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혼인중개계약의 효력과 국제결혼관리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孫京贊 ( Son Kyoung Chan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5

        이 연구는 혼인중개계약의 효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국제결혼 관리제도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고민해 본 연구이다. 혼인중개계약은 현행 민법상 전형계약은 아니다. 다만 민법개정안에서는 독일·스위스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중개계약을 규정하였지만, 혼인중개계약은 논의 끝에 개정안에서 제외되었다. 그래서 민법상 위임의 규정과 약관규제법의 조문에 의해 혼인 중개계약의 효력이 인정되었다. 그러다 2007년 결혼중개업법이 제정되었으며, 혼인중개계약(특히 국제결혼중개계약)은 국가의 관리·감독을 받게 되었다. 문제는 한국의 결혼중개업법상 영리목적의 국제결혼중개계약은 유효한데 반하여, 베트남·중국 등에서는 영리목적의 국제결혼중개계약은 불법이며, 만약 이를 위반할 경우 중개업자들을 형사 처벌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법의 준거법공서 이론을 적용가능하다. 즉 ① 국제결혼 중개계약의 효력을 판단하는 준거법은 저촉규범에 의해 해결되며, ② 준거법은 일단 베트남법·중국법이 되지만, ③ 베트남법 등이 대한민국의 공서양속에 반한다면, 베트남법의 적용을 배제하고 법정지인 대한민국의 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④ 결혼중개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공서위반이 될 수 있으므로, ⑤ 한국의 결혼중개업법을 적용하여 원칙적으로 유효하다. 따라서 반사회질서 법률행위가 아닌 한 혼인중개계약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유효한 것이다. 2007년 결혼중개업법이 제정된 이후 국제결혼 관리제도는 계속하여 규제강화·처벌강화 기조를 유지하였다. 특히 신상정보의 제공, 중개업자의 등록제도, 1억 원 자본금 요건, 시설기준 요구, 중개업자 교육제도 등은 국제결혼의 부작용을 최소화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신상정보 제공을 ‘맞선 시’에 강제하는 것은 국제결혼의 실무와 맞지 않고, 개인정보침해 소지가 있으며, 혼인증명서에 신랑의 이름을 요구하는 베트남 현지법과의 모순 충돌 가능성이 있어 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제결혼 단계를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로 2원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맞선단계’에서는 ‘개인신상정보확인서’만 제공하고, ‘혼인단계’에서 개인정보의 원본과 번역본을 제공하는 것으로 개정해야 한다. 이와 함께 한국인 남성이 최소 2번은 외국으로 출국하여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법제화해야 한다. 국제결혼 총비용도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약관을 개정하여 ‘맞선단계’의 비용과 ‘혼인단계’의 비용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국제결혼중개업을 국가가 공인하여 국제결혼중개사라는 합법적인 직업을 인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2014년 이후 출입국관리법상 결혼이민 사증(F-6) 심사기준이 강화되었다. 여기서 한국인 남성의 소득요건 및 주거요건이 추가되었고, 외국인 여성의 한국어 능력도 요구되었다. 하지만 ‘초청인이 최근 5년 이내에 다른 배우자를 초청하면’ 사증 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는 법조문은 개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외국인 배우자의 귀책사유에 의한 이혼의 경우 한국인 남성에게 피해를 줄 수 있고, 또한 이 규정은 헌법 정신에 반하는 위헌적인 규정이다. 그리고 약혼자 비자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결혼중개제도를 ‘맞선단계’와 ‘혼인단계’로 구분하는 것과 연계하여, 맞선을 보고 혼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약혼자 비자로 한국을 방문할 수 있다면 국제결혼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묘안이다. 이제는 우리가 국제결혼의 관리 제도를 규제의 ‘강화’와 ‘완화’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접근할 때이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f marriage mediation contract and to suggest the reasonable improvement plan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not a typical contract under civil law. Although the mediation contract has been regulated referring to German and Swiss law in a civil law amendment, marriage mediation contract has been excluded in the revised version after the discussion. Therefore, the effect of the marriage mediation contract was recognized by the provisions of civil delegation and the provisions of Act On The Regulation Of Standardized Contracts. Then, in 2007,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has been established and marriage mediation contract, especially international marriage mediation contract, became under the control and supervision of the country. The problem is the difference in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Although the international marriage mediation contract for commercial purpose is valid in Korea according to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it is illegal in Vietnam, China, and other countries and the mediating agents can receive criminal punishmen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ing law theory of the international private law can be applied. In other words, ① the governing law to judg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mediation contract can be solved by rules of conflict of laws and ② the governing law becomes Vietnamese or Chinese law. ③ But if those laws violate the public orders and good faiths of Republic of Korea, the law of Republic of Korea is applied instead of the law of Vietnamese or Chinese. ④ Prohibiting marriage brokerage can violate the public orders and good faiths, ⑤ so the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effective in principle according to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Therefore, as long as it is not an contra bonos mores, the effect of marriage mediation contract is valid as a rule. After the establishment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es in 2007,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kept strengthening the regulation and punishment. In particular, the Regulations on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policy of brokers, requirement of minimum capital of 100 million won, facility standard requirements and broker education system are meaningful in that they minimize side effects of international marriage. However, obligating the Regulations on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at the timing of ‘first meeting’ dose not coincide with the actual international marriage and it may have privacy issues as well as potential conflict with Vietnam’s local law, which requires the groom’s name in the marriage certificate. Therefore, the international marriage process need to be divided into two stages: ‘meeting stage’ and ‘marriage stage’. In ‘meeting stage’, only ‘confirm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nd in ‘marriage stage’, the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gether with this, it should be under law that Korean man must fly overseas at least twice at ‘meeting stage’ and ‘marriage stage.’ In addition, it makes sense to separate the total costs into the costs of the ‘meeting stage’ and the costs of the ‘marriage stage’ by revising the standard agreement of Fare Trade Commission.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country to recognize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and to recognize a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 as a legal occupation. Since 2014, the immigration law has strengthened the criteria for screening marriage immigrant visas (F-6). Income and housing requirements for Korean man were added, and the Korean language skills were also required for foreign woman. However, the legal provisions that refuse to issue a visa ‘if the inviter invites another spouse within the last five years’ need to be revised. If a divorce is caused by a foreign spouse’s fault, it will harm the Korean male, and this provision is unconstitutional agains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nd fiance visa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In connection with dividing the marriage brokerage process into the "meeting stage" and the "marriage stage," it is an idea to minimize the risk of international marriages if the foreign women can visit Korea on a fiance vis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marriage. Now, we should not approach the international marriage management policy in terms of 'reinforcement' and 'relaxation' of regulation, but should consider and approach what is 'reasonable' improvement plan.

      • KCI등재

        일반논문 : 베트남 혼인법 개관 -2014년 베트남 혼인과 가족법을 중심으로-

        이재열 ( Jaeyeol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法學硏究 Vol.25 No.3

        현행 베트남 혼인과 가족법(52/2014/QH13호)은2014년6월19일 국회를 통과하여2015년1월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현행 베트남 혼인과 가족법은9개 장, 133개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제1장 일반규정, 제2장 결혼, 제3장 부부 사이의 관계, 제4장 혼인의 종료, 제5장 부모와 자의 관계 제 장 가족의 기타 구성원 사이의 관계,제7장 부양,제8장 외국적 요소가 있는 혼인과 가족관계,제9장 시행규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혼을 위해서는1)남자는 만20세 이상,여자는 만18세 이상일 것, 2)남녀가 스스로 원한 결정에 따른 결혼일 것, 3) 민사행위능력상실자가 아닐것, 4)결혼이 베트남 혼인과 가족법 제5조 제2항 제a호 제b호 제c호와 제d호 규정에 따라 결혼이 금지되는 경우 중 하나에 속하지 않아야 하고, 결혼등기를 하여야 한다.그리고 동성혼을 인정하지 않는다. 부부사이의 관계로서 일반적 효력,부부 사이의 대리와 부부재산제도가 규정되어 있다.부부재산제도에는 약정재산제도와 법정재산제도가 있다.부부가 약정재산제도를 선택하지 않거나 재산제도의 합의가 있으나 그 합의가 무효인 경우에는 법정재산제도가 적용된다.부부재산에는 부부공동재산과 부부특유재산이 있다. 이혼에는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이 있다.부부가 함께 이혼을 요구하고 양 당사자가 진정으로 이혼을 자원(自願)하고 재산분할,처와 자의 정당한 권익 담보의 기초위에子의 돌봄·양육·보육 교육에 관하여 합의했음을 심사하여 인정하는 경우에 법원은 협의이혼을 승인한다 합의할 수 없거나 합의는 있으나妻와子의 정당한 권익이 담보되지 않는 경우에는이혼사건으로 처리한다. 재판상 이혼은 부부 일방이 이혼을 요구하였으나 법원에서의 화해가 성립하지 않은 때에 부부의 가정폭력행위 또는 부부의 권리 및 의무의 중대한 위반이 혼인을 심각한 상태에 빠지게 하고,공동생활이 연장될 수 없으며,혼인의 목적이 달성될수 는 경우에 법원에 의해 처리된다.배우자 일방의 사망 또는 법원에 의해 사망선고를 받은 경우에도 혼인은 해소된다. Current Vietnamese Law on Marriage and Family was passed on June 19, 2014, by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Composed of 133 articles arranged in nine chapters, The Law on Marriage and Family regulates General provisions(ch.1), Getting married(ch.2),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ch.3), Termination of marriage(ch.4),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ch.5), Relations among other family members(ch.6), Support(ch.7), Marriage and family relations involving foreign elements(ch.8) and Implementation provisions(ch.9). A man and a woman wishing to marry each other must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a/ The man is full 20 years or older, the woman is full 18 years or older; b/ The marriage is voluntarily decided by the man and woman; c/ The man and woman do not lose the civil act capacity; d/ The marriage does not fall into one of the cases prescribed at Points a, b, c and d, Clause 2, Article 5 of Law on Marriage and Family. A marriage shall be registered with a competent state agency in accordance with Law on Marriage and Family and the law on civil status. And the state shall not recognize marriage between persons of the same sex. In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it is stipulated represent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matrimonial property regime. In matrimonial property regime, there are the statutory matrimonial property regime and the agreed matrimonial property regime. And in matrimonial property, there are common property and separate property of husband and wife. Husband or wife or both has or have the right to request a court to settle their divorce. When both spouses request a divorce, a court shall recognize the divorce by mutual consent if seeing that the two are really willing to divorce and have agreed upon the property division, looking after, raising, care for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on the basis of ensuring the legitimate interests of the wife and children. If the spouses fail to reach agreement or have reached and agreement which fails to ensure the legitimate interests of the wife and children, the court shall settle the divorce. When a spouse requests a divorce and the conciliation at a court fails, the court shall permit the divorce if it has grounds to believe that a spouse commits domestic violence or seriously infringes upon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husband or wife, which seriously deteriorates the marriage and makes their common life no longer impossible and the marriage purposes unachievable. A marriage is terminated when a spouse is dead or declared to be dead by a court.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삶 들여다보기: 결혼과 비혼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덕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1 다문화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과 비혼이라는 결혼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는 여성의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결혼, 비혼에 대한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여성의 목소리를 듣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혼과 비혼 여성 참여자를 선정하여 인터뷰하고, 각종 사건과 주제 등을 중심으로 질적으로 분석, 해석해 내었다. 그 결과, 기혼 여성은 결혼 초기에 결혼제도와 관련된 관습, 가치 등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10년이 지난 현재에는 가족과 함께 자신에게도 관심을 두고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비혼 여성은 사회적, 개인적 차원에서 결혼제도에 대한 긍정과 부정적인 면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결혼제도를 수용하지만 선택적 요인으로 보았으며, 주체적으로 인생을 설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기혼, 비혼 여성 모두에게 결혼제도는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나, 두 참가자들은 결혼제도에서 자신을 독립적으로 객관화시키려고 노력하면서 자유로운 존재로 성장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요어 : 결혼제도, 비혼 여성, 결혼여성 This study investigates how women’s life is affected by marriage status i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a female interviewee’s various episodes were collected, tes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rried female shows unquestioning acceptance of traditional marriage values and customs in their early stage of marriage. However, after 10 years from marriage, the female showed independent attitudes and activities in her life pursuing both her and family development. An unmarried female show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marriage in societal and private perspectives. In addition, although accepted, she considered marriage as a selective element in her life. She planned her life independently. This study showed marriag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married and unmarried females. However, the interviewees present their efforts to be independent from traditional marriage customs and plan their life.

      • KCI등재

        『과도기』의 두 지향

        공종구(Kong, Jong-goo)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3

        이 글이 집중적인 분석 대상으로 소환한 텍스트는 채만식의 『과도기』이다. 이 작품은 습작기적 미숙성과 검열로 인해 곳곳에 텍스트의 균열과 구멍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역설적이게도 그러한 균열이나 구멍이야말로 채만식 문학의 기원을 해명하는 데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단서로 작용한다. 분석 결과 『과도기』는 채만식 문학의 기원인 전통적인 가족제도와 결혼제도에 대한 상징적인 처벌과 대결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더불어 이 작품은 채만식 문학의 또 다른 기원으로 기능하는 식민지 근대에 대한 대결 의지의 동력으로 작용하는 민족주의적 지향을 반영하고 있다. 먼저 전통적인 가족제도와 결혼제도에 대한 채만식의 문제의식은 최소한의 자기 동일성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분열적이고 모순적인 정수의 진술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전통적인 가족제도와 결혼제도에 대한 채만식의 문제의식은 이후의 작품들에서 반복적인 변주를 보이는 과정에서 심화·확장되면서 채만식 문학의 기원으로 자리잡게 된다. 민족주의적 지향에 대한 채만식의 문제의식은 충동적인 기질의 봉우의 일본인에 대한 울분의 분출과 양자의 입적 문제를 단순한 혈연의 문제로 환원해버리는 형식이의 소박한 해법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민족주의적 지향에 대한 채만식의 문제의식은 이후 발표되는 작품들에 오면서 계속 심화·확장 되면서 전통적인 가족제도와 결혼제도에 함께 채만식 문학의 두 기원으로 기능하는 식민지 근대에 대한 채만식의 대결의지로 발전하게 된다. This paper summoned the text from 『Transition』 by Chae, Man-sik as the subject of intensive analysis. The work reveals cracks and holes in the text due to its immaturity in early works and censorship. Paradoxically, however, such cracks or holes serve as a perfectly good clue to explaining the origins of Chae, Man-sik’s litera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work 『Transition』 reflects the symbolic punishment and will to confront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the marriage system, which are the origins of Chae, Man-sik’s literature. In addition, this work reflects a nationalist orientation that serves as a driving force for the confrontation against colonial modernity, which serves as another origin of his literature. First of all, 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about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marriage system is revealed through Chung-soo’s divisive and contradictory statements that make it difficult to find minimal se lf-identity. 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about traditional family and marriage systems deepened and expanded in the process of repeated variations in his later works, establishing the origins of his literature. Chae Man-sik"s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nationalist orientation is revealed through impulsive Bong-woo’s outburst of anger over Japanese people and Hyung-sik’s simple solution reducing the problem of adoption to a simple blood relationship. Chae Man-sik"s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nationalist orientation continues to deepen and expand in later works, developing into his confrontation which functions as two origins of Chae Man-sik literature with traditional family and marriage system.

      • KCI등재

        ‘낭만적 사랑이야기’로서의 <숙영낭자전> 연구

        이유경 ( Lee Yu-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이 논문은 <숙영낭자전>이 '낭만적 사랑이야기'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낭만적 사랑이란 두 남녀가 자율적인 사랑을 바탕으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숙영낭자전>은 숙영낭자와 선군의 사랑을 그린 것으로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양반과 기생의 사랑이야기와는 달리 결혼제도 내부의 남녀가 자유롭게 연애를 하고 사랑을 통해 결혼하는 모습을 그린 ‘낭만적 사랑이야기’이며, 이를 통해 당시의 결혼제도와 가부장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숙영낭자전>이 지니는 ‘낭만적 사랑이야기’의 양상을 애정소설의 구조인 만남, 결연, 위기, 극복의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본 뒤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숙영낭자와 선군은 못다 한 사랑의 성취를 위해 적강한 인물들로, 숙영낭자는 옥연동에 거처하고 선군은 인간으로 출생하여 연분 맺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선군의 부모가 이들의 연분을 무시하고 아들의 배필을 구하게 되자 위기의식을 느낀 숙영낭자가 선군의 꿈에 나타나면서 꿈속 만남을 통한 자유연애가 시작된다. 꿈속 만남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선군이 상사병이 걸려 죽을 지경에 이르자 숙영낭자가 옥연동으로 찾아오라는 말을 하고, 선군은 부모의 만류도 뿌리친 채 옥연동에서 숙영낭자와 연분을 맺고 함께 집으로 돌아와 동별당에 거쳐하며 자식을 낳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게 된다. 이처럼 숙영낭자와 선군은 부모의 관여 없이 둘만의 사랑을 통해 결혼을 하고 부부 중심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이어간다. 그러나 결혼 이후에도 서로에게만 빠져 지내며 그들의 사회적 책무를 등한시함으로써 주위의 우려를 사게 된다. 이에 어쩔 수 없이 과거 길에 나선 선군은 숙영낭자를 못 잊어 몇 번이나 되돌아오는데, 이를 외간남자로 오해한 시부에 의해 숙영낭자가 정절모해를 겪고 결국 자결하게 된다. 남녀의 자유로운 사랑과 결혼은 개인보다는 집단과 공동체의 윤리와 질서를 중시해온 전통 사회의 입장에서 볼 때 위태로운 일이므로 숙영낭자와 선군의 사랑은 봉건적 질서와 규범에 의해 억압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숙영낭자와 선군은 이러한 일방적인 희생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숙영낭자는 선군을 통해 억울함을 풀고 옥연동에서 장례를 치른 후 재생하여 주위의 방해 없이 선군과의 온전한 사랑을 다시 이어나가는 것이다. 이처럼 숙영낭자와 선군은 죽음도 극복하며 둘의 사랑을 끝까지 이어나감으로써 당대의 사회질서와 결혼제도로 인한 억압을 극복하고 사랑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숙영낭자와 선군은 사랑을 통해 결혼하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이룸으로써 남녀의 사랑보다는 가문과 공동체의 유지와 번영을 중시하는 결혼제도와 가부장주의에 대한 거부를 보여준다. 선군과 숙영낭자가 보여준 ‘사랑을 바탕으로 한 성과 결혼’은 전통 사회의 일반적인 사랑과 결혼의 양상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근대적 사랑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숙영낭자전>의 ‘낭만적 사랑이야기’는 ‘여성화된 사랑이야기’를 통해 당대 여성 독자의 욕망을 반영했다는 의미가 있다. 여성의 자아실현이 결혼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전통사회에서 ‘영원히 나만 사랑해 주는’ 남성을 만나 사랑의 유일성과 영원성을 실현하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이루는 것은 남성에 종속되어 낯설고 배타적인 시집 생활을 견뎌야 했던 여성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바람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숙영낭자전>이 그리고 있는 ‘낭만적 사랑이야기’는 장애를 넘어선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보여주는 보편적인 대중성을 넘어서 당시의 결혼 제도와 가부장주의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움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SukyeongnangjaJe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as a 'romantic love story'. SukyeongnangjaJeon is a story about the love between Sukyeongnangja and Seongun, a 'romantic love story' which described the figure of marriage through love after free romantic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within the marriage institution of that period, different from other love stories between yangban and gisaeng, which was the mainstream at that time, also, is a work to bring up a problem about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riarchy of that time through this. Therefore, this paper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 of a 'romantic love story' of SukyeongnangjaJeon through the process of meeting, match, crisis, overcome in sequence, which is the structure of a love story, then discussed the significance therein. Sukyeongnangja and Seongun were the characters, descended to accomplish unfulfilled love, Sukyeongnangja lived in Ogyeondong and Seongun was born as a human to wait to tie the knot. However, when Seongun's parents disregarded their knot and found out their son's spouse, Sukyeongnangja appeared in Seongun's dream, feeling crisis, and their free love began through the meeting in dreams. When Seongun became lovesick to death while continuing meeting in dreams, Sukyeongnangja told him to come over to Ogyeondong, so Seongun tied the knot with her in Ogyeondong, shaking off his parents' dissuasion, returned home with Sukyeongnangja and lead a happy marriage, having their children, living in Dongbyeoldang. This way, Sukyeongnangja and Seongun married only through their love without parents' concern, and continued a couple-focused happy married life. However, even after marriage, they only fell for each other and neglected social responsibility, which caused the surroundings' concerns. Here, Seongun departed for Gwageo exam, however, he returned home several times, being unable to forget Sukyeongnangja, which caused a fidelity plot by the father-in-law, who misunderstood this as meeting another man, and finally she stabbed herself with a sword. From the position of traditional society, which emphasized the group and the ethics and order of community more than individual, free love and marriag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riskful, love between Sukyeongnangja and Seongun could not help being oppressed by feudal order and norms. However, Sukyeongnangja and Seongun never accepted this one-way sacrifice as it is. Sukyeongnangja resolved her resentment through Seongun and born again after funeral in Ogyeondong, then continued intact love with Seongun without circumferential interruption. This way, Sukyeongnangja and Seongun overcame the suppression of social order and the marriage institution of that period strongly revealed their will to pursue love by continuing their love till the end even overcoming death. As discussed so far Sukyeongnangja and Seongun showed their refusal to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ernalism, which emphasized maintenance and prosperity of family and community rather than love between man and woman, through realizing a marriage through love and equal marital relations. Lastly, 'sex and marriage based on love', which Seongun and Sukyeongnangja showed, has a significance that it suggested a modern love system of a new type, different from the general aspect of love and marriage of the traditional society. SukyeongnangjaJeon's 'romantic love story', like this, has a significance that it reflected the women readers' desire of that time through 'feminised love story'. In the traditional society, where self-realization of women could be realized only through marriage, it was the biggest desire for the women, who must have endured their husbands' strange and exclusive family life by being subordinate to male, to meet a man 'who loves only me forever' to realize the exclusiveness and eternity of love to maintain equal marital relations. This way, 'romantic love story' which SukyeongnangjaJeon described, can be said to be a work which shows newness, in respect that it presents problems of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ernalism of that time, going beyond the general popularity which the love stories between man and woman beyond obstacle showed.

      • KCI등재

        한국사회 결혼문화의 변천사(變遷史)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김태수 ( Tae Soo Kim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8 복음과 상담 Vol.10 No.-

        결혼은 보통‘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결혼은 거의모든 사람들의 삶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결혼의 주제와 관련하여 본고에서 필자는 한국사회 결혼문화의 변천사를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고, 현대 결혼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그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고의 목차는 첫째, 고려시대의 결혼제도와 혼례문화가 다루어진다. 여기에는 고구려와 백제그리고 신라의 결혼제도가 간략하게 언급된다. 둘째, 조선시대의 결혼제도와 혼례문화가 소개되며 셋째, 현대의 결혼문화가 언급된다. 넷째, 한국사회 결혼문화의 문제점이 의미 있는 주제로 다루어진다. 다섯째, 앞에서 제기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이 제시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의 방식에 의존하며 현대의 결혼식을 소개하기 위해서 예식장의 결혼식과 교회에서 거행되는 결혼식에 참석함으로써 참여와 관찰의 방법을 채택하였다. 현대사회의 다양한 특징들 가운데 하나는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시대라는 것이다. 미래학자들은 정서적 유대관계가 돈독한 가족이 지속적이고 중요한 사회적 단위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편이다. 가족이라는 사회적 단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결혼이라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필자는 가족의 중요성을 생각하면서 그 전제조건이 되는 결혼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현대의 결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역사 속에서 결혼문화의 변천사를 고찰해 볼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According to the Russian proverb, it says that “When a person goes out to fight, pray one time. When the person goes to the sea, pray two times. And when the person marries, pray three times.”Like this, marriage is a very significant issue to everyone and a very difficult choice simultaneously. In this thesis the writer investigated the changes of Korean marriage culture historicall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wedding culture, and presented effective solutions to it. Through this thesis the writer dealt with the following items. Firstly, this thesis introduced marriage system and wedding culture of Korea dynasty. Second, it explained marriage culture regarding ‘Chosun’dynasty. Thirdly, it said the modern wedding culture additionally. Fourth, it included the issues of wedding culture in Korean society. Fifth, it involved various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wedding culture which dealt with in the previous pages. The method of study of this thesis depended on reference books and was the method of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by attending a wedding ceremony so as to explain the current wedding culture. Finally, the writer wants to explain the biblical instruction concerning the issue of marriage: “a man will leave his father and mother and be united to his wife, and they will become one flesh.” (Genesis 2:24)

      • KCI등재

        Evolution of Marriage Contracts under Conformism

        오승연(Oh Seung Yu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5 사회경제평론 Vol.28 No.1

        결혼 제도는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조응하여 발전하게 되는데, 가부장적인 제도는 여성의 시장참여가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본 연구는 가부장적 사회 규범에 순응하려는 개인들의 성향이 보다 평등한 결혼 제도로의 진화를 더디게 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확률론적 진화 게임이론을 사용하여 가부장제에서 평등한 결혼 계약으로의 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모형을 이용하여 가부장적 결혼 제도와 평등한 결혼 제도 각각이 균형이 되는 조건을 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환경의 변화로 평등한 결혼 계약이 가부장적 결혼 계약에 비해 더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가부장제도에 대한 순응주의가 강한 경우, 평등한 계약으로의 이전이 일어나지 않고 가부장제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순응주의가 강한 경우 가부장적 계약에서 평등한 계약으로의 진화에 걸리는 시간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길어짐을 보였다. Why have patriarchal family institutions remained so persistent? Could stronger conformism to patriarchal norms retard the evolution of more egalitarian contracts even when egalitarian contracts are in some respects more efficient? To address these questions, I study the evolution of marriage contracts from patriarchal to egalitarian forms. In particular, I explore the ways in which normative dynamics such as asymmetric conformity could shape the evolution of marriage contracts-specifically, the equilibrium selection and the time that elapses in the transition from one contract equilibrium to another. I set up a micro stochastic process model to study the equilibrium selection of marriage contracts in various economic environments. Using parameters capturing the payoff within families and the degree of conformism between families of each contract, the model identifies the parameter range in which even though the egalitarian contract is optimal choice within family, the patriarchal contract pervades due to the strong conformism. Also I aggregate the micro stochastic process to obtain macro level stochastic process, which is the Birth and Death Markov process, to calculate the fixation probabilities of patriarchal and egalitarian regime. The result shows that the transition time from a patriarchal to an egalitarian equilibrium can be longer than the opposite direction under conformism.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공적제도에 미치는 영향

        이소영 ( Soyoung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형성정도와 공적제도의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6부의 표본을 활용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신뢰, 네트워크, 참여, 호혜성, 규범)과 공적제도(출입국관리법, 결혼중개업법, 국적법, 다문화가족지원법,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사회통합 프로그램, 다문화가족지원조례)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중 신뢰가 가장 높고, 참여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공적제도 중 다문화가족지원조례 만족도가 가장 높고 결혼중개업법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출신국별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 호혜성, 참여, 규범은 차이를 보였고, 연령별 네트워크, 참여, 규범은 차이를 보였다. 직업유무별, 결혼과정별, 체류자격별 참여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중 신뢰, 네트워크, 참여, 규범은 공적제도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규범과 참여가 높을수록 국적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활성화는 주체적ㆍ자발적으로 사회문제에 참여하고 협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이 개선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주민의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ㆍ수용하는 태도가 향상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capital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rmed in Korean society to grasp the satisfaction with related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6 to March, 2016. Here, total 216 sampl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immigrants on public institutions. This research focuses on social capital and public institutions as the main factors for the realization of identity politics of married women immigrants.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etermined as trust, network, participation, reciprocity and the norm of social capital and dependent variables are considered as immigration law, marriage brokerage law,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law, foreigners’ treatment law,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for th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with its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rust, network, participation, and norms of social capital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higher level of the norms and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f nationality. Activation of social capital by married women immigran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and integrate to participate in social problems. It is hoped that the awareness of community residents, and the attitude of recognizing and accepting various diversity of migrants including women married immigrants will be improved.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원으로서 중고령 결혼이민여성의 수급 경험에 관한 연구

        허용창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4 비판사회정책 Vol.- No.8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신청, 수급, 탈락 등 일련의 과정에서 중고령 결혼이민여성의 수급 경험을 탐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외국인 특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기초보장 수급 가구원으로서 현재 외국인 특례를 적용받거나 받았던 적이 있는 외국 국적의 중고령 결혼이민여성이다. 심층면접 자료에 대한 주제분석을 시행한 결과 6개의 주제와 17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제분석을 통해 중고령 결혼이민여성은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시부모를 돌보고 자녀를 출산해 성인이 될 때까지 양육함으로써 사회적으로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최저생활보장을 위한 최후의 사회안전망인 공공부조에서 외면받아 발생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중고령 결혼이민여성의 수급 경험을 토대로 본 연구는 출산·양육한 성인 자녀가 있거나 영주 자격을 취득한 결혼이민여성에게도 수급권 부여, 기초연금법에서도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특례 제정, 기초보장 사업 지침에서 결혼이민여성이 포함된 가구의 소득 산정 방식 개선, 신청을 위한 상담에서 공무원의 외국인 특례 안내 의무화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atively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marriage migrants who benefit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as household members through a series of beneficiary process and to improve the special legal provisions for foreigners. Therefo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ddle-aged and the elderly marriage migrants who are currently beneficiaries or were beneficiaries as household members granted by special legal provisions for foreigners. As a result of thematic analysis, 6 themes and 17 sub-themes are finally drawn from in-depth interview data.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first-generation married immigrants are turned away from the public assistance scheme as the last social safety net, although they contributed to society by marrying Korean men, giving birth to children, and raising them until adulthood. Finally, four policy suggestions are drawn from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right to receive benefits should be granted to female married immigrants who gave birth or raised children until adulthood and acquired permanent residency status. Second, special legal provisions for female marriage migrants should be newly introduced in the Basic Pension Act. Third, the method of calculating income needs to be improved for households with female marriage migrants. Finally, civil servants should explain the special legal provisions for foreigners in the application process.

      • KCI등재

        가족초청제도의 사회통합 기여 가능성 탐색 : 결혼이민자 지원 관련 실무자 인터뷰 사례를 중심으로

        육수현 ( Youk Suhyun ),장주영 ( Jang Juyoung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2

        2012년부터 결혼이민자의 부모, 자매 등 본국가족은 결혼이민자의 초기정착 지원, 자녀 출산·양육, 인도적 지원 등을 사유로 장기간 방문동거가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지원하는 9명의 실무자들을 면담하여 결혼이민자 본국가족 초청제도의 활용 상황과 실효성에 대해 파악하고, 제도가 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와 사회통합에 어느 정도 기여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실무자들은 결혼이민자들이 제도에 대해 잘 알고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보았고, 초청받아 온 본국가족이 건강보험제도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불편함을 표현하였다. 실무자들 대다수는 초청된 본국가족이 결혼이민자의 자녀 양육이나 정서적 지원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노동시장 구조로 인해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참여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반면 초청된 본국가족이 허가되지 않은 임금노동에 참여하는 경우는 많다고 인지하였으나 노동시장의 문제를 초래하는 상황까지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자 본국 가족 초청 제도의 사회통합 기여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2012, marriage migrants could sponsor their parents and certain family members for long-term visits. It is permitted only if marriage migrants have young children, are in the early stage of immigration, or require support due to vulnerable family circumstanc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family invitation for marriage migrants could contribute to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Nine interviewees who were civil servants or working at institutions for immigrants provided their insights about the family invitation. The interviewees thought that marriage migrants had enough information about how to sponsor their families, but they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excessive use of the Korean health care systems in some cases. They evaluated that invited family member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supporting child-rearing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Still, it could not lead to increasing marriage migrants’ labor market participation due to existing barriers in the job market. Although most of them acknowledged the unlawful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invited family members, they considered its influence minimal. Implications of the family invitation and how to maximize its contribution to marriage migrants' social integr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