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무제의 공민왕 책봉 조서의 實在

        권용철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8 No.-

        본 논문에서는 공민왕 19년(1370) 5월에 명의 사신이 도착하여 공민왕을 고려국왕으로 정식 책봉하는 기록에서부터 의문을 가지고, 고려-명의 초기 관계 형성이라는 상황을 염두에 두면서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 기록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고려사 의 공민왕 세가에는 공민왕이 홍무제에 의해 고려국왕으로 책봉되었을 때 전달된 문서로 誥命의 존재만 보이고 있다. 그리고 명 측의 기록에서도 똑같이 誥命의 내용이 일부 글자만 달라진 채 고려사 와 거의 똑같은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문제는 명 측의 기록이 교묘하게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명태조실록 에서는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와 誥命을 모두 기록을 해놓았지만, 정작 조서의 실제 내용은 고려사 의 우왕 책봉 조서와 거의 동일했다. 즉, 우왕을 책봉할 때 보낸 조서를 공민왕을 책봉할 때 반포한 조서로 조작해 놓은 것이다. 그리고 명집례 나 대명태조황제어제집 은 제목에는 고려국왕 왕전(즉,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라고 기록했으나 실제 내용은 고려사 와 명태조실록 에 실린 誥命을 적어 놓았다. 이렇게 되면서 도대체 홍무제가 공민왕을 책봉할 때에 인장과 함께 誥命만 보낸 것인지, 아니면 조서와 誥命을 함께 보낸 것인지 확실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워졌다. 그러나 공민왕 책봉의 誥命과는 전반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문장은 다른 고려국왕 책봉 조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공민왕을 책봉할 때 반포한 조서로 추정하였다. 1350년대 말부터 주원장 휘하에서 문인 관료로 활약했던 왕위의 왕충문집 에 수록된 이 조서는 공민왕 책봉 誥命과는 별도로 공민왕 책봉 조서가 實在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삼을 수 있다. 왕위의 생존 기간, 조서의 내용 등을 통해서 왕충문집 의 고려국왕 책봉 조서를 받는 대상은 공민왕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홍무제는 명태조실록 의 기록대로 공민왕을 고려국왕으로 책봉할 때 조서, 金印, 誥命을 함께 보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조서가 왜 왕충문집 과 이를 참조로 편찬된 명문형 에만 남아 있고 고려사 나 명태조실록 등 국가가 편찬한 기록에서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지 그 이유가 분명하지 않다. 의도적인 누락이었는지, 혹은 양쪽 기록의 실수였는지 그것도 아니면 조서는 문집에 기록으로만 남아 있고 실제로는 고려에 전달되지 않은 것인지 등의 의문까지는 해소하지 못한 것이다. 차후 고려-명 관계사 연구의 진전과 왕충문집 에 수록된 자료의 성격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이루어져서 여러 의문점에 대한 실마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start with the record of the arrival of Ming's envoy in May of the 19th year of King Gongmin(1370) to officially appoint King Gongmin as the King of Goryeo, and try to find and give meaning to the record of the cefeng(冊封) of King Gongmin while keeping in mind the situation of the early formation of the Goryeo-Ming relationship. In the Goryeo history, only the existence of gaoming(誥命) appears as a document delivered when King Gongmin was appointed as King of Goryeo by Emperor Hongwu(洪武). And in the records of the Ming side, the same content of gaoming is transmitted in almost the same form of Goryeo history with only some characters changed. The problem is that the Ming records are subtly different. While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records both the royal edict(詔書) and the gaoming to appoint King Gongmin, the actual content of the royal edict was identical to the edict to appoint King Wu of Goryeo. In other words, the royal edict sent to appoint King Wu was mistakenly recorded as the edict sent to appoint King Gongmi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ith certainty whether Emperor Hongwu sent only the seal and the gaoming, or both the edict and the gaoming, when he appointed King Gongmin. However, this paper have found that there is a royal edict of Emperor Hongwu that is similar in overall content to the gaoming but different in text, and this paper assumes that it is the royal edict that was issued at the time of the King Gongmin's appointment. This document, which wa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anghui(王褘), a literary bureaucrat who served under Emperor Hongwu from the late 1350s, can be used as evidence to support the existence of a document for the cefeng of King Gongmin apart from the gaoming for the appointment of King Gongmin. In the end, it can be assumed that Emperor Hongwu sent the royal edict, gold seal, and gaoming together when he appointed King Gongmin as King of Goryeo as recorded in the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However, it is unclear why this document is only found in the collection of Wanghui and not at all in records compiled by the state, such as the Goryeo History or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Whether this was an intentional omission or a mistake on both sides, or whether the document was only recorded in a collection of documents and never actually delivered to Goryeo, remains to be seen. It is hoped that future advances in the study of Goryeo-Ming relations and further research will shed light on many of these questions.

      • KCI등재

        高麗 恭愍王代 중엽의 정치적 변동

        민현구 진단학회 2009 진단학보 Vol.- No.107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King Kongmin's reign which has been known as significant transition period. During his reign, four years from tenth year(1361) to fourteenth year has not been well studied. However, this intermediate period of his reign must have played bringing roles between the early stage and later stage of his reformative politics. So I tried to focus on this particular time frame which covers from 1361 when Koryŏ court escaped its capital to avoid Red Turban Bandit to 1365 when he finally tried to resume his reform by empowering buddhist monk Sinton to lead initiatives of reform politics. By thoroughly scrutinizing major political events, I tried to discover how those political turmoils in this particular time frame resulted in the following later part of King Kongmin's reform policy after 1365. Firstly, murder of three chief commander who enormously contributed to Koryŏ's victory over those Red Turban Bandits, was deliberately schemed liquidation of military commanders by King Kongmin who worried if they would threaten his kingship. However, this paradoxically undermined his kingship. Secondly, treason of King Kongmin's merit subject Kim Yong which happened at Hŭngwang Buddhist temple in a complicated situation where King Kongmin struggled to free himself from Yuan pressure and domestic enemies, seriously damaged his kingship. He barely saved his life, but his political supporter groups were practically dissolved along with the murder of one of his most significant supporter, Hong OnPak who was a prime minister. And accordingly, without many political options, King Kongmin could not help depending on those military commanders who made contribution to defend Koryŏ court from Red Turban Bandits, even though he once killed those three chief commanders before worrying if they would threaten his power. Thirdly, in this situation, those military commanders began rapidly taking central positions of Koryŏ court as commissioners of Chŏngpang which took control of affairs of personnel and as inner ministers. Fourthly, this situation created phenomenal transitions in Koryŏ court politics. When it comes to political promotion, priority was given to military contribution. Many high level temporary posts were established to accommodate many of those military commanders. And Chŏngpang which used to take control of affairs of personnel under Koryŏ Military Regime, was restored. Furthermore, rise of those powerful military commanders eventually resulted in expansion of the size of highest council called Todang and emergence of inner ministers. All these, does not belong to normal mode of Koryŏ monarchical politics. After all, this situation caused anomalies of political practice and enfeeblement of King Kongmin's authorities. And the following King Kongmin's drastic political measure of empowering buddhist monk Sinton for his reform policies was actually a contingency plan to take political initiatives in this hostile political surroundings. 고려 恭愍王代는 역사상 두드러진 변혁기요 전환기였는데, 그것을 대변하는 두 가지 사실이 공민왕 5년(1356)에 단행된 反元的 改革政治와 공민왕 14년(1365)에 辛旽을 등용해 다시금 추진된 새로운 개혁정치였다. 그런데, 위의 두 개혁정치 사이에는 9년간의 격차가 개재하는 바, 특히 그 가운데 후반의 수년간은 홍건적난 끝에 三元帥가 살해되고, 뒤이어 興王寺 정변이 발생하고, 또한 德興君을 앞세운 元軍의 침입이 감행되는 등 복잡하고 중대한 사건으로 점철되면서 역사의 파고가 높았던 시기이다. 이 논문은 바로 그 시기, 즉 고려가 제2차 홍건적 침입을 당하자 공민왕 10년 11월 개경을 버리고 福州(安東)로 수도를 옮기는 때로부터 공민왕 14년 5월 辛旽이 등용되기 이전까지 약 3년 6개월 동안의 복잡한 정치적 변동을 추적한 것인데, 이로써 변혁기, 전환기로서의 공민왕대에 대한 온전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먼저 紅巾賊亂이 마무리될 무렵에 발생한 總兵官 鄭世雲 및 安祐․金得培․李芳實 등 三元帥의 살해사건에 주목하여 검토한 결과 그것을 공민왕이 개입된 정치적 숙청으로 파악하였다. 大軍을 지휘해 승전을 이룩함으로써 위세를 떨치게 된 3원수에 대한 왕의 정치적 부담이 숙청의 중요한 배경을 이루지만, 그들의 숙청은 곧 공민왕의 세력기반을 축소 약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져 그의 국정운영의 폭을 축소시켰다. 앞서 추진된 공민왕의 反元的 개혁정치에 큰 불만을 품었던 元은 그 동안 고려가 홍건적 침입으로 타격을 입은 것을 기화로 삼아 공민왕의 폐립을 획책하였는데, 이러한 외압에 편승해 왕의 총신인 金鏞이 開京 환도 직후에 興王寺 변란을 일으킴으로써 고려 정치는 치명타를 입었다. 공민왕은 겨우 弑害를 모면하였으나 首相 洪彦博이 죽음을 당한 이 변란으로 공민왕의 세력기반은 와해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변란의 진압이 직접적 계기가 되어 새로운 武將勢力이 대두하였는데, 뒤이어 元의 공민왕 폐립 획책에 따라 德興君을 앞세운 원군이 침입하자 그에 항전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그들 무장세력의 움직임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이렇게 대두한 무장세력이 새롭게 정치적 지배세력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그들은 거의 대부분 홍건적난 때 활약한 무공자이기도 했다. 이들 무장세력은 무인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갖추었고, 대다수 안정된 유력 가문 출신으로 蔭敍나 成衆愛馬選補의 길을 따라 入仕하였으며, 공민왕의 신임이 컸다. 그들은 政房提調나 內相으로서 정치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흥왕사 정변 이후 신돈 등용 이전까지 약 2년간 빠른 속도로 승진하였다. 이와 같은 무장세력의 대두는 고려의 국정운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우선 軍功중심, 武官위주의 인사행정과 그에 따른 政房의 復設, 또한 賞軍政으로서의 添設職 설치와 官職者의 증대, 그리고 都堂의 확대와 內相의 출현 등이 그 중심 내용인데, 이것은 모두 새로운 시대적 여건에 따른 것이었으나 대개 상궤에서 벗어난 것으로 국정운영체계에 혼란을 가져왔으며, 궁극적으로 국왕 권능의 약화를 초래했다. 그리하여 공민왕 13년 말엽에는 무장세력이 주도하는 강력한 都堂 앞에 국왕이 무기력하게 서 있는 형국이 연출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 KCI등재

        恭愍王代후반 親明정책의 한 배경

        이명미(Myungmi, Lee)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3

        고려-몽골 관계 및 그에 기반한 권력구조는 공민왕 5년 개혁을 계기로 많은 변화를 보인 가운데에도 그 여파를 남기고 있었으며, 이는 공민왕대 후반 친명정책의 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공민왕은 동왕 5년의 개혁을 마무리하면서 몽골에 요구한 사안들 가운데 한 가지인 ‘덕흥군 송환의 청’을 통해 ‘현재’ 자신의 국왕권에 위협이 되고 있던 기철세력을 자의적으로 주살한 것을 넘어 향후 국왕위와 관련해 또 다른 권력주체로서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갖고 있던 인물의 신병까지 스스로 장악하고자 했다. 이는 현실정치적인 면에서 몽골 황제권이 실질적 최고권이 되는 관계 및 구조를 청산하려는 요구였다. 몽골은 덕흥군을 송환하지 않았으며, 이는 고려-몽골 관계 및 권력구조가 온전히 청산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몽골과의 관계 및 그에 내재한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의 여파는 공민왕 11년 기황후 세력의 폐위시도를 통해 현실적인 가능성으로 공민왕에 의해 재인식되었다. 공민왕 폐위시도는 무위로 돌아갔지만, 이때의 경험을 통해 공민왕은 몽골이 ‘책봉국’이 되는 관계는 언제든 여건이 되면 동아시아적 관계의 요소와 몽골적 관계의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동왕 5년 이전의 고려-몽골 관계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다 적극적으로 의식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민왕은 이 사건을 통해 자신의 후사가 없는 상황에서 몽골과 연계되어 있던 瀋王의 존재 의미를 재인식하게 되었다. 공민왕의 신료들에 대한 장악력 또한 확고하지 못한 가운데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유지되고 있던 ‘몽골’과의 관계는 언제든 그의 존립을 위협할 수 있는 것이었다. 공민왕이 동왕 17년(1368) 明의 大都점령 이후 몽골과의 관계 단절 및 명과의 관계 형성에 다소 강박적인 모습을 보였던 것은 여러 가지 현실적인 상황에 대한 고려와 함께 ‘과거’ 몽골과의 관계 및 권력구조에 대한 기억 및 그 관계의 여파가(내부적 상황) ‘현재’의 몽골과의 관계를 통해 공민왕을 압박한 결과물이었다고 생각된다. The Goryeo - Mongol relationship and the power structure based on it went through many changes due to the reform in 1356 and left their aftereffects, which worked as a background for the Ming - friendly policies during the latter days of King Gongmin(恭愍王)"s reign. King Gongmin wrapped up his reform in 1356, trying to abolish the Ki Cheol(奇轍) force that was threatening his "current" royal authority and further dominate the recruits of those who had the potential to cause problems as other subjects of power in relation to royal authority in future by making a "request for Deokheunggun(德興君)"s repatriation" among his many requests to the Mongol empire. It was his request to be done with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in which the imperial authority of the Mongol empire would become the supreme power in practice in the aspect of real politics. Mongol, however, did not send back Deokheunggun to Goryeo, which indicates that the Goryeo - Mongol relationships and power structure were not completely settled. The aftermath of Goryeo"s relationships with the Mongol empire and the power structure inherent in them during the Mongol subjection period was perceived as a realistic possibility again by King Gongmin through the attempt to dethrone him by Empress Ki in 1362. The experience made him realize more actively that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Mongol empire would become an "investiture country" could turn into the Goryeo - Mongol relationship before the 5th year of King Gongmin"s reign, in which the East Asian relationship elements and Mongolian relationship element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more organically, anytime when the required conditions were met. King Gongmin severed Goryeo"s relationships with the Mongol and showed rather obsessive aspects to form a relationship with Ming after Ming"s conquest of Daedo(大都) in the 17th year of his reign(1368). This is partially because he took into account various realistic situations and partially because the memory and their aftermath(internal situations) of Goryeo - Mongol relationships and power structure in the "past" pressed him through the "current" relationships with the Mongol.

      • KCI등재

        공민왕 개혁과 임박(林樸)의 정치활동

        최연주 ( Yeon Ju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7 石堂論叢 Vol.0 No.39

        林樸은 고려 후기 部曲에서 縣으로 승격된 安東 吉安출신이다. 그는 비록 길안의 한미한 집안출신이었으나, 자신의 노력으로 공민왕 9년 과거의 乙科에서 鄭夢周에 이어 차석으로 급제한 인물이다. 중앙 정계의 연고나 기반을 가지지 못한 임박은 座主·門生 및 同年 관계를 통해 정치적 기반을 구축해 나갔을 것이다. 공민왕의 측근세력이었던 좌주 김득배가 임박의 出仕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공민왕 10년 홍건적이 침입해 오자 김득배가 병법에 정통한 임박을 그의 막료로 활동하게 함으로서 정치적 입지를 확대시켜 주는 계기가 되었다. 임박의 동년 중 정몽주를 비롯하여 金湊·李仁敏 등은 牧隱 李穡과 직간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역시 이색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었을 것이다. 이색과 임박은 좌주와 문생, 또는 동년 관계는 아니었지만 그들의 좌주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신진사대부끼리의 교류관계를 통해 일정한 교류 내지 정치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치활동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임박은 공민왕 13년에 종6품인 北部令에서 종4품인 中書舍人으로 파격적으로 승진하게 되는데, 그 배경은 공민왕 12년 원나라에 서장관으로 파견되어 공민왕의 폐립을 막으면서 덕흥군의 회유와 협박을 뿌리치고 끝까지 공민왕 편에 있었던 것이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때부터 그는 정치적 입지를 확고히 하여 공민왕의 측근세력으로 활동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임박은 공민왕 14년 신돈 집권기에 田民辨整都監 설치를 건의하였고, 16년 국학 진흥책의 핵심 사업인 성균관 重營을 건의하였다. 이 사업은 그의 독자적인 것이라 보다는 당시 신진사대부들이 줄기차게 요구하였으나, 그 동안 해결하지 못한 제모순의 개혁을 시도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임박은 당시 신진사대부들과 비슷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개혁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신돈의 개혁사업에 깊이 관여하였다. This study is to treat the political activity of Lim bak(林樸). The Lim bak is native of the native family of the Gilan(吉安) which from the Bugok(部曲) promotes with the Hyun(縣). With effort of oneself with the Chung mong ju(鄭夢周) back it passed to the ulkoa(乙科) together in King of gong-min(恭愍王) 9year past examination. Cannot have the ointment or a base of the center political world a political base and the imminence to lead and with the time rising high officials together relationship of the Jwa Ju(座主) and Mun sang(門生) to construct go out. The in King of gong-min the Jwa-Ju Kim duk bae(金得培) which is a surroundings influence a lot in success of Lim bak the thing which will cause an effect. The King the of gong-min 10year Honggeonjeog(紅巾賊) case infiltrated and come the Lim bak where the Kim duk bae is well versed in military information it did to be active in his staff. This politics does not put on became the opportunity to magnify in him. The Lim bak it begins in motive of the Chung mong Ju, Kim ju(金湊), Lee in min(李仁敏). The back Lee saek(李穡) and was tying the relation of Jig indirectness. The consequently that as well with Lee saek will tie deep fire tube. The Lim bak with the Jungseasain(中書舍人) which is a Jong(從)4poom(品) from the Bukburyung(北部令) which is a Jong(從)6poom(品) at King the of gong-min 13years was promoted with exceptional. The background was dispatched to the King the of gong-min 12year Yuan(元) and it closed it shook off and Dethronement of the gong-min(恭愍王 廢立) and the excursion and a threat of the Deogheynggun(德興君) until end it became decisive opportunity to defend the king. Against his loyalty it is promoted with exceptional, from this time politics it does not put on and firmly to do it is active with surroundings influence of the king that it is presumed. He when Shin don(辛旽) catching this political power, the Junminbyunjungdogam(田民辨整都監) establishment and Sunggyungwan (成均館) proposed the fact that it will make again. This enterprise his indigenous was not the thing. Meantime which when the new officials(新進士大夫) demands strongly it does not solve to reform the contradiction, it is one thing to sleep. Reforms the contradiction when and it is because has the actuality recognition which is identical with the new officials which does to sleep. The imminence to follow in political belief and reform will of oneself and reform a time my contradiction and it is to come out in the political whole surface sleep.

      • KCI등재

        공민왕의 신돈 등용의 배경

        신은제(Shin, Eun-Jae)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1 No.-

        승려 신돈의 등용은 공민왕대 정치에서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이례적 사건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규명하기 작성되었다. 신돈의 등용은 공민왕의 의지였다. 두 가지 상황 하에서 공민왕은 이같은 파격적 정치를 단행했다. 첫째, 공민왕은 연저호종공신을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해 왔었다. 그러나 정세운 살해사건을 계기로 공민왕의 측근들은 동요하기 시작했고, 결국 흥왕사의 변란에서 확인되듯이, 일부 세력은 공민왕 시해를 시도했다. 이 사건의 결과 공민왕의 충성스러운 측근들이 살해당했고 공민왕은 연저호종공신에 대한 신뢰를 거두었다. 이제 공민왕은 새로운 측근을 필요로 했다. 둘째, 기철이 제거된 이후, 원조정의 실력자 기황후는 공민왕과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홍건적의 반란에 직면한 원조정은 공민왕을 징치할 형편이 되지 못했다. 홍건적이 진압되자 원은 즉각 공민왕을 폐위하고 덕흥군을 고려왕으로 책봉하였다. 덕흥군 책봉을 관철하기 위해 원은 군대를 고려로 파견했고 공민왕은 무장세력을 동원해 그들을 막아야 했다. 덕흥군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물리친 후, 고려 조정에서 무장세력의 지위는 상승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왕 13년 기황후가 원조정에서 실각하고 원이 멸망의 길로 접어들게 되면서 공민왕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정국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신돈은 이런 분위기에서 공민왕에 의해 등용되었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한 신돈은 공민왕의 기대에 부응해, 유숙과 김보와 같은 연저수종공신, 최영으로 대표되는 일부 무장세력, 이공수와 이수산과 같은 기씨일문과 가까웠던 인물들을 권력의 주변부로 몰아내었다. Shin-don(辛旽)"s appointment as prime minister was exceptional affair in King Gong-Min politics. This paper was written in a intention of understanding that affair. It was King Gong-Min who appointed Shin-don as prime minister in Groye(高麗) court. Two situations made King Gong-Min give Shin-don the prime minister. From his enthronement, King Gong-Min had conducted state affairs on the retainers, who attended King Gong-Min in the capital of Yuan Dynasty. But the administration was ended in the killing of Jeong She-Yun(鄭世雲) who was the retainer, the hero to save Groye from the invaders, named Hongkonjeck(紅巾賊). Some of retainers would like to kill King Gong-Min in the Heungwang-temple(興王寺), After the rebellion of Heungwang-temple, King Gong-Min didn"t give retainers the trust. He should get a new supporter. After the elimination of Gi-Cheol who was the brother of the Empress in Yuan, the relation between the Yuan Dynasty and King Gong-Min made bad. As soon as repressed the Hongkonjeck, Yuan dethroned King Gong-Min, gave Deckheunggun(德興君) the throne of Groye Dynasty. Yuan"s sent the army to Groye because Groye Dynasty rejected the Yuan"s decision. Though Groye successfully defect the Yuan"s army, a anxiety of King Gong-Min wasn"t removed. A lot of military officals was developed through the wars, they threatened the king"s power. In 1364, Yuan was swiftly collapsing, King Gong-Min attacked them under the situation, appointed Shin-don. Shin-don ceased the power under the king"s support, he removed the officials from Groye court. There were three type of removed officials. One was the military officials, who were developed in the war against Yuan. Another was the officials, who were on the friendly terms with Yuan court, expecially the Qi empress. The other was some retainers, who lost the King"s trust.

      • KCI등재

        고려 공민왕대의 공신 책봉

        김회윤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71

        King Gongmin of Goryeo collectively appointed 415 meritorious people as contributors. And 62 people were given names of contributors. The first group was 37 contributors who followed the Yuan Dynasty in the first year of King Gongmin’s reign. King Gongmin was worried about changing the throne from the beginning of his throne. He appointed his subjects who knew well about the Yuan Dynasty’s imperial family and government as meritorious subjects. It was to strengthen their power. The second group is the 20 people who executed Gi-cheol in the 8th year of King Gongmin. King Gongmin tried to stabilize relations with Yuan after executing Ki-cheol, who was close to Yuan Dynasty. Because of this, the leaders were not rewarded. In the 8th year of King Gongmin’s reign, when Honggeonjeok tried to invade, King Gongmin appointed them as contributors. It was because they were forming a military command. The third and fourth are 358 people who defeated the suppression of Heungwangsa Temple and the invas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ng Geon-jeok in the 12th year of King Gongmin. When the Yuan decided to depose King Gongmin, the purpose was to secure loyal forces. The 62 contributing names are organized into five types.(Linked to the above four groups, Contributed to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Show loyalty, Doing something special, Powerful man.) 고려 공민왕은 재위기간 중 네 차례에 걸쳐 10개 공적 415명을 집단으로 공신책봉하였고, 62명에게 개별 공신호를 하사하였다. 이는 개국공신 2천 여 명을 책봉하였던 태조대 다음 가는 규모였다. 본고는 공민왕대의 공신책봉의 전반적인 추이와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첫 번째 집단책봉은 공민왕 원년 6월의 연저수종공신 37명이다. 공민왕은 즉위 전 원에 10년간 체류하였다. 이때 수종신료들로부터 정치적·경제적 기반과 교육·통역·시종·신변보호 등의 도움을 받았다. 즉위 후 충성심과 현저한 공적을 보인 수종신료들에게 관직과 공신의 지위를 내렸다. 논공행상이기도 하였지만, 실제적으론 원이 언제든지 결정할 수 있는 폐위의 위협으로부터 왕위를 지켜줄 측근세력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연저수종공신은 조일신의 독자세력화로 인해 정치세력화하지 못하였고, 조일신이 공민왕 원년에 난을 일으켜 위상이 실추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이 공민왕에게 충성하여 재위기간 내내 중요한 지지기반이 되었다. 두 번째 집단책봉은 공민왕 8년 6월의 주기철공신 20명이다. 조일신의 난 이후 공민왕은 피해를 입은 기씨일가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기에 공민왕 2년에 기황후의 아들 아유시리다라가 원의 황태자가 되면서 기씨일족과 친원세력은 득세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원의 통치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공민왕은 계획을 세워 재위 5년 5월에 기씨일족과 친원세력을 숙청하였다. 이 일로 대원관계가 악화되자 공민왕은 기철 숙청을 주도하였던 홍언박을 경질하는 등의 저자세를 통해 양국관계를 안정시켰다. 이러한 기조가 계속되면서 기철 숙청 공로는 인정되기 어려웠다. 공민왕 8년 6월에 홍건적의 침입이 가시화되자 주기철공신이 책봉되었다. 기철 숙청에 나섰던 김득배 등이 주요 방어선을 담당하고 있었으므로, 이들의 충성심을 제고하고 사기를 진작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는 공민왕 12년 윤3월에 행해진 흥왕사의 난 진압과 2차 홍건적 침입을 방어한 288명에 대한 집단책봉이다. 공민왕에게 재위 12년 초는 어려운 시기였다. 원이 폐위를 결정하였고, 2차 홍건적 침입을 격퇴한 직후 명망있는 삼원수를 숙청하여 조정 안팎의 불만여론이 고조된 상태였다. 더욱이 흥왕사의 난이 발생하여 왕권은 실추되었고, 일련의 사태 중에 다수의 측근세력들이 사망하였다. 왕위를 지키기 위해 공민왕은 자신에게 적극 충성할 세력이 급하게 필요하여 대규모로 공신을 책봉하였다. 8개월 뒤, 1차 홍건적 침입 유공자 70명을 대상으로 하는 네 번째 집단책봉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공민왕이 하사한 개별 공신호는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집단책봉과 연계한 경우,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공로가 있는 경우, 충성심과 절의를 보인 경우, 특정 소임을 맡은 경우, 권신과 그 당여에게 수여한 경우이다. 공민왕이 재위기간 중에 공신을 적극적으로 책봉하였던 것은 오랜 원 간섭과 기황후의 존재로 인해 고려왕실의 지지기반이 약화되어 인위적인 방법이 필요하였기 때문이었다.

      • KCI등재

        충혜왕의 폐위와 고려 유자儒者들의 공민왕 지원 배경

        김형수(金炯秀)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이 논문은 공민왕의 즉위과정에서 전개된 정치적 추이와 공민왕 즉위를 지지했던 유자들의 활동과 지향을 살펴본 논문이다. 공민왕대는 원의 지배에서 벗어나 중국대륙과 새로운 외교관계를 정립 하고 고려국정을 쇄신하고자 하던 때였다. 그러나 공민왕의 즉위는 그다 지 순탄한 편은 아니었다. 형이었던 충혜왕이 원에 압송되어 악양에서 사망하였지만 공민왕은 형의 뒤를 이어 즉위하지 못하였다. 충혜왕의 죽음은 그 자신의 도덕적 결함이 크게 중요한 원인이기는 하였으나 원에서 세력을 넓혀가고 있었던 기황후 세력과의 갈등과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기황후는 충혜왕후 원년(1340) 제2황후에 책봉됨으로써 자정원을 바탕으로 원 황실 내에서 세력을 확충하고, 또 고룡보?박불화 등 고려출신 환관들을 구사하여 조정에까지 영향력을 넓히고 있었다. 기 황후를 배경으로 한 기씨 세력은 이를 바탕으로 고려에서 세력을 키워가고 있었다. 한편 충혜왕은 고려 내에서 독단적이고 무도한 행동으로 많은 원성을 사고 있었으며, 고위 신료들에게는 그다지 신뢰를 주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충혜왕이 체포되었을 때 강융?이능간?권한공 등은 고려왕의 안위보다는 원 황제의 명령을 중시하는 발언을 하고 있었으며, 충혜왕을 구원하기 위한 노력은 이제현?김륜 등 일부에 불과했다. 충혜왕이 원에 압송될 당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고용보는 기황후 측근의 환관으로 원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으며, 당시 압송되었던 충혜왕을 대신해서 정동행성의 업무를 관장한 것은 기황후의 형제 기철과 원에서 건너온 관료인 홍빈이었다는 점은 당시 충혜왕 제거의 배후가 기황후 및 기씨 세력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충혜왕 제거 이후 충혜왕의 아들 충목왕이 즉위하였지만, 고려의 정국은 더욱 혼란한 상황으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을 맞아 고려의 유자들은 좀더 유능한 군주를 통한 ‘정상적인 국정운영’을 요구하고 있었다. 고려 유자들이 공민왕을 지원하게 된 배경에는 이들의 현실인식이 자리잡 고 있었다. 이제현과 이곡은 충혜왕 이후 고려의 국정운영을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그 결과 이들은 충목왕 서거 후 공민왕 옹립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던 것이다. 이곡의 경우 충정왕대의 고려를 ‘나라가 아니다’라고 까지 극언하였으며, 이제현은 군주와 신료들의 수신을 강력하게 요구하였다. 공민왕이 즉위한 후 유자들은 공민왕에게 큰 기대를 걸었으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새로운 개혁의 요구와 기씨 세력 등 구세력에 포위된 공민왕은 국정운영과 개혁의 방향을 유자들에게 찾지 않고 무장세력과 속 세와 격리되었던 인물인 신돈에게 찾음으로써 고려 유자들의 기대 방향 과는 어긋난 길을 걸었던 것이다.

      • KCI등재

        1361년 홍건적의 침입과 공민왕의 충청지역 피난정치

        이정란(Lee, Jung Ran)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1

        공민왕은 홍건적의 2차 침입으로 파천을 단행하여 약 1년 3개월 동안의 행재소 생활을 하였다. 그 기간 동안 공민왕 일행은 여러 곳을 전전하며 피난생활을 하였다. 공민왕 일행의 파천지로 흔히 안동이 잘 알려져 있으나, 공민왕은 안동보다 상주와 청주에서 더 오랜 기간 머물렀다. 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국정의 중요한 개혁을 단행하였고 원과의 외교에도 변화를 모색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공민왕의 몽진 지역으로 안동만이 주로 ‘기억’되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홍건적 격퇴에 있어 안동이 갖고 있던 상징성 때문에 불거진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안동행궁 시절에 홍건적을 격퇴하였던 관계로, 홍건적의 침입하면 공민왕의 몽진과 안동이 자동적으로 연상되었던 것이다. 사실 공민왕은 상주와 청주에 체류하면서 피폐해진 민심을 복구하고 국정을 정상궤도로 되돌리기 위해 상당히 중요한 행보를 이어갔다. 우선, 홍건적이 개경에서 물러난 직후 分司體制를 도입하여 개경과의 연락망을 복구하여 還都에 대비하였다. 또한 행재소에서 정규의 사신을 파견하고 과거까지 設行함으로써 행궁의 건재를 대내외적으로 과시했다. 즉, 공민왕은 청주행궁에서 원나라에 보내는 정규사신을 파견하였다. 뿐만 아니라 使行에 부수되는 拜表儀禮까지 거행함으로써 고려 조정이 정상궤도에 올라섰음을 내외에 과시했다. 아울러 국자감시 · 예부시 · 승보시를 세 달 동안 연달아 설행하여 국정이 평소와 다르지 않게 운영되고 있음을 과시했다. 나아가 환도 이후의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크고 작은 제도의 개선은 물론 관제의 개혁까지 단행했다. 관제의 개혁은 상주행궁에서 실시되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때의 개혁은 흐트러진 기강을 바로 잡고 원나라의 불신을 무마하여 군사적 제휴까지 도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행재소에서의 개혁이라는 점에서 그것은 대외만큼이나 대내적 요인도 크게 작용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수도를 쉽게 외적에게 내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백성을 버리고 몽진을 감행함으로써 천하의 비웃음꺼리가 되었던 사실을 염두에 둘 때, 분명 국내적 요인이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을지 모른다. 공민왕은 아마도 관제개혁을 통해 환도 후에 행할 국정의 방향을 천명함으로써 민심을 수습하고 혼란한 정국을 틈타 권력을 장악하려는 친원파의 준동을 제어하기 위해 그와 같은 개혁을 단행했다고 생각된다. Invasion by Red Turban Bandits into Goryeo led King Gongmin to evacuate and stay in Chungcheong Region for about one year and three months. During the period, King Gongmin and his company wandered about in Andong, Sangju, and Cheongju. While staying at Sangju and Cheongju, he took considerably important steps. First, right after Red Turban Bandits retreated from Gaegyeong, he prepared for returning to the capital by establishing a network of contacts with Gaegyeong. In addition, he dispatched official envoys to Yuan Dynasty and even administered state examinations in his travel palace, showing off the fact that his power remained undiminished. In other words, King Gongmin sent official envoys to Yuan Dynasty in his temporary palace in Cheongju. Besides, he held magnificent ceremonies to teach manners in accompaniment with the sending of envoys, thereby informing in and out of the nation that the Royal Court of Goryeo was running back the right track. Moreover, he held three important state examinations in a row for three months, boasting of the fact that his government was under normal operation as usual. Further, for smooth operation of his government after returning to the capital, he carried out innovation of government-related laws as well as small and large improvement upon institutions. Innovation of government-related laws was done in Sangju.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such innov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tighten the discipline that had relaxed, and cover up distrust by Yuan Dynasty and achieve military partnership with the neighboring country. Nevertheless, his series of reforms were made in his travel palace, which meant that they were much influenced by domestic factors. Given that he not only gave his capital to the foreign enemy with ease but also fled from his palace, which made him subject to universal ridicule, domestic factors may have acted as important variables. Probably by proclaiming the direction of state affairs after returning to the capital through government-led reforms, King Gongmin aimed for settling the public sentiment and controlling the pro-Yuan group who attempted to seize power amid chaotic political situation.

      • KCI등재

        윤택의 생애와 금산

        김갑동(Kim, Gap-dong)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0

        윤택의 선조는 원래 무송현의 향리였다. 그의 아버지 윤수평은 그가 3살 되었을 때에 돌아가셨다. 그리하여 윤택은 할아버지 尹諧에게서 글을 배웠고 자라면서는 고모부인 尹宣佐에게서 공부하였다. 충숙왕 4년(1317) 과거에 급제한 그는 연경으로 충숙왕을 찾아가 독대하면서 그의 사랑을 받기 시작하였다. 충숙왕은 공민왕을 후계자로 지목하여 그에게 부탁하였다. 그리하여 충숙왕 대에는 각종 관직을 거치면서 출세하였다. 西京의 判官을 비롯하여 副代言, 代言 등을 거치면서 왕명 출납과 인사 행정 업무를 맡아 보게 되었다. 그러나 충숙왕의 바램과는 달리 충혜왕이 왕위에 즉위하면서 그는 소외되었다. 그 후 충목왕이 왕위에 올라 羅州牧使에 임명되었지만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光陽監務로 좌천되었다. 충숙왕의 부탁대로 공민왕을 왕위에 즉위시켜야 한다는 글을 元의 中書省에 올렸기 때문이었다. 그 후 공민왕이 즉위하면서 그는 密直提學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여러 정책에 대한 그의 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致仕하였다. 아마 이때부터 외가가 있는 금산에 기거하게 된 것 같다. 그러나 가끔씩 상소를 올려 직언을 서슴치 않았다. 한양 천도를 반대하였는가 하면 공민왕이 불교를 깊이 믿는 것을 비판하였고 백악에 궁궐을 짓는 일을 중지하라 건의하기도 했다. 다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으나 공민왕은 그를 결코 배척하지 않았다. 그만큼 공민왕과 윤택은 믿음으로 맺어진 사이였다. 그러다가 공민왕 10년(1361) 政堂文學으로 다시 치사하였으며 공민왕 12년에는 다시 한번 贊成事로 치사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인 공민왕 13년(1364) 錦州 즉 지금의 금산으로 돌아가 살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그후 거기서 살다가 공민왕 19년(1370) 82세로 운명하였다. 금산에 살면서 그는 李穡의 아버지 李穀의 문집인 『稼亭集』 跋文을 쓰기도 하였다. 윤택의 아들 尹龜生과 그의 부인은 금산에 내려와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묘소를 지키고 사당을 세워 선조들을 극진히 제사하였다. 이런 인연으로 윤구생의 아들 尹紹宗이 이곳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Yoon Taek(윤택)`s family was originally from Mu Song-hyun`s local gentry. His father died when he was three years old. So he learned his studies from his grandfather Yunhae(윤해). Later, he was taught by Yoon Sun-jwa(윤선좌). Four years of King Chung-sook(충숙왕) (1317) passed the classical examination system. Then he went to Yeon-kyung (연경) to meet King Chung-sook. King Chung-sook met him and asked him to help his son King Gongmin(공민왕). Thus,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sook, he rose to fame through various government posts. He served as Pangwan(판관), Dae-eon(대언), and served as a clerk for the royal family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However, unlike King Chung-sook`s wishes, King Chung-hye ascended the throne. Then he was left out. Then King Chungmok(충목왕) ascended the throne and was appointed Najumoksa(나주목사). However, after King Chungjeong(충정왕) took the throne, he was degradeded to Gwangyanggammoo(광양감무). It was because he posted on Won(원) dynasty that King Gongmin should be crowned. Later, when King Gongmin took the throne, he was appointed to Miljikjehaka(밀직제학). He proposed various policies. But it was not accepted. Then he retired. Since then, he has lived in Geumsan(금산) where there is his mother’s family. However, he sometimes raised appeals and criticized policies. Nevertheless, King Gongmin never rejected him. It was because King Gongmin and Yoon Taek had a faith relationship. In 13 years (1364) of King Gongmin, He officially returned to Geumsan. While living there, he wrote the preface of Yi gok(이곡)’s work collection. Yoon Gu-saeng(윤구생), the son of Yoon Taek, also lived in Geumsan. He and his wife built a shrine to honor their ancestors. Yoon So-jong, the son of Yoon Gu-saeng, was also banished here.

      • KCI등재

        1356년 공민왕의 ‘반원개혁(反元改革)’ 재론

        최윤정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0 No.-

        본고에서는 1340년대 원제국 내 정치 세력의 동향과 충목왕대 整治都監의 치폐 과정, 공민왕 즉위 배경 등을 검토하여 1356년 공민왕의 소위 ‘反元改革’을 재검토해 보았다. 1340년 바얀(伯顔)의 실각으로 고려 공녀 출신 奇氏는 원제국의 제2황후로 책봉되고, 고려에서는 기씨 일족의 聲勢를 가져왔다. 1340년대 충혜왕이 겪은 정치적 비운은 표면상 엘테무르와 바얀 간의 알력에 인한 것으로 보이지만 궁극적으로 그를 유배 보내고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은 기황후세력이었다. 충혜왕의 비극적 죽음을 둘러싼 순제와 기황후의 갈등과 알력은 충목왕대 설치된 整治都監의 운영 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1349년 톡토의 復相을 계기로 일단락되는 듯한 양자 간의 갈등은 1354년 톡토가 실각되고, 1356년 기황후의 內禪 시도로 다시 긴장상태가 되었다. 이런 관계에서 볼 때, 충정왕을 갑자기 폐위시키고 공민왕을 즉위시킨 ‘元’의 권력은 기황후가 아니라 순제 토곤테무르이고, 곧 이를 배경으로 공민왕 즉위년에 조일신은 기씨일족과 고용보를 주살하기 위한 난을 일으킬 수 있었다. 요컨대 충혜왕의 죽음은 여원 양국 관계에서 매우 충격적인 사건으로 제국 내 기황후와 아유시리다라의 제위 탈취 시도되자 同母兄 충혜왕 죽음에 대한 宿怨, 기철을 핵심으로 하는 기황후세력의 고려왕실에 대한 치명적 위협이 1356년 공민왕이 소위 ‘반원개혁’을 일으킨 근본적 배경이었다. 만약 왕권을 위협하는 기철 일당을 제거하는 것이 공민왕의 궁극적 목표였다면 1356년의 시도는 성공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순제와 황후의 갈등과 대립, 사후 순제의 묵인이 있었기 때문이다. 本文爲了了解1356年所謂恭愍王之‘反元改革’的眞相, 着重探討了1340年代元朝內部政治勢力的動向與忠穆王代整治都監的置廢過程,以及恭愍王的卽位背景等的問題。 順帝想要立寵愛的奇氏爲皇后, 可是丞相伯顔力阻。 1340年伯顔被擊敗后,奇氏更冊封爲第二皇后。從此以來,在高麗的奇氏家族,依仗奇皇后的勢力,爲所欲爲。在表面上看,1340年代初忠惠王經歷的政治上的風波,均是由燕帖木兒和伯顔之間的矛盾所引起的。但最終將他驅逐幷死亡的,是奇皇后勢力。 1344年忠惠王的死亡與忠穆王的卽位,意味着嚴重破壞當初麗元兩國之間設定的王位相傳之規律。 其次,通過忠穆王代整治都監的置廢過程,我們能發現忠惠王的如此悲慘的死亡,引起了順帝與奇皇后的之間的矛盾和?葛。 我認爲1344年脫脫的罷相,與忠惠王的死亡、皇帝與皇后之間的矛盾有一定的關系。 1349年脫脫的復相,意味着兩者之間的?葛和沖突緩解了。 但1354年脫脫再度被?與被殺后,1356年奇皇后與哈麻緊密結合在一起,謀圖內禪。廢立忠定王,而支持恭愍王卽位的'元政治勢力是順帝,而不是奇皇后。 從這個背景上,恭愍王隨從功臣趙日新才能試圖?除奇皇后家族和高龍普等。 總之,1356年奇皇后與哈麻合逼迫順帝?位,幷奇轍嚴重威脅王權的情況下,恭愍王就果斷肅淸了以奇撤爲首的威脅國王位的分子,從這個意義上可以說這次改革是成功的。但這是元順帝的容忍和默認下才能實現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