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주거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한 공동이용건축물의 재생방안

        박준모,김옥규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5 No.1

        A demand of public using building in rural residential area changes over times. With the changes, the function andthe scale of the public using building are also changed, the building is more influences on people in rural area. However, the most of facilities have been focused on the agricultural productions, and thus the facilities of health care,culture, and daylife supporting were not enough comparing to the facilities in urban area. This study surveys thefacility and grasp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 of 37 rural residential area. In addition, three different revitalizingplans of public using building as a current availability and plan for use are suggested. A new community center whereis expected that the public usage is increased should be managed intensively regarding an air conditioning, andwaterproofing work, while an old community center and the warehouse where are expected that the public usage isdecreased, but have locational advantage should be used as a rural life experience facilities and a accommodations withremodeling unless the safety matter A parking lots are considered that the availability is gradually increased and neededfor public while it is difficult to get a new available site because of the ownership. Therefore, it is national decision tosecure the site by removing the discarded facilities. 농촌의 공동이용건축물은 시대에 따라 그 수요가 변화해왔고, 그에 따라 기능과 규모 등도 바뀌고 있지만, 농촌지역에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주로 농업생산기반시설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도시지역에비해 의료, 보건, 문화, 교육 등의 건축물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거지역 내의 다양한 공동이용건축물을 조사하여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추가 검토를통해 문제점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건축물 별 상황에 따라 재생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