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웨슬리의 구원론 탐구 ― 그의 인간론의 관점에서

        최승태 ( Choi¸ Seungtae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4 No.-

        구원론은 초대교회부터 지금까지 기독교 신학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어진 분야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구원론은 여타의 교리들, 신론, 창조론, 인간론, 기독론, 성령론, 교회론, 종말론 등을 수렴하는 핵심적인 교리가 된다. 인간이 죄를 지은 이래로, 성서의 초점이 인간의 구원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원을 뺀다면, 기독교의 다른 교리들은 의미를 상실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성서는 구원의 현재뿐 아니라, 미래의 완성에 대한 비전까지 제시하고 있다. 성서적 구원관이 현재뿐 아니라, 미래적인 의미를 갖는다면, 구원은 하나의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지점에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거기에서 시작되어 살아있는 동안 계속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성서가 제시하는 구원의 특징이고, 웨슬리는 구원의 이런 특징을 가장 잘 이해한 신학자이다. 그래서 그는 어느 신학자보다도 “구원의 질서”라는 이름으로 구원의 전 과정을 세밀하게 전개한다. 웨슬리가 구원론을 세밀하게 전개하는 토대는 인간의 죄 성에 있다. 이것은 그가 인간에 대한 성서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그는 성서의 가르침대로 인간이 원죄를 지닌 죄인으로 태어난다는 점을 확실하게 선포했다. 인간은 죄를 지어서 죄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죄인이기에 죄를 짓는 존재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웨슬리는 모든 사람이 죄 안에 있으므로 구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것이다. 그러므로 웨슬리의 구원론은 천로역정의 주인공처럼, 죄의 심연에 빠진 인간이 거기에서 헤어나와 구원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한 편의 드라마를 연상시킨다. 특히 웨슬리는 죄를 죄의 형벌, 죄의 세력, 죄 자체로 분석하여 구분하면서, 칭의와 중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죄 자체에 대한 처리까지를 구원으로 봄으로써, 성화에 무게중심을 둔 구원론을 전개한다. 이처럼 성화에 초점을 맞춘 웨슬리의 구원론은 인간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칭의에 초점을 둠으로써, 믿음과 행위를 배치되는 것으로만 여겼고, 이로 인해 칭의 이후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이 부족하였다. 이것이 오늘 한국교회를 불신의 대상으로 만든 원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인간의 삶 전체와 구원의 과정을 연결시키는 웨슬리의 구원론은 한국교회의 구원론을 수정 혹은 보완해 주어, 한국교회로 신앙적 삶의 차원을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좋은 틀이 되리라 생각된다. If the gospel is the heart of Christianity, and if the gospel sums up the whole of the Bible, we can say that it refers to the doctrine of salvation. For the Bible was made and still exists for salvation. Thus the gospel and salvation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For Wesley, salvation is the greatest important concept of Christianity because he think that the Bible proclaims salvation as the most precious value of all. In this context, salvation about which he speaks is not one sided, but wholistic. For he says that salvation should contain the whole of salvation from prevenient grace through justification and new birth to perfect sanctification. And he develops it in the name of the order of salvation. It is paralleled with the whole process of human life because it should be realized throughout human life. In fact, it is not easy to see theologians who speak about the order of salvation in a great detail like Wesley. Furthermore, his doctrine of salvation maintains the balance between Christology and Pneumatology by emphasizing both the crucified Christ for us, and the Christ indwelling in us, that is, the Holy Spirit. Therefore,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exactly tells us what the gospel is. Thus it is helpful and useful for today's Korean Church which tends to concentrate on Justification and to overlook the whole process of human life. So I believe that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can correct and supplement the wrong salvation theory of Korean church. For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harmonizes biblical salvation with life as a whole.

      • KCI등재

        구원 실재에 참여로서의 세례의 회복 문제

        한재동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1

        본고는 세례의 초기교회적 의미를 현대교회의 맥락에서 회복하는 문제를 다룬다. 본고는 이 주제가 고대교회 의 구원론과 현대교회의 구원론 사이의 괴리와 연결된 문제임을 보여 준다. 즉 세례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 제는 현대교회가 가벼이 여기는 한갓 의례관련 문제만이 아니라 기독교 신학의 대들보에 해당하는 주제에 불 가피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는 것이다. 신약성경과 초기교회 전통은 구원을 세례와 분리시켜 생각하지 않았 다는 것이 명백하며 이 전통은 중세는 물론 종교개혁에도 이어졌다. 구원과 세례의 고대적 연결이란 구원을 세 례를 통해 주어지는 것, 다시 말해 세례가 드러내는 특별한 조건에 의해 참여되는 것으로 이해했다는 것을 의 미한다. 필자는 세례가 드러내는 특별한 구원의 조건을 자연성과 초자연성의 만남과 연합으로 본다. 즉 구원은 자연적인 것(물질과 몸)과 초자연적인 것(영적 및 신적인 것)이 실재적으로 연합에 참여하는 것이란 것이다. 세례는 이 같은 구원의 조건과 실재를 단순한 말보다 더 포괄적이고 실질적으로 드러내며 그렇기 때문에 또한 구원의 실재에 말보다 더 전인적이고 실질적으로 참여케 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세례는 사실상 구원과 무관한 전통적 의례로 전락하였다. 자유주의 진영에서는 구원의 초자연적 실재를 인정하지 않는 신학적 맥락에서 그렇고,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구원의 초자연적 실재를 인정 하지만 그 실현의 현실적 맥락으로서의 자연성의 역할을 무시하기 때문에 그렇다. 즉 양쪽 모두에서 세례가 구 원의 실재에 참여하는 수단으로서 인정되지 못하는 것은 단지 세례 예식의 이해 문제만이 아니라 보다 심각한 구원의 이해에 대한 현대적 이해의 오류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같은 현대적 오류의 배후에 근대주의 적 발상과 영향이 있음을 본다. 즉 초자연성을 거부하는 자연주의적 발상과 교회의 우주적이고 실재적인 차원 을 무시하는 주관적 개인주의의 경향이다. 이에 대한 치유책은 세례를 구원의 실재에 참여하는 수단으로 보는 고대교회의 이해와 실천을 회복하는 데서 찾을 수 있음을 필자는 주장한다. 신학적 오류에 의해 본래의 의미와 역할을 상실한 의례적 형식이지만 왜곡된 신학을 바로 잡기 위해 의례적 형식의 본래적 의도의 이해와 실천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고대적 세례교육과정의 회복과 세례식에서 침수례(immersion)와 거절(apotaxis)-귀속(syntaxis)의 의례를 회복시킬 것을 필자는 권장한다. 요컨대 기도의 법(lex orandi)을 무 시한 믿음의 법(lex credendi)의 왜곡을 기도의 법의 회복을 통해 바로 잡을 필요를 본고는 제안하는 것이다. The article treats the matter of restoring the early church’s baptismal meaning in our contemporary contexts. It shows that this subject is related to the estrangement between the ancient church’s soteriology and the modern one. That is, the matter of how to understand baptism is not a mere ritualistic problem, of which the modern church does not make much, but a more significant one to inevitably influence a mainstay-level subject of Christian theology. It is apparent that the New Testament and the early church tradition did not consider salvation and baptism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the tradition continued not only in the middle age but also in the Reformation period. The ancient connection of salvation and baptism meant that salvation is given through baptism, in other words, taken part in by meeting the special conditions revealed through baptism. The author views that the special condition revealed through baptism is the encounter and union between the natural and the supernatural. That is, salvation is to participate in the realistic dimension of the union between the natural (matter and body) and the supernatural (the spiritual and the divine). Baptism is a means to disclose the salvific condition and reality in more comprehensive and substantial mode than mere verbal words and so to help participate in the salvific reality in more wholesome and substantial mode than mere words. But baptism has fallen into an insignificant traditional ritual, in fact, unrelated to salvation in the modern era. On the one hand, the liberal camps receive and interpret baptism into the non-traditional theological views, which do not acknowledge the supernatural reality of salvation, and on the other, the evangelical camps, while acknowledging the supernatural reality of salvation, ignore the role of the natural as the actual context. That baptism is not accepted as means to participate in the salvific reality does not imply a mere ritualistic problem of baptismal ceremony but a more serious problem of a modern distorted understanding of salvation. The author observes a modernistic view and influence in the background of that contemporary fallacy. This is the naturalistic view, which denies the supernatural, and subjective individualism, which ignores the universal and realistic dimension of the church. The curing method for it is, the author claims, found in restoring the anci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at regards baptism as means to participate in the reality of salvation. While theological fallacies distort the original meaning and role of the ritual form, the repair of distorted theology is possible by restoring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at ritual form. Especially, the restoration of the ancient catechetical process and the practice of immersion and renunciation-submission (apotaxis-syntaxis) is recommended. In sum,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distortion of the law of faith (lex credendi) through ignoring the law of prayer (lex orandi) should be repaired by the restoration of the law of prayer in terms of the latter’s legitimate understanding and practising.

      • “오직 그리스도만이”

        김균진(Kim Kyuun Jin) 혜암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교회 Vol.8 No.-

        중세기 스콜라 신학을 충실히 공부하였던 수도사 루터는 그에게 영향을 준 옥캄의 유명론의 세미펠라기아니즘의 구원론을 거부하고, 바울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론에 눈을 뜨게 된다. “탑 속의 체험”에 얻은 그의 확신에 따르면 비록 세례를 받고 죄 용서를 얻었다 할지라도 인간의 마음 깊은 곳에는 죄의 욕망(concuspicentia)이 숨어 있다. 그러므로 비록 성인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업적을 통하여 인간은 구원에 이를 수 없다. 구원의 길은 “하나님의 지혜”이신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안에 있다.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구원자다. 이 같은 통찰을 통해 루터의 구원론은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 곧 칭의론으로 전개된다.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은 그 속에 사회 정치적 함의를 가진다. 오직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구원자요, 그의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길은 신자들의 믿음에 있다면, 구원의 중재자인 성직자 계급과 교황체제가 무너지게 된다. 그 당시 유럽 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사회 정치적 세력이 무너진다. 바로 여기에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의 사회 정치적 의미가 있다. Martin Luther, who studied in his time as a young monk the scholastic theology of the Middle Age very throughly, was influenced by semipelagianistic soteriology of the nominalism of Occam. But through his very concentrated study in Bible as Bible Professor he accepted the theological insights of the Apostel Paul and Augustinus into justification “sola gratia,” “sola fide” and “solo Christo.” He turned from the soteriology of Semipelagianism to the soteriology on Jesus Christ grounded. For Luther Jesus Christ crucified only (Solus Christus) was the Saviour and the head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When the Christians get their salvation only through their faith from Jesus Christ personally, the special class of the clericals as the mediators of salvation between God and men is abolished. In the Middle Age it was the greatest revolution as well in religious dimension as in the social, political dimension. Here is the social and political meaning of Luther’s soteriology on the crucified Christ grounded.

      • KCI등재

        호세아서에 나타난 구원신탁 연구

        김래용(Kim, Rae-Yo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0

        이 논문은 호세아서에서 심판신탁과 짝을 이루어 나타나는 5개의 구원신탁(호 1:10-2:1; 2:14-23; 6:1-3; 11:8-11; 14:4-8)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의 위치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이들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 번째 구원신탁은 그 내용과 위치를 고려할 때 호세아서의 서론 역할보다는 12소예언서의 전체적인 서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나머지 4개의 구원신탁은 하나의 연결된 스토리를 구성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 두 번째 구원신탁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구원 받을 자의 자격을 논하고 있으며, 세 번째 구원신탁은 이러한 자격을 입은 자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고, 네 번째 구원신탁은 앞의 두 개의 단계를 거친 자들에게 임하는 실질적인 축복이 제시된다. 그리고 마지막 구원신탁은 이러한 과정을 통과한 자들에게 아주 큰 번영이 임할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4개의 구원신탁은 구원의 단계를 점층적으로 전개하는 완벽한 스토리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마지막 구원신탁에 언급된 “내가 다시 우상과 무슨 상관이 있으리요”라는 백성들의 고백은 바알의 문제로 시작된 호세아서가 바알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호세아서에 나타나는 5개의 구원신탁은 호세아와 그 이후 시대의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구원이 어떻게 시작되며 진행되어 가는지를 제시하는 교훈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5개의 구원신탁은 현대교회의 신앙 교육을 위한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five oracles of salvation(Hosea 1:10-2:1; 2:14-23; 6:1-3; 11:8-11; 14:4-8) which are composed of a pair with the five oracles of judgment in the book of Hosea. For this, I will analyse their languages, syntax, contents, and structures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the last part, I will compare the oracles related to Judah with the five oracles for checking their functions. The five oracles of salvation have their characteristics and roles. The first oracle has the subjects such as reunion between Judah and Israel, one leader for the two kingdoms and the return of exile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Hosea's historical situations. Furthermore, the book of Hosea is placed in the first place of the Book of the Twelve. Accordingly, the first oracle seems to serve as an example of salvation messages for the later prophets in the Book. The oracles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seem to make a continuous story. The second oracle mentions the people who make a new covenant with God. They become the object of salvation. The third oracle mentions the instructions that the people who make a covenant with God should keep for the life as God's covenant people. The fourth oracle mentions the blessing for God's covenant people. And the fifth oracle mentions the prosperity for God's covenant people. Further, there is a people's confession, “What more have I to do with idols?”(Hosea 14:8).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book of Hosea. That is, this shows a fact that the book of Hosea begins with the problems of Baal, and the problems are solved by the people's confession like this. In this regard, the five oracles show the steps of God's salvation to the people of Hosea period or the later prophets' period. Accordingly, they might serve as a good guideline for faith education of modern churches.

      • KCI등재

        다종교 사회를 위한 신약성서의 구원론 -반-인식론적(semi-epistemic) 구원론을 중심으로

        김충연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1

        Die Welt bzw. koreanische Geselschaft ist schon in die kulturelle und religiöse Vielfalt eingegangen. Aber das koreanische Christentum halten noch exklusive Züge fest, obwohl die Gesellschat die Hamonie miteinander fordert. Das Christentum muss nun mit anderen Religionen ohne die Dissonanz koexistieren. Dafür wird die biblische Auflösung gebrauchen, die anderen Leute respektieren und miteinander zusammenleben können. Was ich per diese Forschung vorschlagen würde, ist die halbepistemische Soteriologie, die die Menschen den Plan bzw. den Wille des Gottes usw. nicht perpekt sondern nur teilweise erkennen können. D.h. die Menschen müssen anerkennen, die absolute Wahrheit und die Rettung Gottes usw. nur teilweise zu erkennen. Ich habe unter dieser Methode (Halb-epistemische Soteriologie) 3 Thesen subordiniert. Erstens ist die Unerwartung der Rettung, die die Rettung unerwartet eingegangen wird, als man denkt. z.B. Lk. 10:25-37; 16:19-31; 18:18-30; 19:1-10. Zweitens, ist die Zugehörigkeit der Rettung, die die Rettung nur dem Gott gehört und der einzige Bereich des Gottes. z.B. Die Offb. 7:10; 19:1 und Jak. 4:11-13. Drittens ist das Unverständnis der Rettung, die Menschen der Plan der Rettung Gottes unerkennen können. z.B. 1.Kor 13:9-13; Apg. 17:16-34. Mit diesen Texten können wir ausser der absoluten Soteriologie die andere Variante der Rettung in der Bibel finden. Wir müssen einerseits das eigene christliche Identität nicht verlieren aber zugleich anderseits die Variante des Soteriologie Gottes in den anderen Kulturen und Religionen nicht beschränken. 세계가 이미 국제화/다문화로 가고 있는 흐름을 따라 한국 사회도 다종교/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행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변화의 요구 속에서도 기독교는 기존의 배타적 성향이 강한 구원론으로 인해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맞는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기독교는 더 이상 한국 사회의 또 다른 일원인 이웃종교인들과 불협화음을일으키며 사회적 불화의 근원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다종교/다문화 사회 속에서 서로 융합되어 상생할 수 있고, 서로 존중할 수 있는 새로운 성서적 대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성서적 대안은 반 인식론적 구원론이다. 이 개념은 ‘반’(半)의 의미를 갖은 semi와 ‘지식’과 ‘인식’의 의미를 갖은 epistemic의합성어이다. 반-인식론(半認識論)은 인식론(Epistemology)의 한 부분으로 우리가 절대자, 신에 대하여 전부 알 수 없음을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론적으로 해석하면, 인간은 신 또는 절대적 가치(본 연구에서는‘구원’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려한다)의 지식에 대하여(전부가 아닌 일부 혹서 시작한다. 이것은 다시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 구원이 일반인의 생각과 다르게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구원의 의외성(意外性)’이다. 여기에는 누가복음의 구원에 관한 다섯 가지 에피소드가 속한다. 둘째는 구원은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고유 영역임을 말하는 구원의 귀속성(歸屬性)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본문들은 요한계시록의 본문들(7:10; 19:1) 그리고 야고보서 4:11-13절의 본문들이 속한다. 마지막 세 번째는 한계를지닌 인간의 이성으로는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다 이해할 수 없음을 말하는 구원의 몰이해성(沒理解性)이다. 이에 해당되는 본문으로는 고린도전서13:9-13; 사도행전 17:16-34이다. 이러한 본문들은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우리는 지금껏 신약성서에 나타난 배타적인 구원론만을 강조하였지만 신약성서는 다양한 구원에 관한시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문들을 통해 한편으로는 기독교인으로서 정체성을 잃어서는 안 되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가 기존의 구원론 안에 하나님과 우리 자신을 가두고 있지 않은지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 구원상담

        서영희 성결심리상담연구소 2010 성결심리상담 Vol.2 No.-

        본 연구에서 ‘구원’이란 하나님께로부터 시작되어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진 인간의 죄로 인한 질병과 고통뿐만 아니라 영혼에 대한 전인격적 구원을 의미한다. 결국 구원상담(soul wining counseling)이란 구원의 좀 더 좁은 의미에서, 개인적으로 구원에 대하여 갈등을 느끼고 있거나 또는 말씀을 듣고 구원을 받기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소개함으로써 내담자가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구세주로 영접하여 하나님의 선물인 영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상담으로 정의한다. 구원상담의 내용으로는 개인의 구원을 이루기 위한 믿음, 회개, 입으로 시인하는 구원의 3요소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하기로 결단하는 신앙고백으로 인도해 가는 과정과 함께 회개를 통해 인간의 심각한 죄성, 죄책, 무력함에 대하여 깨닫게 하여 하나님께 죄의 뉘우침과 방향을, 행위 뿐 아니라 내적으로 전환하도록 돕는 전 과정이 포함된다. 구원상담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은 먼저는 내담자의 영혼 상태를 진단하고,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통해 죄인임을 깨닫게 함과 동시에 상담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복음의 메시지를 선포할 수 있어야 하고, 이것에 대해 내담자가 개인적 결단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원상담의 실제적인 방법을 위한 사례 연구를 제시하였다. Salvation in this study means that is from God and only through Jesus Christ to save whole person from not only disease and pain due to the sin including Spirit. Salvation has been attained already and also it is explained as a process of being attained. Ultimately, Soul wining counseling is defined in a narrow viewpoint to introduce the gospel of Christ through the scriptures to the one who struggles for salvation personally as well as to the one who wants to be saved through the scriptures and in results the counselee accepts Christ Jesus as their savior to receive the eternal life as the gift from God. Content of Soul winning counseling contains three components for salvation are the faith for personal salvation, repent and confess through the mouth. That is, through the faith in Christ Jesus, leading the person to welcome Christ as the Savior in the process, together with in repentance to realize the seriousness of sinfulness, guilt, powerlessness and so one can repent of sin in order to help one to be changed from inside out. That is the whole process of Soul winning counseling in this paper. Practicality for Soul winning counseling is a) diagnosis the condition of counselee’s spirit & soul b) to help counselee to realize that they are sinners through their problem as well as the counselor proclaims the gospel of salvation through Christ Jesus c) in response, help counselee to welcome Christ as their savior.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for practical methods of Soul winning counseling at the last session.

      • KCI등재

        믿음, 인간의 행위인가 하나님의 선물인가?

        김충연(Kim, Chung Yeon)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4

        바울은 당시 유대교에서 알려진바 율법의 행위로 구원받는다는 사상에 반대하여 하나님의 ‘은혜로’ 그리고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바울의 사상은 후에 종교개혁가인 루터에 크게 영향을 주어 인간의 행위로 인한 구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와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역설하였으며 지금까지도 기독교의 중요한 구원론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원론은 인간의지의 전적인 타락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오로지 하나님의, 하나님에 의한 구원론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인간의 의지와 역할은 설 곳이 없었다. 그리고 종종 이것을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된 본문이 엡 2:1-10이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8-9절은 오로지 선물로서 값없이 주어진 하나님에 의한 구원을 소개하는 본문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에베소서 저자는 여기서 하나님을 구원의 출처와 출발점(“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으로 제시하면서 동시에 인간의 믿음을(“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이루는 도구로서 제시한다. 전통적으로는 이러한 인간은 믿음 또한 하나님이 주신 선물로 이해하였으나, 이것을 지칭하는 지시대명사 τουτο(8b)는 믿음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앞 문장 전체, 즉 “너희는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를 지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믿음’으로 해석하여 하나님의 선물로 보려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그리고 9절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라는 본문 또한 에베소서 저자가 바울 신학에 근거하여 ‘율법의 행위’를 말하는 것이므로 구원을 받아들이려는 인간의 의지로서의 믿음을 이 ‘행위’로 간주하는 것은 본문 이해에 있어 큰 오해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구원의 제공자요 출발점(starting point)이라면, 인간은 믿음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그 선물인 구원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그 구원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 WCC의 구원론

        이양호(Yang-Ho Lee) 혜암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교회 Vol.10 No.-

        WCC의 구원론은 매우 포괄적이다. WCC는 내세의 구원에도 관심을 가지지만 동시에 현세의 구원에도 관심을 가지며, 개인의 구원에도 관심을 가지지만 동시에 사회와 자연의 구원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WCC는 전통적인 구원론을 주장하지만 동시에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구원론을 주장한다. WCC는 그 동안 교파간의 대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신학적 논쟁으로 분열된 교파들이 상당한 일치에 이르렀다. 단성론자들과의 대화에 있어서는 칼케돈 신조의 표현에 따라 우리의 구원자인 그리스 도의 신성과 인성은 상호 혼합되지 않고 변환되지 않고 분리되지 않고 분활되지 않는다는 데 일치를 보았다. 동서방 교회의 대화에서는 구원은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것이라는 데 대해 일치를 보았으나 filioque 문제에 대해서는 일치를 보지 못했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대화에서는 이신득의론에 상당한 일치를 보았다. 그러나 득의와 성화를 구별할 것인지 아니면 하나로 볼 것인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일치를 보지 못했다. 루터 교회와 개혁 교회 사이의 대화에서는 성찬 론의 차이는 인정하지만 친교를 막을 만한 문제는 아니라고 주장했다. WCC는 개인의 구원뿐만 아니라 사회와 자연의 구원도 주장해 왔다. WCC는 하나님은 단지 인류의 구원을 위해 아들을 보내신 것이 아니며, 또한 우리에게 부분적 구원을 주시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오히려 복음은 창조의 모든 부분을 위한 좋은 소식이며, 우리의 삶과 사회의 모든 면을 위한 좋은 소식이라고 말한다. WCC는 전통적 주장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 이외에 다른 구원의 길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동시에 하나님의 구원의 능력에 제한을 둘 수없다고 말한다. WCC는 타종교 안에서도 성령이 역사하심을 주장한다. 그러나 기독교가 지향하는 구원과 타종교가 지향하는 목표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The soteriology of WCC is very comprehensive. It has a personal, a communal, and a cosmic aspect. WCC emphasizes not only personal salvation but also social salvation. It also insists on the salvation of all things. According to WCC, a focus and concentration only on present realities, with no sense of future hope or judgment, ultimately diminishes the richness of Christianity. According to WCC, the lifegiving Holy Spirit is active in the church and the world. The ongoing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whole of creation affirms that the healing power of God transcends all limits of places and times and is at work inside as well as outside the Christian church transforming humanity and crea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to come. According to WCC, for Christians, salvation is offered by the incarnation, which is the unique expression of God’s saving will and is in a life of unity with Christ.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WCC, we cannot point any other way of salvation than Jesus Christ. However, according to WCC, at the same time, we cannot set limits to the saving power of God. As a result of interreligious dialogue, WCC acknowledges that salvation and the ultimate ends sought by other religions are not the same things.

      • KCI등재

        성도의 악행과 구원: 누가복음의 구원론을 중심으로

        김충연(Kim, Chung-Ye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3

        본 연구는 ‘성도의 악행이 구원을 취소하는가?’라는 신학적 물음에 누가복음에 나타난 ‘구원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통해 그 대답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신교의 구원에 관한 교리는 지금까지는 바울을 중심으로 한 ‘칭의론’ 즉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오직 믿음으로만’(Sola fide)에 근거한 구원론은 기독교인들에게 상대적으로 행위를 가볍게 여기게 해 결국‘행위 없는 믿음’이라는 부작용을 낳게 하였다. 복음서 특히 누가복음에는 구원에 관한 에피소드가 모두 다섯 개가 등장하며 그 중에 세 개(선한 사마리아인: 10장, 부자 관원: 18장, 삭개오: 19장)는 ‘어떻게 구원을 받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관련하고 있는데, 여기서 모두 구원은 철저하게 행위와 관련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누가 구원을 받을 수 없는가’에 대하여 말해주는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16장) 역시 부자의 ‘사회적 책임 결여’가 그가 음부(하데스)에서 고통을 받는 이유임을 드러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구원받는 자의 수가 적은가’에 대한 질문(13장)에서 예수는 ‘악행을 행하는 자들’(성도)을 그의 선택에서 제외하고 그로부터 쫒아냄으로 아무리 그와 함께 식탁에서 떡을 떼고,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자라고 할지라도 악행을 하였을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밖에서 슬피 울며 이를 갈수도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이러한 누가의 구원론은 ―일반서신의 야고보서와 함께― 바울의 구원론으로 부작용을 앓고 있는 한국교회가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구원론일 것이다. This paper researched for the answers to the theological question ‘if a wrongdoing of a Christian revokes his or her salvation,’ through ‘the teachings of Jesus on redemption’ shown in the Four Gospels. Until now, Protestantism doctrines on redemption focused on Paul’s theory of justification that it is gained only by faith. Soteriology based on sola fide relatively gave Christians the idea to take actions lightly creating the side effects of ‘faith without deed.’ Especially in the book of Luke, there are 5 episodes on salvation. 3 events (the Good Samaritan (Ch.10), the rich ruler (Ch.18), and Zacchaeus (Ch.19)) are related to the question ‘how to be saved,’ and these clearly show that all salvation is connected to action. In addition, the episode on the rich man and Lazarus (Ch.16) describes ‘who cannot be redeemed’ and explains that ‘the abs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a rich man is the reason why he suffers in sheol (Hades). Finally, for the fifth question ‘if the saved ones are only few (Ch.13),’ Jesus exempted and removed ‘the wrongdoers’(Christian) from his choice. Jesus warns that even if they had shared the bread from the same table, or had been taught by him, if there is misdeed, there will be weeping and gnashing of teeth in the end. Luke’s soteriology –including the book of James- is a study that the Korean Church, suffering from the side effects of Paul’s soteriology, must look into for an alternative.

      • KCI등재

        몰트만의 만유구원론과 선교

        이찬석 ( Chanseok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융/복합, 통섭, 통합학문, 혼종성이라는 말들은 이 시대의 유행어 처럼 번져가고 있다.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학문적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신학과 사회복지를 융합하여 ‘디아코니아학’이 새로운 신학의 전공으로 부상하고 있다.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것들을 융합시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이 이 시대의 창조성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애석하게도 신학의 다양한 전공들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간학문적 연구와 접근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신학과 다른 학문의 간학문적 접근보다는 신학 안에서 조직신학과 선교학의 간학문적 연구를 시도하여 보려고 한다. 조직신학으로서 위르겐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을 선택하였고, 이 만유구원론이 지니고 있는 선교학적 의미를 선교학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통전적 선교’를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영원한 천국과 영원한 지옥을 가져오는 ‘심판의 이중결과설’을 비판하면서 온 만물의 화해와 구원을 주장한다. 몰트만의 눈에, 심판의 이중결과설은 하나님이 아니라 인간을 구원의 주체로 만들었지만, 만유구원론은 구원의 주체를 하나님으로 세워간다. 빌링겐(Willingen) 세계선교대회와 칼 하르텐슈타인(K. Hartenstein)에 의하여 형성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는 개념은 선교의 주체가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이라고 선언한다. 하나님을 선교와 구원의 주체로 각각 세워간다는 측면에서 만유구원론과 ‘하나님의 선교’는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다. 현대 선교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선교는 ‘통전적 선교’이다. 통전적선교는 개인의 회심과 성화, 복음전도를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선교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칼 선교로 나누어져 있는 선교의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하면서 두 영역을 통전시키려는 선교이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최후의 심판을 통한 영원한 천국과 영원한 지옥이라는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시키면서 천국과 지옥을 종말론적으로 통전시킨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과 통전적 선교는 공통성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함축하고 있는 선교학적 첫 번째 의미를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의 심판과 징계보다는 하나님의 사랑이 선교의 중심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두 번째 의미로 서구제국주의적 선교관인 정복주의적 선교관으로부터 해방되어 천국과 지옥을 종말론적으로 통전하면서 만유화해에 근거한 선교가 전개되어져야 함을 제시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선교’는 호켄다이크(J.C. Hoekendijk)와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에의하여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교회적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유사하게 몰트만의 만유구원론도 믿음 없는 구원을 이야기함으로 기독교적 정체성을 약화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선교’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칼 하르텐슈타인은 교회적 정체성을 견지하고 있었으며, 몰트만의 만유구원론도 죽음이전에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적 결단을 내리지 못하였던 사람들도 죽음 이후에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오직 신앙으로’라는 종교개혁적 신앙을 견지함으로 기독교적 정체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독교의 선교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열린 정체성’을 전제로 전개되어야 함을 마지막으로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Convergence, consilience, and hybridity are very prevalent in this time. This article will try to interdisciplinary in theology focusing on missi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Especial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Jurgen Moltmann’s notion of universal salvation and Mission. Among missiological concepts, this article will concentrate on ‘missio dei’ and ‘wholistic mission.’ Moltmann’s universal salvation denies the eternal aspect of Hell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trine in Christian tradition. According to the universal salvation, God wants to save all creations, all lives will be saved finally. Moltmann insists tha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Last Judgement suggests human being as the subject of salvation. However, the universal salvation establishes God as the subject of salvation like missio dei. The missio dei which was formed by Willingen IMC and K. Hartenstein clearly declaims the subject of mission as God rather church. In this point, the universal salvation and missio dei have common ground. Therefore, the first missiological implication of the universal salvation is that the central point of mission should be God’s love rather than God’s judgement. The wholistic mission is dominant in modern missiology. It tries to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means the evangelical mission and the ecumenical mission. The evangelical mission emphasizes an individual repentance and sanctification, but the ecumenical mission emphasizes social aspect of the Gospel. Similarly, the universal salvation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defines the eternal life and the eternal fall. Therefore, this article will suggest that the wholistic mission should develop the wholistic perspective which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divided into the eternal life and the eternal fall. Finally, this article will suggest that Christian mission should be developed under ‘the opene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