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측부 족관절염에 대한 과상부 경골 절골술

        박종태(Jong-Tae Park),엄준상(Joon-Sang Eom),정홍근(Hong-Geu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2

        목적: 족관절 내측부에 국한된 골관절염에서 과상부 경골 절골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통해 과상부 경골 절골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8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내측부 족관절염 진단하에 과상부 경골 절골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수술 전후의 visual analogue scale (VAS) 통증 지수와 미국 정형외과 족부족관절학회(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기능 점수 등을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tibial anterior surface (TAS) 각과 tibial lateral surface 각, Takakura 족관절염 분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VAS 통증 점수는 0.6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OFAS 점수 또한 89.3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AS 각은 술 후 93.5도의 경도의 외반 변형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akakura 분류상 IIIa였던 7예가 술 후 등급 II로 향상되었다. 결론: 내측부에 국한된 내반형 족관절염 환자에서 과상부 경골 절골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특히 Takakura IIIa 단계에서 추천할 만한 수술 기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supramalleolar tibial osteotomy for medial compartment ankle osteoarthritis (OA) an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supramalleolar osteotom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9 ankles of the medial compartment ankle OA treated with supramalleolar tibial osteotomy from August 2007 to June 2011 with at least 1 year follow-up. As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visual analogue scale (VAS) pain scores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ores were evaluated. On radiographs, tibial anterior surface (TAS) angles, tibial lateral surface angles were measured. The severity of ankle OA was classified by the Takaura staging system. Results: The mean VAS pain scores improved to 0.6 and AOFAS scores improved to 89.3. Radiographically, TAS angle increased to 93.5o postoperatively. Seven ankles showed improvement of the ankle arthritis grading from IIIa to II according to Takakura’s staging. Conclusion: Supramalleolar tibial osteotomy for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varus ankle OA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We confirmed that the procedure is recommendable for medial compartment varus ankle OA especially for Takakura stage IIIa.

      • KCI등재후보

        내반 퇴행성 족관절염에 대한 과상부 절골술

        이우천,김정래,Lee, Woo-Chun,Kim, Jung-Rae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내반 족관절 퇴행성관절염에서 선열에 대하여 고찰하고, 과상부 절골술의 적응증과 수술술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초기 족관절 퇴행성 관절염에서 경골 천장 및 후족부의 선열은 상당히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과상부 절골술은 거골 경사가 경미하고, 후족부 선열이 중립이거나 내반인 경우가 적응증이다.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alignment of the ankle and hindfoot in varus ankle osteoarthritis. The indication and surgical technique of the supramalleolar osteotomy has been reviewed. Alignment of tibial plafond and hindfoot is variable in early stages of ankle osteoarthritis. Supramalleolar osteotomy is indicated for the treatment of ankle osteoarthritis in patients with minimal talar tilt and neutral or varus heel alig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