seo)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담론 및 접근에서의 개념적 혼동을 줄여 현장의 문화예술교육실천가들의 실천에 보다 명료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 가정 되어야할 ‘예술’ 및 ‘예술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개념적으로 명료화하는 데에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근대적 예술관에 기반한 예술교육 접근으로서 ‘예술을 위한 교육’, ‘예술에대한 교육’, ‘예술을 통한 교육’ 이라는 세 개념을 각각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세 가지 접근을 보다 통합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탈근대적 예술이론의 기초로서 존 듀이와질 들뢰즈의 예술관에 주목하여 분과적인 근대 예술관을 넘어서는 예술의 의미 및 교육적 가치를탐색할 것이다. 셋째, 이를 통한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예술’, ‘교육’, ‘문화’를 어떻게 내적으로 새롭게 연결시키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들은 문헌연구에 기초한 논증의 방법을 통해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되고 검토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듀이와 를뢰즈의예술관에 기초하여 예술 교육이 그 고유의 정신을 실천하고 지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때, 우리의 삶에서 예술은 교육과 문화를 유기적으로 매개하는 실천적 활동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근대적 예술관에 기초한 위의 세 가지 예술교육접근을 새롭게 범주화하는 한 가지 새로운 방안(예술 안에서의 교육, 교육 안에서의 예술, 사회 안에서의 예술)을 시험적으로 제안한다.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and clarify the conceptual connections among art, education and culture, which have been vague and confused in the arts education policy in Korea. The confusion was always the source of troubles for arts education practitioners in Korea since it tends to lead them into totally different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in their practices. In doing so, the paper first critically examines three commonly received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for the last few decades: education for the sake of art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bout arts, to see if the way each approach views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can be valid for contemporary arts education today. Second, it examines two distinctive thinkers’ philosophical views on arts, John Dewey’s and Gilles Deleuze’s, to see if they can provide better concepts of the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where arts-experience is itself educative. Finally, the paper boldly attempts to show how art, education and culture can be conceptually connected in such a way as to give a direction on how arts education is to be delivered in the practice. This suggestion is supposed to show how arts education can be a way of awakening aesthetic experiences in the learner, where a principle of arts or artistic spiri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growth of learners’ being.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s a new way of framing arts education in Korea: education in arts, arts in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in society. These are all supposed to be governed by principles of arts or artistic spirit in their educational approaches because doing arts are the very way of being educative.

      • KCI등재

        예술과 유희의 연관성에 관한 미학사적 고찰(1) - 고대 그리스와 칸트와 실러의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

        하선규 ( Ha Sunky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예술과 유희에 관한 철학적 성찰은 서구철학의 시조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두 철학자가 주목한 모방(mimesis) 개념 속에 예술과 유희의 긴밀한 연관성이 내재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예술과 유희의 문제가 단편적인 관심사가 아니라, ‘시대적-역사적’ 과제로서 첨예하게 부상한 것은 근대에 들어와서이다. 카시러가 ‘비판의 시대(철학과 체계)’이자 ‘비평의 시대(미적 예술과 미학)’라 칭한 18세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예술’과 ‘유희’의 의미, 둘 사이의 연관성에 관한 논의가 이전 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층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후 예술과 유희에 관한 철학적-미학적 논의는 오늘날까지 매우 다채롭게 확산, 변주되어 왔다. 본고는 이 확산과 변주의 과정에서 근대미학의 정점으로 평가되는 칸트와 실러의 미학사상에서 유희 개념이 어떻게 논의되고 정당화되고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유희는 결코 예술을 이루는 한 요소나 예술이 산출한 어떤 형식이 아니었다. 반대로 유희는 그리스 시대부터 예술의 존재 근원이자, 예술의 내적 분화를 촉발한 결정적인 추동력이었다. 하지만 근대 이후 유희에 대한 논의는 예술의 자율성과 예술을 통한 시민 문화의 종합이란 시대적 과제를 배경으로 현저하게 심화, 확장된다. 본고는 이것을 근대미학의 정점으로 평가되는 칸트와 실러의 미학사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칸트 미학에서 유희는 상상력과 지성 사이의 자유로운 상호유희, 미적 예술형식으로서의 유희, 자유로운 미적 관조의 조건으로서의 유희, 미적-예술적 이념의 내적 추동자로서의 유희 등의 형태로 논의되고 있다. 실러는 칸트의 논의를 수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유희를 ‘유희충동’으로 끌어올린다. 특히 실러는 유희충동의 고유한 대상이 ‘미의 객관적 이념(즉 이상적인 예술작품)’임을 논증함으로써, 미적 경험과 예술의 존재 근거를 철학적-인간학적으로, 또 문명사적으로 칸트보다 더 명확히 논구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예술과 유희의 연관성에 관한 모든 논의는 이 사상가들의 이론적 성취를 재음미하는 데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on art and play dates back to Plato and Aristotle, the founders of Western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close relation between art and play was already inherent in the concept of mimesis which two philosophers paid attention to. However, the problem of arts and play, not as a fragmental issue, but as a ‘historical task’, has emerged in the 18th century that Cassirer has called 'the era of criticism'. Since then, philosophical- aesthetic discussions about art and play have been spreading and varied widely to present day. This paper examines Kant and Schiller's theories of aesthetics, esteemed as the modern apex of this proliferation and vari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Play was never merely an element of art or a form produced by art. On the contrary, play has been a decisive driving force for the origins of art and the internal differentiation of art since the Greek times. However, discussion on amusement since the modern era is remarkably deepened and extended in the background of the artistic autonomy and the synthesis of civil culture through arts. I have examined this through aesthetic theories of Kant and Schiller. In Kant aesthetics, play is discussed in the form of free reciprocal play between imagination and intellect, play as aesthetic form, play as a condition of free aesthetic contemplation, play as an internal driver of aesthetic idea(asthetische Idee). And then Schiller not only accepts Kant's argument but also brings the play to a 'play impulse’ as a transcendental condition of human mind. In par-ticular, Schiller argue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art were more philosophically-anthropologically and more civilizationally discussed than Kant, by arguing that the unique object of the play impulse is the "objective idea of the beauty" can do. Today, all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lay should start from the recognition of the theoretical accomplishments of these thin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