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폐인들의 감각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성수국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5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5 No.-

        본 연구에서는 자폐인들이 나타내는 것으로 선행연구들이 언급하고 있는 7개 감각영역별 71개 항목의 과민·과소반응양상들을 국내 자폐인들의 경우는 실제 어느 정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적인 감각반응양상들이 성별 및 연령 차이를 반영하는가를 자폐인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대상 자폐인들의 특징적인 감각반응양상의 평균 출현빈도수는 관련문항 71개의 16.48%에 해당하는 11.7개이며, 특징적인 감각반응양상들은 연령이 증가되어도 크게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개 감각영역별 71개 항목의 과민·과소반응들 가운데 남자의 경우는 과소반응양상이 약간 우세하고, 여자의 경우는 과민반응양상이 약간 우세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그렇더라도, 자폐인들의 특징적인 감각반응양상은 전반적으로 성별 차이를 반영하지 않는 특징임이 확인되었다. 7개 감각영역별 과민·과소반응들이 고르게 보고되었지만, 그중에서도 청각과민반응이 자폐인들에게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감각반응양상이며, 나이가 들어서도 쉽게 변화되지 않는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Through the survey with checklist conducted to parents with autistic individuals, this study would like to show that how will the co-relation between the pattern of unusual sensory responses of Individuals with autism and their characteristics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age and sex. The mean frequency of the pattern of unusual sensory responses by Individuals with autism showed 11.7 which falls under 16.48% to the related 71 items. It was further analyzed that even becoming aged it was not easily decreased. As to 7 sensory areas including 71 hypersensitive and hyposensitive responses, it was analyzed that the pattern of hyposensitive responses is superior in case of male while the pattern of hypersensitive response in case of femal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tern of unusual sensory responses will have a characteristics to appear generally regardless of the different sex. Reports have it that though, by classification under the 7sensory areas, both the hypersensitive and hyposensitive responses appear evenly, yet,. especially out of them, the hyperhearing response come under observation commonly, and further it was analyzed that the pattern of hyperhearing response is characterized not to easily disappear even becoming aged.

      • KCI등재

        옵션시장의 이상반응현상: 원/달러 장위통화옵션의 사례

        강병진 ( Byung Jin Kang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2 선물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원/달러 장외통화옵션시장에서 변동성에 관한 유의미한 정보가 발생하였을때,이에 대해 투자자들이 과잉 혹은 과소반응(over-and under-reaction)하는지를 분석하였다. Poteshman(2001)이 제시한 방법론을 준용하여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시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예상치 못한(unexpected) 변동성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원/달러 장외통화옵션 투자자들은 이를 가까운 미래까지만 투영(projection)하는 단기 과소반응(short horizon underreaction)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지속적으로 동일한 방향의 변동성 충격이 누적돈 경우를 살펴보면,(1)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유의한 이상반응(misreaction)현상을 보이지 않았으나,(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이를 가까운 미래까지만 투영하는 장기 과소반응(long horizon underreaction)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장기 이상반응에 대한 이러한 결과는 옵션시장을 분석한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는 다소 상이한 것인데,Jiang and Tian(2010)의 새로운 방법론에 따라 추가 검증을 실시한 경우에도 여전히 유효함으로써 실증분석 결과의 강건성(robustness)을 입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ver- and under-reacting behavior of USD/KRW OTC currencyoption investors from the year of 2006 to 2011.Using the empirical testing models suggestedby poteshman(2001), we first find that USD/KRW OTC option investors tend to under-reactto the unexpected changes in instantaneous variances, which means ``short horizon under-reaction``Second, we find that USD/KRW OTC option market tends to slightly over-reactto a long period of mostly positive(or negative) unexpected changes in instantaneous variances during the period of befor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We find. however, that this ``long horizon over-reaction`` in the aforementioned perio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e find that the market tends to significantly under-react, rather than over-react, to a long period of mostly positive(or negative) unexpected changes in instantaneous variances during the period of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Finally, using the different empirical testing model (i.e., model-free approach),suggested by Jiang and Tian (2010), we also obtained the same empirical results,which strengthen the robustness of them.

      • KCI등재

        시장분위기와 이익공시에 따른 비대칭적 시장반응에 대한 연구

        박경희,변진호 한국재무관리학회 2019 財務管理硏究 Vol.36 No.1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rket sentiment affects the market responses on corporate earnings. Using an attribution of earnings disclosure that has both good and bad news according to the sign of earnings, we analyze the market responses and contrast the behavioral perspective about Korean stock market with the rational perspective view. And we examine whether the market reaction is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especially growth opportunities and the type of inform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market reaction, which were analyzed through earnings disclosure,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behavioral perspective. In general, an underreaction to good new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market sentiment is low. On the contrary, we find the underreaction to bad news occurs only when market sentiment is high. Second, the post-earnings announcement drift (PEAD) was only observed in growth stocks in case of bad news, value stocks in case of good news. Growth stocks show an overreaction that has an initial positive (+) response to good news, but these abnormal returns disappeared over time. Value stocks also show an initial negative response to the bad news, but thereafter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rise, which is a typical overreaction. We suggest that the different responses of the marke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s well as market sentiment. 본 논문은 기업의 이익공시정보에 대한 사건연구를 통해 새로운 정보의 유형(좋은 혹은 나쁜)을 전반적인 시장 환경(market sentiment)에 따라 검증하여 합리적 관점과 행태재무론의 대립되는 예측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즉, 주식시장의 분위기에 따라 기업의 공시정보에 대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 특성(가치주 혹은 성장주)과 정보 성격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다른 모습을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실적 공시를 통해 살펴본 시장의 반응의 결과는 행태 재무론의 예측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익실적 공시에 대한 과소반응은 호재공시는 시장의 분위기가 낮을 때, 악재공시는 시장의 분위기가 높은 때에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익실적 공시에 나타나는 주가지연반응(PEAD)은 호재공시에는 가치주에서 악재공시에는 성장주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에 호재공시에 대하여 성장주는 초기 양(+)의 반응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익률이 하락하는 과잉반응 현상을 보여준다. 또한 악재공시에 대한 가치주의 반응은 초기 음(-)의 반응 이후에 누적초과수익률이 상승하는 과잉반응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장의 상이한 반응은 시장의 분위기와 함께 기업 특성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주가 점프 정보를 이용한 시장 효율성 비교 연구

        곽노걸 한국재무학회 201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새로운 정보로 인해 주가 점프가 발생할 경우, 시장이 효율적이면 발생 정보는 즉시 주가에 완전히 반영되나, 시장이 비효율적이면 주가 점프를 야기한 정보는 점프 발생 시점 이후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주요 6개국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주가 점프 정보를 이용하여 시장 효율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첫째 주가 점프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가 과민반응(overreaction) 또는 과소반응(underreaction) 현상 존재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부정적 정보(주가하락 점프)와 긍정적 정보(주가상승 점프)가 주식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비 대칭적인 지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가격제한폭 제도 시행 여부가 주가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한 시장 비효율성의 국가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분석 대상 대부분 국가의 주식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비효율성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첫째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 중 한국, 일본, 중국 및 독일 시장에서는 주가하락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브라질의 경우는 주가상승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주가 과민반응 현상을 보였다. 또한 한국, 일본, 중국 및 미국 시장에서 주가상승 기간에 발생한 주가상승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주가 과소반응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한국, 일본, 중국 및 독일 시장에서는 부정적(negative) 효과가, 브라질과 미국 시장에서는 긍정적(역의 부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셋째 가격제한폭 제도를 시행하는 국가 그룹에서는 부정적 효과가, 가격제한폭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 국가 그룹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가격제한폭 제도 시행 여부가 시장 비효율성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가 점프 발생 정보를 토대로 행동재무론적 관점에서 주가 과민 또는 과소 반응 현상 및 부정적 또는 긍정적 효과 여부를 주요국 별로 분석하고, 가격제한폭 시행 여부를 기준으로 국가별 주식 시장 효율성을 비교 제시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논문 : 변동성 국면에 따른 KOSPI200 지수옵션 투자자들의 이상반응

        강병진 ( Byung Jin Kang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2 금융지식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옵션 투자자들의 이상반응(misreaction)을 검증하기 위해 제시된 Jiang and Tian(2010)의 연구 방법론을 더욱 확장하여, 변동성 국면에 따라 이러한 이상반응 행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2004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의 KOSPI 200 지수옵션시장을 분석한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발견하였다. 첫째, 변동성 과열 국면과 침체 국면에서 투자자들의 이상반응 행태는 다르게 나타나는데, 구체적으로 변동성 침체 국면에서는 과잉반응 경향이 나타난 반면 변동성 과열 국면에서는 오히려 과소반응의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변동성 수준이 정상적인 범위 내인 경우에는 특별한 과잉 혹은 과소반응 경향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둘째, 변동성 과열/침체/정상 국면의 구분 기준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경우에도 이러한 결과가 비교적 일관적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Jiang and Tian(2010)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것으로써, 이로부터 우리는 S&P 500 지수옵션시장에서 이상반응현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는 저자들의 주장은 변동성 국면에 따른 이상반응의 행태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 결과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over-and under-reaction behavior of option investors according to different volatility regimes. With the KOSPI200 index option data from January 2004 to March 2011, we first find that the over-and under-reaction behavior of option investors is different between the high volatility regime and the low volatility regime. While the KOSPI200 index option investors tend to under-react to volatility shock in the high volatility regime, they have a tendency to over-react in the low volatility regime. In addition, in the state of normal level of volatility, we cannot find any misreaction in the options market. Next, we also find that our empirical results are not sensitive to the selection of criteria to classify the volatility regimes. These results conflict with the earlier result of Jiang and Tian(2010), which reported that they cannot find any evidence to support the over-or under-reaction behavior of S&P500 index option investors. The difference in results between this study and the earlier one suggests that the volatility regime should be considered as a key state variable for testing the volatility anomalies in options market.

      • KCI등재

        투자자 관심도와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에 대한 주가 반응

        하준성(Joon-Sung Ha),김도성(Doseong Kim),이영주(Youngjoo Lee) 한국FP학회 2019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2 No.2

        본 연구는 투자자들이 기업에 대해 갖고 있는 관심 정도에 따라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 변경이라는 새로운 정보에 상이하게 반응하는지를 분석한다. 투자자 관심도는 인터넷 검색량 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투자의견이 변경된 기업들을 투자자 관심도가 높은 기업군과 투자자 관심도가 낮은 기업군으로 분류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이 상향 변경된 시점에 유의한 주가 상승은 투자자 관심도가 높은 기업군에서만 나타난다. 투자의견이 하향된 경우에는 투자자 관심도가 높은 기업군과 낮은 기업군에서 모두 유의한 주가 하락 반응이 나타났으나 투자자 관심도가 높은 경우 하락률이 높다. 즉 투자의견 변경 공시 시점의 과소반응은 투자자 관심도가 낮을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둘째, 투자의견이 상향된 경우에 투자자 관심도가 낮은 기업들은 공시 이후 3일부터 50일까지 시장수익률을 초과하는 유의한 주가 상승을 기록하는 반면 투자자 관심도가 높은 기업들의 수익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시장수익률을 하회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투자의견이 하향된 경우에는 투자자 관심도가 낮은 기업들은 공시일 +3일부터 +50일 동안 시장수익률을 하회하고 투자자 관심도가 높은 기업들은 시장수익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두 통계적인 유의성은 부족하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의 관심이 낮을수록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에 대한 투자자의 과소반응 및 주가 지연반응이 심화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vestor attention affects investors’ response to the announcement of analysts’ recommendation revisions. We use the internet search index provided by Naver as a proxy for the degree of investor attention in a firm. We measure immediate market responses to recommendation revisions using five-day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s surrounding announcements and post-announcement drift using buy-and-hold abnormal returns from three days to fifty days following announcements. The main finding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immediate market response to the announcement of recommendation revisions is weaker when investors’ attention in a firm is low. Second, we find that the post-announcement drift is stronger when investors have low attention.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ior literature suggesting that investor inattention is related to investors’ underreaction to new information and related post-announcement drift.

      • KCI등재

        조정속도계수에 관한 실증분석

        조지호 ( Ji Ho Cho ),정성훈 ( Seong Hoon Jeong ) 한국재무관리학회 2011 財務管理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1990~2010년의 기간 동안 한국, 미국, 일본, 홍콩 4개국을 대상으로 Theobald and Yallup(2004)의 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주식시장에서 시장에 공개된 정보가 주식의 내재가치를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를 설명하는 조정속도계수에 대해 실증 분석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을 포함한 4개국 모두 조정속도계수 값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발생하였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조정속도 계수 값을 갖는 반면, 홍콩의 경우 선진국에 비해 낮은 조정속도계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선진국임에도 한국에 비해서도 높지 않은 조정속도계수 값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연구 기간 동안 일본 주식시장의 장기하락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4개국 모두 대세상승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조정속도계수 값을 가지며, 하락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조정속도계수 값을 기록하였다. 이는 행동 재무학의 이론 중 하나인 ``전망이론(prospect theory)``으로 설명될 수 있다. 대세상승장에서는 투자자들의 과신감(overconfidence)성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내재가치주식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을 주고라도 주식을 매수하려는 적극적인 성향을 보이지만, 하락장에서는 손실을 본 주식을 시장의 정보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보유하려는 성향 즉, 손실회피(loss aversion)현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주식시장의 상장종목을 크기(대형주, 소형주) 순으로 나누어 조정속도계수를 살펴본 결과, 모든 국가에서 대형주의 조정속도가 소형주보다 빠른 결과가 발생하였다. 결국 대형주는 관련정보에 과대반응을, 소형주의 경우 정보에 과소반응을 보인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투자전략에 응용하면, 대세상승장에서 대형주에 투자하여 주목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between public information and intric value, analyzes the speed of adjustment coefficients by Theobald and Yallup(2004) in the stock markets of Korea, United States, Japan, Hong Kong. The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Using the ARMA model, there are significant value of the speed of adjustment coefficients in the four country. Especially, in the bull market, there is high adjustment coefficients, but, in the bear market, there is low adjustment coefficients. It means ``disposition effect`` in behavioral finance. In the bull market, investors tend to overreact, but, investors underreat in the bear market. Investors` reaction is sensitive to the size. Big firm`s adjustment coefficients is larger than small firm`s. It shows that big firm overreact to information, but small firm underreact to information. So, it can be applied that the investment big firm in the bull market is efficient strategy.

      • KCI등재
      • 횡단면 주식수익률의 단기 고유모멘텀

        엄철준 한국재무학회 2022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본 연구는 횡단면 주식수익률의 단기 고유모멘텀 현상을 조사한다. 단기 고유모멘텀은 과거 직전월에서 가격결정모형으로부터 추정된 잔차수익률의 기간성과를 이용하고, 이는 직전월 수 익률의 기간성과를 이용한 단기반전과 다르며, 직전월에서 동일한 잔차수익률의 변동성을 이 용한 고유변동성과도 다르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단기 고유모멘텀에 대한 H-L 무비용 포트 폴리오는 미래 보유기간 1개월에서 8개월까지 지속적으로 유의적인 양(+)의 투자성과를 보인 다. 이러한 지속적 수익패턴은 직전월에서 기관투자자들(기관, 외국인)의 단기 고유모멘텀 승 자주식들에 대한 높은 매도의 과소반응 거래행태에 기인하고, 반전적 수익패턴의 단기반전현 상이 기관투자자들의 높은 매수의 과잉반응 거래행태와 구분된다. 또한 단기 고유모멘텀은 알 려진 요인프리미엄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고유한 정보가치를 갖고, 직전월 재정거래 제약에 관련된 기업특성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현상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보인다. 한편, 직전 월의 동일한 잔차수익률을 이용한 단기 고유모멘텀과 고유변동성은 음(-)의 상호지표적 관계 (reciprocal barometer)을 보인다. 즉, (비)유의적인 단기 고유모멘텀의 존재는 (비)유의적인 고유변동성의 존재를 의미하고, 반대의 경우에도 성립한다. 이상의 검증결과에 근거하여, 새로 운 시각에서 직전월의 단기 고유모멘텀 투자전략의 존재와 유용성을 견고히 입증함에 따라 제 안된 단기 고유모멘텀의 향후 논의가 기대된다.

      • 주식분할의 장기성과를 통한 시장 효율성 검증

        변종국,조정일,김종두,공재식 한국산업경영학회 2006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00년 기간 동안 과거 거래소시장과 KOSDAQ시장에서 주식분할을 실시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주식분할 이후 장기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표본은 검증기간 동안 다른 정보의 유입이 없는 표본으로 거래소 상장기업 61개와 KOSDAQ 등록기업 62개 기업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주식분할 이후의 장기성과는 event-time 포트폴리오 접근방식으로 측정되어지는 보유초과수익률( BHAR)과 누적평균초과수익률( CAAR )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식분할 이후 36개월간 표본기업과 벤치마크 포트폴리오의 월별수익률과 주식분할 전 후 각종 재무자료들이 이용되어졌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식분할의 공시월(0)에서 장기성과의 측정방법과 벤치마크 포트폴리오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적인 양(+)의 초과수익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국내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주식분할의 공시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재확인 한 것이다. 하지만 이후 기간별 보유초과수익률( BHAR)과 누적평균초과수익률( CAAR) 대부분에서 모두 유의적인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나 주식분할에 대해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과민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민반응은 거래소시장 보다는 KOSDAQ시장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주식분할의 신호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도 분할비율이 낮은 경우 오히려 보유초과수익률( BHAR)과 누적평균초과수익률( CAAR)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식분할 이전 보다 이후에 영업성과가 더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주식분할이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된다는 신호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주식분할이 시장에서 공시 전 후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양(+)의 초과수익률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고 오히려 음(-)의 초과수익률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이 주식분할에 대해서 과민반응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식분할 이후 기업의 수익성 변화가 오히려 악화되는 것으로 보아 논리적 근거도 없이 투자자에게 주식분할이 호재로 받아들어져 공시 전 후로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