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의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방안

        이성순(Sung-soo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우리나라의 결혼과 이혼에 있어서 국제결혼이 점유하는 비율이 10%를 넘어서고 고령사회의 진입과 저출산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향후 국제결혼은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국제결혼중개업의 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국제결혼안내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은 국제결혼으로 인한 개인의 경제적·심리적·인권적인 피해를 예방하고 더 나아가 건강한 다문화사회 조성과 사회통합에 있어 단초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법무부의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제결혼문화의 발전과 안내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개발과 교육관련 자료집이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국제결혼안내 전문강사 양성 혹은 기존에 양성한 다문화전문강사 대상 보수교육을 통하여 양질의 강사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현행 교육시간을 보다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국제결혼 당사자의 인권보호 및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결혼중개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다섯째, 한국인과 결혼하려는 현지인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사전교육과 본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statistical data demonstrates a rapid increment in the 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2000. International marriages of foreign women with korean men take absolutely large portion of whole cases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especially the number of foreign brides has evidently increased. In this process, racially and sexually discriminatory advertisements are prevalent. No information on husband is provided to a foreign bride until the moment that she is finally selected by a korean husband.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migrant women at this moment is in a grave situation due to the provision of incorrect information on partner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women. Nevertheles, local governments are rather encouraging international marriage that takes on a human trafficking character than regulating brokering agencies that infringe human rights. The government shall devise a strong criminal punishment law against human rights violative practices per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in order to regulate, prosecute and punish such practices occurring on the border of human trafficking and migration. Also the ministry of justice planned people to hope international marriage should study three hours in immigrants office before their marriage from 16.10.2010. Recently from 2011.3.7. Korean people receive compulsory this program. First, for good marriage culture needs enough research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extbooks. Second, for training of good progressional needs supplementary lessons of systematic and fine quality. Third, education of three times is very short for good education, so needs extension of educational times with another various multicultural organization. Fourth, management of company for international marriage needs continuous for human right. Fifth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offer other this program in seve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국제결혼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법제를 중심으로 -

        김성진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7 No.4

        우리나라 현행 국제결혼제도에 의하면 국제결혼의 외국인 배우자는 해외에있는 상태에서 한국인 배우자에 의한 혼인신고절차를 진행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외국인 배우자는 한국인 배우자의 생활환경 등의 정보는 혼인 후 한국에입국한 이후에나 알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외국인 배우자가 결혼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사항들을 결혼 후 한국에 입국한 이후에나파악할 수 있다는 것은 결혼생활에 있어서 잠재적 갈등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결혼생활은 한국에서 함께 지내는 것을 전제하는 것인데 입국이거부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혼인신고를 선행하는 절차는, 이후 실제로 외국인 배우자의 입국이 거부된다면, 국내법으로 인정된 부부가 함께 결혼생활을 할 수 없다는 불합리함 때문에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는 것이다. 이 글은 국제결혼에 있어서 외국인 배우자를 보호하고 건전한 국제결혼을유지할 수 있는 가장 시급한 국제결혼제도 개선방안에만 초점을 두고 미국법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제II장에서 미국의 결혼 및 국제결혼 관련 법제를 소개하고, 제III장은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관련 법제를 간단히 살펴본다. 제IV장에서 우리나라 현행 국제결혼제도의 문제점을 논의하고 아래와같이 3가지 영역에서 그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개인신상정보제공 문제 영역으로서 외국인 배우자가 결혼상대방을 선택할 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인 배우자의 정확한 신상정보를 제공받을수 있기 위해서 다음의 4가지 개선방안이 있다. 첫째, 국제결혼중개자에게 국제결혼의 당사자인 외국인 배우자에게 결혼상대방을 선택할 시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한국인 배우자의 신상정보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하여, 한국인 배우자와 결혼 또는 약혼하는 외국인 배우자에게 발생하는 가정폭력 또는 학대의 원천적 문제를 예방하도록 한다. 둘째, 국제결혼에 있어서 당사자들의 신상정보에는 각 개인에게는 아주 민감하고 예민한 정보이기 때문에 국제결혼 당사자에게도 상대방에 관한 신상정보 누설금지의무를 결혼중개업법에 직접 규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셋째, 국제결혼중개업자의 신상정보의 불고지 및 주의의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을 부과하는 것이다. 국제결혼중개업자가 고의 또는과실로 상당한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하여 발생한 소극적인 주의의무 위반에대해서는 손해배상책임을 지우고, 결혼중개업자가 고의로 적극적인 정보제공의무 위반하는 때에는 처벌의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제결혼 당사들의 개인신상정보를 공적기관이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국내출입국 사증 제도 관련 문제 영역이다. 미국의 약혼자 비자(K1) 제도를 도입한다면, 국제결혼의 당사자들이 먼저 해외 현지에서 결혼식부터거행하고 한국인 배우자 일방이 먼저 혼인신고를 한 이후에 외국인 배우자가한국에 도착하여 입국심사 시에 국내 입국이 거부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것이다. 약혼자 비자제도를 이용해서 국내로 들어와서 예비배우자들 상호 간의 충분한 정보교환과 신뢰를 구축한 이후에 혼인의 의식과 혼인신고를 완성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 이민자 정착지원 영역이다. 국내에서도 미국 아칸소주 노동부가 지원하는 원스톱 커리어센터 제도를 도입하여 국제결혼 이민자들에게 언어교육, 법률지원, 직업교육, 귀 ... According to Korea’s current international marriage system, the foreign spouse of an international marriage while staying overseas must go through the marriage registration process by the Korean spouse. The reality is that a foreign spouse can only find out information about the Korean spouse’s living environment after marriage by entering Korea. The fact that a foreign spouse can only find out important matters that can influence the decision to get married after marriage by entering Korea is a potential source of conflict in marriage. In fact, if a foreign spouse is denied entry into the country, there is a risk of human rights violations due to the absurdity that a married couple recognized by domestic law of Korea cannot live together in marriage. This article discusses the most urgent ways to improve the international marriage system to protect foreign spouses and maintain healthy international marriages by focusing on the U.S. legal system. In details, chapter II introduces the U.S. family relationship registration system and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settlement support system. Chapter III briefly examines international marriage-related laws in Korea. Chapter IV discusses problems with Korea’s current international marriage system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in the three areas below. First of all, as a matter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in order for foreign spouses to be provided with accurat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ir Korean spouses, which can influence their choice of marriage partner, this article propose the following four improvement measures. First, by mandating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to provide the foreign spouse who is a party to an international marriag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Korean spouse that may influence the selection of a marriage partner, domestic violence that occurs against a foreign spouse who is married or engaged to a Korean spouse is prevented. Second, becaus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rties involved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is very sensitive information to each individual, it is reasonable to directly stipulate in the Marriage Brokerage Act that the parties to an international marriage are also required to prohibit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other party. Third, it imposes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for non-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uty of care o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Fourth, it is to make public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parties. Next is the problem area related to the domestic immigration visa system. If the U.S. fiancé visa (K1) system is introduced, it would be reasonable to use the fiancé visa system to enter the country and complete the marriage ceremony and marriage registration after sufficiently exchanging information and building trust between the prospective spouses. Lastly, there is the area of support for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one-stop career center system supported by the Arkansas Department of Labor to provide service support such as language education, legal support, vocational education, and naturalization information to immigrant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In addition, if the court interpretation agency system under the U.S. state courts is introduced in Korea, when a married immigrant files a lawsuit over a green card or divorce issue, she can request free interpretation provided by the court and translate into the foreign spouse’s own language to facilitate the litigation process.

      • KCI등재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의 결혼해체 경험 연구

        채순옥,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5

        This study 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bout the damage experience from marital dissolution of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 but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experience of marital dissolution of Korean men vividly and clearly in the position of Korean men who selected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is, this study had in-depth interviews with 13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 motive of international marriage, psychological phenomenon for dissolution process of marriage, and their lives after dissolution of marri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the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Korean men who experienced marital dissolution after international marriage first selected international marriage with desperate hope for a happy family unlike the existing results that Korean men selected international marriage for instrumental purpose. But they experienced marital dissolution due to the reasons of wife's elopement, extramarital affair and the return to their countries with no entry to Korea. And due to marital dissolution,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complex negative feelings and physical symptoms such as a sense of loss, despair, powerlessness, shame, fear, resentment, guilty. In particular,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had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depression and anger experiences about their country, society, the press and international matchmaking agencies in the process of dissolution of marriage. This study revealed that not only immigrant women but also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can be victims.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Korean 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experienced pains for marriage dissolution and wills for recovery simultaneously after dissolution of marriage. Based on there results, we suggested discussion and suggestion for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의 결혼해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지금까지 국제결혼 관련 선행연구들은 결혼 이주여성의 입장에서 이루어진 것이 많았으나, 본 연구는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의 결혼해체 경험을 남성의 입장에서 생생하고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한국남성 13명을 대상으로 국제결혼을 선택한 동기와 결혼해체과정에서의 심리적 현상, 결혼해체 후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이 이루어졌다. 심층 면담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국제결혼 후 결혼해체를 경험한 한국남성들의 결혼 동기는 국제결혼을 도구적인 목적으로 선택한다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달리 일반적인 남성들과 동일하게 행복한 가정에 대한 간절한 소망을 가지고 국제결혼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아내의 가출, 외도, 본국으로의 귀국, 미 입국 등의 사유로 결혼이 해체되었고, 이로 인해 상실감, 절망감, 무력감, 수치심, 두려움, 원망감, 자책감 등의 매우 복합적인 부정적 감정과 신체적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은 결혼해체를 통해 국가와 사회, 언론과 결혼중개업체에 대한 강렬한 억울함과 분노감을 경험하는 것이 매우 특징적인 현상으로 드러났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결혼 이주여성만이 피해자가 아니라 국제결혼을 한 한국남성들 역시 피해자일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국제결혼 한국남성들은 결혼해체 이후에 결혼해체의 고통 속에서 시간이 경과하며 회복의 의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국제결혼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김종배(Kim, Jong-Bae),엄인숙(Um, In-Sook) 한국복지행정학회 2011 복지행정논총 Vol.21 No.1

        한국사회는 국제적 지위향상, 세계화 및 외국과의 빈번한 교류,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정보공유의 확산 등으로 국내와 인구이동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인과 결혼하는 국제결혼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에 관한 조사 연구이며 2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SPSS 14.0을 사용하였다. 통계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들의 국제결혼에 관한 인식은 6개의 하위요인으로 조사하였으며 6개의 하위요인은 국제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 농촌남성의 국제결혼에 대한 인식, 단일민족에 대한 인식, 혼혈아에 대한 인식, 국제결혼에 대한 인식, 국제결혼부부갈등에 대한 인식 등 이었다. 통계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은 국제결혼에 대해서 부정적이지 않지만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로서 국제결혼에 관련된 이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about internatioal marriag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297, which makes it possible to do statistical inferences. As statistical methods, factor analysis, frequencies analysis with SPSS 10.0 is use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about internatioal marriage appear six sub-factor. These are recognition about a homogeneous nation , recognition about internatioal marriage migrant women , recognition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of man who lives rural , recognition about child of mixed blood , recognition about a married couple complications after international marriage , recognition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 From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negatively recognize about internatioal marriage migrant women, the other side positively recognize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As university students importantly recognized the principle of personal jurisdiction, recognized that child of mixed blood are difficult a growth in Korea. Given tho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me assistance policies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 KCI등재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해석과 국제결혼중개업의 공익화 방안에 대한 연구

        박흥식(Heungsik Par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2

        다문화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결혼이민자의 문제는 국가의 현재와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그것이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이를 장려할 것인가 아니면 제한할 것인가에 대한 국가의 기본적인 정책방향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결혼이민자의 유입원인과 경과 및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결혼이민자의 문제는 소극적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밝히고, 이러한 논거 아래 매매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결혼중개업자의 국제결혼중개행위가 사실상 현행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위반하는 것으로서 허용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점을 밝혔다. 다만 모든 국제결혼중개행위 자체를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결혼중개를 비영리 사단법인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국제결혼중개업을 공익화하고 이들 공익화된 단체로 하여금 국제결혼을 중개하도록 함으로써 국제결혼의 건전화와 더 나아가 다문화 정책의 정상화를 실현하여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편 이러한 국제결혼중개의 공익화 방안은 이미 우리나와 유사한 결혼이민자 유입문제를 경험한 대만에서 먼저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대만의 사례에 대하여 살펴본 후, 우리나라에의 적용방안에 대하여도 제안을 하였다. The problems that immigrants by marriage bring to multicultural policies are critical in determining Korea’s past and present. Thus, although scrutinizing the issue may be considered as invasion of privacy, the fact that whether immigrants by marriage should be encouraged or restricted needs to be established in basic direction of nation policy. This study points out the causes and progressions of importation of immigrant by marriage and the evaluation of each cause and progression. Under these main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in that the issue over immigration by marriage should be continuously treated passively, and that international marriage for-profit businesses brokerage should not be permitted, because it violates the Marriage Brokerage Business Manage Act. However, the prohibi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business should be only limited to for-profit businesses. In addition, the study emphasizes that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must be controll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in which the non-profit organizations should be putting forth to promote public interests for international marriage and normalizing the multicultural policies. Meanwhile, as the study cites that Taiwan has already put the policy of garnering public interests i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issue into practice, the study supports the need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marriage system in Taiwan and find ways to apply the policy to Korea.

      • KCI우수등재

        혼인중개계약의 효력과 국제결혼관리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孫京贊 ( Son Kyoung Chan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5

        이 연구는 혼인중개계약의 효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국제결혼 관리제도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고민해 본 연구이다. 혼인중개계약은 현행 민법상 전형계약은 아니다. 다만 민법개정안에서는 독일·스위스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중개계약을 규정하였지만, 혼인중개계약은 논의 끝에 개정안에서 제외되었다. 그래서 민법상 위임의 규정과 약관규제법의 조문에 의해 혼인 중개계약의 효력이 인정되었다. 그러다 2007년 결혼중개업법이 제정되었으며, 혼인중개계약(특히 국제결혼중개계약)은 국가의 관리·감독을 받게 되었다. 문제는 한국의 결혼중개업법상 영리목적의 국제결혼중개계약은 유효한데 반하여, 베트남·중국 등에서는 영리목적의 국제결혼중개계약은 불법이며, 만약 이를 위반할 경우 중개업자들을 형사 처벌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법의 준거법공서 이론을 적용가능하다. 즉 ① 국제결혼 중개계약의 효력을 판단하는 준거법은 저촉규범에 의해 해결되며, ② 준거법은 일단 베트남법·중국법이 되지만, ③ 베트남법 등이 대한민국의 공서양속에 반한다면, 베트남법의 적용을 배제하고 법정지인 대한민국의 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④ 결혼중개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공서위반이 될 수 있으므로, ⑤ 한국의 결혼중개업법을 적용하여 원칙적으로 유효하다. 따라서 반사회질서 법률행위가 아닌 한 혼인중개계약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유효한 것이다. 2007년 결혼중개업법이 제정된 이후 국제결혼 관리제도는 계속하여 규제강화·처벌강화 기조를 유지하였다. 특히 신상정보의 제공, 중개업자의 등록제도, 1억 원 자본금 요건, 시설기준 요구, 중개업자 교육제도 등은 국제결혼의 부작용을 최소화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신상정보 제공을 ‘맞선 시’에 강제하는 것은 국제결혼의 실무와 맞지 않고, 개인정보침해 소지가 있으며, 혼인증명서에 신랑의 이름을 요구하는 베트남 현지법과의 모순 충돌 가능성이 있어 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제결혼 단계를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로 2원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맞선단계’에서는 ‘개인신상정보확인서’만 제공하고, ‘혼인단계’에서 개인정보의 원본과 번역본을 제공하는 것으로 개정해야 한다. 이와 함께 한국인 남성이 최소 2번은 외국으로 출국하여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법제화해야 한다. 국제결혼 총비용도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약관을 개정하여 ‘맞선단계’의 비용과 ‘혼인단계’의 비용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국제결혼중개업을 국가가 공인하여 국제결혼중개사라는 합법적인 직업을 인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2014년 이후 출입국관리법상 결혼이민 사증(F-6) 심사기준이 강화되었다. 여기서 한국인 남성의 소득요건 및 주거요건이 추가되었고, 외국인 여성의 한국어 능력도 요구되었다. 하지만 ‘초청인이 최근 5년 이내에 다른 배우자를 초청하면’ 사증 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는 법조문은 개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외국인 배우자의 귀책사유에 의한 이혼의 경우 한국인 남성에게 피해를 줄 수 있고, 또한 이 규정은 헌법 정신에 반하는 위헌적인 규정이다. 그리고 약혼자 비자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결혼중개제도를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로 구분하는 것과 연계하여, 맞선을 보고 혼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약혼자 비자로 한국을 방문할 수 있다면 국제결혼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묘안이다. 이제는 우리가 국제결혼의 관리 제도를 규제의 ‘강화’와 ‘완화’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접근할 때이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f marriage mediation contract and to suggest the reasonable improvement plan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not a typical contract under civil law. Although the mediation contract has been regulated referring to German and Swiss law in a civil law amendment, marriage mediation contract has been excluded in the revised version after the discussion. Therefore, the effect of the marriage mediation contract was recognized by the provisions of civil delegation and the provisions of Act On The Regulation Of Standardized Contracts. Then, in 2007,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has been established and marriage mediation contract, especially international marriage mediation contract, became under the control and supervision of the country. The problem is the difference in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Although the international marriage mediation contract for commercial purpose is valid in Korea according to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it is illegal in Vietnam, China, and other countries and the mediating agents can receive criminal punishmen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ing law theory of the international private law can be applied. In other words, ① the governing law to judg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mediation contract can be solved by rules of conflict of laws and ② the governing law becomes Vietnamese or Chinese law. ③ But if those laws violate the public orders and good faiths of Republic of Korea, the law of Republic of Korea is applied instead of the law of Vietnamese or Chinese. ④ Prohibiting marriage brokerage can violate the public orders and good faiths, ⑤ so the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effective in principle according to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Therefore, as long as it is not an contra bonos mores, the effect of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valid as a rule. After the establishment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in 2007,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kept strengthening the regulation and punishment. In particular, the Regulations on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policy of brokers, requirement of minimum capital of 100 million won, facility standard requirements and broker education system are meaningful in that they minimize side effects of international marriage. However, obligating the Regulations on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at the timing of ‘first meeting’ dose not coincide with the actual international marriage and it may have privacy issues as well as potential conflict with Vietnam’s local law, which requires the groom’s name in the marriage certificate. Therefore, the international marriage process need to be divided into two stages: ‘meeting stage’ and ‘marriage stage’. In ‘meeting stage’, only ‘confirm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nd in ‘marriage stage’, the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gether with this, it should be under law that Korean man must fly overseas at least twice at ‘meeting stage’ and ‘marriage stage.’ In addition, it makes sense to separate the total costs into the costs of the ‘meeting stage’ and the costs of the ‘marriage stage’ by revising the standard agreement of Fare Trade Commission.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country to recognize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and to recognize a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 as a legal occupation. Since 2014, the immigration law has strengthened the criteria for screening marriage immigrant visas (F-6). Income and housing requirements for Korean man were added, and the Korean language skills were also required for foreign woman. However, the legal provisions that refuse to issue a visa ‘if the inviter invites another spouse within the last five years’ need to be revised. If a divorce is caused by a foreign spouse’s fault, it will harm the Korean male, and this provision is unconstitutional agains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nd fiance visa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In connection with dividing the marriage brokerage process into the "meeting stage" and the "marriage stage," it is an idea to minimize the risk of international marriages if the foreign women can visit Korea on a fiance vis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marriage. Now, we should not approach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in terms of 'reinforcement' and 'relaxation' of regulation, but should consider and approach what is 'reasonable' improvement plan.

      • KCI등재

        결혼 이주여성의 인권 실태와 한국 법제도 현황에 대한 검토

        소라미(Rami So)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法學論叢 Vol.16 No.2

        국내 전체 결혼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3.7%, 2003년 8.4%, 2005년 13.6%로 급증하고 있다. 결혼 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통계를 보면 베트남 여성과의 결혼이 2001년 1.3%, 2003년 7.3%, 2005년 18.7%, 2006년 33.5%로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특징을 갖는다. 베트남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비약적으로 증가한 이유로 "국제결혼 중개업체의 활약"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농어민 국제결혼 비용 지원 사업"의 활약"을 들 수 있다. 2005년 보건복지가족부의 실태조사 결과 결혼 이주여성 10명 중 한명은 남편으로부터 구타당하거나 성행위를 강요받은 경험이 있으나 약 30%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그냥 참고 산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이주여성은 한국 국적취득 전까지는 '외국인'의 신분으로 국적 취득 전에 이혼을 하면 본국으로 귀국해야하거나 불법 체류자로 전락할 불안정한 신분 상태에 놓여있다. 법적 지위가 안정적으로 보장되지 않는 한 결혼이주여성은 가정폭력 피해를 말할 수 없는 것이다. 국제결혼 중개는 최대 이윤의 추구라는 자본주의의 논리에 의해 작동 되고 있다. 중개 구조 안에서 이주여성은 통제와 강요, 협박, 부채예속, 착취에 노출될 위험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손쉬운 이윤창출이 가능한 시장으로 인식되면서 국제결혼 중개업체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국제결혼 중개업체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촉구됨에 따라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이 제정되어 2008년 6월부터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법은 '상대방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지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입증책임을 완화하거나, 결혼중개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였음을 입증하도록 입증책임을 전환하는 규정이 보완되지 않는다면 결혼중개업체로부터 피해를 입은 결혼이주여성이 국내 법적 절차를 통해 피해를 구제받기란 요원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신매매적 국제결혼을 뿌리 뽑고 이주여성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국제결혼 중개업자에게 '합법'이라는 날개를 달아 문제적 국제결혼 중개행위를 더욱 조장한다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시급한 법개정이 필요할 것이다. 2007.6. 기준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약 25%가 "농어민 국제결혼비용 지원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농어민 국제결혼 비용지원 사업'은 국제결혼 중개업체에 의한 국제결혼이 상대방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제공과 여성을 상품화하는 진행방식으로 인권침해가 심각한데도 지방정부가 규제는커녕 오히려 앞장서서 한국의 남성들을 "인신매매"적인 국제결혼으로 내몰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한 사회의 인권지수가 그 나라에서 가장 차별받는 계층의 인권실태로 가름할 수 있다고 한다면 국제결혼 이주 여성이야말로 '이주민'으로, '여성'으로, '빈곤층'으로 겹겹으로 차별받는 계층이라는 점에서 우리사회의 인권잣대라 할 것이다. 2007년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와 인종차별철폐위원회의 권고를 받아 안아 국제결혼의 성립과 정착의 전 진행과정이 국제 사회의 인권의 기준에 부합하도록 법.제도를 정비해나가야 할 것이다. The statistical data demonstrates a rapid increment in the 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since 2000. International marriages of foreign women with Korean men take absolutely large portion of whole cases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 feminization of marital migration), and especially the number of Vietnamese brides has evidently increased A swift augment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ith Vietnamese women attributes to the "International marriage subsidy program for fanners and fisbennen (hereafter, the Program)" led by local govenunents and the role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system. In order to induce as many Korean men as possible, brokers employ a variety of media, both online and offline, such as harmers, newspaper advertisements, internet web site and so forth. In this process, sexually and racially discriminatory advertisements are prevalent. No information on husband is provided to a foreign bride until the moment that she is finally selected by a Korean husband. Even though a brief profile of husband is provided after a bride has been selected, in many cases, such infonnation is not correct. During the meeting, one Korean man chooses one woman among about 100 to 200 candidates, which is very much like a beauty contest. Current pro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holds "human-trafficking"character as being defined in international law. The brokering process is composed of recruiting, accommodating, managing and controlling women and transferring them through an organized network. As a result, in many cases, women are compelled to marry the partner against their own will. As of June '2007, the Program is currently in operation in 3 metropolitan cities and 60 cities and counties. Especially, 24% of 246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are implementing this policy. Among 59 cities and counties, 54 local govermnents have allocated much more budget, for a certain case as 38 times more at most, on the subsidy for international marriage than on the supplementary living allowance for settlement support of marital migrant woman and her family. The Program results in guaranteeing profits to brokers.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migrant women at this moment is in a grave situation due to the provision of incorrect information on partner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women. Nevertheless, local govermnents are rather encouraging international marriage that takes on a human trafficking character than regulating brokering agencies that infringe human rights. The govermnent shall devise a strong criminal punishment law against human rights-violative practices per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in order to regulate, prosecute and punish such practices occurring on the border of human trafficking and migration. By imposing a heavy punishmen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transparent and human rights-friendly procedure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A more fundamental countermeasure shall be prepared to eradicate the human trafficking-like international marriage and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migrant women. As the fundamental measure, the Protocol shall be firstly ratified, and the ratified Protocol should provide a legal base for making a domestic law to prevent human trafficking.

      • 국제결혼 이주여성 한부모가정에 관한 고찰

        정지윤(Jeong, Ji-Yun)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11 한국한부모가정학 Vol.4 No.1

        오늘날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그들의 이혼율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에 대해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연구들을 분석하여,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이혼을 야기 시키는 원인 및 이혼 후의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고, 이혼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과 정책적 제언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율을 살펴보면, 2002년 국제결혼가정의 이혼은 1,744건으로 국내 전체 이혼 144,910건에서 1.2%로 낮았지만 2005년 3.3%로 증가하였고, 2008년 9.7%, 2010년에도 9.6%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의사를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사회경제적 특성, 부부관계 특성,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개인적 특성, 사회적 지지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이혼 후의 어려움으로는 경제적 문제, 심리·정서적 문제, 자녀양육 문제, 사회인식 문제(편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 예방 대책과 제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부갈등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권을 위해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시민권을 획득하기 이전에 이혼 했을 시 다른 법적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망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국제결혼 이주여성 한부모와 그 자녀들이 지역사회 주민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주민들과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을 마련해 이들이 한국사회로부터 고립되거나 위축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se days, as migrant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re continuously on the rise, the rate of their divorces is also increasing. This phenomenon poses a serious social problem. Accordingly,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studies conducted up to now on the divorce of international migrant women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m. Furthermore, attempts are made to see what causes divorce an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wake of divorce. Also some suggestions are made to prevent divorce and to establish some positive policies. By and large, the major factors of migrant women's decision to seek divorce are grouped int the follow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usband-wife relations characteristics, migrant wom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network, etc.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facing divorced migrant women can be sorted out as follows: economic problem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child-raising problems, social recognition problems (prejudices), etc. Some measures for preventing divorce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the divorce of international migrant women, there should be some ways to alleviate husband-wife conflicts. Second, when international migrant women get divorced before they become Korean citizens, there should be different legal devices. Third, a social support network for international migrant women should be in place. Fourth,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should organize a variety of events and programs where they can get mingled with local residents, so that they do not feel alienated or isolated from Korean society.

      • 국제결혼 다문화 이주여성의 인권 보호 방안

        김기현(Gi-Hyeon Kim)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0 인권복지연구 Vol.- No.7

        한국사회는 1990년대 이후 청년층 남녀 성비의 불균형, 농촌과 도시간의 사회문화적 격차, 저출산 등 농촌 인구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한 비정상적 국제결혼이 증가해 왔다. 인구감소의 위기 속에서 연간 결혼의 10%이상을 차지하는 국제결 혼을 받아들이고 있으면서도 아직 외국인을 포용하는 사회제도 와 국민의식은 아직 준비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2000년대 초반 국제결혼의 양적증가 및 결혼중개업에 대한 방치로 여성인권의 문제가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국제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성 상품화나 가정폭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바 있다. 먼저 사회문화적 편견에 의한 인권 문제이다. 언어소통 부족으로 겪는 차별 속에 적응이 어려울 수밖에 없으며, 빠른 시일 내에 혼인이 이루어짐으로써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기 보다는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맞춰 나가길 바라는 갈등 등에서 오는 인권 침해가 있다. 또한, 이주여성의 인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는 바로 국제결혼 중개업체를 통한 국제결혼이다. 이들을 통해 국제결혼을 하는 경우 대부분이 돈을 지불하였는데 이로 인해 여성의 상품화가 심화되는 문제로 이주이후 결혼생활 등에 서 오는 인권 침해가 있다. 향후 국제결혼이 이루어지는 형태가 지금과 같이 유지되거나 인권유린에 대해 적절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여전히 다문화 여서의 국제결혼에 있어 인권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남아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인권침해 해소를 위해서는 법적제도개선을 통한 해소와 사회문화적 해소방안, 사회적 여건개선을 통한 인권보호방안대책을 마련해서 정책적으로 추진해나가야 할 것이다 . Since 1990's the abnormal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increased due to unbalance of gender ratios among the young population, widening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lower birthrate and other problems of the agricultural society. Amid the sense of crisis for decreasing population, the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accounted for more than 10% every year, but our social systems and peoples' consciousness still have to embrace the foreigners married to Koreans. Since early 2000's, the international marriages began to increase rapidly, while the marriage broker businesses have remained unsupervised. The result has been increasing infringements on foreign women's human rights. Many preceding studies have raised the question that the e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men have been victims of sexual commercialization or intra-family violence. Above all, emigrant women's human rights have been infringed upon due to some socio-cultural prejudice. Because of the linguistic problem and the social discrimination combined, foreign women can hardly be adapted to the Korean society. As they marry the Korean men very quickly, the heterogeneous couples can seldom understand each other's culture. In short, foreign women are forced to adapt themselves to the Korean culture, causing various conflicts and having their human rights infringed upon. In addition,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ir human rights is the fact that they have married Korean men through agency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 businesses. When they are introduced to Korean men, most of them pay some money for the brokerage, which serves to commercialize women and cause the marital conflicts later. If the paths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s remain unchanged or if a proper mechanism should not be arranged to protect foreign women's human rights, infringement upon their human right will remain a serious social issue. Accordingly, in order to remedy infringements upon emigrant women's human rights,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the legal systems, improve our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reby, solve the problems with effective policies.

      •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윤경희,박상주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1 경찰학논총 Vol.6 No.2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자신이 처한 인구사회학적 조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반인에 비해 스스로 범죄피해자가 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결혼과정에서 결혼중개업소에 의한 사기, 가정폭력, 임금착취 등의 범죄에 대한 직·간접적 피해경험으로 인하여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대해 관련되는 이론적 조망에 기초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제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연령과 직업, 거주 지역, 국적 취득여부, 결혼기간, 결혼 동기 및 경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금까지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적 측면에 대한 전체적인 실태조사 내지는 지원 연구는 존재하지만, 범죄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이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정도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인식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최초의 사전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니며, 이를 통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 및 인식에 대한 향후 쟁점을 부여하는데 대한 파생논의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