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종사회의 도래와 잡종이론

        김성국(Kim, Seung Ku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잡종화는 역사적으로 확산되어왔으며, 기능적으로는 권력관계 변화와 권력이동을 반영하는 인간사회의 존재론적 구성 원리이다. 이 글의 목적은 탈근대 잡종사회의 도래에 대응하여 동아시아적 관점을 활용하면서 잡종 사회학이론을 권력관계의 차원에서 모색하는 것이다. 이미 많은 사회학 이론가들이 이론적 잡종화를 활용해왔다. 이 글은 동아시아의 고전과 현대사회학이론의 대표적인 네 가지 잡종이론(알렉산더의 다차원적 통합이론, 뷰러워이의 공공사회학, 아나키즘의 제3의 길,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균형론)을 대상으로 잡종화의 배경과 형식을 검토한 후, 네 가지 이론적 잡종화 유형, 즉 포섭적, 지양적, 창조적, 균형적 잡종화를 구분한다. 나아가, 상기의 잡종화를 재잡종화 하면서 동아시아적 잡종이론을 위한 시론으로 노자적 아나키스트관점을 기반으로 하는 탈권력 사회국가론을 제시한다. 탈권력 사회국가론은 시민사회가 성숙하면서 국가를 사회 속으로 흡수 통합(잡종화)하여 국가권력이 사회권력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모든 개인이 소유하는 권력으로서의 인간권력으로 전환(잡종화)되는 현실적 유토피아를 지향한다. Hybridization as the constitutive principle of human society has historically expanded all over the world, reflecting functionally the change of power relations and power shift. In response to the rise of post-modern hybri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terms of power relations, for a hybrid sociological theory from East Asian view point. Many sociological theorists have long employed the strategy of theoretical hybridization. After overviewing four hybrid theoretical efforts in both East Asian classics (Yin/Yang & Five Ways and the third way of Taoist anarchism) and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Alexander’s Multidimensional Integration and Burawoy’s Public Sociology), this study identifies four types of theoretical hybridizations such as inclusive, overcoming, creative, and balancing. Finally, an anarchist theory of the post-power social state, formulated on the basis of re-hybridization of the above four patterns, is proposed as an East Asian hybrid sociological theory in which the state power is converted through citizen power into human power of Taoist non-coercion as civil society fully matures itself and then gradually absorbs and integrates the state. This approach is typically hybrid in the sense that it quests for a realistic utopia.

      • KCI등재

        권력공유의 실험과 위험

        홍재우(JaeWoo Hong) 한국정당학회 2010 한국정당학회보 Vol.9 No.2

        권력고유의 개념과 아이디어는 아렌트 레이파트(Arend Lijphart)가 협의제주의와 합의제 민주주의를 주창한 이래 한 세대 동안 발전해왔지만 아직도 정교한 이론화에 다다르지 못했다. 그것은 세밀한 인과모형을 구축하여 이론 형성에 기여할 사례연구가 충분치 않은 데도 이유가 있다. 지속적인 이론적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사례연구는 기존 권력공유 이론이 포괄적이면서도 정교한 설명력을 갖는 데 공헌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협의제/합의제 민주주의의 전형으로 추앙되던 벨기에의 독특한 복합연방제의 분석을 통해 분열된 사회에 있어 권력고유의 규범적 논리에 가려진 갈등 관리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각기 다른 3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들로 이루어진 벨기에는 한 세기에 걸진 정치공학의 결과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복잡한 권력공유 제도를 고안하고 실현해 왔다. 그러나 권력공유 제도를 통해 하나의 균열 구조를 공식적으로 제도화하고 다른 균열구조를 압도하거나 통합시켜 벨기에는 최근 들어 오히려 갈등을 악화시키는 정치적 위기를 겪고 있다. 이 위기는 연방제의 영향력이 갖는 역설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벨기에의 경험은 권력공유가 일방향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정치환경과 구조 그리고 그 권력의 분산 정도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현재 진행형인 벨기에의 경험은 이후 권력공유 이론의 발전에 상당한 함의를 줄 것이다. For the decades theories and concepts of power-sharing democracies have been developed since Arend Lijphart first introduced “consocialtionalism” and “consensus democracy.” However, the works of power-sharing school are still obsessed with strong normative perspective, “more is better” without proper and logical reasoning of causality, seeing only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ower sharing and governance quality. Lack of the sophisticated theory in this field is mainly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case studies. This study analyzes the Belgian hybrid federal system which has been known as a key model of consensus democracy. Belgium has developed one of the most complicated power-sharing institutions for her ethnically deeply divided society where three language groups reside. However, unlike expectations the current political crisis has been mainly caus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only one salient ethnic-language cleavage, which is major method of power-sharing solution. The Belgian experiences provides careful and concrete considerations for future power sharing theories. In addition, the Belgian crisis would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the paradox of federalism.

      • KCI등재

        권력이론의 관점에서 본 태권도 권력樣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주화,나채만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reation of power and its exercise theory, how this power is created and exercised especially in Taekwondo and then what kinds of problems there have been and how it can have the legitimacy when the power is exercised in Taekwondo. Firstly, it seems that the creation of power and its exercise in Taekwondo and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Taekwondo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 modern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Secondly, the characteristic of power which is related with the course of introducing Taekwondo into the Olympics, its globalization and Taekwondo competition is that the power is microscopic. Thirdly, it seems that the characteristic of power shown in issuing the certificate of the level is due to the particularity of the Taekwondo certificate. The creation and exercise of power which Taekwondo has had so far have a great number of problems, which have distorted the genuine meaning of Taekwondo. According to Jurgen Habermas, the power is not always negative. When the power does not have the legitimacy rather than it is compulsive or suppressive, it is considered to be negative. The property of power itself is not negative and the power which does not have the legitimacy is just negative. If the phenomenon of power shown in Taekwondo is recognized from Harbermas' point of view, it is likely to cope with things more wisely. 본 연구는 권력의 생성 및 행사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태권도계에서 권력이 어떻게 생성되고 행사되는지 알아본 뒤, 그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태권도계에서 권력의 생성 및 행사의 정당성을 마련하기 위한 권력 생성의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태권도계의 권력 양상은 첫째, 태권도 역사기술과 관련하여 권력의 생성과 행사는 한국의 근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둘째, 경기태권도와 관련해서 세계화 및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에서 나타나는 권력의 특성은‘미시적 권력(micro power)’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태권도 단증발급 과정에서 나타난 권력의 특성은 태권도 단증이 가지는 의미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 태권도가 가지는 권력의 생성과 양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문제는 이러한 관례로 인해 태권도가 지니고 있는 긍정적 의미가 점점 더 퇴색되고 있고 긍정적 이미지와 함께 부정적 의미가 대칭화 된다는데 있다. 사회철학자 하버마스(Habermas)에 의하면, 권력은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권력이 부정적으로 해석되는 이유는 행위 과정에서 강제적이거나 억압, 폭압적이라는데 있다. 권력의 부정적 이해는 전적으로 정당성(legitimacy)의 결여로부터 생겨난다. 말하자면 권력 그 자체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다. 즉 정당성이 결여된 권력만이 부정적인 것이다. 따라서 하버마스의 권력이론 관점에서 검토해 볼 때 지난 반세기 동안 태권도계에서 관찰되어 온 권력 양상의 전개과정의 이해는 보다 큰 설득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은 권력 지향적 태권도 구성원들에게 좋은 지침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태권도계에서 권력의 생성 및 행사 과정에서 정당성을 마련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법적 위험에 관한 실천이론적 접근 —법현실과 대법원 판례 분석—

        안성준 한국법철학회 2021 법철학연구 Vol.24 No.3

        An Approach of Practical Theory on Legal Risks — Two Analyses on Judicial Reality and a Supreme Court Precedent — 법학자 내지 법실무가의 관심 문제는 필수적으로 언어라는 통로를 통해서 표출된다. 한편 현대 사회에 고도로 분화된 체계에서 불확정성이 증가하고, 합리성을 내세운 사회적 요구도 과잉된다. 기존에 익숙했던 법도그마틱이 균열되고, 새로운 법현상이 과잉생산 된 법에 의하여 거칠게 처리되며, 사안 처리의 수준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법의 실정화의 불완전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법관법의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된다. 위험의 증가에 따른 법의 불명확성과 공백 위험, 법의 자의적 처리, 상세화된 법에 대한 불가피하고 합리적인 부지 등은 법언어의 규범력 저하로 나타나고, 이는 해결하기 어려운 현대 사회의 과제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현대 법적 위험에 관한 문제를 사회학과 언어학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표적 실천이론에 비추어 살펴본다. 우선 언어와 권력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르디외는 담론이 효력을 갖기 위한 사회-정치적 조건들에 관심을 두었다. 언어의 권력은 대변인에게 위임된 권력으로 그 지배권력을 대표하고, 발화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발언의 효력이 정해진다. 다른 사회체제와 마찬가지로 사법의 작용에 있어 상징체계에 의하여 객관적으로 합의된 세계를 형성하는 것처럼 보이고 헌법적 원리가 보장되고 있지만, 사실은 상징적 효력을 작동시키는 상징권력에 의한 지배를 은밀하게 받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징권력과 권위 부여는 암묵적 인정 내지 오인이 깨지는 곳에서는 더 이상 전제될 수 없다. 다음으로 브랜덤이 주장한 추론주의, 언어와 개념의 관계, 실용주의로서 표현주의, 실질적 추론과 논리의 관계, 추론적 명료화 이론, 그리고 규범적 화용론, 의무론적 점수 매기기 모델 등을 살펴본다. 브랜덤은 사회적 실천을 통하여 형성되는 명제적으로 내용이 풍부한 개념과 언어 사용의 규범화 과정을 해명하려고 시도한다. 브랜덤의 이론을 도구 삼아 법률가의 법언어를 담은 실천적 주장에 대한 논증 과정이나 그 결론의 적절성과 규범성을 사회적인 실천으로서 점수 매기기의 방식으로 귀납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천이론의 관점에서 두 학자의 이론, 예를 들어 암묵적으로 명시화되는 주장과 논리와 실천의 관계에 관한 브랜덤의 이론과 특별한 양식이나 의식에 기하지 않고 암묵적으로 형성되는 실천적 결과에 관한 브르디외의 이론 사이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해 본다. 마지막으로 이 학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판례를 분석해보고, 우리 법현실을 점검해보면서 법률가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법언어의 사용이 어떤 것인지에 관하여 3가지 개인적인 의견을 개진하기로 한다.

      • KCI등재

        정치적 보험으로서 사법권력 확립・강화 이론에 대한 검토 : 대안적 분석들과 한국 사례에의 함의

        전정현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70

        Recently, the establishment and fortification of judicial power have occurred across various political systems. Concerning this phenomenon, one of the most powerful explanations was strategic-insurance theory. According to this theory, political actors facing electoral uncertainty or waning in the majoritarian area would establish and empower the judiciary as their insurance. But there are also various alternative accounts for the phenomenon of judicial empowerment. Alternative theories have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 First, they emphasize the diversity of preferences in political actors who drive judicial empowerment and the role of ideas. Second, they raise questions about the logical and empirical linkage between power fragmentation and necessity of insurance,, and the resulting judicial empowerment. Third, they stress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analysis against rational-strategic analysis. This paper compares the strategic-insurance theory with its alternative approaches which are more oriented toward contextual analysis in the pursuit of a more relevant approach. And this study emphasizes the usefulness of contextual analysis, especially in the Korean case. 오늘날 다양한 체제에서 독립된 사법권력의 확립과 권한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유력한 이론 중 하나는, 전략적 보험이론이다. 그에 따르면, 정치세력들이 다수주의적 영역에서 선거적 불확실성에 직면했을 때, 장래의 보험으로 사법권력을 제도화하고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여러 유형의 대안적 설명들도 존재한다. 대안적 접근들은, 사법권력의 확립・강화를 추동하는 행위자의 다양한 선호와 사상(idea)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 사법권력의 확립·강화가 권력의 분산 상황 하에서 보험필요에 의해 파생된다는 일련의 논리를 거부한다. 그리고 단순한 전략적-합리적 분석을 넘어서 맥락 특수적인 분석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본고는 전략적 보험이론과 맥락중심의 대안적 논의들 간의 이론적 쟁점과 구체적 분석의 예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오늘날 만연한 사법권력의 제도화 및 팽창 현상에 대한 풍부한 이론적 자원과 통찰을 확보하는 한편, 한국 사례에 유용한 접근 방향을 탐색한다. 본고는, 결론적으로 양 접근 간의 비교 속에서 전략적 보험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의 유용성을 강조한다.

      • KCI우수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국제정치학적 재구성: 번역 개념을 중심으로

        은진석(Jinseok Eun),이정태(Jung Tae Lee)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2

        국제정치이론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변화의 압력에 놓인다. 국제정치는 국가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그것이 지니는 복잡한 현상으로 인하여 이를 국가와 구조로 구분하여 사고하는 조류가 지배적이었다. 한편으로 이러한 접근은 갈수록 심화되는 국제정치의 복잡한 성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두된 분석틀의 일종인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국제정치 분석에 정착시킬 방법을 모색한다. 본 이론은 이미 국제정치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온 바 있으며, 이 연구의 문제의식은 그것이 지니는 분석 수단으로서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국제정치에 활용하는 연구가 기존의 사회학적 접근을 원용하는데 그치고 있는 현실을 향하며, 이에 따라 동 이론의 핵심개념인 번역을 국제정치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번역 개념의 재구성을 위하여 관계주의적 권력 개념을 활용한다. 관계주의적 권력 개념이란 행위하는 네트워크(Actor-Network)인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 변화를 초래하는 권력을 의미하며, 이는 번역이 지니는 권력 투사 과정으로서의 성격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이론들이 다루고 있는 권력 개념들 사이의 차이를 극복하여 메타 이론적 접근을 가능케 하는 한편,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번역 개념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동 이론의 국제정치학적 변용(ANT-IR)을 가능케 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s under pressure for change as reality does. International relations, an academic field that studies relations among nations, has been demonstrated tendency to divide international politics into the problem of state actors and structure. This approach is faced with criticism that it cannot sufficiently reflect complex na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line with such criticism, this research explores a way to localize Actor-Network Theory(ANT) into the domain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theory has been already used for analysi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many occasions, and therefore it is not our interest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Rather our research questions the tendency of those researches who use the original concepts of ANT, and attempts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translation into more suitable form for international relations. In order to fulfill the aim of the research we use the concept of relational power. Relational power means a power that can change relations among nations, and it is used for reconceptualization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translation as power projection. We anticipate that this approach can enable a meta theoretic approach by creating a common ground among different concepts of power, and provide a point of departure for the discussion on ‘ANT-IR (Actor-Network Theory for International Relations)’.

      • KCI등재

        中国行政法理论基础的反思与再探索

        马啸 중국지역학회 2021 중국지역연구 Vol.8 No.3

        중국 행정법이론 기초의 대략적인 연구과정을 정리하면, 1단계는 1980년부터 1990년 초로 중국 행정법 이론계는 행정법 기초이론에 중점을 두었다. 이때 일부 소수의 학자 들의 관점은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2단계는 1990년대에 뤄호(罗豪)가 균형론을 제기하 면서 행정법이론의 기초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심도 있게 진행되었다. 행정법이론 에 기초한 학계는 행정법 전체의 이론체계의 기초이론, 즉 가장 기본적인 이론이나 보 편적인 기초이론을 행정법의 ‘이론적 기초’라고 하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행정법 연구의 이러한 과정을 통해 행정법이론의 기초에 대한 개념과 성격을 더욱 명확하게 하고, 행정법이론의 기초가 가진 근본성, 보합성, 안전성의 세 가지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이는 행정법이론의 토대가 되는 만능주의 성향을 바로잡고, 행정법이론 의 기초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기능인 지도기능과 설명기능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행정법이론과 관련한 학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적절하게 제시하는 새로운 이론을 모색하였다. 예를 들어, “공민의 권익을 보장하기 위한 행정권 의 통제”을 행정법이론의 기초로 삼는다는 것이다. “보장-규범론”의 핵심사상은 행정법 이 국민의 권익을 보장하고 행정권을 규율하는 법이라고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공민의 권익이 보장되게 한다는 입법목적은 행정법이 가지는 기능을 대변할 수 있다. 행정권을 대하는 행정법의 자세는 ‘규범’이라고 명확히 표현하고, 행정권을 규범화하는 것을 행정법이 다른 부처의 법과 구별되는 근본적인 특징이다. 공민의 권익 보장은 행정권을 규범화하는 목적이며, 행정권을 규범화하는 것은 국민의 권익보장을 실현하는 방식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법이론의 변천과정을 살피고, 행정법의 입법목적이 가지는 공민 의 권익보장과 행정권의 규범화에 대한 이론을 검토한다. Summarize the general research process of the theoretical basis of China's administrative law:the first stage, from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the Chinese administrative law theoretical circle conducted a preliminary exploration of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and there were a few viewpoints; in the second stage,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Luo Haocai put forward the theory of balance, and the research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has received more extensive discussion and in-depth research. On the position of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the academic circles have reached a consensus that the basic theory of the first level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administrative law, that is, the most basic theory or universal basic theory is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The concept and nature of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are further clarified, and the three properties of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are further explained: 1. Fundamental, 2. Universality, 3. Stability. Correct the omnipotent tendency of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and accurately locate the functions of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1. Guiding function, 2. Interpreta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after classifying and analyzing various theories from research perspectives, a new theoretical exploration is more appropriately put forward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that is, “protecting citizens' rights and regulating administrative power” as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The core idea of guarantee-normative theory is expressed in one sentence: Administrative law is a law that protects citizens' rights and interests and regulates administrative power. The protection of citizens' rights and interests is the goal and purpose of administrative law, and it is the generalization of the functions of administrative law. The attitude of administrative law toward administrative power is accurately expressed as “normative”. Standardizing administrative power i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administrative law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departmental laws. The protection of citizens' rights and the regulation of administrative power together constitute the core content of administrative law. Protecting citizens' rights and interests is the purpose of regulating administrative power, and regulating administrative power is a way to realize citizens' rights and interest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will observ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theoretical basis of administrative law, and study the theory of protecting citizens' rights and regulating administrative power for the purpose of administrative law legislation.

      • KCI등재

        위치권력 이론에 따른 후발개도국의 네트워크 정치 참여 외교전략: 라오스의 연계국 전략을 중심으로

        김현정,문보경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5 국제정치연구 Vol.18 No.2

        In this research we analyze how the developing countries form the positional power in their networks by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countries. For showing these analysis we suggested the Laos as the example that the hinterland countries which does not reach the ocean. In the Network Power theory, between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middle power countries, the most important things they have to considered to take possession of the positional power is the difference of the scale. If the developing countries want to participate in the network power politics they must strengthen diplomacy for form the positional power. In this research we look through the process of Laos as the isolation countries, develop as the connection countries and how they form the positional power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Network power politics. We searc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the Laos in 1980s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os and the socialism countries after end of cold war era in 1990s. Also we want to see how Laos focused on the positional power for strengthen the diplomac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tries around the Mekong River. According to the nine economic corridor of GMS and cooperate with a main organization we analyze that Laos does not weighted toward specific countries (among the Cambodia, Myanmar, Thailand, Vietnam and China) they exercise a Positional Power properly. Through the research we can know that the developing country Laos which is not hegemon or middle power countries they limit the network range and make a relationship with the close countries using the close-centrality. Also they positioning the strategy diplomatic attitude for dominate the positioning power within the region. Through this research that mainly discussed about the Laos we can assume the developing countries can form the powerful positioning power using the Network policy and we can find significance from this analysis can effect other developing countries will be develop to the connection countries. 본 연구는 국가 간 경쟁과 협력에서 후발개도국이 네트워크 내에서 위치 권력(positional power)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바다에 접해 있지 않은 고립된 내륙 국가인 라오스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네트워크 권력 이론에서 중견국과 후발개도국이 위치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네트워크 규모의 차이이다. 후발개도국의 입장에서는 네트워크 권력 정치에 참여하려면 위치 권력을 만들기 위해 외교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으로 고립국인 라오스가 연계국으로 변화하는 과정과 네트워크 권력 정치 참여를 통해 위치 권력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에 1980년대 라오스의 정치·사회적인 상황을 살펴보고, 1990년대 라오스와 냉전의 종식 이후 변한 주변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외교력 향상을 위해 집중해 온 라오스의 위치 권력을 메콩 강 인접 국가들 간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메콩강유역개발사업(GMS) 내 9개 경제회랑과 GMS 내 주요 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라오스가 역내 5개국(캄보디아, 미얀마, 태국, 베트남, 중국) 중 어떤 특정국과의 관계에 편중하지 않으면서 위치 권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패권국, 중견국이 아닌 약소국가 즉 후발개도국인 라오스가 네트워크 범위를 한정하여 주변 지역 국가들과 근접중심성을 활용해 관계를 형성하고, 지역 내에서 위치 권력을 선점하기 위해 전략적인 외교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라오스 사례를 바탕으로 한 이번 연구를 통해 고립되고 낙후된 후발개도국이 네트워크 정치를 활용하여 위치 권력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과 앞으로도 다른 후발개도국이 라오스 사례를 계기로 연계국으로 발전하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정보화 사회의 문화권력의 변화와 챗GPT의 사이버지배에 대한 탐색적 이해

        박창호(Park, Chang-Ho)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5 No.-

        이 글은 생성AI 챗봇인 챗GPT가 미치는 영향력을 권력의 관점에서 접근한 탐색적 연구이다. 챗GPT는 기술의 새로운 차원으로 인간 삶의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며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회학적 관점에서 기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하나의 권력으로 볼 수 있는가 하는 물음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권력은 전통적으로 특정한 지위에 있는 사람이나 집단이 상대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의지를 관철하는 힘으로 보았다.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권력을 보는 관점이 협력, 집단지성, 공유 등개방적인 자원의 확보방안으로 바뀌면서 이전과 달리 문화권력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초연결사회인 정보화 사회가 진전함에 따라 권력을 신권력의 개념으로 새롭게 보려는 시도도 등장한다. 즉 권력을 다차원적으로 보는 것이다. 권력이 소유라는 관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비공식적 통치나 자발적 조직의 참여에서 비롯되는 전략적 상황에서 나온다고 본다면 이를 위한 기술도 권력의 중요한 차원이 된다. 즉 전통적 사회학과 달리 기술이 행위능력이 되는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관점에서 챗GPT는 권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2022년 11월 출현한 챗GPT는 문학, 비즈니스, 금융, 의료, 저널리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력을 미치며 순식간 사람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기술의 영향력이라는 현실에서 새로운 권력모델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되었다. 기술이 주체가 되는 권력에 대한 이해가 다소 어색하고 거부감이 있지만, 사회관계의 자발적 영향력에 복속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권력으로서의 챗GPT의 가능성을 사회학적 이해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는 AI의 권력화에 대한 사전적 연구이다.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approaches the influence of ChatGPT, a generative AI chatbot,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ChatGPT is a new dimension of technology and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affecting various areas of huma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k whether the influence of technology on humans from a sociological point of view can be viewed as a power. Power has traditionally been viewed as the power of a person or group in a specific position to carry out their will despite the opposition. As it becomes an information society, the view of power has changed to a way to secure open several resources such as cooperati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haring, and cultural power has attracted attention differently than before. As it becomes an information society, which is a hyper-connected society, power is emerging in a different way as the concept of new power. In other words, it is a multidimensional view of power. If it comes from a strategic situation that results from informal governance or voluntary organization participation,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ownership, technology for this also becomes an important dimension of power. In other words, unlike traditional sociology, Chat GPT can operate as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in which technology becomes an ability to act. ChatGPT, which emerged in November 2022, has an influence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business, finance, medical care, and journalism, and is greatly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In the reality of the influence of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new power model cannot be ruled out. Although the understanding of power in which technology is the subject is somewhat awkward and repulsive,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atGPT as power with sociological understanding in the appearance of people who are subordinate to the voluntary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f AI’s empowerment.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권력구조에 대한 실증연구 분석과 전망

        이우권(Lee Woo-Kwo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7 정치정보연구 Vol.10 No.1

        지역사회 권력구조란 일정 지역사회의 범위 내에서 지역의 변화를 창도할 수 있는 세력의 주체 즉, 지역사회 권력엘리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권력배분 양태 그리고 그러한 권력엘리트간의 권력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외국 및 한국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지역사회 권력구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사회 권력구조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에서 진행된 지역사회 권력구조에 대한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아직 초보적인 단계와 탐색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연구자의 관심과 제약요인에 의해 연구대상 지역에 대한 선정 역시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선별적 연구들의 결과 해석은 지역사회 권력구조에 대한 이론정립 문제보다는 각 연구에서 활용된 방법론 중심의 논쟁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진행될 지역사회 권력구조에 관한 연구들은 기존의 연구들이 내포하고 있는 한계점 즉, 지역사회 권력구조에 관한 기초가 되는 이론 및 방법론 배경에 관한 충분한 연구와 적용, 지역사회 권력구조 자체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식별된 지도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총합으로서 구체적인 관계망 분석 등을 충분히 실현해야 할 것이다. Community power structure menas power distribution shape in community power elite and power interaction of community power elite within a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direction and prospect of future community power structure study base on preceding community power structure study in foreign and korea. Community power structure study in future should fill up a soft spots of preceding community power structure study. first, A study thoroughly investigate and adaptation theory and methodology base on community power structure study. second, A study carry into analysis of power interaction and relation network among community power elite manifested in community power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