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사회과학자들과 ‘전후 사회과학’의 형성

        남기정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3 일본연구 Vol.19 No.-

        本研究は、東京大学社会科学研究所を素材に日本の「戦後社会科学」の形成を知識社会学の手法で追跡し、その意義と限界を検討しようと試みたものである。社会科学研究所の誕生は、戦前の総力戦体制のもとで弾圧された社会科学という用語を敢えて研究所の名称として用いることによって、戦前の日本と決別し新生日本の再生を象徴する事件であった。その社会科学研究所には、戦前においてその思想や態度を疑われ大学から追われた研究者が含まれていた。そのことからマルクス主義との親和性が初期の社会科学研究所の一つの特徴として現れている。また社会科学研究所には、京城帝大や北京大学など「外地」の大学から撤退し引揚てきた研究者などが初期のメンバーとして含まれていた。しかし、彼らの戦後の作業のなかに、戦前の植民地経験が深く根を差した形で分析された痕跡はあまり見られない。それは、社会科学研究所が目指した目標とも関係するものとして注目すべきである。即ち、マルクス主義者であれ、近代主義者であれ、社会科学研究所に集まった研究者たちは西洋近代に起源をおく社会変革への道程を社会科学的に明らかにし、日本の目指すべき進路として提出することを自らの使命としていたからである。一方、社会科学が何であるべきかという、社会科学そのものの目標をめぐる論争は余り活発に行われなかった。初期、研究所に集まった多様な構成によるものと見られる。 社会科学研究所の社会科学がもつ特徴は次の三つに要約できる。第一、それは「平和」と「民主主義」に学問が貢献すべきであるという時代的召命を鋭く意識しながら展開した。第二に、欧米を事例にした研究に対比し、比較研究の対象としてのアジア地域研究は、欧米の理論から距離を置き内在的理解を求めるものであった。第三に、社会科学研究所の社会科学の限界として、普遍理論化の努力が不足したという点を指摘することができる。その限界とは別に、社会科学の方法については明確な認識の共有があった。「比較、総合、実証」という三点セットの社会科学方法論は「社会科学研究所の社会科学」をまとめる最小共倍数であった。特に比較研究は社会科学研究所がもっとも得意とするものであり、その素地と原型が初期の15年間に整えられた。ここから「方法としてのアジア」を逆転させた「方法としての日本」ともいうべき、社会科学研究所の目指した新しい志向を発見することが可能である。

      • KCI등재

        원효 『법화종요』에 나타난 중국불교 사상가의 영향과 독자적 관점 -천태지의의 『법화문구』와 길장의 『법화유의』를 중심으로-

        이병욱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5

        이 글에서는 원효의 『법화종요』의 일승 이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데, 원효의 일승 이해에 천태지의의 주장과 길장의 주장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럼에도 원효의 독자적 관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천태지의는 4가지 일승의 의미를 주장하고 있다. 그것은 일승의 이치, 일승의 사람, 일승의 행, 일승의 교이다. 길장은 일승을 바라보는 4가지 관점을 제시한다. 그것은 인(因), 과(果), 인(因)과 과(果)의 포괄, 인(因)도 아니고 과(果)도 아닌 관점이다. 이러한 천태지의의 주장과 길장의 주장이 원효의 일승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원효는 천태지의와 길장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그러면서 원효는 자신의 독자적 관점도 제시한다. 원효는 『법화종요』에서 일승을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 그것은 일승의 사람과 일승의 법(法)이다. 그리고 다시 일승의 법은 이(理), 교(敎), 인(因), 과(果)로 다시 구분된다. 이러한 내용 가운데 원효의 독자적 관점이 잘 나타난 것이 일승의 교[一乘敎]이다. 천태지의는 일승의 교[敎一]에서 자신의 교판론에 근거해서 논의하는 데 비해, 원효는 일승의 교를 말하면서 화쟁사상의 맥락에서 제시한다. 또 ‘일승의 인’과 ‘일승의 과’에서도 원효의 독자적 관점이 잘 나타난다. 원효는 길장이 ‘인’과 ‘과’에 비중을 둔 것에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일승의 인[一乘因]과 일승의 과[一乘果]를 다시 두 가지로 더 자세히 나누고 있는데, 여기서 원효의 독자적 관점을 읽을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 I : 일반적 현황 및 전공선택 요인을 중심으로

        박혜연,조덕연,이주현,김한솔,김진수,박수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현황과 전공선택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일반적 현황에 따른 전공선택 요인,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관심 분야, 관심 취업영역, 국시불안 및 진로 확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4년제 대학 9개 학교, 3년제 대학 10개 학교의 총 4,500명의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329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학과 선택시 작업치료(학)과 이외의 학과에 진학을 희망했던 응답자가 831명(62.5%), 입학 후에 소속변경 등 전공 변경을 희망한 응답자는 588명(44.2%)이였다. 학과를 선택하게 된 계기는 추천에 의한 선택이 675명(50.8%), 스스로 선택이 654명(49.2%)였고, 추천에 의한 경우는 부모님, 학교 선생님이 가장 많았으며, 추천 이유는 취업, 전문직이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선택한 경우에 주로 정보를 얻은 방법은 인터넷이 419명(64.0%)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현재 관심 취업영역과 10년 후 의망 취업영은 의료기관 취업으로 동일하게 조사 되었다. 현재 작업치료(학)과 학부생들은 5점 만점에 평균 3.54점으로 보통 이상의 국시불안감을 느끼고 있었고, 이는 남자 학부생들에게서 더 높았다. 또한 진학확신은 입학 전보다 현재가 더 낮았으며, 1학년의 진학확신이 가장 낮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에 대한 확신과 진로 결정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추후 작업치료(학)과의 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choosing occupational therapy as their academic major in a nationwide sample of college students and (2) ifferences in major selection factors, interested area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references in career field across main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year in college, in addition to anxiety related to the national licensure examination and career confidence level. Methods : A survey was provided to 4,500 students from nine 4-year colleges and ten 3-year colleges. A total of 1,329 survey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 A total of 831(62.5%)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considered other majors before choosing occupational therapy, 588(44.2%) contemplated changing their major after entering college. 675(50.8%) chose occupational therapy major secondary to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654(49.2%) self-selected the major. Most of the recommendations were found to be made by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primary reasons for such recommendations were related to the high employment potential and the prospect of working as a professional specialist. Among students who picked their major on their own, 419(64.0%)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Respondents’current and 10-year post-graduation preferred area of employment to work in a medical setting as 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students’current level of anxiety pertaining to the licensure examination was found to be 3.5 on a 5-point scale, with male students showing a higher anxiety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current degree of confidence regarding their career had decreased since entering college. Freshmen undergraduates reported the lowest career confidence level, with their confidence increasing with year in colleg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potential ways in which departments in occupational therapy may promote their academic majors, in addition to contributing to our knowledge regarding ways to provide better academic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to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위빳사나 깜맛타나(vipassanākammaṭṭhāna) - vimokkhabheda와 samāpattibheda에 대한 해석과 이해

        한상희 한국불교연구원 2023 불교연구 Vol.58 No.-

        This article is about the three vimokkhas, phalasamāpatti and nirodhasamāpatti described in Vipassanākammaṭṭhāna in Abhidhammatthasaṅgaha. The three vimokkhas of Abhidhamma, that is animitta, appaṇihita and suññata are attained by contemplating the three lakkhaṇas that is anicca, dukkha and anattā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f one attains magga by insight into anicca, that magga is called animitta vimokkha and if dukkha, that is called appaṇihita vimokkha. In this way, magga obtains the name of vimokkha according to the method of vipassanā, but in case of phala, the way of obtaining the name depending on which process of cognition it is on. In the process of magga, phala get the name as the same of magga, whereas in the process of phalasamāpatti, phala get it according to the method of vipassanā because magga is not arise and phala arise after gotrabhū. However, if it is according to the object and the characteristic(guṇa), it gets the name without difference in the two processes and all maggas and phalas. Phalasamāpatti is the state of complete concentration that is achieved by only saints(ariya), and nirodhasamāpatti is the temporary suspension of all consciousness and mental activities. While phalasamāpatti can be attained by all saints from sotāpanna to arahant, nirodhasamāpatti can be attained only by anāgamin and arahant who have achieved the eight jhānas in the realms of kāma and rūpa. Although the two samāpatti are different in their state and the method of achievement and rising out, they have common thing in that the saints achieve them in order to stay happily here and now. 본 논문은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제9장 가운데 ‘위빳사나의 명상주제(vipassanākammaṭṭhāna)’에 설해진 세 가지 해탈(vimokkha)과 성자들이 성취하는 과의 선정(phalasamāpatti, 果定), 그리고 멸진정(nirodhasamāpatti)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아비담마의 무상ㆍ무원ㆍ공함의 세 가지 해탈은 각각 무상ㆍ고ㆍ무아라는 세 가지 특상의 수관을 통해 얻어지는데, 이것은 위빳사나의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이르게 되는 도와 과의 상태이자 그 명칭이다. 즉 무상(無常)이라고 통찰하여 도를 얻으면 그 도는 무상(無相) 해탈이라 불리고, 괴로움[苦]이라고 통찰하여 도를 얻으면 그 도는 무원 해탈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도는 이와 같이 위빳사나의 방식에 따라 해탈의 이름을 얻지만, 과는 어떠한 인식과정에 있느냐에 따라 그 방법이 달라진다. 다시 말하면 도의 인식과정에서 과는 도의 결과로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도에 따라 이름을 얻지만, 과의 선정의 인식과정에서는 도가 일어나지 않고 근행정(近行定)의 마지막인 고뜨라부(gotrabhū) 다음에 바로 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도가 아니라 위빳사나의 방식에 따라서 해탈의 이름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과 특성에 따를 경우는 두 과정과 모든 도와 과에서 차이 없이 이름을 얻는다. 한편 과의 선정이란 성자들의 선정이 열반을 대상으로 하여 완전한 집중의 형태인 안지정(安止定)에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멸진정이란 마음과 마음의 작용들이 모두 멈춘 경지의 선정을 일컫는다. 과의 선정은 예류자에서 아라한에 이르는 모든 성자들이 성취할 수 있지만, 멸진정은 욕계와 색계에 있으면서 여덟 가지 선정을 성취한 불환자와 아라한만이 얻을 수 있다. 두 선정은 그 경지는 물론 성취와 출정의 방법이 다르지만, 성자들이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기 위해서 성취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된다.

      • KCI등재후보

        A(地)V와 V(得)A의 비교 연구

        박숙경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7 No.-

        现代汉语形容词与动词可以形成“A(地)V”和“V(得)A”两种结构。据以往的研究,它们在状位表示动作行为的方式或者动作者动作时的性格态度、心理状态等;在补位表示动作行为的结果。而有些形容词既能作状语又能作补语,它们在状位却能表示动作行为的结果,如“干净”、“清楚”等,在补位却能表示动作行为的方式或者动作者动作时的性格态度、心理状态等,如“高兴”、“认真”等。有的认为决定形容词句位的原因是时间顺序原则,“A(地)V”表示动作实施前的预期,形容词所表示的概念的产生先于动作,因此应该放在动词前,而“V(得)A”表示动作完成后的结果,是非预期的,形容词的概念在时间顺序上后于动作,因此应该放在动词后。本文发现“V(得)A”的A所表示的概念的确在时间顺序上后于动作, 但有的“A(地)V”的A并不表示“预期结果”,而表示动作实施后的结果。即我们光凭时间顺序原则,而无法说明“A(地)V”表示动作实施后的结果的这种现 象。本文全面考察了“A(地)V”和“V(得)A”两种句型、语法特点以及推动形容词语序变化的动因等。本文认为现代汉语形容词既可作状语又可作补语,这种现象的产生基本上与时间顺序原则有关,状位与补位在句法意义上存在“动作行为的先行状态”与“动作行为的后行状态”的对立。而有些形容词在状位却能表示“动作行为的后行状态”,这是因为在概念上表示结果意义的形容词与动量补语、时量补语、结果补语、可能补语、方向补语等其它补语共现时,为了避免会发生在动词后边的补语与补语之间的语序冲突, 句中出现位置比较灵活自由的形容词移到动词前边而所引起的。

      • KCI등재

        日本の道徳科学(モラロジー)思想に関する一考察

        신장호(Shin Jang Ho,申長鎬) 일본어문학회 2015 일본어문학 Vol.69 No.-

        本稿は、廣池千九郎によって創始された道徳科学(モラロジ-)の思想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広池は、大自然ㆍ宇宙ㆍ人間の生命の進化にも通じるとされる道徳の本質を発見し、道徳を我々の社会や文化を構成する精神的な基本要素として、そこで見いだした質の高い道徳性を最高道徳と名付けて長年研究に邁進し、1923年約3400ページに及ぶ大著作『道徳科学の論文』を刊行した。本書の第一巻では、モラロジーの定義や、道徳の科学的研究の歴史と動機、「最高道徳」という価値観の存在や内容、実行の効果などについて述べ、第二巻は、実学重視の姿勢をもち、「最高道徳」実践の指針などを記している。 最高道徳は因襲的道徳に対置される物として捉えられている。いわゆる因襲的道徳は一見して道徳的に見えながら、実は利己心に基づいているとされる。したがって、世界に普遍的に主張されるべき道徳ではない。これに対して、最高道徳は、聖人に具現されている至誠にして慈悲の心を開発する物であって、利己心に基づかず、優に普遍的な道徳たりうるのである。 このようなモラロジーは最高道徳の存在と内容を、科学的に説明した新しい学問であるとも言える。 本稿は、こうした道徳科学(モラロジ-)思想および広池が提唱している5ヶ条の原理を中心に考察したのである。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현황 및 진로확신에 대한 조사연구

        신가인,우예신,박혜연,김정란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3

        목적: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일반적 현황에 따른 진 로성숙도와 진로불안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4년제 대학 7개 학교, 3년제 대학 7개 학교의 총 2,1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1,590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전공 선택요인을 분석한 결과, 70.0%가 넘는 응답자가 입학 전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봉사경험이 있 었고 가족 중 보건직종사자가 있는 경우도 60.0%에 달했다. 학과선택계기는 추천보다는 스스로 선택한 경우가 조금 더 높았으며 정보는 인터넷으로 습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관심치료 연령군은 소아가 913명이 응답하여 가장 높았고 관심 치료 분야는 감각통합치료 빈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들의 졸업 후 또는 십년 후 희망 취업지 모두 의료기관 취업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응답자 중에 종합병원의 선호도 가 61.1%로 가장 높았다. 국시불안은 5점 만점에 평균 4.29으로 높은 편이었고 진로확신은 입학 시 평 균 4.34(5점 만점)에서 현재는 평균 4.15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진학확신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확신 수준이 높은 경우 진로불안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 지막으로 진로성숙도와 진로불안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최근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진로선택 현황, 진로성숙 및 진로불안의 경향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 는 향후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환경 개선과 학생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selection status in occupational therapy(OT) students in Korea and to analyze their career maturity and career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situation.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2,180 samples from seven 4-year colleges and seven 3-year colleges. A total of 1,590 survey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Most OT students had volunteer experiences at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had jobs related to health services. Cases of recommendation for selecting major were a little bit higher than self-selection, and most of them got information about OT through internet. The most of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the pediatric parts an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Respondents wanted to get a jot in medical institutions among various choices and 61.1% respondents were answered to want work to the university hospitals. The anxiety level about national examination was 4.29 out of 5 points. Confidence about OT when they entered the University was 4.34, but it decreases to 4.15 at this point. Career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 when career confidence was high. Also. career maturity and anxie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our knowledge regarding ways to provide better academic service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to OT students.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 2 : 학과만족도 및 진로 확신을 중심으로

        이주현,김한솔,박혜연,조덕연,김진수,박수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만족도, 진로불안감 및 진로성숙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 I : 일반적 현황 및 전공 선택의 연구 틀과 절차가 동일하다. 결과 : 학과만족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7~22세 범위의 연령대의 학생들이 26~28세 범위의 연령대의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3년제 대학이 4년제 대학보다 학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재학생이 복학생, 편입생보다 학과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진로확신에 속하는 진로불안감과 진로성숙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연령이 높은 학생이 연령이 낮은 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진로불안감은 낮았다. 그리고 4년제 대학이 3년제 대학보다 진로불안감과 진로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국시 불안감이 클수록 진로 불안감은 더 높았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국 작업치료(학)과에서는 학생들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및 관심을 제공해야 하며, 작업치료(학)과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은 상호보완 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후보

        “개사(在/到)+NP 구조”의 분포위치에 따른 통사 제약 및 의미 분석

        이은화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5 No.-

        本文以“介词(到、在)+NP”为研究对象,进行句法和语义方面的分析,考察汉语“介词(到,在)+NP”结构在动词后充当结果补语的区别。很多句法结构都要求具有一个动补结构。句法上必须带补语的句子中,要求“在NP”和“到NP”结构作为补语的有“把字句”、“物体存在句”、“物体处置句”、“空间移动句”和“时间移动句”。我们将“到+NP”和“在+NP”结构在动词前充当状语和在动词后充当结果补语的区别分别来讨论。“在+NP”结构做结果补语和状语的区别我们将其归纳为五类, “到+NP”结构做结果补语和状语的区别我们将其归纳为三类。“介词(到、在)+NP”结构可以位于动词前也可以位于动词后。根据时间顺序原则(PTS),“介词(到、在)+NP”结构时间上先于动词的状态可以接受它排在动词前。但是,如果“介词(到、在)+NP”结构是通过动作出现的结果,时间上结果出现于动词之后,因此不能接受“介词(到、在)+NP”结构排在动词前。“介词(到、在)+NP”结构位于动词后面时,具有[+终点], [+到达], [+完成], [+附着], [+达成], [+结果], [+实现], [+持续]等语义特征;“介词(到、在)+NP”结构位于动词前面时,不具有这些语义特征。但是,有些动词和介词结构之间的时间顺序是模糊的,所以PTS不起作用,这时“在+NP”做结果补语和做状语,其意义差别不明显,这种动词主要有两类:第一类是“死”,死的动作是瞬间发生的,但是死后的状态一直持续;第二类是“住”、“生活”、“工作”等动词,它们本身具有持续的状态,而不是短暂的动作。

      • 跨国公司在中国中西部地区投资现状及 其法律课题

        金成华,, 경희법학연구소 2008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1 No.1

        随着中国改革开放的不断深入以及一系列地区开发战略的实施,中西部地区发展的重要 性日益突出。中西部地区的开发和建设,需要外商投资者特别是大批跨国公司的参与,跨国公司 的全球性战略,也需要中西部地区广阔的潜在市场。一直以来,我们较少把跨国公司投资和中西 部地区开发与建设直接地联系在一起。对于外商投资而言,中西部地区在资源、成本、市场、产 业等方面具有其独特优势,跨国公司在中西部地区的投资也具有自身的特点。不过,跨国公司的 中西部地区投资也具有种种弊端和负面影响。与此相适应,调整中西部地区外商投资的法律和政 策环境尚未成熟,在整体上限制了跨国公司参与中西部地区开发和建设。从法律层面上我们仍然 面临着一系列棘手的课题。以此为切入点,本文将要阐述跨国公司在中国中西部地区的投资现状 及其法律课题,并在此基础上提出完善投资环境的对策。 关键词 | 中西部地区、跨国公司、FDI、法律课题、对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