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연예술 관람 활성화를 위한 연구- 공연예술관람 장애요인과 보완점을 중심으로

        이은미,정영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공연예술 관람 활성화를 위한 공연장과 공연예술단체의 유료관람객 확보를 위한 자생력 강화는 공연예술 시장이 활성화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공연예술 제작 환경과예술인들의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공연예술 시장의 문제점은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구준모외2010). 우리나라의공연장과 공연예술단체의 안정적인 재원조성을 위해서는 유료관객 확보가 절실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공연예술 공급 즉 생산자 중심의 마케팅과 지원사업들을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 관객들은 수동적인 관람보다는 적극적인 체험과 참여를요구하고 있고 다양한 홍보매체 발달로 공연장과 공연예술 단체의 관객개발을 위한능동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화관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체된 공연예술 관람 활성화의 문제점과 애로요인을 찾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특히 설문조사에 바탕을 둔 회귀분석과 판별분석을통하여 공연장을 즐겨 찾지 않는 관람객 즉 저빈도 관람집단의 경우에는 공연티켓가격의 부담, 공연장의 접근성, 공연 정보제공, 공연장의 분위기 등 공연장의 시설·환경요인과 공연물에 대한 사전지식이나 이해가능성 부족 등에 대한 불만이나애로사항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애요인들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공연예술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로는 장르별 세부적인 특성에 대한 관람객 활성화를 위한 연구로 확장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현재의 관객 흐름을 바탕으로 한 세부 장르별 관람객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erforming arts market has increased rapidly in S. Korea, but the audience size has not increased, 5% reduced in 2014. The problem of the performing arts market is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The film market is very active and the audience of the film has increased rapidly, 3.6 films per korean citizen a year.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performing arts market based on the difficulty to attending performances at the performing arts center.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the ticket price which is too high to afford, the accessibility of the theater, the lack of performance informations, the atmosphere of the theater are main problems to solve for audiences. Therefore at the end of this study, there are suggestions each problems to increase audiences of the performing arts companies and performing arts centers and be financially independent to make a fine performance and improve the quality of artists’ life.

      • KCI등재

        ‘공연예술 디지털중계 시네마(PADBC)’ 관객의 선택과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안영리(Younglee Ahn),여정성(Yeo Jung Sung) 한국문화경제학회 2021 문화경제연구 Vol.24 No.3

        순수예술의 공연예술단체는 고급문화의 위계적 특성과 엘리트적 향유 방식에서 비롯되는 배타성, 공연예술의 현전성과 찰나성에서 비롯되는 비경제, 다원화되는 문화예술향유 선택지 간 경쟁 심화 등의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뉴욕메트로폴리탄오페라, 영국 국립극단, 베를린필하모닉 등 예술적 수월성의 추구와 전통의 유지 뿐 아니라, 관객 집단과의 창의적이고 포용적인 소통에 노력을 기울여 온 예술단체들이 공연장에서 상연되는 공연예술작품을 디지털 기술력을 활용하여 공연장의 외부 공간으로 중계 상영하여 관객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공연예술을 관람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오페라, 정통연극, 클래식음악과 같은 순수예술의 공연예술단체가 공연작품을 실제 상연이 이루어지는 공연장 현장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실시간 혹은 지연송출하여 공연장 외부의 영화극장 등에서 대형 화면을 매개로 고화질 영상과 입체 음향으로 상영하는 것을 ‘공연예술 디지털중계 시네마(Performing Arts Digital Broadcast Cinema/PADBC)’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사례로 뉴욕메트로폴리탄오페라단의 ‘Met HD Live’, 영국 국립극단의 ‘NT Live’, 베를린필하모닉의 ‘Live in Cinemas’ 사업의 유래와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어 디지털 기술이 가능하게 만든 공연예술의 새로운 제공 및 관람방식의 특성을 논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PADBC를 유료로 관람한 경험이 있는 국내 관객 12인을 심층면담하고, 수집된 자료들을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PADBC 관객의 선택과 경험의 구조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고, 현상의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핵심범주는 ‘관객은 PADBC의 양면성이 야기하는 딜레마 상황에서 공연예술 현전성에 대한 가치판단, 영상시청 경험, 문화예술 경험 수준 등에 따라 상이하게 채택되는 전략적 선택의 결과로 PADBC를 관람하여 문화적 경험과 역량을 축적함’으로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공연예술단체의 경영 및 예술정책의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face challenges. The problems are the exclusiveness resulting from the elite-centered way of enjoying arts, dis-economies caused by the one-time presence of performing arts, and the competition among the diversified options for enjoying arts and culture. Such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s the New York Metropolitan Opera, the National Theater of UK, and the Berliner Philharmoniker have mad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by creatively communicating with diverse audience groups. By adopting digital technology to broadcast and screen their performances to the outside space of the performance hall, they made the audience view and enjoy performing arts in a new way. The study suggests a concept of ‘Performing Arts Digital Broadcast Cinema(PADBC),’ which defines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ransmit their performance in real time or delayed digitally at the venue where the performance is being performed and screen it on a large screen of movie theater.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audiences who had seen the PADBC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We found that the audience watched the PADBC as a result of strategic choices that were differently adopted depending on the value judgment on the presence of performing arts, the experience of video viewing, and the level of artistic experience in a dilemma caused by PADBC’s double-sidedness.

      • KCI등재

        공연예술콘텐츠의 가치와 융합적 구조

        허난영(Hur-Lan You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제작․유통 과정을 콘텐츠진흥법상 기술·산업과의 융합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영역 간 콘텐츠 생산과 공유방식은 공연예술의 제작․유통구조를 전환시키고 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공연예술실황영상은 공연예술의 시공간적 경계를 뛰어넘어 예술 창작과 소통의 영역을 확장하여 기존 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성과 공간적 제한성을 전제로 출발되었던 공연예술은 실황영상화를 통하여 시공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플랫폼을 창출하고 있다. 공연예술은 기술·산업 영역과 융합하여 보편적 접근성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문화적 형평성이라는 공공 공연장의 공공적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급예술로 불리어지는 오페라, 클래식, 발레 등의 공연예술이 영상산업과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공연예술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making and distribution course of performing arts and its converged form with technology and industry in terms of the Contents Promotion Act. Since the 2000s, the inter-area contents making and sharing methods have been changing the making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performing arts. The recent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contents live videos extends the areas of arts creation and communication beyond the time and spatial boundaries of performing arts and changes the existing systems. The performing arts which started with nowness and spatio-temporal restriction on the premise is now creating a new platform over the spatio-temporal boundary through the live video. Performing arts, in convergence with the areas of technology and industries, expands universal approaches and shows the public value of cultural fairness at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possible extension of performing arts contents by examining how the so-called high-class performing arts such as opera, theatre and classical music combines with the visual industry.

      • KCI등재

        충북지역 공연예술의 현황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송갑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충북지역 공연예술의 현황분석을 통해 제도와 공연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이다. 연구범위는 충북지역에 한하며, 연구 대상은 공연예술 중 연극을 중심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예연감’(2015년 ~ 2020년)을 통해 먼저 전국을 기준으로 충북지역과 중앙 의 공연예술 현황을 비교 분석한 이후, 충북지역 창작초연과 재공연의 현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연예술계에서 충북지역 공연예술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충북문화재단의 ‘연차보고서’(2017년, 2019 년, 2020년)를 통해 충북지역 내에서 공연예술의 분야별 현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을 바탕 으로 충북지역 공연예술 제도와 공연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 한다. 결론에서는 크게 4가지 문제로 정리한 후 이에 대한 10가지 세부 사항으로 연구를 요약하면서 다 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 번째, 공연예술인력 문제에 대한 방안이다. 1) 현재의 공연예술인력을 재교육하 고 우수 인재를 유치해야 한다. 2) 충북지역의 연극영화학과와 지역 연극인들과의 교류를 확대하면서 이 에 대한 새로운 협회 및 단체를 설립해야 한다. 3) 젊은 연극인 및 단체에 대한 혜택을 늘리고 적극적인 유치가 필요하다. 두 번째, 공연예술 단체 및 예술가 지원에 대한 방안이다. 1) 창작단체와 예술가 개인에 대한 지원금 규모 확대 및 지속적인 지원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2) 충북지역을 연고로 하는 기업들이 기 업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예술단체를 적극적으로 후원해야 한다. 세 번째, 관객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방 안이다. 1) 충북형 관객개발이 필요하다. 2) 창작거점공간으로써 소극장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3) 예술 행정을 전문화 시켜야 한다. 네 번째, 충북을 대표할 단체 및 공연행사에 대한 방안이다. 1) 충북 도립극 단을 설립해야 한다. 2) 충북을 대표할 만한 국제 공연행사를 만들어야 한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nd revitalization plans of performing arts in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centered on theatre among the performing arts. As for the progress of research, starting with the 'Culture & Arts Yearbook' (2015-2020), the ‘Annual Report’ (2017, 2019, 2020) of the Chungbuk Cultural Foundation was analyz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solutions and revitalization plans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 plan for the problem of performing arts personnel. 1) It is necessary to retrain the current performing arts personnel and attract excellent talents. 2) While expanding exchanges between departments of theatre and film in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and local theatrical people, new associations and groups should be established. 3)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benefits for young theatrical people and organizations and actively attract them. Second, it is a plan for supporting performing arts groups and artists. 1) The scale of subsidies for creative groups and individual artists should be expanded and a continuous support system established. 2) Companies based in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should actively support art organizations by establishing corporate culture foundations. Third, it is a plan for service for the audience. 1) The northern Chungcheong-type audience development is needed. 2) The role of the small theater as a creative base space should be expanded. 3) Art administration should be specialized. Fourth, it is a plan for organizations and performance events that will represent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1) A provincial theatre company in the northern Chungcheong must be established. 2) An international performance event that can represent the northern Chungcheong region must be create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공연 분석 연구 - 국내 공연예술단체 사례 중심으로 -

        신창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5 No.1

        코로나 팬데믹은 전 세계에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타격을 입혔다. 이는 공연예술계도 예외는 아니다. 한정된 공간에서의 예술 활동이 이뤄지는 공연장 및 전시장 등은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으로 인해 휴관하기에 이르렀으며 예술단체들은 공연을 제작하여 시연할 수 있는 공간을 잃어버리고 그와 관련된 예술인들은 설 자리를 잃어갔다. 이는 결국 공연예술산업이 축소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다. 공연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단어인 ‘연결’이라는 단어와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공연이 관객과 시연자 와의 소통과 공감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결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공연예술계 의 전통적 공연방식인 대면을 통해서 이뤄지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이로써 비대면 공연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며 새롭게 정의되는 공연 용어가 된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결합은 공연예 술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일반적인 오프라인 공연 형태인 대면 공연에서 온라인 공연 형태인 비대면 공연으로의 변화이다. 비대면 공연의 핵심은 영상콘텐츠이며 대면 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관객과 시연자들의 연결은 영상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만 이뤄질 수 있는 상황 이 되었다. 또한, 비대면 공연은 기존의 일차원적 전달 형식의 영상 활용뿐만 아니라,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 공연장의 효과로 대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플랫폼 활용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제 공연을 위해서는 영상 미디어를 통한 기술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공연이 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을 통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국내의 대표적 공연예술 단체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는 공연예술계의 변 화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taken a tremendous toll on the society and economy of the world. The performing art community is no exception. Stage and exhibit hall in the limited space have been closed due to the risk of contagion with COVID-19 and then art group has lost space to demonstrate their performance and artists post has been disappeared, leading to a situation where the performing arts have been reduced. The performance can be in line with the word ‘connection’, which is the ke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is connected with interaction and emphathy of the audiences and performers. These conncetion has been blocked with Corona Viruses, which is the traditional manner of performing arts fields. Hereby untact performance was born and it has been become a newly terms for performing arts. The cohesion of COVID-19 Pandemic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as generated many changes to the performing arts fields and the most representative thing is the change from the in-person performane which means ordinary offline type to the untact performance standing for the online performance. The key elements of untact performance is the image contents, resulting in the connection with only images for performers and audiences in a situation where they are not facing with. In addition, untact performance has been generating not only one-dimensional delivery manner of image but also various attempts for cyber spaces to substitute for actual stages through diverse platforms. For now the technological approaches with image media have become the essentail factors for the performance.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cases of domestic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 groups to see what the untact performance has been going 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ider the changes of performing arts fields in line with post-Corona era to come.

      • KCI등재

        공연예술의 환경변화와 예술가의 대응: 판소리의 경우를 중심으로

        유영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nature of performing arts, analyzing Pansori as its example, examining both characteristics of live performance and recorded performances. Performing arts exist as an ephemeral form of art, only existing at the moment it is performed. Nonetheless, performing arts also exist in form of memories of the audiences, and the works of the masters are re-performed in aural and visual recordings. Performing art of the traditional era remains only in memories. In traditional societies, we do not have formalized space for performances. Pansori were performed in living rooms, yards, or arbors. The aura of such performances can be re-created, based on the textual recordings of them. The records show that the performances of Pansori masters had overwhelming aura. On the twentieth century, we have gained access to modern theaters, and thus gained the chance to re-experience the memories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Some performances were mostly similar to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some were differentiated. Throughout the era of artistic reproduction, many different genres of performing arts including pansori are recorded with various means. With reproduced performing arts, we examine how the original performances were conducted, and we attempt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elements of them. However, reproduced art could never replicate the ‘aura’ of the original performance. Performing art is art of time. Being in the audience of live performance is at the core of understanding performing arts. Being at the moment of performance is an unparelled experience. Pansori as performing art has come to a great change of environment in the modern era. There have been many experiments, to show the authenticity and the aura of the original performances, out of the performance space itself. However, being in the audience of pansori in its live performance is essential in Pansori’s appreciation. Therefore, it is the mission of the modern artist to recreate Pansori in a live performance with exceptional quality. 이 논문은 판소리를 중심으로 삼아, 공연예술의 현장성과 기록으로 재현되는 특성에 관하여 점검한 것이다. 공연예술은 일회적이고 그 순간이 지나면 사라져버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공연예술은 관객에게 기억으로 존재하고 있다. 거장의 작품은 음반이나 영상자료를 통하여 재현된다. 전통사회의 공연예술은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없으며 단지 기억으로만 남아있다. 전통사회에서 판소리는 규격화된 공연공간을 갖지 못하고, 마당이나 사랑방에서 진행되었다. 당대 공연을 직접 체험하는 대신, 생생하게 그 현장을 기록한 자료를 기반으로 삼아 그 공연현장을 재구할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명창의 공연에는 그 주변을 압도하는 현장의 아우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서서 서구식 극장을 확보하면서, 우리는 기억되거나 기록된 공연을 재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재현된 소리판은 전통사회에서 이루어졌던 공연현장과 유사한 부분이 있었고 차별화된 것도 있었다. 기계복제시대를 거치면서 판소리를 포함한 공연예술의 다양한 장르들이 음반이나 영상으로 기록되었다. 복제된 음반을 통하여 우리는 이전 시대에 이루어졌던 공연의 규모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복제된 음반에는 원본공연예술이 가지고 있는 현장감이 없고, 따라서 아우라도 사라졌다. 음반에 아우라까지 담아내려는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현장이 주는 긴밀함은 어느 경우에도 재생되지 못했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공연은 현장의 예술이다. 아무리 다양한 매체가 있다 해도 현장에서 직접 공연을 보는 것에 비견할만한 것은 없다. 현장에 있어야 생동감 있는 무대를 경험하고 열광한다. 현대에 와서 판소리라는 공연예술의 환경은 변화의 폭이 대단히 크다. 다양한 방식의 실험을 통하여 원본의 핍진함과 아우라를 공연현장 밖에서도 느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있어왔다. 그럼에도 판소리를 포함한 공연예술의 감상은 현장을 떠나서는 그 본질적 아우라가 발현되지 않는다. 공연예술의 변화된 환경에 대하여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예술가인 광대의 숙명이다.

      • 『공연예술학과』 신설에 대한 타당성 연구

        정연희, 강승구, 장일, 김병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정책과제 Vol.2016 No.-

        이 연구는 방송대 학부과정에 「공연예술학과」를 신설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학과」에 대한 수요 예측 및 학과 운영방안을 타진할 수 있는 각종 문헌 및 자료를 모으고, 교내.외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먼저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사회적 역할 및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방송대 발전전망에 비춰본 학과 설립의 필요성을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공연예술분야의 현황 및 인력수요 전망, 국내대학의 관련학과 개설 현황 및 사례, 방송대의 내부 여건으로서 실습교과의 운영실적 및 성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내용을 토대로 교내외 여건을 고려하여 두 가지 학과신설방안을 제안하였고 결론적으로 학과신설의 기대효과와 정책적 쟁점 및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을 사회적 차원과 방송대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사회적 차원에서 제기되는 공연예술학과 신설의 필요성으로는 전자에 대해서는 공연예술분야의 비중과 사회적 역할의 확대, 100세 시대의 도래와 여가문화 확산, 문화복지 개념의 부상과 일상화, 사회 속에서 공연예술교육의 확산, 전문 공연예술가와 전문 매개 인력의 필요성,‘문화예술교육사’인력 수요 증가, ‘문화복지사’ 제도의 도입 요구 증대 등 7가지로 정리하였고 방송대의 발전전망 차원에서 제기되는 필요성은 방송대를 공연예술 인력 양성의 허브화할 필요성과 입학자원의 확대로 인한 교육수요의 창출의 필요성으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현황 및 인력수요전망은 공연예술분야 시장규모 및 정부지원현황, 공연예술분야 국가자격제도, 향후 인력수요 전망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첫째, 공연예술분야는 아직까지 자체 시장규모보다 공공지원이 큰 분야로 잠재적인 성장가능성이 높다. 시간적인 변화추이를 볼 때 시장규모나 정부지원 양자 모두 증가추이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격증의 경우 공연예술분야는 아직 자격증이 수요가 큰 분야가 아니어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자격과 민간자격 중 상대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고 수요가 큰 국가자격제도에 대해서만 살펴보았다. 민간자격분야에서도 점차 다양한 자격종류가 생기고 있지만 영향력은 아직까지 미미한 형편이다. 공연예술 국가자격제도로는 문화예술교육사와 무대예술전문인 제도가 있으며 문화예술지원법령 등에 따라 국공립시설이나 단체에 취업시 국가 자격증이 요구됨으로 인해 이에 대해서는 향후에도 지속적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인력수요 전망은 밝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제.사회.문화적 여건에 따라 향후 문화산업은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그 중 공연예술분야는 아직 산업규모가 작긴 하지만 향후의 인력수요 전망은 문화 산업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관련학과 개설 현황 및 사례는 일반대학 및 전문대학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대학과 사이버대학으로 나눈 후 각 대학유형에 대해 먼저 국내 관련학과 전체의 설립현황 및 운영형태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각 대학유형에서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학과형태를 살펴보였다. 이에 따르면 첫째, 오프라인 대학의 경우 국내에는 이미 전문대학, 일반대학 포함하여 100개의 대학에 공연예술 관련학과가 설립되어 있어 상당히 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직 국립대에 공연예술 관련학과가 설립된 경우가 없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둘째, 사이버 대학의 경우 국내 총9개 대학에 관련학과가 설립되어 있다. 공연예술분야의 특성으로 인해 실기실습이 강조되는 만큼 사이버 대학에서 관련학과를 설립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타대학과의 차별화를 통해 특성화된 학과를 만들고 틈새시장을 공략하고자 하는 노력이 돋보였다. 이러한 전략 차원에서 사이버 대학임에도 실습을 강조하는 대학들이 있었으며 이들 대학의 경우 방송대의 학과 신설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전용시설 구비, 실습 비중 확대 등이 학과 성공의 중요한 관건으로 나타났다. 방송대의 여건에 대해서는 실습교과에 대한 인프라 및 노하우를 파악한다는 취지에서 그동안 방송대가 운영해온 실습강좌의 이력 및 현황을 살펴보고 아울러 학내 교수진의 의견 및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첫째, 방송대에서의 실습교과는 학부에서 출석수업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와 프라임칼리지의 컨서바토리 과정, 평생교육과정을 들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오프라인 교육 및 실습수업에 방송대 나름의 노하우가 상당부분 축적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내 교수진의 의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현존하는 학과들과의 이해관계 상충 여부이다.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공연예술학과 신설시 미디어영상학과를 비롯하여 여러 학과들과의 관계 설정 문제가 발생할 것이며 기존 학과에 피해를 주지 않는 학과 신설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공연예술분야의 산업시장 규모는 크지 않지만 고등교육 수요는 큰 편이며 점차 성인학습자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경제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및 문화예술에 대한 대중적 요구의 증대 등 우리나라의 경제사회적 변화동향 속에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공연예술분야 대학을 지망하는 학생들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연기나 연출 등의 실기 능력 습득인 만큼 공연시설, 연습실, 실기지도 교수진 등 이를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갖추어야만 실제적인 학과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대내외적 여건을 고려하여 본 연구가 제시한 학과 설립방안은 두 가지로 첫째 사회과학대학 내의 미디어영상학과를 미디어영상공연학부로 확대 개편하는 안과 둘째 프라임칼리지에 미디어공연예술학부를 신설하는 안이 그것이다. 첫 번째 안은 기존의 학교 체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미디어영상학과가 담당하는 교육영역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세부 전공 분야 한 가지, 즉 연극 및 일부 퍼포먼스 공연을 추가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 안은 사회과학대학 내의 미디어영상학과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프라임칼리지(혹은 이에 준하는 새로운 학제 카테고리)에 미디어공연예술학부를 신설하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에 대신하여 학과 신설의 기대효과와 정책적 논점 및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학과 신설의 기대효과는 첫째, 우리대학의 브랜드 자산 구축에 기여, 둘째, 사회 구성원들의 공유 가치 창출에 기여, 셋째, 입학자원의 확대로 인한 교육수요의 창출, 넷째, 장기적으로 ‘공연예술활용교육’ 모델의 확산에 기여이다. 쟁점 및 고려사항으로는 첫째, 학부제 도입의 타당성, 둘째, 학과의 명칭 및 외연, 셋째, 입학자원 확보를 위한 주요 공략대상 설정, 넷째 향후 수요를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각 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이 예술 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관람에 미치는 영향 - 개인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송진화,이동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0 No.2

        As "Untact" culture spreads among communities throughout pandemic from COVID-19, performances without contact have been built newly in fields of arts & performances as well. Such change in performance arts has developed on-line performances, especially focusing on Metaverse that has removed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world, and maximizing online performances' efficiency. The industry of art and performances is putting more weight on online art performances to make a breakthrough this new society with untact culture especially by focusing on Metaverse technology. With acknowledging such background, we have studied about art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technology by choosing art-major undergraduates as subject, for having lowest entry to the metaverse-related art performances. We have also made quantitative study for the factors related to these student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To summarize, our study is made upon how quality, characteristic and emotional traits of metaverse performances are related to people's intention to attend these performances, and analyzing if personal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can have mediator effect in this relationship. As a first result of study,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and emotional traits to this performance has valuable effect on people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Secondly,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was shown to have partially mediate people's emotional trait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o the metaverse performances. Our study has proved variants related to stu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metaverse performances, and implied plan to improve their intention to attend to such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sult of analysis. 코로나19의 펜더믹을 통해 사회 전체에 비대면 문화가 심화되면서 공연예술계에서도 비대면 공연문화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공연예술계는 온라인 공연의 발전에 집중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공연 중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무너트린 메타버스에 집중하였다. 즉 공연예술산업은 비대면 문화가 성행된 사회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온라인 공연예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메타버스라는 기술에 집중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인지하여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이용의도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장벽이 낮은 예술 계열 대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이 있는 요인들에 대해 양적연구를 하였다. 즉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품질, 특성, 매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이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은 매개효과를 일으키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자면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은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둘째,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 있는 변수들을 증명하였고,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높일 방안에 대해 시사하였다.

      • KCI등재

        공연예술관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하지원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6

        As the era of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spreads, the need for leisure activities is emerging. As leisure time increases, people's awareness level for leisure life is increa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ich factors among the determinant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audience when watching the performing arts, and the factors of consumption of the performance. The following implications of viewing the performing art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opinions of empirical audiences on the various determinants of works, prices, distribution, and promotion of performing arts viewing. Second, it is urgently necessary to secure an audience for viewing the performing arts. Third, there is a need for performing arts viewing events that util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gion of the residential area. Furtherm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lture and arts industry as basic data for attracting cultural and artistic audiences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시대가 확산됨에 따라 여가활동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의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전체 86%가 여가활동에 대한 문항에서 ‘여가활동이 삶의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여가생활을 위한 국민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예술 관람 시 관람객들의 문화예술활동 결정요인 중 어떠한 요인을 고려하며 공연을 소비하는지에 대한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공연예술 관람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람여부, 특성, 관람결정 요인,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대해 파악하고, 관람특성에 따른 관람결정 요인,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공연예술관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연예술관람의 작품, 가격, 유통, 촉진에 대한 다양한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관객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연예술관람의 관객층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거주지역의 인근 주변환경 및 지역을 활용한 공연예술관람 행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관람 소비자인 관람객의 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과정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공연예술관람의 방향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관람객 유치 및 재원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국가문화예술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연 예술과 기술 융합이 관람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아트를 중심으로 -

        백민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최근의 공연예술은 작품 속 배경 또는 인물이 살아 움직이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관객의 오감을 자극 하고 관객과 작품 간의 적극적이면서 몰입도 높은 참여를 이끌어낸다. 공연예술 변화의 흐름과 미디어아 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해보고, 미디어아트가 접목된 공연예술을 기준으로 관객의 관람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과 미디어아트 융합이 관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논의하는데 목적을 둔다. 공연예술 변화의 흐름과 미디어아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해보고, 미 디어아트가 접목된 공연예술을 기준으로 관객의 관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융· 복합형 콘텐츠들은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줌으로써 대중문화 소비층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향 유층까지 확대시키고 있다. 공연예술에 있어서 기술융합에 대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태도는 공연예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나가는 계기가 되었다. 매체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모든 영역에 서의 통합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시각각 변화하는 화려한 디지털 퍼포먼스는 무대를 장악하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러한 변화는 공연예술 산업의 확산과 새로운 시장으로의 확대 등 잠재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예술 분야의 대표적인 융·복합 통합현상은 첨 단기술과 아트가 결합 된 미디어아트라고 말할 수 있다. 미디어아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미 디어아트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디어아트 작가들을 지원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 하며, 미디어아트 전용 공간을 확보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공연예술과 미디어 아트 간 하나의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예술로서 승화시킨다면 공연예술분야에 새로운 한 획이 될 수 있 을 것이다. Recent performing arts stimulate the audience's five senses and induce active and immersive particip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work by utilizing the background of the work or the way the person moves aliv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low of changes in performing arts and media art in detail, and to continue to study how it affects the audience's viewing based on performing arts incorporated with media art. Convergence and complex contents are expanding not only to popular culture consumers but also to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by providing new experiences to the audience. Various and active attitudes toward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performing arts hav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new genres beyond the limits of performing arts. As the boundaries between media are broken down, the phenomenon of integration in all areas is remarkable. It can be said that the representative convergence and complex integration phenomenon in the art field is media art that combines high-tech and art. In order to revitalize media art,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media art. To this end, various efforts should be required, such as supporting media art writers, preparing educational programs, and securing space dedicated to media art. If it is sublimated as an art with one clear purpose between performing arts and media art, it could be a new milestone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he spectacular digital performance, which changes from time to time, dominates the stage and catches the audience's attention. These changes can provide opportunities to explore potential possibilities such as the spread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the expansion of new mark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