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도서관․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현황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김지영 한국비블리아학회 202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도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고지도를 이용한 서비스 및 정보제공 등 고지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고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기관의 정보검색시스템을 조사하고 해당 웹 사이트에서 고지도 자료 검색 및 정보 접근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 외에 각 기관의 홈페이지와 도록 및 연구서, 간행물 등을 참고하여 국내 도서관 및 박물관의 고지도 소장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국․공립 및 대학 도서관과 박물관 등 76개 기관에 약 2,200여점의 고지도가 소장되어 있었다. 고지도 소장 각 기관에서는 영인본 간행, 전시회 및 도록, 목록 및 총서 등의 연구서 편집서의 간행 등 출판사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지도의 희귀성, 유일본 등의 자료적 특성으로 원문 자료의 열람 및 이용이 제한적이다. 고지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고지도 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 및 학술정보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자료로 고지도 활용을 제안한다. 셋째, 고지도 자료에 대한 지식과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access to information on old maps and to discuss efficient ways to utilize old maps, such as providing services and information using old maps. To this end, the information search system of domestic institutions that provide old map information was investigated, and methods of searching for old map data and accessing information were searched on the website.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ollection of old maps in domestic libraries and museums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homepage, book, research book, and publication of each institu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2,200 old maps were housed in 76 institutions, including national, public, and university libraries and museums nationwide. Each institution in the collection of old maps was carrying out publication business, such as publication of English manuscripts, exhibitions and books, publication of research document edits such as lists and summaries. However, reading and using of original documents are limited due to the rare nature of old maps and the data characteristics of the only one.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old map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access to old map information services and exp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Second, it is proposed to use old maps as data for archival construction that reflects the identity of the reg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who selects and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knowledge of old map data and humanities literacy.

      • KCI등재

        한국 고지도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 전문학회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김기혁(Kim, Kihyuk)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8 한국고지도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2008년 창립된 <한국고지도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한국 고지도의 연구 동향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지도학회는 초기에 비교적 소규모로 창립되었지만 적극적인 학술 활동을 수행하였다. 학술대회는 고지도를 소장한 박물관·도서관과 연계하여 개최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외 학자들과의 교류도 이루어졌다. 학회 논문집은 지속적인 발간을 통해 고지도 연구의 중심 학술지가 되었다. 관련 학회에서도 고지도 연구 논문이 적지 않게 발표되었다. 최근의 연구 주제는 지도 발달사 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영토·영해 문제를 포함한 역사지리학 분야와 함께 회화사 분야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외에 서지학 분야와 함께 풍수·지명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시기의 연구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대동여지도』 연구 경향의 변화이다. 이전에는 지도학적인 발달 측면에서 연구되었으나, 모사본을 비롯한 여러 판본들이 소개되었고, 목판의 수정 내용을 바탕으로 지도의 제작 단계와 사회에서 유통되는 내용이 연구되고 있다. 고지도의 연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첫째로는 종래의 단순한 지도 소개의 차원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으로서의 고지도학’에 대한 깊은 성찰이 요구되며, 연구자들은 지도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로는 고지도 연구의 현장인 소장 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보다 긴밀히 해야 하며, 기관들의 연대를 유도하여 고지도 연구의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셋째로는 학회 창립의 모체가 된 문화재 지정사업의 재개와 연구자들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해외 고지도 조사사업의 실시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ess for the last 10 years and present the prospect of research of old map in Korea, focusing on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This academic society was initially established at a relatively small scale, but actively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The conference was held in conjunction with museums and libraries with exchanges with domestic and overseas scholars. Academic journals have become a central space for high-level research through continuous publication. The popular topics covered in these papers are the cartographic development, along with the 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In addition to the field of bibliography, research on feng-shui and place-names was conduct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research trend of this period is the study of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In the past, it has been focused in terms of the cartography of maps,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several manuscripts editon, diffusion of map in society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ange of researches give many implications for the prospect of academic activities.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research, a deep reflection on old map research as a science is required to overcome the level of conventional introduction of old map at first. Second, we need to cooperate more closely with institutes, and can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xpert manpower in old map research by inducing institutions solidarity.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sume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project of old map, and to carry out the project to investigate the old map i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규장각 소장 고지도의 제작기법 연구

        정두희(Chung, Doo-hee)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0 한국고지도연구 Vol.12 No.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모사본 제작사업의 보고서를 발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 보고서들을 대상으로 규장각 소장 고지도 12점의 제작기법을 분석한 것이다. 규장각 고지도 모사 사업의 목적과 방침을 살펴보고 고지도의 모사본 제작과정에 대해 과정별 특징을 고찰하였다. 또한 원본과 모사본을 비교하여 모사본 제작사업의 결과물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고, 고지도의 제작기법에 대해서는 바탕재와 재료기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규장각 소장 고지도 모사본 제작사업은 원형복원을 위해 다각적인 분석과 과학적·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고지도의 제작기법을 밝히고 최대한 원본에 가깝게 모사본을 제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사, 고지도, 전통 재료, 장황 등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협업, 체계적인 검수 시스템을 통해 모사본을 제작하고, 전 과정을 기록으로 발표 및 공유하여 고지도 분야와 관련 연구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From 2011 to 2018,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d reports on projects to create reproductions of 12 historic Korean maps. Based on these reports, this paper examines the methods and goals of producing these reproductions. Focusing on the materials used for both canvases and paints, as well as painting techniques,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historic Korean maps are analyzed through the reproduction process. Kyujanggak’s map reproduction project reveals th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used in these maps. Scientific and objective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produce reproductions as close as to the originals as possible. Expert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rt reproduction, cartography, traditional materials, and traditional mounting, collaborated to produce the reproductions. Further examination for errors was carried out by an independent team of inspectors. The entire process was thoroughly documented, creating a record that contributes greatly to the study of historic cartography and the related fields.

      • 위상수학을 활용한 의주부·삭주부·창성·벽동·이산·위원군 고지도 분석

        정택선(Tacksun Jung),최규흥(Q-Heung Choi)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조선조 의주부 고지도, 삭주부 창성, 벽동, 이산, 위원군 고지도를 위상수학적 방법, 기하학적 방법, 대역 기하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그 지도의 내용을 설명하고 대응되는 위치를 구글지도에서 찾아보았다. (1) 義州府, 삭주, 창성, 벽동의 고지도들은 북한 압록강 유역의 義州, 삭주, 창성, 벽동 지역을 그린 것임을 밝힌다. (2)이산, 위원 고지도들은 북한의 이산, 위원 지역을 그린 것이 아님을 밝히고 고지도에 대응하는 지역을 찾는다. 많은 사람들은 조선 시대 이산(초산), 위원과 현재의 이산(초산), 위원이 같은 지역인지 아닌지 의심하지 않는다. 고지도를 분석하면 이 두 곳은 일제가 조선의 반도사관을 설정하기 위하여 그 위치를 바꾸어 놓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We analysed the old historical map of Euijubu of Chosun by topological and/or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Euiju in the google map by using 1-1 correspondence method.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Euijubu is a good topological representation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Euiju. Similarly, we analysed the historical map of Sakjubu, Changseong and Byukdong of Chosun and concluded that they were good representative topological maps of the neighborhoods of Sakjubu, Changseong and Byukdong of North Korea, respectively. We revealed that the locations of Lisan, Wiwon and Ganggeibu of Chosun were not the present locations of Lisan, Wiwon and Ganggei of North Korea. We found the corresponding places of Lisan and Wiwon of Chosun in the historical maps. The analysis of historical maps by topological and/or geometrical method with 1-1 correspondence method is considered to be very powerful tool to reveal whether a historical old map is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present places or not.

      • KCI등재

        북한의 독도와 동해 관련 고지도 자료 연구에 대한 고찰

        서인원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8

        Japan has escalating the right wing nationalism recently, and strengthen the claims Dokdo islets to solve the problem by lawsuit in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Two Koreas requires cooperation and needed for the analysis of North Korea's Dokdo research in order to strengthen Korean sovereign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provide for the Japanese policy of Dokdo provocation. We analysis on North Korea's Dokdo policies and Dokdo research through the books of "Dokdo seen as old maps", "Dokdo Story", "Ahn Ryongbok kept Ulleungdo", "Dokdo Research No. 2" etc. Also We analysis Dokdo research of the present situation through North Korea's Dokdo research on the old maps. North Korean studies was analyzed the historical documents, old maps proved that Dokdo is Korean historical territory. The official document and the old maps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could prove that Dokdo is Korean historical territory and this studies can proves Japanese injustice and contradictions of territorial claims. North Korea has analyzed the historical inspector, change the name, location of Dokdo in the map of Choseon(朝鮮) and the Western old maps demonstrated that Korea has exercised effective jurisdiction over Dokdo. The Western old maps can proves East Sea which is marked as 'Sea of Korea' on the old maps, and Japanese old maps can proves East sea by the name of Korea Sea. Two Koreas should strive to practice Dokdo policy actively based on North Korea's Dokdo research for strengthening the appellation of East Sea and the dominium of Dokdo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최근 일본은 독도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우익적인 행보를 하면서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로 독도 영유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이런 일본의 독도 도발 정책에 대한 대비와 국제사회에서의 한국 영유권 강화를 해나가기 위해서는 남북한 협력이 필요하며 북한의 독도 연구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 북한의 독도연구 서적인 "옛지도로 보는 독도", "독도이야기", "울릉도를 지킨 안룡복" , '특집: 북한의 독도연구' "독도연구 제2호"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에서 연구하고 있는 독도와 동해가 표기된 고지도 연구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독도가 한국 고유의 영토임을 고찰하였다. 북한에서 독도가 표기된 조선, 동서양 고지도를 중심으로 역사적 경위와 독도 명칭 변화, 위치에 대해 분석하면서 한국이 일관되게 독도의 관할권을 행사한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일본 고지도에서 조선 고지도를 그대로 답습했을 때는 독도의 위치, 명칭의 혼란은 없었지만 서양고지도를 그대로 답습하고 번안했을 때 독도의 위치, 명칭의 혼란을 했다는 것은 독도가 일본의 고유영토가 아닌 것을 입증하고 있다. 서양 고지도에 나타나는 독도의 위치, 명칭은 황여전람도 영향으로 표기되었으나 19C 이후 서양함대의 실측에 의해 독도 명칭이 서양식으로 바꿨고 독도를 한국 영토로 표기하고 있어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명확히 증명하고 있다. 서양 고지도에서는 동해를 ‘Sea of Korea’로 표기하고 일본 고지도에서도 동해를 조선해 표기하고 있는 것은 동해가 한국 고유의 명칭임을 증명해주고 있다. 그리고 동해 명칭은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침략정책과 러일전쟁 승리에 의해 희생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동해는 한국이 개척하고 이용하여 명명된 고유 명칭으로 대항해시대부터 지금까지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아 지명 발생 발전의 합법칙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정당한 지명이다. 북한의 독도 연구와 동서양 고지도 연구를 보면 북한은 독도영유권, 동해 명칭에 대한 자료를 상당히 축적하고 있으며 역사적 자료를 근거로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남북한은 국제사회에서 동해 명칭 표기와 독도 영유권 강화에 대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갈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남북한 협력으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분쟁 시도에 대해 단호히 대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고지도 계통 연구를 활용한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영연도」를 중심으로 -

        유종연,정연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1

        Due to the challenging physical access of data and the abstraction of the old map, the study of the old map, which is owned by overseas collections, is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more detailed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 the bibliography or description elem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helpful for the study of the old map through many ways.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the old map based upon the system of the Haejushinbon were analyzed and added to the description elements of the old map for studying the Korean old map system. Fifty six description elements in 8 areas from the analysis were applied to 「Yeongyeondo」 in the French National Library, a major old map located overseas that was not well known in Korea. In conclusion, additional description elements of the old map were proposed to enhanc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old map research. 해외 소장 한국 고지도는 자료의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점과 고지도의 추상성 등으로 인해 연구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서지사항이나 기술요소에 좀 더 자세하고 전문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이를 통해 고지도 연구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고지도의 계통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고지도의 요소를 해주신본 계통의 고지도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고지도 기술요소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도출된 총 8개 영역의 56개 고지도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해외 소재 주요 고지도인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영연도」에 적용한 후, 고지도 연구의 접근성과 활용성에 도움이 되는 고지도 기술요소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자료 연구

        정대영(Dae-Young Ju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0 한국고지도연구 Vol.2 No.1

        This is a base study using the systematic bibliography as a methodology for surveying the old maps. Various informations on the old maps can be captured in the bibliography of the Joseon period. Among them many of the unknown sources have been found. A study before the 11th century Chinese old maps could be improved by musing the list of books. During the Joseon period many lists of books were documented. Each of them contains information meaningful data, so they are very precious for the ones researching old map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original texts of Joseon Dynasty list of books. With this work, I discovered the old maps collection in Jangseo-gak Library closely related to the ones in Kyujang-gak Library. Moreover, I could catch the overview of its space time change. 이 논문은 고지도 연구에 있어 서지학의 방법론인 목록조사법을 이용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서목(書目)에서는 다양한 고지도 자료가 등장한다. 이 중에는 현재 알려지지 않은 많은 자료가 발견되고 있다. 중국 고지도에 대한 연구도, 실물이 발견되지 않는 11세기 이전 시기에는 서목을 통하여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서목이 작성되었고, 내용상으로도 의미있는 자료들이 있어 고지도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며, 각 자료에 대한 향후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서목중 43종의 서목원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고지도 소장처인 장서각(藏書閣) 고지도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지하는 바대로 규장각(奎章閣)자료와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각 자료의 시ㆍ공간상의 변화과정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자료 연구

        정대영(Dae-Young Ju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0 한국고지도연구 Vol.2 No.1

        이 논문은 고지도 연구에 있어 서지학의 방법론인 목록조사법을 이용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서목(書目)에서는 다양한 고지도 자료가 등장한다. 이 중에는 현재 알려지지 않은 많은 자료가 발견되고 있다. 중국 고지도에 대한 연구도, 실물이 발견되지 않는 11세기 이전 시기에는 서목을 통하여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서목이 작성되었고, 내용상으로도 의미있는 자료들이 있어 고지도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며, 각 자료에 대한 향후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서목중 43종의 서목원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고지도 소장처인 장서각(藏書閣) 고지도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지하는 바대로 규장각(奎章閣)자료와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각 자료의 시ㆍ공간상의 변화과정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is a base study using the systematic bibliography as a methodology for surveying the old maps. Various informations on the old maps can be captured in the bibliography of the Joseon period. Among them many of the unknown sources have been found. A study before the 11th century Chinese old maps could be improved by musing the list of books. During the Joseon period many lists of books were documented. Each of them contains information meaningful data, so they are very precious for the ones researching old map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original texts of Joseon Dynasty list of books. With this work, I discovered the old maps collection in Jangseo-gak Library closely related to the ones in Kyujang-gak Library. Moreover, I could catch the overview of its space time change.

      • 위상수학을 활용한 온성부와 종성부 고지도 분석

        정택선(Tacksun Jung),최규흥(Q-Heung Choi)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조선조 온성부와 종성부의 고지도를 위상 수학적 방법, 기하학적 방법, 대역 기하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또한 그 지도의 내용을 설명하고 온성부와 종성부의 고지도와 북한의 현 두만강 유역 온성과 종성 부근의 구글 지도와 먼저 비교하여 고지도가 북한 온성과 종성 근방의 위상도가 아님을 밝혔다. 온성부 고지도에서 온성 부위, 황척파, 유원, 의전, 유달, 분계강에 대응되는 지역을 구글지도에서 찾아본다. 온성은 해림시 영고탑까지 6일정이다. 북한 온성에서 영고탑까지 정상적인 도보 속도로 6일에 도달하지 못한다. 종성부 고지도에 대응되는 지역도 구글지도에서 찾아본다. 많은 사람들은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온성과 종성이 현재 북한 두만강 유역에 위치한 것이라고 믿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은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온성과 종성의 실제 위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고지도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기대한다. In chapter 2, we analysed the old map of Onseongbu of Chosun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Onseong.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Onseongbu is not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Onseong. By the analysis of the map we fou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that the old map of Onseongbu is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China Dongnyung. In chapter 3, we analysed the old map of Jongseongbu of Chosun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Jongseongbu.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Jongseongbu is not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Jongseongbu. By the analysis of the map we fou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Many Koreans have learned and recognized that Onseongbu and Jongseongbu of Chosun is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Onseong and Jongseong, respectively. However, this article would revise their old recognitions.

      • 고지도 목록의 接近點 확대 방안

        이혜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6 한국고지도연구 Vol.8 No.1

        지도는 전통적인 도서와 구분되는 형태적, 내용적 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서양에서는 일반 도서와 구분하여 별도의 목록규칙을 제정, 적용하고 있다. 서양의 목록 규칙을 도입한 우리나라의 지도 목록규칙은 현대지도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고지도의 경우 적용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지도의 특징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목록작성의 가이드라인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고지도 서지목록 1,043건을 분석하여 고지도 목록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1) 표제가 일반명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거나 없는 경우 고지도 표제를 선정하는 방안, 2) 고지도의 지명에 대한 연구성과를 고지도 발행시기 추정의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 3) 그리고 고지도 유형분류와 계통분류를 특정지어 이것을 비통제색인어로 활용하여 검색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