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벨스케일에 따른 퓨어컬러 변화 - 애쉬 그레이 컬러를 중심으로 -

        엄슬기 ( Seul-ki Eom ),정연자 ( Yeon-ja 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2 No.-

        연구배경 과거의 저중명도에서 최근에 고명도의 애쉬 컬러 유행으로 다양한 명도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색제와 산화제 혼합과 탈색에 따른 모발 명도 변화와 명도별 염모제를 착색시키고 그에 따른 컬러와 명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4레벨 피스를 다발로 제작하여 웰라 레벨스케일에 맞춰 탈색을 하였다. 12단계의 모발 다발에 웰라 명도별 애쉬 그레이 염모제를 6% 산화제와 1:1 비율로 도포하여 35분 방치하였으며 세척하여 건조한 후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첫째, 명도별 염모제에 따른 붉은색과 노란색의 증감을 통해 단계별 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레벨이 높아질수록 붉은색과 노란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12단계, 14단계 염모제는 1:1로 혼합하여 염색하였을 때 명도가 감소한다. 넷째, 회사별로 제시된 산화제 혼합 비율을 사용해야 원하는 고명도를 표현할 수 있다. 결론 이를 통해 현장에서 이뤄지는 탈색 횟수와 명도 표현의 지표를 제공하고 고객 간의 탈색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실제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In the past, the low-middle brightness recently begun to appear in various ash color brightness of famous fashion too. This study was coloring with the oxidant bleach mixed with bleached hair brightness and brightness changes according to the specific hair dye and evaluate the color and brightness changes accordingly. Methods The four-piece production levels to match the straw bundles were fading level scale. The wella ash gray hair dye to hair brightness by 12 steps, each bundle of 6% and an oxidant in 1: 1 ratio were measured by applying dry after washing the color difference was allowed to stand 35 minutes. Result As a result, first, through the brightness increase or decrease of red and yellow stars of the hair dye it may present a step-by-step indicator. Secondly, it can be seen that an increase of about red and yellow level becomes higher. Thirdly, step 12, step 14 of the hair dye is from 1: brightness mixed to when dyed is reduced by 1. Fourth, it is possible to represent the well-known degree to be necessary to use a mixing ratio of the presented oxidant for each company. Conclusion This provides an indication of decolorization number and brightness of the representation performed in the field, it would be able to build a practical basis for discolor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ustomer.

      • 라벨 인쇄의 컬러 품질 안정화에 관한 연구

        이순석,오성상 한국인쇄학회 2019 한국인쇄학회지 Vol.34 No.1

        해마다 포장 인쇄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라벨 인쇄도 비교적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 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 패턴에도 불구하고 라벨 인쇄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저조한 상 태이다. 특히, 국내 라벨 인쇄에 대한 표준 인쇄 규격도 정립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안 정된 품질의 인쇄물을 얻고 라벨 인쇄의 컬러 품질 표준을 설정하는 기초 데이터 제공 을 위해 잉크키 값을 기반으로 라벨 인쇄의 표준 컬러 농돗값을 확인하였다. 주요 결괏값을 농도로 비교할 때 가장 적절한 인쇄 조건 설정은 T3인 것으로 나타났 지만, 일부 고려 사항을 반영한다면 T4도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트래핑 효율의 관 점에서, 모든 설정은 고속 건조인 UV 건조가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망점 확대 는 T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T4도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였다. 또한 CIEL*a*b* 컬러 공간에서의 컬러 게멋 볼륨, 그레이 밸런스에서 T4가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벨 인쇄의 컬러 품질 개선 및 안정화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성 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제 생산에 이 컬러 농돗값을 적용한다면 안정된 품질의 인쇄 제품을 생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growth of the packaging printing industry each year, label printing is growing at a relatively rapid pace. However, despite this growth pattern, research on label printing is relatively poor. In particular, standard printing specifications for domestic label printing have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identified standard color density values for label printing based on ink key values to provide basic data to obtain stable quality prints and set color quality standards for label printing. In comparing the key values to the consequential densities, the most appropriate setting was found to be T3, although with some considerations, T4 could also be deemed proper. In terms of the trapping efficiency, all settings showed positive results due to the effect of UV drying process which is a high-speed drying procedure. T5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dot gain, and T4 also showed positive data. In addition, T4 showed the most positive result in the color gamut volume and gray balance in CIEL*a*b* color space. Therefore, this study successfully confirmed the basic data on color quality improvement and stabilization of label printing. Applying this color density to actual production could contribute to producing a stable quality printed product.

      • 패키지용 도포지의 인쇄 시 컬러 표준 관리를 위해 그레이 밸런스 적용에 따른 컬러 재현성에 관한 연구

        조가람,강형곤 한국인쇄학회 2019 한국인쇄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용지 특성이 다른 패키지용 도포지 인쇄에서 양호한 컬러 재현과 일 관된 컬러 유지 및 관리를 위해 그레이 밸런스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인쇄 를 하였다. 인쇄 결과물은 인쇄 품질 평가의 기본이 되는 컬러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C, M, Y, K 잉크의 솔리드 농돗값 및 CIEL*a*b* 값, 색차, delta L*, delta Ch, 그레이 밸런스, 망점 재현(TVI)을 평가한 결과는 패키지 도포지 인쇄에서 기준으로 하여 요구 한 GRACoL2006 coated1 규격에 맞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패키지용 도포지의 인쇄 적성 평가 가이드 및 품질 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gray balance based method was applied for good color reproduction and consistent color management in coated paper for package with different paper characteristics. Printing result estimated color repeatability that become basis of printing quality estimation. Result that evaluate solid density and CIEL*a*b* value of C, M, Y, K, color difference, delta L*, delta Ch, gray balance, half-tone dot reappearance (TVI) appeared according to GRACoL2006 coated1v2 standard that require by standard in printing of coated paper for package. This result can utilize to basic data of guide and quality improvement that evaluate printablity of coated paper for package.

      • KCI등재

        패션소재에 따른 그레이 컬러 감성이미지와 선호도

        최유진(Choi, YuJin),이윤진(Lee, YounJin)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1 No.1

        As consumer"s standards of living rise, sensibility has had powerful impacts on consumers" decisions. Especially, it is seen that the value of products increases due to color images arousing emotions, which reflect several senses. Particularly, gray is an important standardized color not only for fashion but also numbers of the design fiel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feel several images with emotional arousal from gray colors visualized through fashion materials and we will evaluate the purchase preference as well and expect it to be useful in the actual fashion industry scene. To select adjectives of images with emotional arousal for evaluating the experiment of the images, we selected and extracted final images of sensibility from surveys on domestic fashion sites online. Experimental group for evaluation experiment was divided into color expert group and general person group. Seven materia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andards that represent four seasons. The stage of gray color is divided into high, mid, and low brightness based on Munsell Gray Scale System. The evaluation scale used the Semantic Discriminant scale method (SD) and the emotional image was prepared in five stages to evaluate the material. Results from the experiment of evaluating the images showed that the color expert group and the general group felt various emotions, but the color expert group felt a more diverse emotional image. Especially, the materials with high brightness of feeling showed the most various emotional images regardless of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e pre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the brightness level by fashion material. Hence, the research suggests a useful guide for designing fashion products by presenting several sensibilities and preferences regarding gray color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andard colors in fashion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