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과 일본 내 운동세력의 동향

        김인덕(Kim Induck)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9

        이 글은 1923년 관동대지진을 전후로 재일조선인 운동세력과 일본 사회운동세력의 조선 이해와 관동대지진에 대한 대응과 움직임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재일조선인 운동세력은 민족적, 계급적 문제에 주목하였고, 그것은 일본 사회운동세력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문제는 민족적, 계급적 문제 보다는 개인적 문제가 우선이었다는 점이다. 1923년 관동대지진 전부터 조선과 일본의 계급적 관점의 국제적인 연대는 조직적인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반제국주의적 성격의 조·일(日) 연대 투쟁은 일본 내에서 실제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1923년 관동대지진이라는 대규모 사건이 일어나면서 그 현상은 변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문제 보다 국제연대를 우선적으로 사고하던 재일조선인은 이미 국제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일본 사회운동에 깊이 들어가서 적극 활동하였다. 그러나 1923년 관동대지진이 발생한 직후에는 조선인이 무참히 죽어 가는 상황에서 재일조선인 조직은 적극적이지 않았다. 선진적인 재일조선인 조직도 학살사건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였다. 전술도 없었고 규탄 투쟁도 전개할 수 없었던 것이다. 시간이 지나고 나서 천도교와 기독교 조직에 기초한 조직화된 재일조선인 활동가, 유학생들은 모일 수 있었다. 이들은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에 주목하면서 도쿄지방이재조선인구제회를 결성하였던 것이다. 1923년 10월 도쿄지방이재조선인구제회가 존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조직은 국내와 조직적인 연계의 틀을 갖고 있었다. 국내에서 전국적인 연계 모습도 확인된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조선인이 학살된 이 시점에도 친일적 모습을 견지한 그룹이 있었다. 박춘금과 상애회가 그들이었다. 이들의 친일적 추도회는 식민지 지배의 연결선에 있었고 단순히 세력 확장의 도구였다. 한편 1923년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이후 1년 이후 재일조선인과 일본 정부와 시민 사회는 각자의 방법으로 기억을 하고자 하였다. 일본 정부는 진재기념당과 재건기념관을 통해 이를 추진하였다. 본질적으로 그들이 기억하는 추모는 일본이 중심인 반인륜적인 내용이 주였다. 이들 보통 일본 사회, 일본인에게 조선인학살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전 기간을 통해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은 기억되어 왔다. 이는 재일조선인 각종 단체가 있어 가능하였다. 이들 단체의 주도로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1년 이후인 1924년부터 추도회가 열렸다. 재일조선인은 매년 9월 1일, 이날을 일상적으로 기억하고 기념하였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억의 공간에서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은 제노사이드로 남아 있고, 트라우마로 작용하고 있다.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을 둘러싼 일본내 재일조선인 운동세력과 일본 사회운동세력의 움직임은 본질적인 한계를 노정해 왔다. 그들은 죽음 앞에서 패배자가 되어, 결국은 나뉘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Joseon through the power of social movements in Japan at the time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and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had come to be established before 1923. In particular, anti ?imperialism movements were active, but the Great Kanto Earthquake changed matters greatly. However, Koreans residing in Japan who cared not for nationalism but for internationalism had become active together with Japanese social movements. However, soon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many Koreans died in drastic situations, and many individual Koreans could not remain active in movements. Even Korean resident groups in Japan that were advanced could not react effectively. There was no denunciation of the struggle, however. As time passed, activists affiliated with Cheondogyo and with Christian faiths, and Korean students gathered. They had taken notice of the massacre brought by the earthquake and established the “Rescue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Tokyo” in 1923. This group had connections in Japan and internationally, and this was clearly seen in domestic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ro -Japanese groups even among Koreans, such as Pak Chun -geum and the Sangaehoe. These two groups held memorial services with pro - Japanese points of view in order to expand their power. Meanwhile, one year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 Japanese government (civil society) recalled their losses in various ways. The Japanese government built a memorial hall for the earthquake disaster and a reconstruction hall.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nded, the massac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due to the Kanto earthquake was remembered. Various organizations made this possible. In 1924, many organizations in Japan held memorial services. And every year on September 1, people continue to commemorate the earthquake and the losses.

      • KCI등재

        관동대지진 이후 일본 출판콘텐츠에 나타난 혐한 의식 - 『간토 대지진과 작가들의 심상풍경』을 중심으로

        박성호(Park, Seong Ho)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3 No.1

        펜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존의 흐름이 있는 반면, 혐오와 배제의 정치가 부각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의 반일과 일본의 혐한, 한국의 반중과 중국의 반한은 인터넷 공간을 통해 상호 중첩되고 증폭되고 있다. 혐오는 현재적인 문제이면서 동시에 역사적으로 연원을 찾을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혐오는 특정 개인과 집단이 위협의 상황에 처했을 때 발현되는 감정의 일종이다. 이 혐오가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공감이 있기 때문이다. 공감을 기반으로 결집된 집단은 공감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 다른 개인 또는 집단을 혐오의 대상을 규정하고 제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혐오의 시작이 공감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공감과 비공감. 현재의 혐한을 이해하기 위해서 혐한의 시작점을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의 근거가 되었던 유언(流言)에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관동대지진 이후의 일본 출판콘텐츠 분석하여 조선인 학살의 근원이 되었던 유언으로 비롯된 조선인 혐오 과정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특히 관동대지진 이후 한·일 양국에서 체험담과 작품을 단행본 형태의 출판콘텐츠가 제작된 사례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발행한 『간토 대지진과 작가들의 심상풍경』을 중심으로 혐한 의식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또한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혐오 과정을 고찰하면서 공감에서 비롯된 혐한 의식을 도출하는 것은 기존의 연구와 변별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While there is a trend of coexistence around the world due to the prolonged pandemic, it is also true that the politics of hatred and exclusion are emerging. Koreas anti-Japanese and Japanese anti-Korean, Koreas anti-China and Chinas anti-Korean are overlapping and amplifying through the Internet space. Hate is both a present problem and a historical problem. Hate is a type of emotion expressed when a particular individual and group are in a threatened situation. The reason why this hatred can work is because you have empathy. Groups gathered based on empathy define and eliminate objects of hatred in groups that cannot be sympathized with.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hatred derived from hatred by confirming how empathy can be h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anti-Koreanism,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will that was the basis for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Kwandong Great Earthquake. This is to analyze Japanese publishing contents after the Great Kwandong Earthquake to examine the process of hate for Koreans resulting from wills that were the source of the massacre of Koreans.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o look at anti-Korean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writers heart-to-heart scenery,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after the Great Kwandong Earthquake.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deriving anti-Korean consciousness derived from empathy while considering the process of hate for Koreans at the time of the Great Kwandong Earthquake will have discrimination power from existing studies.

      • KCI등재

        관동대지진 이후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에서의 삶

        오혜진(Oh, Hey-Jine)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8

        관동대지진은 일본인들에게는 자연재해였지만 조선인들에게는 그 자연재해에 더해 이어진 학살로 인해 더 큰 고통을 겪어야 했다. 일본인들의 조선인에 대한 차별과 멸시가 더 심해진 것은 이때를 기점이라 봐도 무방할 것이다. 1930년에 발표된 유진오의「귀향」과 1926년에 발표된 염상섭의「숙박기」는 지진이 일어나던 상황이나 그 이후의 삶에 관해 다루고 있어 관심이 집중된다. 두 작가 모두 관동대지진을 직접 경험한 것은 아니지만 객관적인 시각으로 작품에 접근한다. 유진오는 사회주의적 시각에 입각, 조·일 간의 연대와 노동운동에 초점을 맞춘다.「귀향」의 큰 강점은 관동대지진이 일어났을 당시를 구체적으로 묘사, 지진으로 인한 혼란과 조선인대학살을 개인의 눈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이다. 재난을 겪은 작가들이 입을 다물고 있었던 상황에서 당시의 정황을 소설화했다는 것은 유진오 나름대로의 사실주의적 소설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었다고 여겨진다. 대중적 첨가물인 사랑과 연애를 가미한 점도 눈에 띤다. 조선인과 일본인의 사랑이라는 점에서 나라에 구애받지 않았던 ‘붉은 연애’의 색깔도 띠고 있다. 연애나 노동운동에 대한 지향점들이 소설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 보니 실제로 관동대지진 이후 벌어진 조선인 학살이나 피해자들에 대한 동향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는 점은 아쉽다. 염상섭의「숙박기」는 대지진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재난 이후 재일조선인들의 삶과 지식인들이 받아야 했던 수모를 보여주고 있다. 하숙집을 구해야 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대학살 이후 더해진 조선인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가 만연한 것을 그려나간다. 지식인인 주인공이 받는 어려움이 이 정도라면 일용직이나 육체노동을 하는 조선인들의 일상이 어떠했을지는 미루어 짐작이 가능하다. 주인공은 이러한 상황을 통해 조선인으로서의 주체성을 선명하게 자각하는 계기가 되고 이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취한다. 이는 곧 작가 염상섭이 대지진 이후 급속하게 회복된 도쿄 등이 조선 착취를 기반으로 하였음을 깨닫는 과정에서 얻은 결론이었다는 점에서 그 빛을 발한다. 재일조선인에게는 관동대지진이나 조선인대학살과 같은 선연하게 눈에 띠는 재난뿐 아니라 멸시와 차별 등과 같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살얼음판이자 재난과 같음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The Japanese had been struck by The great Kanto earthquake but the Korean was suffered by a natural disaster besides Korean massacre. After then the Japanese furthermore discriminate Korean. Yojino’s novel ‘The Homecoming’(announced 1930th) and Yeomsangseop’s novel ‘An accommodation’(announced 1926th) were showed the making a living in Japan of Korean intellectual after disaster. Two artists had not experienced disaster, however presented a balanced view through the works. Yojino emphasized solidarity of Korean and Japanese socialists and a labor movement. He wrote ‘The Homecoming’ with direct description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Korean massacre. Also he showed confidence from realism novel power by this novel in a situation that experienced disaster writers kept silence. ‘The Homecoming’ was added to popular element, love and romance. The romance with korean man between Japanese woman expressed ‘socialistic feminity’. Yet it was sorry that ‘The Homecoming’ had not taken up the Korean’s pains by the disaster and Korean massacre. Yeomsangseop’s ‘An accommodation’ described daily Korean residents and intellectual personal indignity. That novel reflected on the focused looking for boarding that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spread out Korean by Japanese after disaster. Korean intellectual were indignity situation by Japanese, maybe Korean labor were in a lot of pain. The hero faced up to the reality in the process of noticing national identity. That conclusion was showed that Yeomsangseop realized very fast rebuilding of Tokyo after disaster stood on the exploitation from Korean. Korean residence in Japan had been daily disaster done by the Japanes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dditionally disaster.

      • KCI등재

        관동대지진을 응시하는 세 개의 시선 -곽말약(郭沫若),이기영(李箕永),중도돈(中島敦)

        김양수 한국중문학회 2009 中國文學硏究 Vol.39 No.-

        本稿比較分析了韓國、中國、日本文學作品裏書寫關東大地震的三個視角。三部作品分別都흔好地反映了不同的民族(Nation)的立場。韓國作家李箕永的《豆滿江》比較均勻地對震動, 震裂等地震這個自然現象和受到驚하的人們阿鼻叫喚四處亂逃的客觀景象, 以及地震後緊隨的自警團員的풍狂的屠殺和在恐怖中四處逃포的朝鮮人的形象做了比較客觀性的敍述和描寫。可以說"較好地體現了受害者的視角"。正如作品中所描繪的地震後到處傳播著朝鮮人放火的流言蜚語、日本人以此爲借口迫害朝鮮人的行爲在흔多敍述關東大地震的專門著作中都已經涉及過。帶著尋조離散的家屬名字的牌子, 把自己裝扮成日本人的場景反映了作家自己的經驗。日本作家中島敦的《有巡査的風景》中彌漫著作爲"迫害者的恐懼感"。妓女金東蓮的"客人"對저不知道地震後的大屠殺情況表示驚訝。"客人"對金東蓮說明朝鮮人遭屠殺的場面的描寫一帶而過。고計這是因爲作家意識到了日本政府對作品的政治審査。我們可以體會到作家因爲害파不能具體表達的氣분。作家的恐怖感也可從聽到故事後的金東蓮的失聲狀態中感覺到。也許這種恐怖感是由於在東京大地震時作家沒在日本而在朝鮮, 所以害파"被朝鮮人報複"的意識愈加强烈而導致的파。郭沫若在《牧羊哀話》(1919)中曾經通過對朝鮮某個貴族家族的沒落, 描寫了朝鮮淪落爲殖民地的悲慘的國家命運。作爲中國作家, 他是關注殖民地朝鮮現實的少數作家之一。《百合與番茄》中在主人公之間的對話中論及了關東大地震, 但竝沒有發展成整個作品的主題, 只是停留在了一般的話題層面上。對話當中"因爲中國人象朝鮮人也受到了迫害"的語句給人一種民族(Nation)間的距離感。《鷄之歸去來》中關東大地震與主題更爲接近。在日本作爲"邊緣人"來看待朝鮮人的眼光總的來說還是比較溫暖的。但是作品中朝鮮·日本·中國的位置給人以太固定的感覺。對於朝鮮人偸鷄的毫無根據的日本女人的結論主人公즘마就那마輕信내。對於朝鮮人的惡性流言蜚語, 還說這些流言有産生的理由, 這樣的主人公是否與日本人的意識更爲接近니。這也反映了當時日本人非常熟悉竝且已經習慣的"非文明卽野蠻"的二元化意識。20世紀東亞經曆了不幸的時期, 在曆史上加害者、受害者、旁觀者的面貌互相複雜地重疊出現。文學藝術一方面具有記錄曆史的功能, 同時在령一方面타還具有一種制造曆史記憶的機制。本文裏所探討的作品都是用韓、中、日不同的語言所寫的韓國、中國、日本三國的民族文學。每部作品都從不同的視角來看待過去的曆史。這是因爲存在著互相不同的民族主義(Nationalism)。對自己曆史的把握흔重要, 可是從客觀上承認對方的存在, 非常淸楚地了解對方的想法也흔重要。雖然上面提到的作品不能說在這方面可以完全代表各自的民族文學。可是了解東亞三國文學是如何對同一個曆史事件進行不同的解釋的, 同時再回過頭來重新審視一下自己, 這樣做是否才是走向東亞共同體的出發點니?

      • KCI등재

        관동대지진, 소문과 증언과 문학

        권보드래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관동대지진기 조선인 학살에 관한 문서 대부분은 학살의 잔혹상을 증언하는 내용이다. 사건 자체에 대한 증언을 넘어서 사건이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향방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질문되고 구성된 일은 드물다고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인 학살 관련 문학 텍스트를 통해 증언 이상의 문학화 시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김기진의 에세이와 김동환의 서사시, 그리고 정우홍의 소설과 송영의 소설·희곡을 다루되 관동대지진 관련 일본 텍스트 등과의 교차를 통해 그 의미를 입체화하려 했다. 김기진의 에세이(「마음의 폐허」) 등은 관동대지진 체험을 인류화·보편화한다는 점에서, 김동환의 장편 서사시 『승천하는 청춘』은 남녀간 사랑을 통한 학살 경험의 승화·초월을 기도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바 있다. 정우홍의 「진재전후」와 송영의 1923년 배경 소설 및 희곡은 대지진 경험을 좀더 긴 시간축에 위치시키면서 트랜스내셔널한 연대의 가능성을 재구성하려고 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김기진·김동환이 ‘숭고’의 전략을 구사한다면 정우홍·송영은 ‘연대’의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써 대지진기 경험을 문학화한다. 돌이켜보건대 당시 문학에서 대지진을 직·간접적으로 다룬 텍스트 중 학살의 잔혹상 자체를 초점으로 한 종류는 거의 없다. 검열로 인한 난관을 고려해야겠으나, ‘증언 이후’를 생각해야 할 현재 시점에서는 이들 텍스트를 회피나 우회로 평가하기보다 대지진기 경험을 그 시공간적 제한성을 넘어서 의미화하려 한 시도로서 기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is an event that still casts a deep shadow over East Asia although 100 years have passed. Since 1945, through the dedicated efforts of many scholars and civic groups, a significant number of testimonies have been collected and recorded, making up most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massacre of Koreans. As such, many of the documents created about this incident testify to the brutality of the massacre. Beyond the testimony of the incident itself, it is rare to be questioned and constructed what it had been in the after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examine attempts to approach a variety of literary responses to the massacre rather than few commitment to testimony. To this end, I picked up Kim Ki-jin’s essay, Kim Dong-hwan’s epic poem, Jeong Woo-hong’s novel, and Song Young’s novel and play, and placed them in the intersection with texts of Japanese writers or voices from contemporary Korean-Japanese. Kim Ki-jin’s essay (“Ruins of the Heart”) universalizes the experience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s a revolutionary one, while Kim Dong-hwan’s long epic poem “Ascending Youth” prays for the sublim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 such a terrible experience of massacre through love. It is also noteworthy that Jeong Woo-hong’s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and Song Young’s 1923 background novel and pla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possibility of transnational solidarity by placing the experience along a longer time axis. While Kim Ki-jin and Kim Dong-hwan use the strategy of ‘sublimity’, Jeong Woo-hong and Song Young recollect the experience by contemplationg upon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ll of them refused or evaded a representation of the massacre as nothing but a brutal genocide, but transformed it into a bitter but reflected experience for a rebirth of a nation and the world. This might be primarily due to censorship and their efforts were not successful, but we need to think about “a path beyond testimony” through these examples. In this sense, it is recommendable to remember these texts as an attempt to reappreciate the earthquake and the massacre rather than denying these texts as avoidance or detours.

      • KCI등재후보

        관동대지진 한국인 피살자 명부 자료의 분석

        김도형(Kim, Do-hyung)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2 No.-

        2013년 7월 주일한국대사관 창고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1952년 말에서 다음해 1월 중순 한국정부에서 작성된 세 종류의 명부가 발견되었다. 그 세 종류의 명부 가운데 『일본진재시 피살자 명부』와 『3・1운동시 피살자 명부』에는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일제의 의해 학살을 당한 한국인 희생자 226명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었다. 그동안 관동대지진 당시에 약 7,000여명의 한국인들이 억울하게 학살을 당하였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구체적인 명단이 확인되지는 못하였다. 그런데 이 명부에는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일제에 의해 피살당한 한국인의 이름은 무엇인지, 나이는 몇 살인지, 본적은 어디인지, 어디서・어떻게 살해되었는지에 대해 말해 주고 있다. 대지진이 발생한 지 30년 만에 희생자의 가족들과 친지들의 증언을 통해 작성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일본진재시 피살자 명부』는 관동대지진 당시 일제에 의해 무참하게 학살을 당한 한국인의 명단을 밝힐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명부는 6・25전쟁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작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정부차원에서 일제 식민지 지배하의 피해상황에 대해 최초로 조사하여 작성된 문서이다. 해방 이후 혼란된 정국과 전쟁으로 인해 과거사에 대한 정리를 하지 못하다가, 1953년에 비록 부정확하나마 과거사를 정리하려는 노력을 보여 주었다는 데에 역사적 의미가 있다. 두 번째로는 일제의 한국인에 대한 잔혹한 학살 상황을 증언을 통해 작성된 문서라는 점이다. 일제 식민지 지배가 끝난지 불과 8년도 되지 않은 시기에 작성된 이 명부는 과거사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증언하고 있다. 세 번째로 이 명부는 일본과의 국교를 재개할 경우 청구권문제 해결을 위한 증빙자료로 제출된 문서라는 점이다. 1952년에 제1차 한일회담이 시작되고, 그 후의 회담에서 일본정부에 대해 우리의 정당한 주장을 담기 위해 공정하게 조사・수집된 문서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Korean Embassy in Japan in July, 2013, the three kinds of lists prepared by Korean Government in 1953 proving the damage by Japanese Empire were found. Among those tree kinds of lists, in the List of Murder Victims during Great Kanto Earthquake and List of Murder Victims during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 the Korean murder victims who were murdered by Japanese Empir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are listed. It was well known fact that about 7,000 Koreans were murdered unfairly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but the specific list has not been confirmed. But these lists shows what the names, ages, the permanent address of Koreans murdered by Japanese Empir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were and the place and how they were murdered. Those lists were prepared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families and the relatives of the victims 30 years after the Earthquake. The case that the list of Koreans slaughtered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was confirmed was very few. In the List of Murder Victims during Great Kanto Earthquake , the list of 204 persons and in the List of Murder Victims during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list of 22 persons were founded, through which the names founded in the existing research can be verified again. Therefore, these Lists was the documents having great historical meaning. The first is that they were the documents prepared by investigating the damage under the Japanese Empire s colonial rule for the first time at the Korean Government level. It has historical meaning that the efforts to organize the past history in 1953 although it was not accurate while the past history could not be organized due to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the war after the liberation. Second, it is the document prepared by witnessing the circumstances of invasion as is accurately. These documents, which were prepared when not even 7 years were passed after the Japanese Empire s colonial rule ended, remember vividly the past history and provide the testimony. Third, these Lists were the document submitted as the evidence to solve the right of claim when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was reestablished. Started the first Korean-Japanese conference in 1952, the fairly investigated and collected documents were needed to put our fair claim against the Japanese Government in the subsequent conference.

      • KCI등재

        다케히사 유메지와 관동대지진 그리고 조선 : 회화와 사상성

        김지연(Kim Jee-ye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1 No.-

        다케히사 유메지는 근대를 대표하는 화가이자 문인이다. ‘눈이 크고 슬픈여성’을 그린 그의 미인화는 〈유메지식 미인〉이라 불리며 다이쇼의 우타마로(歌?)라는 평을 받았고 현재까지도 그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키워드로 꼽힌다. 또, 그는 ‘그림과 시의 만남’이라는 색다른 세계를 통해 작가로서도 큰 족적을 남겼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유메지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아직 미진하고 대중화가로서의 이미지만이 강하다. 하지만 유메지는 예술가로서의 뛰어난 감수성 못지않게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고, 그 예로 관동대지진에 대한 그의 비판의식을 들 수 있다. 관동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오전 도쿄, 요코하마를 시작으로 주변 각지를 덮친 대지진으로 사망자와 행방불명자만 13만 여명에 달하는 큰 재해였다. 일본정부는 국민의 불안과 불만을 가라앉히기 위해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렸고, 성난 일본인들의 죽창에 무고하게 희생된 조선인이 무려 6천명 이상 되었다. 천재(天災)에 인재(人災)가 더해져 참혹한 결과를 낳은 것이다. 유메지는 관동대지진의 이면에 감춰진 폭력성을 일찍이 간파하고, 『도쿄재난화신(東京災難畵信)』을 통해 글과 그림의 르포 형식으로 전달하였다. 그리고 냉철한 문제의식과 인종적, 민족적 편견 없는 관심을 따뜻한 시선으로 담았다. 특히 『도쿄재난화신』의 「자경단놀이」에 나타난 조선인 학살에 대한 풍자적이면서도 냉철한 시선은 대중과 호흡을 함께 하는 사상가로서의 모습과 그 저변에 깔려있는 휴머니즘을 감지하게 한다. 관동대지진의 또 다른 피해자인 조선인들의 고통을 가감 없이 전달하려한 유메지의 사회의식은 한일병합 기념엽서에도 볼 수 있고 이 후 유럽 외유에서 유태인을 억압하는 나치에 대한 비판에서도 드러난다. 이렇듯 소박하지만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담은 『도쿄재난화신』은 대중적인 인기화가이자 작가에서 벗어나 이상을 추구하는 유메지의 일면을 엿볼 수 있기에 더욱 높게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Takehisa Yumeji,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and literary figures who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during the three periods of Meiji, Daisho, and Showa painted “women with big, sad eyes” who are called “Yumeji beauties.” However, it was unfortunate that little has been written about him in Korea, where his image as a popular artist had been overwhelming. He had keen insights into society as well as great sensibility as an artist, especially his work on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an attempt to calm down the n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spread rumors that the Joseon people were rioting. As it got worse, enraged Japanese people killed as many as 6,000 innocent people with bamboo spears. Yumeji compiled a report in Tokyo Sainan Gashin with his writings and paintings expressing his critical awareness of the problems and genuine interest void of racial and national prejudices, presenting facts as well. His satirical yet calm view of the massacre of the Joseon people in Vigilante game of Tokyo Sainan Gashin reflects his humanist ideals. The social consciousness of Yumeji, who tried to convey the suffering of the Joseon people, was also reflected without any bias in his postcard in commemoration of Japan-Korea Annexation. With his humble and sharp criticisms, he deserves higher evaluations since his work sheds light onto the aspects of Yumeji that sought after ideal beyond a popular painter and writer who enjoyed great popularity.

      • KCI등재

        제노사이드의 관점으로 본 관동대학살

        김강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1

        The main objective is to study the Kanto Massacre in 1923 in a perspective of the genocide. The previous studies on this case approved the massacre towards Koreans in Kanto as a genocide. However, sufficient academic classification on specifically which point made it as a genocide was not made. Furthermore, since it is the centenary of the Massac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cademic and social tasks generated from taking consider the Kanto Massacre as a genocide.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 and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genocide. The primary form of genocide devised by Raphael Lemkin and controversy engendered in a midway through establishing the Genocide Treaty were also studied. Moreover, qual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Kanto Massacre as a genocide were determined. Especially, the intentions, extermination action, and victims groups which are significant in validation of genocide were prioritized in the study. Lastly,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by interpreting the Kanto Massacre as a genocide perspective. 이 글의 목적은 1923년 관동대학살을 제노사이드의 관점으로 살펴보려는 데 있다. 이 사건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에게 가해진 학살을 제노사이드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관동대학살의 어떤 지점이 제노사이드에 해당하는지에 관하여 충분한 학술적 규정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특히 사건 발생 100주년을 맞는 지금, 관동대학살을 제노사이드로 바라봄으로써 얻게 될 학술적, 사회적 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글에서는 먼저 제노사이드의 정의와 성립 요건을 검토하였다. 라파엘 렘킨이 창안한 제노사이드의 초기 형태와 이후 제노사이드 협약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전개된 논쟁을 살펴보고자 했다. 다음으로는 관동대학살의 사례가 제노사이드의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제노사이드의 성립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의도성, 절멸 행위, 피해자 집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관동대학살을 제노사이드의 관점으로 해석함으로써, 추후 해명되어야 할 과제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경성공립농업학교 일본수학여행의 양상과 특징

        박현(Park, Hyeon)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8

        이 글은 경성공립농업학교의 일본수학여행과 그 특징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1930년대 경성공립농업학교 일본수학여행의 코스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는 유형은 사찰・신사・신궁 등지이고, 두 번째는 근대적인 시설물이며, 세 번째는 농업과 관련된 곳이었다. 경성공립농업학교는 일본수학여행을 통해 학생들에게 일제에 대한 경외심을 느끼게 하고 문화적 우월감을 맛보게 하며 예비농업인으로서 자극을 주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 중에서 핵심은 세 번째인 농업과 관련된 곳에 있다. 전체 일정 중에서 농업과 관련된 곳을 방문하는 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원거리 수학여행이 자제되던 시기에도 일본으로 수학여행을 갈 수 있었던 것은 농업학교나 시험장 등을 방문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경성공립농업학교 일본수학여행의 특징적인 점은 관동대지진과 관련된 장소를 방문하였다는 것이다. 관동대지진은 조선인 학살과도 관련이 있지만, 진재기념관을 방문한 뒤 남긴 감상문에는 이에 대한 내용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관동대지진에 대한 기억을 집단기억으로서 활용하고자 했던 조선총독부의 의도대로, 경성공립농업학교 학생들은 당시 입은 인명 피해를 언급하고 경제적 손해와 지진 이후 재건된 도시의 모습에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시 말해 지진 이후 10년도 지난 시기에 진재기념관을 방문한 학생들에게, 관동대지진은 ‘추모해야 할 기억’ 정도에 불과했던 것이 아니었을까. 이 글은 긴 시기의 수학여행기를 통해 경성공립농업학교의 일본수학여행을 소개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수학여행이 개별 학교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농업학교라는 특징에서 나타나는 일본수학여행과 농업의 관계, 관동대지진과 관련된 장소를 방문하는 것에 대한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수학여행 연구의 외연 확장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Kyungsung Public Agricultural School"s trip to Japan and its feature. 1930’s course of the Kyungsung Public Agricultural School had three characteristics. The first type is the temple, or the shrine, the second is the modern facilities, and the third is the agriculture-related place. The Kyungsung Public Agricultural School sought to achieve the goal of giving students a sense of awe and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and stimulating as a pre-farmer. The key is agriculture. Although the proportion of visiting agriculture-related places is not high considering the entire schedule, it seems that the reason why the Kyungsung Public Agricultural School was able to go on a school trip to Japan during the time when the long distance school excursion was restricted, can be traced to the visit to the agricultural school and the agriculture test center.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the Kyungsung Public Agricultural School‘s trip to Japan was that they visited places related to the Great Kanto Earthquake. Although the Great Kanto Earthquake is related to the massacre of the Korean people, there is no indication in the report left after visiting the Memorial Hall. Rather, as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to use the memory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s collective memory, the students at the Kyungsung Public Agricultural School mentioned the damage to the people at that time. They focused more on the economic damage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city after the earthquake. To the students who visited Memorial Hall ten years after the earthquake, the Great Kanto Earthquake was nothing more than a memory.

      • KCI등재

        변모하는 컨스트럭션

        나가토 사키(長門佐季),박소현(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5 美術史論壇 Vol.- No.21

        무라야마 도모요시(村山知義)의 『연극적 자서전 제1부』에는 ‘삼각의 집’라고 불리는 그의 자택 겸 아틀리에의 사진이 실려 있다. 다이쇼 시대 신흥미술운동의 기수 중 한 명인 무라야마는 독일 유학에서 돌아온 뒤, 1923년 6월에 《무라야마 도모요시의 의식적 구성주의 제2회 전람회》를 자신이 설계한 ‘삼각의 집’에서 개최한다. ‘건축을 새로운 예술’이라고 옹호했던 무라야마는 자신의 아틀리에를 하나의 구성주의적 작품으로 변환시켰을 뿐 아니라, 그 내부를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이자 신체 표현에 의한 퍼포먼스를 행하는 연극적 공간으로 사용했다. 가도와키 신로(門脇晉?), 무라야마 도모요시, 오우라 슈조(大浦周藏), 야나세 마사무(柳?正夢), 오가타 가메노스케(尾形龜之助)로 구성된 마보는 1923년부터 1928년까지의 짧은 기간 지속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짧은 생애 동안, 그들은 회화, 조각, 구성적 요소, 신체 표현, 건축, 전시나 인쇄물에 사용되는 그래픽 등, 당시로서는 도발적인 예술적 활동을 폭넓게 전개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마보가 활동을 펼쳤던 공간에 주목해서, 신흥미술운동에 가담했던 그들이 사회 및 관동대지진 이후의 도쿄라는 도시 공간과 어떻게 관계를 맺었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또한 도시 공간이 마보의 예술 활동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른 시기에 유럽의 구성주의, 다다이즘, 표현주의에 관한 지식을 흡수하고 그 작품들을 직접 보았던 무라야마 도모요시는 마보 예술가들에게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 중요한 점은 그의 주된 활동이 도쿄라는 도시 공간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1923년 9월에 발생한 관동 대지진은 도시를 파괴하고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 마보의 활동도 대지진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중단되긴 하지만, 마보는 대지진으로 붕괴된 도쿄에서 바라크나 다른 건물들을 장식하는 건설적인 태도를 보여주면서 활동을 재개한다. 이는 결국 구성주의적 실험과 신체 표현을 이끌어냈다. 게다가 마보이스트들은 일상적 공간의 연장인 거리나 다방과 같은 공간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그들의 공격성, 파괴성, 추진력은 관동대지진으로 일단 파괴된 뒤 새롭게 재생하고자 하는 도시 공간과 공명하는 것이었다. 이는 더욱 생동감 있는 구성주의적인 요소들과 신체 표현을 낳았다. 즉 관동대지진 이후 도시 공간이 급속하게 팽창하는 와중에, 마보이스트들은 기존의 다양한 틀을 넘어서 때로는 상업적인 것과도 손을 잡으면서 새로운 사상들을 배태했다. 오카다 다쓰오(岡田龍夫)도 회상했듯이, 마보의 활동은 “대지진 이후의 사회 정세, 식민지적, 新開地적 시대의 풍경과 그 분위기 속에 있었기 때문에 허용되고 자라고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마보이스트들의 수많은 작품들은 一過的이고 자멸적이었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것이 얼마 없다. 이는 그들의 활동을 연구하는 걸 어렵게 해온 이유이긴 하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이는 그들이 허구의 공간이 아닌 현실의 공간을 문제로 삼았기 때문에 생긴 장점이자 단점이라 할 수 있다. 다이쇼 시대 신흥미술운동에서의 공간은 조형적인 공간임은 물론이고 사회적인 공간이기도 하며, 그들의 작품은 도시 자체의 공간적 변화, 도시 생활에서의 미술의 존재 방식을 모색하는 와중에 태어난 것이다. 물론 때로 과격하기도 했던 그들의 표현 방식이 언제나 전적으로 이해되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도시 공간을 매개로 태어난 공간 의식의 변화야말로, 3차원적 공간 구성물을 비롯한 그들의 독자적 표현을 낳고 발전시킨 요인이었다. In Murayama Tomoyoshis book entitled Engekiteki Jijoden Dai-icbibu(Theatrical Autobiography Part One), there is a photograph of the interior of his home-cum-atelier that was called the triangle house. Murayama, one of tile pioneering artists of tile newly emerging art movement, of the Taisho era, had just returned from his studies in Germany and held an exhibition in June 1923 entitled The Second Exhibition of Murayama Tomoyoshis Conscious Constructivism in this very building that he designed by himself. Murayama, who advocated that architecture is the very art of the new age, not only turned his atelier into a work of formative art, but also used this interior as a place to exhibit his works and as a theatrical space for performances using bodily expressions. Mavo, which was formed by the live artists, Kadowaki Shinro, Murayama Tomoyoshi, Oura Shuzo, Yanase Masamu and Ogata Kamenosuke, had a short life between 1923 and 1928. Nevertheless, in this short period of time, developed a wide array of artistic activities that were deemed provocative at times, including not only paintings and sculptures but also constructive elements, bodily expression" architecture and graphics that were either exhibited or published. In tile article, I have focused on the space in which Mavo conducted their activities, and how the artists who were engaged in newly emerging art movements connected themselves with society and the urban environment of Tokyo, which was undergoing change after tile Great Kanto Earthquake. I have also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 the urban space had on their artistic activities. Murayama Tomoyoshi, who had absorbed knowledge and seen the works of Constructivism, Dadaism and Expressionism in Europe earlier on, became an impetus for Mavo activities. Important to note is that some of his main activities took place in the urban space of Tokyo. The Great Kanto Earthquake of September 1923 destroyed the city and caused turmoil to the society. Mavo was also forced to stop its activities by the earthquake disaster, but later, when it resumed its activities Mavo showed a proactive attitude by decorating barracks and other architecture, which eventually led to the exploration of constructive elements and bodily expressions. Furthermore, the Mavoists started to choose spaces such as the streets and inside cafes places that were extensions of daily life space and held exhibitions there. Their aggressiveness, destructive nature, and their bustling energy resonated with the urban space that was once destroyed and now recovering from the disasterous earthquake. This allowed for even more vigorous constructive elements and bodily expressions. In other words, amid the rapid expansion of urban space after the earthquake, the artists found ways to transcend various existing frameworks and created new ideas at times by conjoining their activities with commercial things. Okada Tatsuo recalled, We were for the first time forgiven, nurtured and granted presence only because it was after the earthquake, when the social picture was colonial, and the atmosphere was as if new frontiers were being opened. Many of the works by the Mavoists were ephemeral and self-destructive, thereby leaving only a few behind. This has become an impediment for the research of their activities, but to look at it the other way, this was the merit and demerit that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y took real spaces and not fictitious spaces as their activity grounds. The idea of space for the newly emerging artistic movements of the Taisho era meant a figurative space as well as a social space, while the works were engendered from the city itself as well as th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space, as artists pursued their own vision of art in urban life. Needless to say, their radical methods of expression were not always understood and wholly accepted. Yet the changes in awareness towards space, which developed via the urban space, was the very e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