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여성 결혼이주자의 결혼 전,후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박순호(Soon Ho Park),빙팜(Binh Pham),카미야히로우(Kamiya Hir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3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의 국제결혼의 가장 중요한 동기로는 경제적으로 보다 여유로운 삶의 추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결혼이주자들의 결혼 전후의 경제적 상황을 비교분석한 경험적 연구는 전무하다고해도 과언이 아 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베트남 여성 결혼이주자를 사례로 결혼 전후의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그들의 사회 ·경제적 특성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의 베트남 여성 결혼이주자의 결혼동기 역시 경제적인 이유인 경우가 약 80%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 가구의 경제적 수준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이를 반영하듯 이들의 절반 정도는 결혼 전후 경제적 상황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결혼 후 경제적 상황이 나아졌다고 인식하 는 비율이 그렇지 않다는 비율보다는 4배 이상 높았다. 이러한 결혼 전후의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사회·경제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본인과 남편의 교육수준, 한국어 능력, 직장 유무, 남편의 소득 수준 그리고 가계 관리 여부, 한국에서의 거주기간과는 정(正)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베트남에서의 직업 유무 및 베트남으로의 송금 여부와는 상관관계가 별로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 여성 결혼이주자의 대부분은 현재 본인의 가족뿐만 아니라 베트남 가족의 경제적 여건을 제고하기 위한 취업에 대한 의욕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이들의 취업 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from developing to developed countries are to seek a better economic condition. There are only a few empirical research on comparing and analyzing economic condition of marriage migrants before and after marriag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on on the change of economic condition before and after marriage a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international marriage female migrants. About 80% of interviewees of this study were motivated to marry Korean men for economic reasons; however, their household economic level was relatively low. Reflecting the household economic level, about half the Vietnamese women considered that there was very little difference in the economic condition before and after marriage; while, the percent of women considering the current economic condition as getting better were more than 4 times of that of women considering as becoming worse. The cognition on the economic condition change before and after marri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ttainment of husbands and themselves, the Korean language ability, state of occupation in Korea, the level of husband`s income, involvement of management of living expenses and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The occupation in Vietnam and the state of remittanc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gnition on the economic condition change before and after marriage. Vietnamese marriage female migrants were highly motivated to have a job out of home to improve the economic condition of their own family and natal family. Concreted alternative programs should be made to help those women to work out of home.

      • KCI등재

        ‘안전한 결혼 이주’?

        김현미(Kim Hyun Mee),김민정(Kim Min-Jeong),김정선(Kim Jung Sun)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1

        최근 한국으로 오는 결혼이주자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한국 정부는 결혼 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이주자들이 국내에 입국하기 전 이주 과정 중에 경험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서는 한국 관할권 밖의 일로 여겨져 관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국제이주의 특성상 결혼 이주자들이 한국에서 처하는 어려움 중 많은 부분은 그 근본원인 (root-cause)이 출신국으로부터의 이주 과정에서 기인한다. 현재 관행화된 결혼 중개 방식은 비용 전액을 지불하는 남성의 이해와 욕구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을 뿐 아니라 최대 이윤의 추구라는 시장 논리에 의해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들은 결혼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인권유린에 대해 취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중개 과정 자체에 내재된 이러한 젠더 불평등은 결혼 후 가족 내에서 여성에게 대한 착취와 극단적인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중개업을 통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몽골 여성들의 결혼이주 과정을 분석한다. 중개업에 의해 제공된 허위정보에 의해 여성들이 결혼 과정에서 자유로운 의사결정권을 상당부분 제약받거나 박탈당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동의’에 이르게 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국은 가장 많은 몽골 여성들이 결혼 이주를 하는 국가이다. 2000년부터 2005년 사이 몽골 여성과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은 총 1,648건으로 몽골 여성의 전체 국제결혼건수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년 8월부터 12월까지 약 5개월 간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심층면접을 했고, 10월 22일부터 29일까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시에서 현지 조사를 했다. 몽골 여성들은 사회주의 교육의 영향으로 양성평등의식이 강하고, 한국 남편보다 고학력인 경우가 많지만, 중개업자가 제공한 허위 정보를 믿고 한국에 오는 경우가 많다. 여성들이 결혼 이주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런 허위 정보지만, 한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이들은 결혼 중개 시스템에 큰 저항 없이 참여하게 된다. 여성들의 안전한 이주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정부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결혼이민자 ‘정착’과 ‘통합’뿐 아니라, 중개업을 통해 여성들이 한국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As the number of marriage migrants is rapidly increasing, the government is carrying out various policies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ose women.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problems migrants undergo throughout the migration process prior to their arrival in Korea, are not considered the Korean government's territory and therefore poorly recognized. The root-cause of the hardships marriage migrants experience in Korea lies mostly in the women's migration process from their native country to Korea. The way current marriage brokerage works is not only focused on men's interests and desires, but it is also structured by the market. Women are vulnerable in front of the various violations in human rights that occur during the marriage process. Moreover, the gender inequality rooted in the marriage brokerage process itself, sometimes leads to violence and exploitation of women during marriage. This article analyzes the marriage migration process and migration experiences of Mongolian women who have married Korean men through brokerage, and the human rights violat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Korea is the largest receiver of Mongolian women who migrate through marriage. From 2000 to 2005, the number of marriages between Mongolian women and Korean men recorded 1,648 cases, taking up 80% of the total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For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 has been conducted on Mongolian marriage migrants living in Korea for five months, from August 2007 to December 2007. From October 22nd to 29th, field research has been done in Ulaanbator, the capitol of Mongolia. Mongolian women are highly sensitive of gender equality due to education under a socialist regime, and most women are better educated than their counterparts. But many come to Korea, deceived by the false information provided by marriage brokers. Because women have diverse desires and hopes for their new life in Korea, they also participate in this brokerage system without making serious resistances. The current Korean legislation does not provide the basis for protecting victims of marriage brokers. For the 'safe' marriage migration of women, a law that clearly stipulates the prohibition of human trafficking must be enacted soon.

      • KCI등재

        결혼이주자의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특성과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정유리(Yu-Ri Jeo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본 연구는 정부주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시민사회 주도 외국인 이주자 지원 단체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착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결혼이주자의 참여 특성을 조사하고,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형과 비참여형 결혼이주자의 생활만족도를 측정함으로써 정착지원 프로그램의 참여가 참여자들의 생활만족도 향상 및 지역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 동구 및 경상북도 청도군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자로, 지역거주민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시민단체 기관을 통해 136명의 설문지가 표집되었다. 분석 결과 결혼이주자의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변화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높은 생활만족도는 지역사회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형 결혼이주자의 경우 비참여형 결혼이주자 보다 높은 생활만족도를 보였으며, 참여형 결혼이주자 중에서도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재 생활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높은 생활만족도는 지역사회 적응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결혼이주자의 생활만족도 및 지역사회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착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의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으며, 이를 위한 정책지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marriage migrants in the settlement support programs offered by government-le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e foreign migrant support organizations run by non-governmental entities. In addition, this thesis measured the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marriage migrants in the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o determine whether the participation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exerted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articipants’ life satisfaction and their adaptation to communities. A total of 136 marriage migrants living in Dong-gu, Daegu and Cheongdo-gun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vi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analysis found that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riage migrants’ participation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and that high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communities. Specifically, marriage migrants participating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non-participatory marriage migrants. Among participatory marriage migran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resent life. Also, high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commun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needs to develop and provide a variety of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o improve marriage migrants’ lif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communities, and relevant directions for betterment of policy supports.

      • KCI등재

        국내 이주자 선교의 과제와 방향

        장남혁(Nam Hyuck J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2 No.-

        대한민국은 이제 명실공히 다문화 사회가 되었다. 이주자들은 이제 우리 곁에 이웃으로 자리하는데 그들을 어떻게 대하느냐 하는 것이 사회통합의 차원에서 한국사회와 교회에 주어지는 커다란 과제이다. 이주자들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선교의 기회를 선용하는 것이 될 수도 있지만 자칫 잘못하면 선교의 문을 더욱 닫게 만들 수도 있다. 타문화 사역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교회의 사역환경 속에서 디아스포라 대상의 사역이 무분별하게 시행될 경우, 득보다 실이 우려된다. 교통, 통신이 발달한 오늘날의 상황 속에서 이주자들은 새로운 거주국에서 같은 출신국 사람들과 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동시에 자신들이 떠나온 출신국의 사람들과도 긴밀한 네트워크를 유지해 나간다. 국내로 들어온 이주자들에 대한 사역은 신앙교육과 함께 그들의 전반적인 삶의 필요를 총체적으로 돕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들이 직면하는 취약점을 개선하는 동시에 그들의 잠재적이고 미래적인 역량들을 지속해서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주자 선교는 그들의 거주국과 출신국 그리고 그들과 연계된 또 다른 족속들에게까지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파급효과가 큰 사역이다. 더욱이 주목해야 할 점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한국사회의 차세대 주인공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이 미래에 중요한 재목으로 성장하느냐 아니면 주변인 지위에 머무느냐 하는 것은 실로 이 나라의 미래를 가늠하는 중차대한 문제이다. 그들을 신앙적으로 예수님의 제자들로 교육하는 동시에 그들이 건강한 정체성을 갖고 자신들이 가진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마련하는 일은 한국교회에 주어진 시급한 선교적 과제이다. 이제 이주자들의 증가와 더불어 우리 사회의 다문화성과 다종교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다종교 사회 속에서 평화롭게 생존해 나가기 위해서는 다름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그리고 이주자 사역을 효과적으로 감당하려면 전 교회와 이주자 선교단체들이 서로 협력하는 일이 절실히 요청된다. 특히 이주의 사이클이 출신국에서부터 시작해서 거주국을 거쳐서 다시금 출신국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확대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협력 네트워크는 초국가적으로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Nowadays as globalization spreads rapidly all over the world, so the number of immigrants grows in geometrical progression. Korea is not an exception. Korea, one of the most monocultural country in the world,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immigrants in Korea has become 3.69% of all the population. Once immigrants arrive at a foreign nation, they tend to settle down with other immigrants who share their language and culture and eventually form immigrant communities. Now Korean people are encountering a big task of accommodating these immigrants into Korean society. If we fail to integrate the immigrants into our society, our society will pay the large price caused by the social dislocations between residents and immigrants. This situation can be a good chance to reach to the immigrants who are in desperate need of adjusting to new atmospheres and overcoming culture shock in a strange land. So the ministry to the immigrants coming to our country should become holistic approach to support the overall necessities of immigrant including education for the faith. The ministry should facilitate the capacity to overcome the vulnerability they are facing in a strange country as well as intensify the potentiality of the immigrants to overcome the challenges the immigrants are facing now as well as in the future. The ministry to the immigrants are having huge impacts to the immigrants as well as the country from which they are coming out. If Korean churches are participating in the ministry to the immigrants and develop good cooperation among themselves as well as with lots of mission agencies working among the immigrants, those might get great fruits out of such a whole hearted participation in the ‘holistic ministry’ to immigrants. Nowadays global diaspora network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diverse diaspora networks are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Considering the cycle of migration happening through diverse countries, those global diaspora network are greatly requir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immigrants throughout the process of leaving the home country and returning to it. The rapid change happening through the migration, is a good chance for God’s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God to deliver the good news of Jesus Christ to the people who might not have chance to listen to the gospel if they would stay in their home countr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거주 분포와 민족적 배경에 관한 소고

        류주현(Ju Hyun Ryu)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1

        결혼이주자는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보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그 영향은 결혼이주자들의 자녀로 인해 계속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중요한 지역연구 대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인 거주지 형 성을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주거지 선택과정이 외생 적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졌을지라도 점차 이주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생적 자발적으로 거주지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반면에, 결혼이주자들의 주거지 분리과정은 자발적인 선택이 거의 어려운 상황에서 이주할 뿐만 아니라 이 주 후에도 주거지 변동 혹은 선택이 자유롭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 주거지 분리패턴 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지역사회가 선택한 결혼이주자들의 민족적 배경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국적별 결혼 이주자의 주거지 분포 경향과 분리정도를 고찰한 후 베트남계와 필리핀계 결혼이주여성의 분포패턴을 중심으로 그 민 족적 배경과 집중 분포지역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Marriage Immigrants have greater impact on local communities than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all the more because their childre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fundamental cause on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of marriage immigrants. Residential segregation is oft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ocial problems that intensify locality of residential district. Although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cannot freely decide their residential location at the outset, they could change their residence later on. However marriage immigrants are not free from the residential location choice continuously. The intentional (involuntary) residential segregation brings differential residence of marriage immigrant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s concerned with the close relationship of their ethnic background and the community characteristic with focus on Vietnamese and Filipin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asic guideline for community development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s.

      • KCI등재

        결혼이주자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네트워크 변화에 관한 연구

        최병두(Byung-Doo Choi),정유리(Yu-Ri Jeo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5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5 No.1

        본 연구는 행위자, 행위자 간 연결성, 연계 구조 등에 초점을 둔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자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변화와 행위자들 간 영향력 관계를 살펴보고, 결혼이주자가 상호관계 맺고 있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구성에 따라 생활만족도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주 및 정착과정의 시기를 국제결혼 의사결정 과정, 이주 과정, 이주 직후, 현재로 구분하여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연결망의 부재와 형성, 그리고 축소와 확대의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행위자의 규모적 차원으로는 개인적 차원, 지역적 차원, 국가적 차원, 지구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결혼이주자의 생활에 있어 행위자들이 미치는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인 136명의 결혼이주자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시기에 따라 상당히 다른 특성을 보였다. 또한 행위자의 영향력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개인·지역·국가·지구적 차원으로 유형화하여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결혼이주자는 자신을 지지해 주는 다양한 사회적 연결망이 구축될수록 한국생활에 자신감과 만족감을 나타냈다. 끝으로 이러한 점들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형성이 궁극적으로 결혼이주자의 한국사회에서의 생활에서 중요함을 밝혔다.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evaluation of social network with some principle issues on actors, their relationships and structures of connectiv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e out social network changes and influence linkages among actors through network analysis of human and non-human actor variables and through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life satisfaction in relation to composition of various actors within marriage immigrants’ interrelation. To analyze periodic changes regarding absence/creation as well as downsizing/enlargement of social network,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s been categorized into four periods; decision making in the home country, international movement to Korea, right after arrival in Korea, and present status. As for an individual, the level of analysis has been divided into four scale, that is, personal,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scale to identify living distinctions among marriage immigrants with regards to their influence. As a result, it is found out that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social networks of 136 survey respondents differ according to their timeframe. Furthermore, by comparing dispariti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four different group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influence power, it is identified that those who have established diverse social networs show mor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Korean life. Finally, with a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it is demonstrated that establishing social network and providing social supports are two crucial elements for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이주자 공간의 지도화와 공간분포의 특성 : 국적과 체류유형을 중심으로

        이용균,이현욱 한국지도학회 2012 한국지도학회지 Vol.12 No.2

        인터넷과 교통의 발달, 글로벌 금융과 문화의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이주의 증가를 가져왔고, 우리나라에서는 산업구조의 변화, 사회적 가치의 변화, 교육의 글로벌화를 경험하면서 외국인 이주자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최근 이주 연구는 이주자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공간스케일에 주목하는데, 이주자는 국경을 초월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정착지의 사회문화에 착근되면서 로컬을 변화시키는 주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시군구 및 서울시 동별 스케일에서 이주자 공간의 특성을 국적과 체류형태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이주자는 국적과 체류유형별로 거주 공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정 장소를 점유하면서 사회적 자본을 발달시키고 이주자 공간을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시아 이주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단순직 노동이주자는 주요 공장지대 주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및 호주와 같은 유럽계 이주자들은 용산구 일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특성을 보인다. 교육이주자는 기존 자국민의 이주자가 집중된 지역에 거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다수인 결혼이주자는 대부분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데, 결혼이주자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한국계중국인이 밀집된 곳이거나 수도권 내 주요 공장지대이다. 본 연구는 이주자의 공간은 국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체류유형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주자를 민족이나 국가 단위로 동질화하여 설명하는 것은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ransportation, and the expansion of global finance and culture have increased migrants in the world. In case of Korea, the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 the changes of social values and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have brought a sharp increase of foreign migrants. Recent migration study tends to giving attention on the spatial scale by migrant's social relations. Migrants are not only trying to maintain the transnational social relations, but also embedding into the local's socio-cultural environment, deriving local changes. This research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igrant space with diverse of scale levels through categories of states and visa-type in the city-gun-gu scale in national level and dong scale in Seoul.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e fact that migrant's residential spaces are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migration status. Migrants tend to utilize a certain kind of social capital, making the new space of migrant. Routine labor migrants, mainly from asian countries, are concentrated on the manufacturing areas, while professional labor migrants from European countries such as U.S.A., U.K. France, Germany, and Australia are inclined to settle in the Yongsan area. Also There are several distinctive spatial distribution related to migration status (visa-type). Educational migrants tend to find their residential place nearby their ethnical anchorage. Marriage migrants who are dominated by female are highly concentrated into the city areas which are nearby the place of Korean-chinese's residential areas and the manufacturing areas.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at the space of migrants is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migration status. Thus, the homogenisation of migrants by ethnic or state tend to raise a problem in migration studies.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자 속성결혼의 해법: 강화된 비자발급 심사기준과 주요 쟁점

        김명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5

        이 논문의 초점은 2000년 이후 결혼이주자들의 국제결혼이 급증한 반면 이혼율도 가파르게 늘어나고 가정폭력과 부부갈등 등 각종 사회문제가 증가하자 최근 법무부와 여성가족부가 문제의 원인을 속성결혼에서 찾고 출입국관리법규 개정을 통해 비자발급 심사기준을 강화한데서 출발한다. 논문의 목적은 결혼이주자의 속성결혼의 해법으로 등장한 비자발급 시 심사기준 강화의 배경과 주요 내용을 고찰하고 현재 논란의 중심에 있는 심사기준 관련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여 유의미한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쟁점 분석에서 도출한 결론으로 변경된 심사 기준의 그 이면에 경제적 소외계층인 두 당사자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편들의 결혼을 통한 진정한 행복에 대한 고려가 누락되어있다. 따라서 무조건적 국제결혼을 막는 심사기준 강화보다는 현실적으로 외국인 배우자들이 현지에서 한국어를 먼저 배울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하고 소득요건 이하의 국제결혼 희망 한국인 남성들일지라도 결혼 후 경제적인 안정을 돕는 일자리 프로그램을 알선하고 교육시키는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it focuses on the start from which Korean ministry of justic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oint out the cause of problems as rapid marriage, resulting in family violence, marital conflict as well as rapid increasing divorce rate among marriage migrants, and fortify judging standards for visa issuance though revising the law on immigration management. It aims to review the context of strengthened judging standards and their contents emerged as a solution of rapid marriage, and draw the meaningful implication from analysis on the main disputant issues related to criteria.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analysis is the law regulation at the back excludes consideration on what is the true happiness between the two parties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Korean husbands in need. Therefore it proceeds to give the foreign spouses institutional supports to learn Korean first on the local community instead of unconditionally intensifying judging standards for interrupting from international marriage, and help the Korean husbands, under the level of income requirement, learn to get the job program for economic stability after marriage.

      • KCI등재후보

        양안결혼이주남성의‘젠더 전복’? : 젠더 역할, 노동권, 시민권을 중심으로

        문경연 ( Kyungyun Moon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9 중국사회과학논총 Vol.1 No.2

        이 논문은 대만에 살고 있는 중국 출신 남성 결혼이주자(남성대륙배우자)의 결혼 생활을 통해 젠더 관념에 대해 분석한다. ‘이주의 여성화’라는 미명 하에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아시아의 결혼이주의 주체로 여성 결혼이주자에 초점을 맞춰왔다. 대만에서도 남성결혼이주자는 매우 소수이며, 젠더화된 이민정책으로 남성결혼이주자들은 완전한 노동권과 건강권을 보장받지 못했고, 집안에서 양육을 담당해야만 했다. 특히 ‘중국’출신을 따로 분류하는 이민 정책은 남성대륙배우자가 시민권을 얻기 위해서 외국 배우자보다 2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불합리한 제도였다. 남성대륙배우자는 이 정책에 대항하여 권리 투쟁에 참여하기도 하지만, 주로 사적 모임을 만들며 경제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나누기도 한다. 이러한 남성대륙배우자의 조직화는 2009년 대만의 제도 완화와 중국의 관심으로 더욱 가시화되고 있다. 이 변화 속에서 남성들은 중국 정부의 관심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위치나 공적 영역으로의 확장을 좀 더 중국 쪽으로 두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gender meanings and marriage life through Chinese male marriage migrants in Taiwan. As a name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most of the studies about marriage migration in Asia are focused on female marriage migrants. In Taiwan, there are a few male marriage migrants from China. Gendered immigration policies did not give males full labor rights and health rights, and differentiated immigration policies required males to wait six years for citizenship, which is two years longer than other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imposed by this policy, Chinese male spouses fight for promoting their interests. Such activities can be seen in two primary spheres: in the political sphere, where they protest together to protect their civil rights; and in the sphere of everyday life, where they exchange information helpful for life in Taiwan, such as conducting some business, and resolving legal issues. This paper offers ethnography of how Chinese male spouses, which inhabits an ambiguous position in Taiwanese society as a result of the special cross-strait relationship, develop social networks.

      • KCI등재

        결혼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 다문화 소설을 중심으로 -

        윤대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4 No.-

        Discourse on multi-culture in Korea, leaded by government, is close to assimilationism. It could not be helpful thought to innovate Korea. Thus we must search alternative way to have relations to the other of our society. In novel ‘The Time with the other’ written by Chung In, the wife, a marriage migrant is deprived her tools to communicate the other. Her foreign language can not reach not only to the society but also her Korean husband. Reversely she is represented by paternalistic and racist majority. Deprivation of voice is the biggest difficulty in which marriage migrants find themselves and originated by the majority’s anxiety about hybrid futur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s has a aim that marriage migrants can appear in public preserving their otherness.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s got started recently as assimilative education to Korean culture. But it should be inter-cultural education and it’s principles should be the readjustment of identities, the critical participation to Korean society, and over-determinative solidarity with Korean. Kong Sunok’s novel Wandering Family is suitable matter to those aim and principle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s. 한국에서 다문화 담론은 국가와 정부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실상은 동화주의에 가깝다. 이처럼 국민의 양적 증가로만 결혼 이주자를 이해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국 사회에 결혼 이주자라는 타자의 목소리가 필요한 것은 그 때문이다. 정인의 소설 「타인과의 시간」에서 결혼 이주자인 아내의 언어는 사회는 물론 남편인 ‘나’에게도 도달하지 않고, 거꾸로 아내가 사회의 다수자에 의해 재현된다. 이러한 목소리의 박탈이 아내로 대표되는 결혼 이주자가 처한 최대의 곤경이고 그것은 다수자들이 혼종적 미래에 대해 가지는 불안에서 비롯되었음을 이 소설은 잘 보여준다. 결혼 이주자를 위한 문학 교육은 타자의 타자성을 다수자와의 관계 속에서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그것은 지금 걸음마 단계에 놓여 있다. 그런 만큼 그에 대한 논의도 실천도 적지만, 그것조차도 동화(同化) 교육으로서의 문화 교육에 머물고 있다. 결혼 이주자를 위한 문학 교육은 적응과 교섭의 문화 교육이어야 하고 그 원리는 정체성의 재구성, 한국 사회·문화에의 비판적 참여, 한국 사회 구성원과의 중층적 연대이다. 공선옥의 『유랑 가족』은 고향이라는 안주의 땅에서 뿌리 뽑힌 한국 사회의 다양한 하층민을 그린 소설로서 결혼 이주자를 위한 문학 교육의 내용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